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9251Y1 - 장식물걸이구 - Google Patents

장식물걸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9251Y1
KR200259251Y1 KR2020010027846U KR20010027846U KR200259251Y1 KR 200259251 Y1 KR200259251 Y1 KR 200259251Y1 KR 2020010027846 U KR2020010027846 U KR 2020010027846U KR 20010027846 U KR20010027846 U KR 20010027846U KR 200259251 Y1 KR200259251 Y1 KR 2002592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hook
hanger
fixed body
decor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78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성
Original Assignee
박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성 filed Critical 박진성
Priority to KR20200100278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92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92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9251Y1/ko

Link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판면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삽입요홈이 형성된 고정본체를 구비하는 장식물걸이구가 개시되어 있다. 본 장식물걸이구는 고정본체의 일측으로부터 접근하여 삽입요홈내에 삽입고정되는 삽입부, 및 삽입부의 자유단부로부터 고정본체의 판면에 대하여 가로로 돌출되어 고리상으로 만곡연장된 걸림후크부를 구비하는 걸림핀을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비교적 작은 크기 및 간단한 구성으로 일정한 금형에서 상대적으로 대량생산 가능하므로 그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장식물걸이구{Holder for garnish}
본 고안은 장식물걸이구에 관한 것이다.
백화점의 매장이나 쇼핑몰등에서는 예를 들어, 보다 효과적으로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고객의 시선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광고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들 중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식별력 있는 안내표지판이나 장식물등을 실내의 상부공간에 적절히 배치시키는 것인데, 이를위해 도 1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장식물걸이구가 주로 사용된다.
종래의 장식물걸이구(101)는,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본체(103), 및 이 고정본체(103)의 판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된 걸림후크(105)를 구비한다. 고정본체(103)는 판상체로, 사각 또는 원형상의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걸림후크(105)는 거의 고리상을 가지며, 고정본체(103)와 일체로 사출성형가능하다. 고정본체(103)의 배면에는 접착층(107)이 마련된다.
작업자는 고정본체(103)의 배면에 형성된 접착층을 사용하여, 장식물걸이구(101)를 소정의 위치 예를 들어, 실내의 천정이나 벽면, 혹은 쇼케이스의 내벽면 등과 같은 곳에 간단히 부착시킬 수 있다. 고정본체(103)의 고정부착이 완료되면, 그 구성상 걸림후크(105)는 고정본체(103)의 판면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돌출되며, 작업자는 이 고리상의 걸림후크(105)에 다양한 종류의 장식물등을 걸어놓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장식물걸이구(101)에서는, 저렴한 가격으로 대량 생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금형을 제작하게 되는데, 그 구성상 일정한 금형에서 일회적으로 생산해 낼 수 있는 제품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다는 문제가 있다. 즉, 고정본체(103)와 그 전방을 향해 돌출된 걸림후크(105)로 구성된 종래의 장식물걸이구(101)는, 그 자체적으로 금형상에서 비교적 커다란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금형에 다수의 장식물걸이구를 위한 주입부들을 마련하는데 한계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품의 수요에 대한 공급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다수의 주입부를 가지는 커다란 크기의 금형을 제작하거나, 여러번의 제작공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야 하는데, 이는 제작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다.
종래의 장식물걸이구(101)는 또한, 일정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예를 들어, 그 부피가 비교적 크고 하중이 많이 나가는 장식물 또는 안내표지판등은 걸어둘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별도의 장식물걸이구를 새로 구입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비용이 증대되고 이는 불만사항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일정한 크기의 금형에 비교적 다수의 주입부를 마련할 수 있어서 일회적인 제작공정으로 다수의 제품을 생산해 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그 제작비용을 최대한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장식물걸이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비교적 그 부피가 크고 하중이 많이 나가는 장식물이나 안내표지판등도 호환적으로 걸어둘 수 있는 장식물걸이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장식물걸이구의 사시도로서,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확대분해사시도로서, 고정본체와 걸림핀을 결합해제시킨 상태의 도면,
도 3은 도 2의 배면사시도,
도 4는 도 1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핀이 고정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핀이 고정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장식물걸이구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의 배면사시도,
도 9는 도 7의 결합상태의 종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장식물걸이구의 분해사시도로, 다수의 삽입요홈을 가지는 장식물걸이구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장식물걸이구의 사시도로서, 고정본체와 걸림핀을 결합된 상태로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11의 종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장식물걸이구의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종단면도, 및
도 15는 종래의 장식물걸이구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44, 49, 52, 61 : 장식물걸이구 11, 53, 63 : 고정본체
13, 15, 51a, 51b, 51c, 57, 58, 75, 77 : 삽입요홈
21, 43, 54 : 돌출부
25, 27, 55, 56, 65, 67 : 측벽
31 : 걸림핀 33 : 삽입부
35 : 걸림후크부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판면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삽입요홈이 형성된 고정본체를 구비하는 장식물걸이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본체의 일측으로부터 접근하여 상기 삽입요홈내에 삽입고정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자유단부로부터 상기 고정본체의 판면에 대하여 가로로 돌출되어 고리상으로 만곡연장된 걸림후크부를 구비하는 걸림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물걸이구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요홈은 상기 고정본체에 상호한 크기를 가지는 적어도 두 개로 마련하면, 다양한 크기의 걸림핀을 삽입요홈에 삽입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본체의 배면에 접착층을 마련하면, 천정이나 벽면 혹은, 쇼케이스의 내벽면에 간단히 고정부착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장식물걸이구의 사시도로서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확대분해사시도로서 고정본체와 걸림핀을 결합해제시킨 상태의 도면, 그리고, 도 3은 도 2의 배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장식물걸이구(1)는, 거의 사각판상의 고정본체(11)와 이 고정본체(11)에 분리가능하게 삽입고정되는 걸림핀(31)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본체(11)의 중앙영역에는 그 판면에 대하여 소정 돌출된 돌출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21)에 측방으로부터 상호 직교방향으로 관통하는 두 개의 삽입요홈(13, 15)이 마련되어 있다. 돌출부(21)는 거의 사각형상을 가지며, 그 판면(23)은 고정본체(11)의 기준면과 소정의 단차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고정본체(11)와 돌출부(21) 사이에는 상호 대향하는 두 쌍의 측벽이 마련된다. 이들 측벽에 각각 삽입요홈(13, 15)이 마련되며, 상호 대향하는 삽입요홈(13, 15)은 돌출부(21)의 판면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상호 연통하고 있다.
대향하는 삽입요홈(13, 15)은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이와 직교방향으로 배치된 삽입요홈(13, 15)은 상이한 크기를 가지고 있다. 고정본체(11)와 돌출부(21), 그리고, 삽입요홈(13, 15)은 간단히 일체로 사출성형가능하다.
고정본체(11)의 배면에는 접착층(17)이 마련된다. 접착층(17)은 양면 접착가능한 매직테이프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사용하여 천정이나 벽면 같은 소정의 위치에 고정부착가능하다.
걸림핀(31)은 돌출부(21)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부(32), 및 이 고정부(32)의 일측 단부영역에 형성된 걸림후크부(35)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부(32)는, 고정본체(11)의 삽입요홈(13, 15)내에 삽입고정되는 삽입부(33), 및 삽입요홈(13, 15)의 외측에서 삽입요홈(13, 15)내에 삽입고정된 삽입부(33)를 지지하는 지지부(34)로 구분된다. 이들 삽입부(33)와 지지부(34)는 얇은 직사각판상을 가지며, 소정 이격거리를 두고 대향하게 배치되어 있다. 삽입부(33)와 지지부(34)는, 고정본체(11)의 돌출부(21)의 판면 두께만큼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삽입부(33)가 고정본체(11)의 삽입요홈(13, 15)내에 삽입고정되면, 삽입부(33)와 지지부(34) 사이에 돌출부(21)의 판면(23)이 수용된다.
삽입부(33)는 지지부(34)에 비하여 그 길이가 길고, 이들의 상호 대응하는 일측 단부는 연결부(37)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지지부(34)의 타측 단부에는 삽입부(33)를 향해 돌출된 걸림턱(36)이 마련되어 있다. 이 걸림턱(36)은 삽입요홈(13, 15)내에 삽입고정된 삽입부(33)의 외향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걸림후크부(35)는 연결부(37)영역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거의 고리상으로 내향 만곡연장되어 있다. 이들 삽입부(33), 지지부(34), 및 걸림후크부(35)는, 고정본체(11)와 마찬가지로, 간단히 일체로 사출성형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장식물걸이구(1)에서는, 고정본체(11) 및 걸림핀(31)의 형상이 단순하고, 또한, 그 부피도 작기 때문에, 일정한 크기의 금형상에 다수의 주입부를 마련할 수 있다. 따라서, 일회적인 제작공정으로 간단히 다수의 장식물걸이구(1)를 생산가능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상이한 크기를 가지는 걸림핀(31)을 제작하여 하나의 세트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적절한 크기의 걸림핀(31)을 채택하여 고정본체(11)에 결합시켜 사용가능하다. 이러한 본원고안의 기능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장식물걸이구(1)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고정본체(11)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부착시킨다. 고정본체(11)는 그 배면에 마련된 접착층(17)을 사용하여 간단히 고정부착가능하다. 그런 다음, 다양한 크기의 걸림핀(31)들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고정본체(11)에 결합시킨다. 여기서, 고정본체(11)와 걸림핀(31)의 결합은, 고정본체(11)의 돌출부(21)에 마련된 삽입요홈(13, 15)에 걸림핀(31)의 삽입부(33)를 일측으로부터 접근시켜, 그 말단이 타측까지 관통하도록 수용시킴으로써, 간단히 고정가능하다.
걸림핀(31)의 삽입부(33)가 고정본체(11)의 삽입요홈(13, 15)내에 삽입고정되면,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부(34)에 형성된 걸림턱(36)이 돌출부(21)의 판면(23)의 일측연과 맞물리게 된다. 이에 의해, 삽입요홈(13, 15)내에 수용된 삽입부(33)의 임의적인 외향 이탈이 방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걸림핀(31)의 걸림후크부(35)에 장식물이나 기타 알림표지판(5)등을 도 1에서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걸어둘 수 있다. 이 때, 장식물 또는 기타 알림표지판(5)의 형상이나 크기와 본 장식물걸이구(1)의 상호 조화를 위해,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는 걸림핀(31)으로 제작하여 제공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의 걸림핀(31)의 구성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핀이 고정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상술 및 도시한 실시예와 동일 구성 및 명칭에 대해서는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걸림핀(38a)은, 상술한 도 1 내지 도 4의 걸림핀과 거의 마찬가지로, 삽입고정부(39)와 걸림후크부(35)로 구성된다. 삽입고정부(39)는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직사각판상체로 구성되며, 이들은 연결부(37)에 의해 연결되어 소정의 이격거리를 유지한다.
걸림후크부(35)는 연결부(37)의 타측 영역에 마련되며, 삽입고정부(39)의 판면방향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돌출되어 고리상으로 내향 만곡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직사각판상체로 구성된 삽입고정부(39)는, 그 재질의 특성상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가지며, 따라서, 고정본체(11)의 삽입요홈(13, 15)내에 임의적인 외향 이탈방지적으로 삽입고정된다. 그리고, 삽입요홈(13, 15)내에 삽입고정된 상태에서, 그 걸림후크부(35)에 간단히 장식물이나 안내표지판을 걸어둘 수 있다. 여기서, 걸림핀(38)은 상이한 크기로 제작하여, 고정본체(11)에 마련된 상이한 크기의 삽입요홈(13, 15)내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로서, 이 도면에서 볼 수 있는 걸림핀(38b)은, 반고리상의 삽입부(42)와 이 삽입부(42)로부터 돌출된걸림후크부(35)로 구성되어 있다. 반고리상의 삽입부(42)는 그 양측 단부(43a, 43b)가 상호 대향하게 배치되며, 소정의 이격거리를 유지한다. 여기서, 양측 단부(43a, 43b)의 이격은 돌출부(21)의 판면 길이만큼 그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부(42)의 양측 단부(43a, 43b)는, 프라스틱 재질의 특성상 탄성변형가능하며, 이에 의해, 사용자는 양측 단부(43a, 43b)를 각각 고정본체(11)의 삽입요홈(13, 15)내에 삽입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술 및 도시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와 같은 구성의 고정본체(11)와 걸림핀(35)을 가지는 장식물걸이구(1)는, 상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하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장식물걸이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배면사시도, 그리고, 도 9는 도 7의 결합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걸이구(44)도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고정본체(11)와, 이 고정본체(11)에 분리가능하게 삽입고정되는 걸림핀(45)으로 구성된다.
고정본체(11)의 중앙영역에는 돌출부(21)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21)의 측면에 두 개의 삽입요홈(13, 15)이 마련되어 있다. 이들 삽입요홈(13, 15)은 상호 직교방향으로 교차하며, 상이한 크기를 가진다. 돌출부(21) 및 삽입요홈(13, 15)을 가지는 고정본체(11)는 일체로 사출성형가능하다.
걸림핀(45)은 삽입부(46)와 이 삽입부(46)의 일측 말단에 형성된걸림후크부(47)를 가진다. 삽입부(46)는 얇은 직사각판상을 가지며, 고정본체(11)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부(21)에 접근하여 그 삽입요홈(13, 15)을 관통하여 타측에 삽입고정된다. 걸림후크부(47)는 삽입부(45)의 일측 말단으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고리상으로 내향 만곡연장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삽입부(46)가 고정본체(11)의 삽입요홈(13, 15)내에 삽입고정된 상태에서, 그 고리상으로 돌출된 걸림후크부(47)에 장식물이나 안내표지판등을 걸어둘 수 있는 것이다. 이들 삽입부(46)와 걸림후크부(47)로 구성된 걸림핀(45) 또한, 간단히 일체로 사출성형가능하다. 여기서, 걸림핀(45)은, 고정본체(11)의 상이한 크기의 삽입요홈(13, 15)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것들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고정본체(11)의 배면에는 접착층(17)이 마련되어 있다. 접착층(17)은 양면 접착가능한 매직테이프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사용하여 천정이나 벽면 같은 소정의 위치에 고정부착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의 장식물걸이구(44)에서는, 고정본체(11) 및 걸림핀(45)의 형상이 단순하고, 또한, 그 부피도 작기 때문에, 일정한 크기의 금형상에 다수의 주입부를 마련할 수 있다. 따라서, 일회적인 제작공정으로 간단히 다수의 장식물걸이구(44)를 생산가능한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도, 상이한 크기를 가지는 걸림핀(45)을 제작하여 하나의 세트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술 및 도시한 실시예(44)에서는 직교방향으로 배치된 두 개의 삽입요홈(13, 15)을 가지는 고정본체(11)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도 1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수의 삽입요홈(51a, 51b, 51c)을 가지는 구성도 제공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장식물걸이구(49)는,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원형상을 가지는 돌출부(50)를 형성하고 그 원주방향을 따라 상이한 크기를 가지는 다수의 삽입요홈(51a, 51b, 51c)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장식물걸이구(49)도, 일정한 금형상에서 차지하는 부피가 비교적 작으므로, 다수의 주입부를 형성할 수 있어서, 일회적인 제작공정으로 다수의 제품을 생산가능하다. 그리고, 장식물이나 기타 알림표지판(5)등의 하중에 따라서 적절한 크기의 걸림핀(45)을 선택하여, 그에 대응하는 삽입요홈(51a, 51b, 51c)내에 삽입고정가능하다.
그리고, 도 11은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장식물걸이구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종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장식물걸이구(52) 또한, 고정본체(53)와 걸림핀(45)을 구비하며, 걸림핀(45)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동일 구성 및 형상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고정본체(53)는 다소 상이한 형상을 가진다. 본 실시예의 고정본체(53)는 거의 사각판상을 가지며, 그 중앙영역에 형성된 돌출부(54)는 판면이 삭제되고 단순히 측벽(55, 56)들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측벽(55, 56)들은 상호 대향하는 두 쌍으로 마련되며, 각각 상이한 크기의 삽입요홈(57, 58)이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요홈(57, 58)에 걸림핀(45)이 삽입고정됨은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며, 이에 의해, 달성되는 효과 또한, 그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은, 도 10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원형상의 돌출부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13은 본 고안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장식물걸이구의 사시도로서, 고정본체와 걸림핀을 결합된 상태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의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61)의 고정본체(63)도 거의 사각판상을 가지며, 이들 각 변에 판면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돌출된 두 쌍의 측벽(65, 67)이 마련되어 있다. 각 쌍의 측벽(65, 67)은 상호 대향하며, 그 판면에 각각 삽입요홈(75, 77)이 형성되어 있다. 대응하는 쌍별로 삽입요홈(75, 77)의 크기는 상이하며, 이들 삽입요홈(75, 77)에 걸림핀(31)의 삽입부(33)가 삽입고정된다.
고정본체(63)의 배면에는 접착층(17)이 마련되어,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위치에 고정부착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걸이구(61)도 상술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한 동일 작용 및 효과를 제공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61)에 따른 고정본체(63)는 원형상으로 제작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원형상의 고정본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측벽을 형성하고, 이들 측벽에 다수의 삽입요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삽입요홈들은 상이한 크기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러면, 상이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걸림핀을 선택적으로 삽입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 및 도시한 실시예들의 장식물걸이구(1, 44, 49, 52, 61)에서는, 고정본체(11, 53, 63)에 걸림핀(31, 38a, 38b, 45)을 결합시킴으로써,고정본체(11, 53, 63)가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에 대해서만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고안의 고정본체(11, 53, 63)는 그 자체적으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층(17)을 통해 고정본체(11, 53, 63)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부착시킨 상태에서, 그 삽입요홈(13, 15, 51a, 51b, 51c, 57, 58, 75, 77)내에 전선이나 통신선등을 관통시켜 두면, 다수의 선들을 일체로 묶어둘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별도로 케이블타이등을 구입할 필요없이, 주거공간이나 사무실등의 실내의 미관을 악화시키는 선들을 본 고정본체(11, 53, 63)를 사용하여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비교적 작은 크기 및 간단한 구성을 가지는 고정본체 및 걸림핀을 일정한 금형에서 일회적인 작업으로 상대적으로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으므로, 그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식물걸이구가 제공된다.
본 장식물걸이구에서는 또한, 고정본체의 각 삽입요홈내에 적절한 걸림핀을 선택적으로 삽입고정시켜서, 다양한 크기 및 하중을 가지는 장식물등을 호환적으로 걸어둘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고정본체만을 사용하여 전선이나 통신선등을 정리할 수도 있다.

Claims (3)

  1. 판면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삽입요홈이 형성된 고정본체를 구비하는 장식물걸이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본체의 일측으로부터 접근하여 상기 삽입요홈내에 삽입고정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자유단부로부터 상기 고정본체의 판면에 대하여 가로로 돌출되어 고리상으로 만곡연장된 걸림후크부를 구비하는 걸림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물걸이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요홈은 상기 고정본체에 상호한 크기를 가지는 적어도 두 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물걸이구.
  3. 상기 고정본체의 배면에는 접착층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물걸이구.
KR2020010027846U 2001-09-11 2001-09-11 장식물걸이구 KR2002592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846U KR200259251Y1 (ko) 2001-09-11 2001-09-11 장식물걸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846U KR200259251Y1 (ko) 2001-09-11 2001-09-11 장식물걸이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9251Y1 true KR200259251Y1 (ko) 2002-01-09

Family

ID=73069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7846U KR200259251Y1 (ko) 2001-09-11 2001-09-11 장식물걸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925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8209A (en) Display vase form
USD398516S (en) Ornamental hook
WO1990003751A1 (en) Improved display and support assemblies
US10188232B2 (en) Decorative article with receiving member
US20070084889A1 (en) Information display cap for a hanger
KR200259251Y1 (ko) 장식물걸이구
KR20050021636A (ko) 월판넬과 포인트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상품진열대
US7552849B2 (en) Side-sizer for wire hook hangers
US20030192924A1 (en) System for frontal display of objects
KR101924994B1 (ko) 수납기능을 가지는 장식판 제품
JPH0428454Y2 (ko)
JP3027975U (ja) 組み立て式ケース
WO2006004288A2 (en) Display device
JPH0226393Y2 (ko)
JP2002347774A (ja) 収納ボックス
KR200215196Y1 (ko) 장식물용 절첩식 받침구
USD471044S1 (en) Multi-tiered merchandise support assembly
JP3015241U (ja) ウエディングケーキカット用ナイフの展示ケース
US20190343243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decor
USD445599S1 (en) Article for use in a display assembly
JP3015306U (ja) 眼鏡展示用ハンガー
JP3108119U (ja) 陳列商品表示体およびそれを含む構造体
JP2592573Y2 (ja) ネックレス用スタンド
JPH0148005B2 (ko)
KR200268290Y1 (ko) 가변형 접시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