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994B1 - 수납기능을 가지는 장식판 제품 - Google Patents

수납기능을 가지는 장식판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994B1
KR101924994B1 KR1020170180520A KR20170180520A KR101924994B1 KR 101924994 B1 KR101924994 B1 KR 101924994B1 KR 1020170180520 A KR1020170180520 A KR 1020170180520A KR 20170180520 A KR20170180520 A KR 20170180520A KR 101924994 B1 KR101924994 B1 KR 101924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ase plate
decorative
attachmen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억
이희경
Original Assignee
박현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억 filed Critical 박현억
Priority to KR1020170180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9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994B1/ko
Priority to PCT/KR2018/016204 priority patent/WO201913239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4Keyplates; Ornamen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1Structural features of shelf b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61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used as wall cove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F16B2001/003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83Use of a magnet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하나 이상의 걸림장공이 형성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에 접촉하는 하나의 베이스판 접촉판부, 상기 베이스판 접촉판부와 연결되어 상부로 개구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2 개 이상의 베이스판 비접촉판부 및 상기 베이스판 접촉판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구를 포함하는 수납부재; 및 제1면으로부터 상기 제1면에 대향하는 제2면까지 관통하여 형성되는 걸림장공 또는 제1면으로부터 요입되어 형성되는 걸림장홈 및 상기 제1면으로부터 상기 제2면까지 관통하여 형성되거나 상기 제2면에 형성되는 부착수단을 포함하는 수납부재 개별부착용 부착판을 포함하는 장식판 제품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장식판 제품에서, 상기 수납부재는 상기 걸림구가 상기 베이스판에 형성된 상기 걸림장공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베이스판에 고정되는 것이고, 또한 상기 수납부재는 상기 수납부재 개별부착용 부착판에 형성된 상기 걸림장공 또는 걸림장홈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수납부재 개별부착용 부착판에 고정된 후에 상기 수납부재 개별부착용 부착판이 건물, 구조물 또는 설치물의 벽 또는 프레임에 상기 부착수단에 의하여 부착됨으로써 상기 건물, 구조물 또는 설치물의 벽 또는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수납기능을 가지는 장식판 제품은 본 발명자의 선행 실용신안 고안의 기능을 더욱 확장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수납기능을 가지는 장식판 제품{Decorative Plate Product With Storage Function In Addition To Decoration}
본 발명은 수납기능을 가지는 장식판 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판에 형성된 무늬 또는 기하학적 도형에 의하여 장식성을 발휘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위치에 수납부재를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수납부재를 간단하게 결합 및 해체할 수 있어 장식성과 더불어 수납기능을 편리하게 가지는 장식판에 적용되는 수납부재를 베이스판이 아닌 건물, 구조물 또는 설치물의 벽 또는 프레임에 설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한 장식판의 기능을 더욱 확장시키는, 수납기능을 가지는 장식판 제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공간의 분위기를 좋게 하기 위하여 다양한 장식물이 설치된다. 그러한 장식물은 바닥이나 천정에도 설치될 수 있지만, 많은 경우 벽에 설치된다. 벽에 설치되는 장식물로는 그림이나 사진이 끼워진 액자가 활용되기도 하고, 장식판이 벽에 설치되기도 한다.
실용신안등록 제20-0479680호(2016. 02. 18. 등록)는 수납기능을 가지는 장식판을 개시한다. 개시된 장식판은 하나 이상의 걸림장공과 장식장공을 포함하는 베이스판과 수납부재를 포함한다. 수납부재는 하나의 베이스판 접촉판부, 2개 이상의 베이스판 비접촉판부 및 걸림구를 포함한다. 베이스판은 걸림장공과 장식장공에 의하여 문양 또는 기하학적 도형을 형성하고, 수납부재는 걸림구에 의하여 베이스판에 고정되며, 수납부재의 베이스판 접촉판부는 그러한 문양 또는 기하학적 도형 내부에 일치되게 배치된다. 그럼으로써, 장식판은 수납기능과 더불어 장식적 효과를 발휘한다.
실용신안 공개 제1999-0034408호(1999. 08. 25. 공개)는 벽걸이용 꽃꽃이대를 개시한다. 개시된 꽃꽃이대는 중공의 관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홀더에 꽃다발을 수용하고, 부착대의 외주벽면에 부착된 양면테이프에 의하여 벽에 부착되며, 홀더의 주벽과 격리벽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부에 방향제를 보관하며, 홀더 내부에 탄지편이 설치되어 있어 홀더에 꽂이되는 꽃다발을 가지런하게 수용할 수 있다.
실용신안 공개 제1999-0037233호(1999. 10. 05. 공개)는 탈부착겸, 걸이형 다용도 수납박스를 개시한다. 개시된 수납박스는 자석이 포함된 양면 점착 테이프에 의하여 홍보용 보드에 점착하고, 홍보용 보드는 판체를 포함하기 때문에 수납박스는 점착 테이프에 의하여 홍보용 보드에 결합할 뿐만 아니라 자석에 의해서도 홍보용 보드에 결합함으로써 더욱 강력한 결합력이 발휘된다. 홍보용 보드는 점착 테이프에 의하여 벽에 부착될 수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470730호(2013. 12. 31. 등록)는 벽결이형 식재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식재장치는 직물을 특정 형상으로 재단하여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며 벽면에 부착되는 것이다. 식재장치의 본체에는 걸이용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선단이 뾰족한 돌출구가 본체의 후면부에 부착되어 본체의 후면부가 벽과 이격되게 한다.
상기에 언급한 실용신안등록 제20-0479680호(이하, '본 발명자의 선행 실용신안 고안'이라 함)는 본 발명자에 의하여 고안된 것이다. 본 발명자의 선행 실용신안 고안은 수납기능과 장식효과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장식판을 제공하는 것이어서 매우 유용하다.
그러나, 본 발명자의 선행 실용신안 고안에 사용되는 수납부재는 후방으로 걸림구가 돌출되어 있어 본 발명자의 선행 실용신안 고안에 사용되는 베이스판에 설치되는 것은 가능하지만, 그 자체로는 건물, 구조물 또는 설치물의 벽 또는 프레임에 설치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즉, 그러한 수납부재는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수납부재의 그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노력하였으며, 그 결과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자의 선행 실용신안 고안의 한계를 극복하고 그 기능을 더욱 확장시키는 것이다. 즉, 본 발명자의 선행 실용신안 고안에서 사용하는 수납부재를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기능을 확장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스판에 형성된 무늬 또는 기하학적 도형에 의하여 장식성을 발휘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위치에 수납부재를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수납부재를 간단하게 결합 및 해체할 수 있어 장식성과 더불어 수납기능을 편리하게 가지는 장식판에 적용되는 수납부재를 베이스판이 아닌 건물, 구조물 또는 설치물의 벽 또는 프레임에 설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한 장식판의 기능을 더욱 확장시키는 수납기능을 가지는 장식판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납기능을 가지는 장식판 제품은 하나 이상의 걸림장공이 형성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에 접촉하는 하나의 베이스판 접촉판부, 상기 베이스판 접촉판부와 연결되어 상부로 개구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2 개 이상의 베이스판 비접촉판부 및 상기 베이스판 접촉판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구를 포함하는 수납부재; 및 제1면으로부터 상기 제1면에 대향하는 제2면까지 관통하여 형성되는 걸림장공 또는 제1면으로부터 요입되어 형성되는 걸림장홈 및 상기 제1면으로부터 상기 제2면까지 관통하여 형성되거나 상기 제2면에 형성되는 부착수단을 포함하는 수납부재 개별부착용 부착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장식판 제품에서, 상기 수납부재는 상기 걸림구가 상기 베이스판에 형성된 상기 걸림장공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베이스판에 고정되는 것이고, 또한 상기 수납부재는 상기 수납부재 개별부착용 부착판에 형성된 상기 걸림장공 또는 걸림장홈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수납부재 개별부착용 부착판에 고정된 후에 상기 수납부재 개별부착용 부착판이 건물, 구조물 또는 설치물의 벽 또는 프레임에 상기 부착수단에 의하여 부착됨으로써 상기 건물, 구조물 또는 설치물의 벽 또는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수납부재 개별부착용 부착판에 형성되는 상기 부착수단은 상기 제1면으로부터 상기 제2면까지 관통하여 형성되는 걸이구멍 또는 상기 제2면으로부터 요입되어 형성되는 걸이홈이거나, 상기 제2면에 결합되는 자석판 또는 진공흡착판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의 면적은 상기 수납부재의 상기 베이스판 접촉판부의 면적보다 크고, 상기 수납부재 개별부착용 부착판의 면적은 상기 수납부재의 상기 베이스판 접촉판부의 면적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판에는 하나 이상의 장식장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식장공은 상기 걸림장공과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걸림장공과 함께 문양 또는 기하학적 도형을 형성하는 것이고, 상기 걸림장공과 상기 장식장공 그리고 상기 장식장공 간은 서로 인접하지만 연결되어 있지는 않으며, 상기 걸림구는 상기 베이스판 접촉판부의 상부 모서리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베이스판 접촉판부는 상기 걸림장공과 상기 장식장공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기 문양 또는 상기 기하학적 도형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판 접촉판부의 해당 모서리가 상기 장식장공과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베이스판 접촉판부의 해당 모서리가 상기 걸림장공에 일치되게 배치되도록 하는 크기를 가짐으로써 상기 걸림장공과 상기 장식장공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기 문양 또는 상기 기하학적 도형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수납부재 및 수납부재 개별부착용 부착판의 관점에서, 그것들을 포함하는 수납 제품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납 제품에서, 상기 수납부재는 상기 수납부재 개별부착용 부착판의 제1면에 접촉하는 하나의 부착판 접촉판부, 상기 부착판 접촉판부와 연결되어 상부로 개구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2개 이상의 부착판 비접촉판부 및 상기 부착판 접촉판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구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재 개별부착용 부착판은 상기 제1면으로부터 상기 제1면에 대향하는 제2면까지 관통하여 형성되는 걸림장공 또는 상기 제1면으로부터 요입되어 형성되는 걸림장홈 및 상기 제1면으로부터 상기 제2면까지 관통하여 형성되거나 상기 제2면에 형성되는 부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수납부재는 상기 수납부재 개별부착용 부착판에 형성된 상기 걸림장공 또는 걸림장홈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수납부재 개별부착용 부착판에 고정된 후에 상기 수납부재 개별부착용 부착판이 건물, 구조물 또는 설치물의 벽 또는 프레임에 상기 부착수단에 의하여 부착됨으로써 상기 건물, 구조물 또는 설치물의 벽 또는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수납부재 개별부착용 부착판에 형성되는 상기 부착수단은 상기 제1면으로부터 상기 제2면까지 관통하여 형성되는 걸이구멍 또는 상기 제2면으로부터 요입되어 형성되는 걸이홈이거나, 상기 제2면에 결합되는 자석판 또는 진공흡착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납기능을 가지는 장식판 제품은 본 발명자의 선행 실용신안 고안의 기능을 더욱 확장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장식판 제품은 본 발명자의 선행 실용신안 고안에서 사용하는 수납부재를 베이스판에만 한정되지 않고 건물, 구조물 또는 설치물의 벽 또는 프레임에도 범용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그 기능을 확장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베이스판에 형성된 무늬 또는 기하학적 도형에 의하여 장식성을 발휘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위치에 수납부재를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수납부재를 간단하게 결합 및 해체할 수 있어 장식성과 더불어 수납기능을 편리하게 가지는 장식판의 기능에 더하여 그러한 장식판에 적용되는 수납부재를 베이스판이 아닌 건물, 구조물 또는 설치물의 벽 또는 프레임에 범용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한 장식판의 기능을 더욱 확장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판 제품에 적용되는 베이스판에 수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적용된 수납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판 제품에 적용되는 베이스판에 수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 적용된 수납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장식판 제품에 적용되는 베이스판을 벽에 걸기 위한 걸이공의 형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장식판 제품에 적용되는 수납부재와 수납부재 개별부착용 부착판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제1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장식판 제품에 적용되는 수납부재 개별부착용 부착판에 마련된 부착수단이 예시된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식판 제품(10)은 베이스판(100)과 수납부재(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장식판 제품(10)은 본 발명자의 선행 실용신안 고안으로 서술된 장식판을 그대로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장식판 제품(1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수납부재 개별부착용 부착판(300)을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본 발명자의 선행 실용신안 고안을 확장하는 것이다.
먼저, 본 발명자의 선행 실용신안 고안과 동일한 내용을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00)은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고, 베이스판(100)이 벽에 걸릴 때 정면에서 인식되는 전방판부(110), 전방판부(110)의 상측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상측 절곡판부(120), 전방판부(110)의 하측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하측 절곡판부, 전방판부(110)의 좌측 및 우측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좌측 절곡판부 및 우측 절곡판부, 즉 한쌍의 측면 절곡판부(14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베이스판(100)은 전방판부(110)만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베이스판(100)에서 전방판부(110), 상측 절곡판부(120), 하측 절곡판부, 좌측 절곡판부 및 우측 절곡판부는 전방판부(110)를 절곡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각각의 판을 용접 등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베이스판(100)의 전방판부(110)에는 하나 이상의 걸림장공(111)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장공(111)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납부재(200)의 걸림구(240)가 끼워지는 것이다. 걸림장공(111)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수평하게 형성되는 수평 걸림장공이다. 걸림장공(111)은 통상적으로 복수개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식판 제품(10)에서 베이스판(100)에는 복수개의 수납부재(200)가 부착될 수 있다.
베이스판(100)에는 걸림장공(111)에 더하여 하나 이상의 장식장공(11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식장공(113)은 수납부재(200)의 걸림구(240)가 끼워지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걸림장공(111)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장식장공(113)은 걸림장공(111)과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걸림장공(111)과 함께 기하학적 도형을 형성하게 된다. 도 1에는 하나의 걸림장공(111)과 두개의 장식장공(113)에 의하여 삼각형 도형이 형성되어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걸림장공(111)과 장식장공(113)에 의하여 기하학적 도형이 형성되는 대신에 각종 동물 문양, 식물 문양 등과 같은 문양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걸림장공(111)과 장식장공(113) 그리고 장식장공(113) 간은 서로 인접하지만 연결되어 있지는 않다.
걸림장공(111)과 장식장공(113)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기하학적 도형 중에서 어떤 것이 걸림장공(111)에 해당하고 어떤 것이 장식장공(113)에 해당하는지는 수납부재(200)가 끼워지는지 여부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일반적으로 기하학적 도형 중에서 가장 상부에 형성된 장공이 걸림장공(111)이 된다.
걸림장공(111)과 장식장공(113)의 폭 및 길이 그리고 걸림장공(11)과 장식장공(113) 간의 간격 및 장식장공(113) 간의 간격은 베이스판(100)의 장식성 및 견고성을 고려하여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걸림장공(111)과 장식장공(113)의 폭은 2~20 mm 정도로 선택할 수 있고, 길이는 50~500 mm 정도로 선택할 수 있다. 걸림장공(11)과 장식장공(113) 간의 간격 및 장식장공(113) 간의 간격은 5~30 mm 정도로 선택할 수 있다.
베이스판(100)에서 걸림장공(111)은 복수개로 배열되어 그 자체로 장식성을 가질 수도 있지만, 장식장공(113)과 더불어 기하학적 도형을 형성함으로써 더욱 뚜렷한 장식성을 제공하게 된다.
베이스판(100)에는 걸림장공(111)과 장식장공(113)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이 포함될 수 있으며, 그러한 영역에는 포스트잇과 같은 접착성 메모지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판(100)이 철과 같은 자석이 부착되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그러한 영역은 베이스판(100) 상에 메모지를 올려놓은 후 그 메모지 상에 자석을 부착함으로써 메모지를 베이스판(100)에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걸림장공(111)과 장식장공(113)이 형성된 영역과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배치를 적절하게 함으로써 베이스판(100)은 그 자체로 장식성을 제공할 수 있다. 베이스판(100)은 금속 이외에도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것도 가능하다.
베이스판(100)에서 걸림장공(111) 및 장식장공(113)은 베이스판(100)이 금속으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타공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판(100)이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사출성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수납부재(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00)에 접촉하는 하나의 베이스판 접촉판부(210)와 2개 이상의 베이스판 비접촉판부(220)를 가진다. 수납부재(200)에서 베이스판 접촉판부(210)와 베이스판 비접촉판부(220)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결합 및 해체가 가능한 분리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수납부재(200)를 일체로 형성하는 방법은 사출성형에 의하거나 각각의 판부를 용접 등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베이스판 접촉판부(210)와 베이스판 비접촉판부(2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납부재(200)는 상부로 개구된 수납공간을 가지며, 이러한 수납공간에는 자, 연필, 볼펜, 만년필 등과 같은 다양한 물품이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수납공간에 흙을 채우고 식물을 식재함으로써 수납부재(200)를 화분으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베이스판 접촉판부(210)는 걸림장공(111)과 장식장공(113)에 의하여 형성되는 기하학적 도형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다. 이때, 베이스판 접촉판부(210)는 베이스판 접촉판부(210)의 해당 모서리가 장식장공(113)과 거의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하고, 걸림구(240)가 베이스판 접촉판부(210)의 상부 모서리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경우 베이스판 접촉판부(210)의 해당 모서리가 걸림장공(111)에 일치되게 배치되도록 하는 크기를 가진다. 따라서, 베이스판 접촉판부(210)는 걸림장공(111)과 장식장공(113)에 의하여 형성되는 기하학적 도형과 대체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한편, 걸림장공(111)과 장식장공(113)에 의하여 각종 문양이 형성되는 경우에도, 베이스판 접촉판부(210)는 그러한 문양 내부에 배치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베이스판 접촉판부(210)는 걸림장공(111)과 장식장공(113)에 의하여 형성되는 문양과 대체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이와 같이, 베이스판 접촉판부(210)가 걸림장공(111)과 장식장공(113)에 의하여 형성되는 기하학적 도형 또는 문양 내부에 배치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그러한 도형 또는 문양과 대체적으로 일치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본 발명의 장식판 제품(10)은 장식성과 수납성을 동시에 만족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장식판 제품(10)에 의하면, 걸림장공(111)과 장식장공(113)에 의하여 형성되는 문양 또는 기하학적 도형에 의하여 베이스판(100)장식성이 발휘되고 수납부재(200)에 의하여 수납성이 발휘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장식판 제품(10)은 수납부재(200)가 베이스판(100)에 구현된 장식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그렇게 구현된 장식성에 더하여 베이스판(100)에서 장식성을 구현하는 문양 또는 기하학적 도형과 조화를 이루도록 배치됨으로써 수납부재(200)의 배치에 의하여 새로운 장식성을 구현한다.
도 1 및 도 2에는 하나의 베이스판 접촉판부(210)와 2개의 베이스판 비접촉판부(220)를 가지는 수납부재(200)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베이스판 접촉판부(210) 및 베이스판 비접촉판부(220)는 삼각형 형상을 가진다. 베이스판 비접촉판부(220)는 베이스판 접촉판부(210)와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베이스판 접촉판부(210)와 베이스판 비접촉판부(2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납부재(200)는 상부로는 개구된 수납공간(230)을 가진다. 즉, 베이스판 비접촉판부(220)는 상부로 개구된 수납공간(230)을 형성하도록 베이스판 접촉판부(21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수납부재(200)는 철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어야 좋다. 수납부재(200)는 베이스판 접촉판부(210) 및 베이스판 비접촉판부(220)가 별도로 형성되고, 그것들이 용접 등에 의하여 결합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사출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수납부재(200)는 또한 걸림구(240)를 가진다. 걸림구(240)는 베이스판 접촉판부(21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걸림구(240)는 특히 베이스판 접촉판부(210)의 상부 모서리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구(240)는 베이스판부(100)에 형성된 걸림장공(111)에 끼워짐으로써 수납부재(200)가 베이스판(100)에 고정되게 한다.
걸림구(240)는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판부(241) 및 경사판부(24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걸림구(240)에서 수직판부(241)는 베이스판 접촉판부(210)로부터, 특히 베이스판 접촉판부(210)의 상부 모서리로부터 베이스판 접촉판부(210)에 대하여 수직하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수직판부(241)는 베이스판 접촉판부(210)에 대하여 수직한 판이다. 경사판부(243)는 수직판부(241)로부터 하방으로 그리고 베이스판 접촉판부(210)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한편, 걸림구(240)는 대안적으로, 수직판부(241)와 평행판부(24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수직판부(241)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고, 평행판부(243')은 수직판부(241)로부터 하방으로 그리고 베이스판 접촉판부(210)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걸림구(240)는 베이스판 접촉판부(21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걸림구(240)에서 수직판부(241) 및 경사판부(243) 또는 평행판부(243')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체로 형성하는 방법은 베이스판 접촉판부(210)와 함께 사출성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걸림구(240)는 경사판부(243) 또는 평행판부(243')가 베이스판(100)의 전방판부(110)에 형성된 걸림장공(111)에 끼워지고, 전방판부(110)의 뒤쪽을 지지함으로써 수납부재(200)를 베이스판(10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걸림구(240)에서, 수직판부(241)도 걸림장공(111)에서 베이스판(100)의 전방판부(110)와 접촉하게 된다. 즉, 수납부재(200)는 베이스판 접촉판부(210), 걸림구(240)의 수직판부(241)와 경사판부(243) 또는 평행판부(243')의 협동에 의하여 베이스판(100)에 고정된다.
그러한 결과로 장식장공(113)은 베이스판 접촉판부(210)에 의하여 덮히지 않으므로 완전한 형태로 보여지는데 반하여, 걸림장공(111)은 걸림구(240)가 끼워지기 때문에 걸림구(240)에 의하여 상당부분이 가려지게 되고 걸림장공(111)의 상부 및 측방 모서리 정도만이 외부에서 보여지게 된다.
걸림구(240)는 베이스판 접촉판부(210) 전체에 걸쳐 한 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걸림구(240)의 길이는 걸림장공(111)의 길이와 일치하게 된다. 한편, 걸림구(240)는 경우에 따라서는, 베이스판 접촉판부(210)의 양 측면 모서리로부터 시작하여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2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걸림구(240)가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2개로 형성되는 경우, 이 경우에도 하나의 걸림구(240)의 시작지점으로부터 다른 걸림구(240)의 끝지점까지의 길이는 걸림장공(111)의 길이와 일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판 제품(10)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장식판 제품(10)이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것과 다른 점은 걸림장공(111)의 형상에 있다. 도 3에는 중앙부가 높고 말단부가 낮게 형성되는 ∧ 형상의 꺾쇄형 걸림장공(111)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호응하여 장식장공(113)도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그리하여, 하나의 걸림장공(111)과 두 개의 장식장공(113)에 의하여 육각형의 도형이 형성된다.
도 3의 실시예의 장식판 제품(10)에서 수납부재(200)는 도 4에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장공(111)과 장식장공(113)에 의하여 형성되는 도형의 형상, 즉 육각형 형상을 가지는 베이스판 접촉판부(210)를 가진다는 것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장식장공(113)이 ∧ 형상을 가지는 것에 대응하여, 수납부재(200)의 베이스판 비접촉판부(220)는 하나의 장식장공(113)에 대하여 두 개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수납부재(200)는 삼각형 형상으로 된 4개의 베이스판 비접촉판부(220)을 가진다.
한편, 별도의 실시예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걸림장공(111)은 중앙부가 낮고 말단부가 높게 형성되는 ∨ 형상을 가지는 꺾쇠형 걸림장공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식판 제품(10)에서 베이스판(100)은 걸이공(131)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걸이공(131)은 벽에 설치되는 걸이못과 같은 걸이수단에 베이스판(100)이 걸리도록 하는 것이다. 걸이공(131)은 베이스판(100)의 전방판부(110)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베이스판(100)이 안정적으로 걸리면서 수납부재(200)가 걸림장공(111)에 안정적으로 걸리고 또한 디자인적 가치도 함께 구현하기 위하여 걸이공 절곡판부(13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이공 절곡판부(130)는 베이스판(100)의 상측 절곡판부(120)로부터 절곡되어 전방판부(110)와 평형하게 형성된다. 걸이공 절곡판부(130)는 전방판부(110)와 마주보는 배치로 형성되기 때문에 벽에 설치된 걸이용 못이 걸이공(131)에 삽입될 때 그러한 걸이용 못은 외부에서 보여지지 않게 되어 본 발명의 장식판 제품(10)은 더욱 미려한 디자인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장식판 제품(1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수납부재 개별부착용 부착판(300)을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본 발명자의 선행 실용신안 고안을 확장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장식판 제품(10)에 적용되는 수납부재 개별부착용 부착판(300)은 걸림장공 또는 걸림장홈(310)을 포함한다. 걸림장홈(310)은 부착판(300)의 제1면(302)으로부터 요입되어 형성된다. 걸림장홈(310) 대신에 부착판(300)의 제1면(302)으로부터 제2면(304)까지 관통하여 걸림장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면(302)과 제2면(304)은 서로 대향하는 면이다. 도 6에는 부착판(300)에 걸림장홈(310)이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수납부재 개별부착용 부착판(3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수단(322 또는 324)을 포함한다. 부착수단은 부착판(300)의 제1면(302)으로부터 제2면(304)까지 관통하여 형성되는 걸이구멍(322) 또는 제2면(304)으로부터 요입되어 형성되는 걸이홈일 수 있고, 또한 제2면(304)에 결합하는 자석판(324)일 수 있다. 걸이구멍(322)은 벽 등에 설치된 못 등에 부착판(300)이 걸릴 수 있게 하는 부착수단이고, 자석판(324)은 냉장고 등과 같은 설치물의 프레임에 부착판(300)이 부착되게 하는 부착수단이다.
부착수단으로서 자석판(324) 대신에 진공흡착판이 사용될 수도 있다. 진공흡착판은 유리 등과 같은 매끈한 면에 눌러붙이는 것으로서 진공흡착판과 유리 사이에 진공이 형성됨으로써 대기압의 압력에 의하여 진공흡착판과 결합된 수납부재 개별부착용 부착판(300)을 유리에 부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장식판 제품(10)에서, 수납부재 개별부착용 부착판(300)은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수납부재(200)는 수납부재 개별부착용 부착판(300)에 형성된 걸림장공 또는 걸림장홈(310)에 끼워짐으로써 수납부재 개별부착용 부착판(300)에 고정된다. 그런 후에 수납부재 개별부착용 부착판(300)은 건물, 구조물 또는 설치물의 벽 또는 프레임에 걸이구멍(322) 또는 자석판(324)과 같은 부착수단에 의하여 부착됨으로써 건물, 구조물 또는 설치물의 벽 또는 프레임에 설치된다.
한편, 수납부재(200)의 걸림구(240)는 상기에서는 수직판부(241) 및 경사판부(243) 또는 평행판부(243')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수납부재(200)의 베이스판 접촉판부(210)의 후면으로부터, 특히 베이스판 접촉판부(210)의 상부 모서리로부터 연장되어 경사진 경사판부(245)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경사판부(243)는 베이스판 접촉판부(210)의 후면쪽으로 경사진 형상인데 반하여 경사판부(245)는 경사판부(243)와는 반대쪽으로 경사진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 베이스판(100)의 면적은 수납부재(200)의 베이스판 접촉판부(210)의 면적보다 월등히 크다. 여기에서, 베이스판(100)의 면적은 수납부재(200)의 베이스판 접촉판부(210)의 면적보다 크다는 것은 베이스판(100)의 면적이 수납부재(200)의 베이스판 접촉판부(210)의 면적보다 최소한 2배 이상으로 큰 것을 의미한다.
한편, 수납부재 개별부착용 부착판(300)의 면적은 수납부재(200)의 베이스판 접촉판부(210)의 면적과 일치한다. 여기에서, 수납부재 개별부착용 부착판(300)의 면적은 수납부재(200)의 베이스판 접촉판부(210)의 면적과 일치한다는 것은 수납부재 개별부착용 부착판(300)의 면적이 수납부재(200)의 베이스판 접촉판부(210)의 면적에 비하여 0.8~1.5배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수납기능을 가지는 장식판 제품(10)에 베이스판(100) 및 수납부재(200)에 더하여 수납부재 개별부착용 부착판(300)을 더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자의 선행 실용신안 고안에 따르면 베이스판(100)에만 부착될 수 있었던 수납부재(200)를 건물, 구조물 또는 설치물의 벽 또는 프레임에 제한없이 부착할 수 있게 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하여, 수납부재(200)는 베이스판(100)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건물, 구조물 또는 설치물의 벽 또는 프레임에도 범용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자의 선행 실용신안 고안의 한계를 더욱 확장한다.
이에, 본 발명은 베이스판(100), 수납부재(200) 및 수납부재 개별부착용 부착판(300)을 조합하여 장식판 제품(10)을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베이스판(100)과는 별도로 상기한 수납부재(200) 및 수납부재 개별부착용 부착판(300)만을 조합함으로써 수납 제품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더욱 다양한 응용을 제공한다.
10: 장식판 제품 100: 베이스판
110: 전방판부 111: 걸림장공
113: 장식장공 120: 상측 절곡판부
130: 걸이공 절곡판부 131: 걸이공
140: 측면 절곡판부 200: 수납부재
210: 베이스판 접촉판부 220: 베이스판 비접촉판부
230: 수납공간 240: 걸림구
241: 수직판부 243,245: 경사판부
243': 평행판부 300: 수납부재 개별부착용 부착판
310: 걸림장홈 322: 걸이구멍
324: 자석판

Claims (6)

  1. 하나 이상의 걸림장공이 형성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에 접촉하는 하나의 베이스판 접촉판부, 상기 베이스판 접촉판부와 연결되어 상부로 개구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2 개 이상의 베이스판 비접촉판부 및 상기 베이스판 접촉판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구를 포함하는 수납부재; 및 수납부재 개별부착용 부착판을 포함하는 장식판 제품으로서,
    상기 수납부재 개별부착용 부착판은 상기 수납부재의 상기 걸림구가 끼워지는 수납부재 걸림용 걸림장공 또는 걸림장홈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수납부재 걸림용 걸림장공은 상기 수납부재 개별부착용 부착판의 제1면으로부터 상기 제1면에 대향하는 제2면까지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수납부재 걸림용 걸림장홈은 상기 수납부재 개별부착용 부착판의 제1면으로부터 요입되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수납부재 개별부착용 부착판은 또한 상기 제2면에 형성되는 부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재는 상기 걸림구가 상기 베이스판에 형성된 상기 걸림장공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베이스판에 고정되는 것이고, 또한 상기 수납부재는 상기 수납부재 개별부착용 부착판에 형성된 상기 걸림장공 또는 걸림장홈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수납부재 개별부착용 부착판에 고정된 후에 상기 수납부재 개별부착용 부착판이 건물, 구조물 또는 설치물의 벽 또는 프레임에 상기 부착수단에 의하여 부착됨으로써 상기 건물, 구조물 또는 설치물의 벽 또는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이고, 따라서,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수납부재 개별부착용 부착판은 서로 결합하지 않고 단지 독립적으로 상기 수납부재와 결합할 뿐이며,
    상기 베이스판의 면적은 복수개의 상기 수납부재가 상기 베이스판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수납부재의 상기 베이스판 접촉판부의 면적보다 크고, 상기 수납부재 개별부착용 부착판의 면적은 상기 수납부재의 상기 베이스판 접촉판부의 면적과 일치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기능을 가지는 장식판 제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재 개별부착용 부착판에 형성되는 상기 부착수단은 걸이구멍, 걸이홈, 자석판 및 진공흡착판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고, 여기에서 상기 걸이구멍은 상기 제1면으로부터 상기 제2면까지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걸이홈은 상기 제2면으로부터 요입되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자석판 및 상기 진공흡착판은 상기 제2면에 결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기능을 가지는 장식판 제품.
  3. 삭제
  4.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에는 하나 이상의 장식장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식장공은 상기 걸림장공과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걸림장공과 함께 문양 또는 기하학적 도형을 형성하는 것이고, 상기 걸림장공과 상기 장식장공 그리고 상기 장식장공 간은 서로 인접하지만 연결되어 있지는 않으며,
    상기 걸림구는 상기 베이스판 접촉판부의 상부 모서리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베이스판 접촉판부는 상기 걸림장공과 상기 장식장공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기 문양 또는 상기 기하학적 도형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판 접촉판부의 해당 모서리가 상기 장식장공과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베이스판 접촉판부의 해당 모서리가 상기 걸림장공에 일치되게 배치되도록 하는 크기를 가짐으로써 상기 걸림장공과 상기 장식장공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기 문양 또는 상기 기하학적 도형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기능을 가지는 장식판 제품.
  5. 삭제
  6. 삭제
KR1020170180520A 2017-12-27 2017-12-27 수납기능을 가지는 장식판 제품 KR101924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520A KR101924994B1 (ko) 2017-12-27 2017-12-27 수납기능을 가지는 장식판 제품
PCT/KR2018/016204 WO2019132393A1 (ko) 2017-12-27 2018-12-19 수납기능을 가지는 장식판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520A KR101924994B1 (ko) 2017-12-27 2017-12-27 수납기능을 가지는 장식판 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4994B1 true KR101924994B1 (ko) 2018-12-04

Family

ID=64669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520A KR101924994B1 (ko) 2017-12-27 2017-12-27 수납기능을 가지는 장식판 제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24994B1 (ko)
WO (1) WO201913239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680Y1 (ko) * 2015-10-16 2016-02-24 이희경 수납기능을 가지는 장식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233U (ko) * 1998-03-02 1999-10-05 반영호 탈부착겸,걸이형 다용도 수납박스
KR20090010191U (ko) * 2008-04-03 2009-10-07 최종원 전단지 수납함
KR20100007196U (ko) * 2009-01-05 2010-07-14 유형식 광고전단지 꽂이부를 일체로 구비한 공동주택용 알림판
KR101613316B1 (ko) * 2014-11-06 2016-04-19 구경민 분필보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680Y1 (ko) * 2015-10-16 2016-02-24 이희경 수납기능을 가지는 장식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32393A1 (ko)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77601S1 (en) Perpendicular to floor sign holder with simple shelf clip
US4290218A (en) Ceiling module
USD531891S1 (en) Dovetail retainer clip
US20100159160A1 (en) Modular display system
JP3208734U (ja) 収納機能を有する装飾板
US20080000055A1 (en) Article for forming a loop with affixation means
USD525661S1 (en) Hanging display device for an article
USD568324S1 (en) Hanging mount for flat panel displays
KR101924994B1 (ko) 수납기능을 가지는 장식판 제품
USD483656S1 (en) Under shelf merchandise support bracket
US20120227298A1 (en) Sign Exhibiting Kit
JP2008272291A (ja) 差込式ティッシュ箱スタンド
KR200481027Y1 (ko) 기능이 확장된 책장
USD494384S1 (en) Display unit for wrapping paper and single cartridge adhesive tape using linear panel back
CN214531679U (zh) 一种挂持式多功能护墙收纳装置
USD570112S1 (en) Holder for collectibles
KR200474676Y1 (ko) 파티션 거치용 화분
JP3185261U (ja) 花束保持具
CN214696615U (zh) 一种嵌板式多功能护墙收纳装置
USD552181S1 (en) Display system
CN210947491U (zh) 一种可自由搭配置物架位置的背景墙结构
US20070245613A1 (en) Image display device with permanently incorporated pins
WO2007008865A2 (en) Front loading display frame
US20190343243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decor
USD498135S1 (en) Lateral hook merchandising bar and display str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