KR200259692Y1 - 실린더형 높이조절부재 - Google Patents

실린더형 높이조절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9692Y1
KR200259692Y1 KR2020010029424U KR20010029424U KR200259692Y1 KR 200259692 Y1 KR200259692 Y1 KR 200259692Y1 KR 2020010029424 U KR2020010029424 U KR 2020010029424U KR 20010029424 U KR20010029424 U KR 20010029424U KR 200259692 Y1 KR200259692 Y1 KR 2002596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dle
elastic member
cylinder
sealing means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94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상
허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홍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홍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홍사
Priority to KR20200100294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96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96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9692Y1/ko

Links

Landscapes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테이블, 의자 등에 사용할 수 있는 높이조절부재에 관련된 것으로써, 더 상세히는 높이조절부재의 스핀들(50)의 왕복 이동 길이 즉, 이동 스트로크를 크게 하면서도 튜브가이드(55)가 스핀들(5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실링수단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실링수단은 가스씰(92) 및 플랜지와셔(94)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와셔는 탄성부재(81)의 지름보다 큰 제1내경부를 갖는 제1부분과, 피스톤로드(10)의 지름보다 크고 상기 탄성부재(81)의 지름 보다 작은 제2내경부를 갖는 제2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부분의 상면이 상기 가스씰을 지지하고, 상기 제2부분의 외측 단부가 상기 스핀들의 외피면(39)의 단부와 대략 일치되도록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실링수단을 구성하여 스핀들의 외피면과 고정함으로써, 상기 스핀들의 외피면(39)에 고정된 실링수단의 일부가 상기 탄성부재(81)와 접촉되어 상기 스핀들의 하강이 스톱되는 위치 근방에서 그 스핀들의 외피면(39) 단부가 상기 탄성부재(81)와 접촉되지 않는 상태로 상기 탄성부재 쪽으로 더 연장되어 내려가는 구조가 형성된다. 따라서, 스핀들을 상방향으로 최대한 이동시켰을 때 상기 탄성부재 쪽으로 더 연장되어 내려간 외피면(39) 부분만큼 스핀들의 스트로크가 커지게 된다.

Description

실린더형 높이조절부재{Height-control assemble with a cylinder type}
본 고안은 테이블, 의자 등에 사용할 수 있는 높이조절부재에 관련된 것으로써, 더 상세히는 높이조절부재의 스핀들 하단부에 고정되는 실링수단의 구조에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린더형 높이조절부재는 도 1 및 도 2의 종단면 구조와 같이 원통형의 외통(60) 내에 설치되어 있는 튜브가이드(55)에 스핀들(50)이 설치된다. 상기 튜브가이드는 스핀들(50)의 가이드수단과 지지수단으로 작용한다. 상기 스핀들(50)은 소정의 압력으로 질소 가스등이 주입된 실린더(30)와, 상기 실린더를 제1챔버(30a), 제2챔버(30b)로 나누는 피스톤(11)과, 제1챔버(30a)와 제2챔버(30b)의 가스를 서로 유동시키기 위한 가스 개폐핀(20)을 갖는 파이프 홀더(70)를 구비한다.
상기 피스톤(11)은 피스톤 로드(10)의 한 단부와 고정되고, 피스톤 로드(10)의 다른 한 단부는 원통형의 외통(60)의 단부에 고정클립(40)을 이용하여 고정된다.
상기 실린더(30)의 내부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제1챔버(30a)와 제2챔버(30b) 내의 가스가 가스 출입구(16)를 통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버튼(33)을 푸시하여 가스개폐핀(20)을 개방하면 가스의 압력에 의하여 피스톤(11)이 실린더(30) 내에서 이동하고, 결국 스핀들(50)이 튜브가이드(55)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여 높이조절부재의 높낮이가 조절된다.
상기 스핀들(50)이 튜브가이드(55)의 내면을 따라 승하강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파이프 홀더(70)는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을 이루며 중앙에 상기 가스개폐핀(20)을 끼우기 위한 작동구멍(41)을 형성하고, 외측의 오링 홈에는 파이프 홀더와 스핀들(50)의 내벽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오링("O"ring:45)이 끼워져 있다. 상기 파이프 홀더(70)의 내측 중앙은 가스의 유동을 위한 공간부(46)로 되어 있고, 그 공간부(46)의 양 단부에도 가스개폐핀(20)과 파이프 홀더(70)의 내면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각각 오링(45)이 설치되어 있다. 또, 공간부(46)에는 상기 오링(45)의 간격 유지 및 상기 가스개폐핀(20)의 원활한 슬라이드 동작을 위하여 내측 홀더(4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내측 홀더의 일측에는 가스 출입구(16)와 연결되어 통하도록 미세 구멍(47a)이 뚫려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파이프 홀더에 있어서 도 1과 같이 가스개폐핀(20)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제1챔버(30a)의 가스가 가스 출입구(16)를 통하여 유동할 수 없도록 완전히 차단되므로 스핀들(50)의 높이는 그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스핀들(50)을 슬라이드 시켜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2와 같이 가스개폐핀(20)을 누르면 가스개폐핀이 제1챔버(30a) 쪽으로 이동하면서 가스개폐핀(20)과 오링(45) 사이에 기밀이 해제되어 공간이 형성된다. 즉, 가스개폐핀의 중앙부에 형성된 환설 홈(48)이 오링(45) 쪽으로 이동하면 환설 홈부분이 가스개폐핀의 외경보다 작기 때문에 오링(45)과 가스개폐핀(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개방된 가스 출입구(16)를 통하여 제1챔버(30a)와 제2챔버(30b)의 가스가 서로 유동하여 각각의 챔버 내의 가스압이 서로 변하므로 피스톤(11)이 이동하여 스핀들의 높이조절이 이루어진다. 스핀들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진 후에 버튼(33)에 가해진 압력을 해제하면 가스개폐핀(20)에 의하여 다시 가스 출입구(16)를 차단한다.
한편, 피스톤 로드(10)에 고정된 피스톤(11)을 실린더(30) 내에 삽입한 후 피스톤 로드(10)가 실린더(30)와 기밀상태를 유지하면서 실린더 챔버 내부로 습동 이동이 가능하도록 실린더(30)의 하단부 입구가 실링수단에 의하여 밀폐된다. 상기 실링수단은 피스톤 로드(10)에 끼워져 제2챔버(30b)의 단부와 고정되는오픈홀더(91)와, 챔버내의 가스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챔버의 내벽면과 피스톤 로드(10)의 외면과 기밀을 유지하도록 오픈홀더(91)의 하부에 설치되는 가스씰(92)과, 상기 가스씰의 하부에 설치되어 가스씰(92)과 오픈홀더(91a,91b)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스핀들의 외피면(39)의 단부를 커링하여 고정된 플랜지(93)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실링수단의 플랜지(93)는 실린더가 하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탄성부재(81)와 접촉된다. 상기 탄성부재(81)는 고정클립(40)으로 고정된 피스톤 로드(10)의 단부 부분에 끼워져 스핀들(50)의 상하 이동시 스핀들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탄성부재가 끼워진 피스톤로드의 단부에는 베어링서포트(52),(54)와 볼베어링(61)이 끼워진다.
상기 베어링서포트(52),(54) 및 볼베어링(61)은 피스톤 로드(10)의 단부에 형성된 이동방지턱(65)에 의하여 피스톤 로드의 상부 쪽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볼(62)이 삽설된 볼베어링(61)을 사이에 두고 베어링서포트(52),(54)가 끼워지기 때문에 스핀들(50)에 가해지는 하중이 볼베어링(61)에 직접 가해지더라도 볼베어링(61)은 베어링서포트(52),(54) 사이에서 충분한 미끄럼 저항을 발휘하여 실린더(50)의 축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높이조절부재는 스핀들(50)의 하단부에 구성되는 실링수단이 스핀들의 외피면(39)의 단부와 평탄하게 구성되고, 그 평탄부가 탄성부재(81)에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스핀들(50)의 단부 즉, 실린더(30)의 실링수단이 탄성부재(81)와 접촉되어 있는 도 1의 상태에서 버튼(33)을 눌러 도 2의 상태로 스핀들(50)을 최대한 이동시키면 스핀들의 하단부 부분이 튜브가이드(55)의 하단부와 대략 일치하는 곳까지 스핀들(50)이 슬라이드 되어 이동된다.
피스톤 로드(10)의 길이를 더 길게 하여 스핀들(50)의 왕복 이동 길이(이동 스트로크)를 크게 할 수 있으나, 스핀들(50)이 튜브가이드(55)와 접촉하는 접촉면이 작을 경우 튜브가이드(55)가 스핀들(50)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약하여져 스핀들의 휨이 발생하거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에 종래의 높이조절부재에서는 상기와 같이 스핀들(50)의 하단부가 튜브가이드(55)의 하단부와 대략 일치하는 위치까지만 슬라이드 되도록 구성하였다.
본 고안은 스핀들의 왕복 이동 길이 즉, 이동 스트로크를 크게 하면서도 튜브가이드(55)가 스핀들(50)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하는 높이조절부재를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핀들(50)의 외피면(39) 단부 측에서 일정 길이만큼 그 외피면의 내측으로 들어간 위치에 실링수단을 고정하여 구성한다.
상기 실링수단이 탄성부재(81)와 접촉되어 더 이상 하방향으로 스핀들이 이동하지 않는 위치에서 그 실링수단을 고정하는 스핀들(50)의 외피면(39) 단부는 탄성부재(81)와 접촉되지 않고 감싸는 상태로 탄성부재 쪽으로 더 내려가 스핀들 서포터(spindle support: 64)에 근접하도록 구성한다.
스핀들(50)의 내부에 있는 실린더(30)를 밀폐하도록 구성되는 실링수단은 스핀들(50)의 외피면(39)에 지지되도록 고정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스핀들의 이동 스트로크를 크게 함과 동시에 튜브가이드가 스핀들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하는 높이조절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스핀들의 이동 스트로크를 최대로 하여 그 스핀들을 위쪽으로 이동시켰을 때 스핀들의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는 높이조절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실린더형 높이조절부재의 스핀들이 하강되어 있는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는 종래 실린더형 높이조절부재의 스핀들이 상승되어 있는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린더형 높이조절부재의 스핀들이 하강되어 있는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린더형 높이조절부재의 스핀들이 상승되어 있는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스핀들 하단부에 구성된 실링수단의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 6a 본 고안의 플랜지와셔 평면도,
도 6b는 도 6a의 A-A′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링수단의 다른 예의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피스톤로드 11 - 피스톤
20 - 가스개폐핀 30 - 실린더
30a - 제1챔버 30b - 제2챔버
33 - 버튼 33a - 버튼 턱
39 - 스핀들 외피면 40 - 고정클립
50 - 스핀들 55 - 튜브가이드
60 - 원통형의 외통 64 - 스핀들 서포터
70 - 파이프홀더 83 - 버튼가이드부
83a - 버튼가이드부 턱 91 - 오픈홀더
92 - 가스씰 93 - 플랜지
94 - 플랜지와셔
본 고안은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피스톤(11)이 내장된 실린더(30)와, 상기 실린더의 일단부에 구성되는 가스개폐수단과, 상기 실린더의 타단부에 구성되는 실링수단을 외피면으로 고정하여 이루어진 스핀들(50)과,
상기 실린더 내의 피스톤(11)에 연결되고 상기 실링수단을 통하여 상기 스핀들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피스톤 로드(10)와,
상기 피스톤 로드의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스핀들이 상기 실린더 내의 피스톤(11)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습동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수단을 갖는 외통(60)과,
상기 외통과 고정된 피스톤 로드 단부와 상기 스핀들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81)를 포함하여 구비하는 높이조절부재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스핀들의 외피면(39)에 고정된 실링수단의 일부가 상기 탄성부재(81)와 접촉되어 상기 스핀들의 하강이 스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핀들이 상기 탄성부재와 접촉되어 하강이 스톱되는 위치 근방에서 그 스핀들의 외피면(39) 단부가 상기 탄성부재(81)와 접촉되지 않는 상태로 상기 탄성부재 쪽으로 더 연장되어 내려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통(60)의 내면에는 상기 스핀들의 외피면(39)을 습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튜부가이드(55)가 설치된다.
상기 탄성부재 하부에는 볼베어링(61)을 개재하는 베어링서포트(52,54)가 설치된다.
또, 상기 실링수단은 적어도 가스씰(92) 및 플랜지와셔(94)를 포함하되, 상기 플랜지와셔는 상기 탄성부재(81)의 지름보다 큰 제1내경부를 갖는 제1부분과, 상기 피스톤 로드(10)의 지름보다 크고 상기 탄성부재(81)의 지름 보다 작은 제2내경부를 갖는 제2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부분의 상면이 상기 가스씰을 지지하고, 상기 제2부분의 외측 단부가 상기 스핀들의 외피면(39)의 단부에 고정된다.
상기 가스씰(92)과 플랜지와셔(94) 사이에는 플랜지(93)가 개재되고, 상기 가스씰은 오픈홀더(9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를 밀폐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가스개폐수단은 버튼가이드부(83)에 고정된 버튼(33)으로 가스개폐핀(20)을 푸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 버튼가이드부는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내경을 갖는 관통부를 구성하고, 상기 관통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버튼을 구성하여 상기 버튼이 상기 관통부의 턱에 걸려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2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높이조절부재는 도 3 및 도 4의 종단면 구조와 같이 원통형의 외통(60) 상측 내부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는 튜브가이드(55)에 스핀들(50)이 습동가능하도록 끼워진다. 상기 튜브가이드(55)는 스핀들(50)이 상하방향으로 습동할 때 그 스핀들과 마찰을 줄일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고, 스핀들의 가이드수단 및 지지수단으로 작용한다.
상기 스핀들(50)은 소정의 압력으로 질소 가스등이 주입된 실린더(30)와, 상기 실린더를 제1챔버(30a), 제2챔버(30b)로 나누는 피스톤(11)과, 제1챔버(30a)와 제2챔버(30b)의 가스를 서로 유동시키기 위한 가스개폐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가스개폐수단은 가스개폐핀(20), 내측 홀더(47)가 설치된 파이프 홀더(70), 버튼가이드부(83), 버튼(33) 등으로 이루어져 스핀들의 상하 습동 거리 즉, 높이조절부재의 높이를 컨트롤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상기 가스개폐핀(20)은 중앙부 외주면에 가스 출입구를 개방하는 홈(49)이 1개 이상 형성됨과 아울러 그 가스개폐핀의 단부에 와셔형상의 돌기체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 상기 버튼가이드부(83)는 서로 다른 2개의 직경을 갖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그 관통부에 버튼(33)이 끼워진다. 상기 버튼은 버튼가이드부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관통부의 내면 형상과 대략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하여 버튼가이드부의 턱(83a)과 버튼의 턱(33a)이 서로 걸리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피스톤(11)은 피스톤 로드(10)의 한 단부와 고정되고, 피스톤 로드(10)의 다른 한 단부는 원통형의 외통(60)의 단부에 고정클립(40)을 이용하여 고정된다.
상기 실린더(30)의 내부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제1챔버(30a)와 제2챔버(30b) 내의 가스가 가스 출입구(16)를 통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버튼(33)을 푸시하여 가스개폐핀(20)을 개방하면 가스의 압력에 의하여 피스톤(11)이 실린더(30) 내에서 이동하고, 결국 스핀들(50)이 튜브가이드(55)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여 높이조절부재의 높낮이가 조절된다.
상기 스핀들(50)이 튜브가이드(55)의 내면을 따라 승하강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가스개폐수단을 구성하는 파이프 홀더(70)는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을 이루며 중앙에 상기 가스개폐핀(20)을 끼우기 위한 작동구멍(41)을 형성하고, 외측의 오링 홈에는 파이프 홀더와 스핀들(50)의 내벽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오링("O"ring:45)이 끼워져 있다. 상기 파이프 홀더(70)의 내측 중앙은 가스의 유동을 위한 공간부(46)로 되어 있고, 그 공간부(46)의 양 단부에도 가스개폐핀(20)과 파이프 홀더(70)의 내면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각각 오링(45)이 설치되어 있다. 또, 공간부(46)에는 상기 오링(45)의 간격 유지 및 상기 가스개폐핀(20)의 원활한 슬라이드 동작을 위하여 내측 홀더(4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내측 홀더의 일측에는 가스 출입구(16)와 연결되어 통하도록 미세 구멍(47a)이 뚫려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파이프 홀더에 있어서 도 3과 같이 가스개폐수단의 가스개폐핀(20)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제1챔버(30a)의 가스가 가스 출입구(16)를통하여 유동할 수 없도록 완전히 차단되므로 스핀들(50)의 높이는 그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스핀들(50)을 슬라이드 시켜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4와 같이 가스개폐핀(20)을 누르면 가스개폐핀이 제1챔버(30a) 쪽으로 이동하면서 가스개폐핀(20)과 오링(45) 사이에 기밀이 해제되어 공간이 형성된다. 즉, 가스개폐핀의 중앙부에 형성된 유선형의 홈(49)이 오링(45) 쪽으로 이동하면 오링(45)과 가스개폐핀(20) 사이에 틈이 형성되고, 개방된 가스 출입구(16)를 통하여 제1챔버(30a)와 제2챔버(30b)의 가스가 이동하여 각각의 챔버 내의 가스압이 서로 변하므로 결국, 피스톤(11)이 이동하여 스핀들(50)의 높이조절이 이루어진다. 상기 스핀들이 최대로 높게 이동하는 위치는 제2챔버(30b)의 용적이 최소로 줄어 제1챔버를 밀폐하고 있는 실링수단이 피스톤(11) 쪽으로 근접하였을 때의 위치가 된다.
따라서, 기술자가 피스톤 로드(10)의 길이를 적절히 설정하여 고정설치 하면 그 피스톤 로드의 길이에 따라 스핀들(50)의 높이 조절의 최대거리가 결정된다.
상기 스핀들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진 후에 버튼(33)에 가해진 압력을 해제하면 가스개폐핀(20)에 의하여 다시 가스 출입구(16)를 차단한다.
한편, 피스톤 로드(10)에 고정된 피스톤(11)을 실린더(30) 내에 삽입한 후 피스톤로드(10)가 실린더(30)와 기밀상태로 유지하면서 실린더 챔버 내부로 습동 이동이 가능하도록 실린더(30)의 하단부 입구가 실링수단에 의하여 밀폐된다.
상기 실링수단은 피스톤 로드(10)에 끼워져 제2챔버(30b)와 고정되는 오픈홀더(91)와, 챔버내의 가스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챔버의 내벽 면과피스톤로드(10)의 외면과 기밀을 유지하도록 오픈홀더(91)의 하부에 설치되는 가스씰(92)과, 상기 가스씰의 하부에 끼워지는 플랜지(93)와, 플랜지와셔(94)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랜지와셔(94)는 오픈홀더(91) 및 가스씰(92), 플랜지(93)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스핀들의 외피면(39)의 단부를 커링(curling)하여 고정한다.
따라서, 스핀들이 최대로 하강하면 탄성부재(81)의 상면은 플랜지(93)의 하면(93a)과 플랜지와셔(94)의 D2영역의 하면(94a) 일부와 접촉된다.
특히, 상기 플랜지와셔(94)는 탄성부재(81) 및 베어링서포트(52,54)가 통과할 수 있는 내경 d1을 갖는 갖는 D1영역과, 탄성부재(81)가 걸리고, 피스톤 로드(10)의 습동 이동이 가능한 내경 d2를 갖는 D2영역의 구성부를 갖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플랜지와셔의 외면은 스핀들의 외피면(39)의 단부에 끼워 고정되고, D1영역의 외측 단부가 스핀들 외피면(39)의 단부와 대략 일치하도록 그 외피면의 단부를 내측으로 커링(curling)하여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플랜지와셔를 구성함으로써, 도 3과 같이 스핀들을 최대한 하강시켰을 때 스핀들의 외피면(39) 단부가 상기 탄성부재(81) 및 베어링서포트(52,54)와 접촉되지 않는 상태로 상기 탄성부재 쪽으로 더 연장되어 내려간다.
상기와 같이 스핀들의 외피면을 탄성부재 쪽으로 더 연장되어 내려가도록 구성하면 스핀들을 상방향으로 최대로 높게 이동시켰을 때 튜브가이드(55)와 스핀들(50)의 접촉면적이 연장된 스핀들의 외피면(39) 길이만큼 즉, D1영역만큼 커지게 된다.
따라서, 스핀들을 최대로 길게 하였을 때 튜브가이드와 스핀들의 접촉면적이축소되어 발생하는 스핀들의 휨 불량을 방지하면서 스핀들의 이동 스트로크가 최대로 확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실링수단의 플랜지와셔(94)는 스핀들의 하강 및 상승시 스트로크의 거리를 기존 스핀들의 스토로크 거리보다 크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상기 실린더가 하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프랜지와셔(94)가 탄성부재(81)와 접촉된다. 상기 탄성부재(81)는 고정클립(40)으로 고정된 피스톤 로드(10)의 단부 부분에 끼워져 스핀들(50)의 상하 이동시 스핀들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탄성부재(81)의 하부에 끼워지는 상기 베어링서포트(52),(54) 및 볼베어링(61)은 피스톤 로드(10)의 단부에 형성된 이동방지턱(65)에 의하여 피스톤로드의 상부쪽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볼(62)이 삽설된 볼베어링(61)을 사이에 두고 베어링서포트(52),(54)가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볼베어링(61)은 베어링서포트(52),(54) 사이에서 충분한 미끄럼 저항을 발휘하여 실린더(50)의 축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작용한다.
본 고안의 실링수단은 도 5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가스씰(92)과 프랜지와셔(94) 사이에 끼워지는 플랜지(93)를 제거한 상태로 도 7과 같이 실링수단을 구성하여도 본 고안의 목적 달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실링수단이 탄성부재(81)와 접촉되어 더 이상 하방향으로 스핀들이 이동하지 않는 위치에서 그 실링수단을 고정하는 스핀들(50)의 외피면(39) 단부는 탄성부재(81)와 접촉되지 않고 탄성부재를 감싸는 상태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더 내려가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스핀들의 외피면(39)을 탄성부재 아래쪽으로 연장하여 구성함으로써, 스핀들(50)을 최대로 길게 하였을 때 튜브가이드(55)와 스핀들의 접촉면적이 작아져서 발생하는 스핀들의 휨 불량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스핀들의 휨 불량을 방지하면서 스핀들(50)의 이동 스트로크를 최대로 확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7)

  1. 피스톤(11)이 내장된 실린더(30)와, 상기 실린더의 일단부에 구성되는 가스개폐수단과, 상기 실린더의 타단부에 구성되는 실링수단을 외피면으로 고정하여 이루어진 스핀들(50)과,
    상기 실린더 내의 피스톤(11)에 연결되고 상기 실링수단을 통하여 상기 스핀들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피스톤 로드(10)와,
    상기 피스톤 로드의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스핀들이 상기 실린더 내의 피스톤(11)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습동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수단을 갖는 외통(60)과,
    상기 외통과 고정된 피스톤로드 단부와 상기 스핀들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81)를 포함하여 구비하는 실린더형 높이조절부재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스핀들의 외피면(39)에 고정된 실링수단의 일부가 상기 탄성부재(81)와 접촉되어 상기 스핀들의 하강이 스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핀들이 상기 탄성부재와 접촉되어 하강이 스톱되는 위치 근방에서 그 스핀들의 외피면(39) 단부가 상기 탄성부재(81)와 접촉되지 않는 상태로 상기 탄성부재 쪽으로 더 연장되어 내려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형 높이조절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60)의 내면에는 상기 스핀들의 외피면(39)을 습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튜부가이드(55)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형 높이조절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 하부에는 볼베어링(61)을 개재하는 베어링서포트(52,54)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형 높이조절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수단은 적어도 가스씰(92) 및 플랜지와셔(94)를 포함하되, 상기 플랜지와셔는 상기 탄성부재(81)의 지름보다 큰 제1내경부를 갖는 제1부분과, 상기 피스톤로드(10)의 지름보다 크고 상기 탄성부재(81)의 지름 보다 작은 제2내경부를 갖는 제2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부분의 상면이 상기 가스씰을 지지하고, 상기 제2부분의 외측 단부가 상기 스핀들의 외피면(39)의 단부와 대략 일치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형 높이조절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씰(92)과 플랜지와셔(94) 사이에는 플랜지(93)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형 높이조절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씰은 오픈홀더(91)에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를 밀폐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형 높이조절부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개폐수단은 버튼가이드부(83)에 고정된 버튼(33)으로 가스개폐핀(20)을 푸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 버튼가이드부는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내경을 갖는 관통부를 구성하고, 상기 관통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버튼을 구성하여 상기 버튼이 상기 관통부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형 높이조절부재.
KR2020010029424U 2001-09-24 2001-09-24 실린더형 높이조절부재 KR2002596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424U KR200259692Y1 (ko) 2001-09-24 2001-09-24 실린더형 높이조절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424U KR200259692Y1 (ko) 2001-09-24 2001-09-24 실린더형 높이조절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9692Y1 true KR200259692Y1 (ko) 2002-01-09

Family

ID=73109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424U KR200259692Y1 (ko) 2001-09-24 2001-09-24 실린더형 높이조절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96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058B1 (ko) * 2010-07-08 2010-11-04 정동성 교자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058B1 (ko) * 2010-07-08 2010-11-04 정동성 교자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4265Y1 (ko) 길이 조정이 가능한 가스 스프링
US10655701B2 (en) Adjustable oscillation damper
CN108138977B (zh) 提升阀
US3937450A (en) Sliding piston gas spring
KR101479515B1 (ko) 구리스 차단용 가스 실린더
US4881723A (en) Double-damped gas spring with friction liner and sealing ring
US9982741B2 (en) Damping valve device for a vibration damper
KR100436415B1 (ko) 칼럼 유니트 및 칼럼 유니트의 튜브 가이드
KR102068329B1 (ko) 멀티 스텝 높낮이 조절 장치
KR200259692Y1 (ko) 실린더형 높이조절부재
JP4205699B2 (ja) いす用の支持コラム
US4946143A (en) Gas spring
WO2012148167A2 (ko) 의자용 칼럼 유니트
KR20120102234A (ko) 구리스 누출 방지용 가스 실린더
JP3947392B2 (ja) リリーフバルブ
KR101601710B1 (ko) 전자밸브
JP6200523B2 (ja) ピストン・シリンダユニット
JP2003166607A (ja) 油圧式オートテンショナ
CN106660771B (zh) 起重车中的致动器
US20100078277A1 (en) Valve Assembly for Damper between a Lower Chamber and a Compensation Chamber in the Damper
US6840484B2 (en) Gas cylinder
KR200234005Y1 (ko) 가스 개폐 핀
KR200200351Y1 (ko) 가스실린더의 가스개폐핀
KR20000014565U (ko) 높이조절용 가스실린더
KR20090028924A (ko) 실린더 안내를 위한 부싱 지지용 테이퍼 가이드를 갖는가스 실린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