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9135Y1 - 책철용 용지 - Google Patents

책철용 용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9135Y1
KR200259135Y1 KR2020010030251U KR20010030251U KR200259135Y1 KR 200259135 Y1 KR200259135 Y1 KR 200259135Y1 KR 2020010030251 U KR2020010030251 U KR 2020010030251U KR 20010030251 U KR20010030251 U KR 20010030251U KR 200259135 Y1 KR200259135 Y1 KR 2002591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book
standard
cutting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2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훈
Original Assignee
정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동훈 filed Critical 정동훈
Priority to KR20200100302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91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91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9135Y1/ko

Links

Landscapes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상의 종이 제단기(30) 측면에 절개용 펀칭치구(40)를 결합시켜 규격용지(20)를 절단할 때 상기 규격용지(20)의 일정 위치에 상기 펀칭치구에 의해 절개홈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방법에 의해 일정 규격의 가로와 세로 크기를 갖는 규격용지(20)에 규격화된 일정 폭의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절개홈이 형성되도록 하므로, 책철핀(1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고, 책철핀(10)에 의해 책철된 구격용지의 외곽이 일률적으로 일치되고 두깨가 두꺼워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외관이 미려하도록 하며, 책철 전의 용지가 일반 용지와 같이 보이도록 하여 품위가 유지되도록 하는 책철용 용지 및 그 제조방법이다.

Description

책철용 용지{paper for binding}
본 고안은 각종 문서용으로 사용되는 용지에 구멍 또는 절개홈을 형성하여 책철핀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고, 책철핀에 의해 책철된 용지의 외곽이 일률적으로 일치되고 두깨가 두꺼워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외관이 미려하도록 하며, 책철 전의 용지가 일반 용지와 같이 보이도록 하여 품위가 유지되도록 하는 책철용 용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문서 정리는 펀칭기나 드릴을 사용하여 각종 문서가 기록된 서류에 구멍을 천공하고, 상기 천공 구멍에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책철핀(10)을 끼워 묶은 다음 이를 보관하였다.
여기서, 책철핀(10)은 그 폭을 국제규격화한 것으로, 일정 폭을 두고 양단부에 삽입핀(11)이 절곡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서류 관리방법은 용지에 구멍을 천공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서류를 책철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송곳이나 펀칭기 또는 드릴 등의 도구들에 의해 천공을 하는 경우, 사용자의 감각에 의해 구멍을 천공하기 때문에 구멍들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아 책철한 서류의 외관이 흉하고, 정돈한 상태가 무질서하게 보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바인더(binder)용 용지는 용지 일측에 임의의 간격을 두고 원형의 구멍들이 형성되는 것으로, 바인더노트를 제작하는 회사에서 상기 용지를 책철할 수 있도록 원형단면의 고리나 핀과 같은 책철수단이 구비된 바인더커버를 별도로 생산 공급하였으며, 사용자가 바인더커버와 바인더수단에 맞는 용지를 구입하여 책철한 상태에서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바인더용 용지는 특정 바인더노트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일반 문서를 작성하기에 적합하지 않았으며, 책철용 구멍으로 인해 인쇄에 제한이 따르고 일반 문서를 작성하는 용지로 사용하기에는 외관이 흉하여 품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각종 문서용으로 사용되는 용지를 제단할 때 용지에 규격화된 구멍 또는 절개홈을 일정 위치에 형성하여 책철핀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고, 책철핀에 의해 책철된 용지의 외곽이 일치되도록 하며 책철핀이 삽입되는 부위가 두껍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외관이 미려하고 정돈이 용이하도록 하는 책철용 용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책철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용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 용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용지를 제단기에 의해 제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책철핀 11 : 삽입핀
20 : 규격용지 21a : 절개홈
30 : 제단기 40 : 펀칭치구
본 고안은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정 규격의 가로와 세로 크기를 갖는 문서용 규격용지(20)의 상단부 중심부와 측부의 중심부에 각기 규격화된 책철핀(10)의 폭에 해당하는 일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절개홈(21a)이 형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절개용 펀칭치구(40)가 결합된 종이 제단기(30)에 의해 A3, A4, B5 등 각종 규격용지(20)를 절단할 때 절단되는 규격용지(20)의 일정 위치에 절개홈(21a)이 펀칭치구(40)에 의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절개홈(21a)은 연산기호인 플러스(+) 또는 한자인 열 십자(+) 형상의 칼집이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도 3의 다른 실시예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정 직경의 구멍(21b)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한 쌍의 절개홈(21a) 간격은 국제규격화된 책철핀(10)의 폭과 같이 형성된다.
한편, 펀칭치구(40)는 하단에 연산기호 플러스(+) 또는 십자(+) 형상의 날이형성되며, 상단부가 볼트와 브라켓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제단기(30)의 칼날 측면에서 한 쌍이 일정 간격을 두고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규격용지(20)가 절개홈(21a)이 십자(+) 형의 칼집으로 형성되므로 책철 전의 상태가 일반 용지와 같이 표출되게 되며, 상부나 측부에 형성되는 절개홈(21a)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책철핀(10)의 삽입핀(11)을 삽입시켜 책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책철핀(10)의 삽입핀(11)을 절개홈(21a)에 삽입시키면, 십자(+)의 한 절개홈(21a)에 삽입핀(11)이 수평하게 삽입되고, 엇갈리게 나 있는 십자(+)의 다른 절개홈(21a)이 삽입핀(11)의 두께를 수용하여 주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먼저 책철핀을 끼울 절개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문서를 작성한 다음 구멍을 뚫을 필요가 없이 책철핀을 삽입하면 되도록 되어 문서 정리에 드는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구멍이 규격화된 폭으로 일률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책철한 상태의 용지 외곽이 서로 일치하여 외관이 미려하도록 하며, 절개홈이 십자(+)로 형성되어 책철 후 삽입부가 두껍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책철 전의 서류외관이 일반 용지와 같은 품위를 유지하도록 한다.

Claims (4)

  1. 일정 규격의 가로와 세로 크기를 갖는 규격용지(20)에 규격화된 일정 폭의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절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철용 용지.
  2. 제 1항에 있어서, 절개홈은 십자(+) 형상의 칼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철용 용지.
  3. 제 1항에 있어서, 절개홈은 일정 직경의 구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철용 용지.
  4. 통상의 종이 제단기(30) 측면에 구비된 펀칭치구(40)에 의해 규격용지(20)의 일정 위치에 절개홈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철용 용지.
KR2020010030251U 2001-10-04 2001-10-04 책철용 용지 KR2002591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251U KR200259135Y1 (ko) 2001-10-04 2001-10-04 책철용 용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251U KR200259135Y1 (ko) 2001-10-04 2001-10-04 책철용 용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1256A Division KR20030028954A (ko) 2001-10-04 2001-10-04 책철용 용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9135Y1 true KR200259135Y1 (ko) 2002-01-04

Family

ID=73109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251U KR200259135Y1 (ko) 2001-10-04 2001-10-04 책철용 용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913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59117B2 (ja) 2穴パンチホツチキス
CN103978800A (zh) 文件系统、册子和装订机
US8746539B2 (en) Visually enhanced tab file system
CA2263045A1 (en) Paper and paper cutout device
KR200259135Y1 (ko) 책철용 용지
KR20030028954A (ko) 책철용 용지 및 그 제조방법
US20040040431A1 (en) Oversized paper with cutout
CN101121270A (zh) 打孔机
EP2055499B1 (de) Seite eines Druckwerkes mit einem zur Kennzeichnung der Seite umschlagbaren Markierungsabschnitt
JP3943733B2 (ja) 1穴2穴3穴4穴穿孔用の1穴パンチ器
KR200234028Y1 (ko) 별책의 제본 구조
KR20040003463A (ko) 문서 보관용 용지
JP3126884U (ja) 穿孔パンチ
KR200265739Y1 (ko) 복사용지
CN217969012U (zh) 一种文件夹
KR200322877Y1 (ko) 복사용지
KR200256939Y1 (ko) 개량형 펀치
KR20000003935U (ko) 분철구멍이 형성된 복사 전용용지
CN201172307Y (zh) 在谱册和相册或书刊中实施的夹衬装订结构
JP3126551U (ja) 多穴対応2穴パンチ
JP2016193577A (ja) 見出し付きシート及びバインダー
JP3204029U (ja) 書類綴じ具
KR200335993Y1 (ko) 제침기 겸용 커터 칼
JP2008246872A (ja) 被綴じ体
JP2002273697A (ja) 多機能パン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