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8648Y1 - 매트 - Google Patents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8648Y1
KR200258648Y1 KR2020010018042U KR20010018042U KR200258648Y1 KR 200258648 Y1 KR200258648 Y1 KR 200258648Y1 KR 2020010018042 U KR2020010018042 U KR 2020010018042U KR 20010018042 U KR20010018042 U KR 20010018042U KR 200258648 Y1 KR200258648 Y1 KR 2002586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thermoplastic film
distribution layer
present
thermop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80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 슈무
Original Assignee
왕 슈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 슈무 filed Critical 왕 슈무
Priority to KR20200100180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86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86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8648Y1/ko

Link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닥에 깔아 사용하는 매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해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들쑥날쑥의 정도가 다른 공간이 다수개 형성되는 동시에 외부 둘레는 벽 구조로 이루어지는 배포층(10); 상기 들쑥날쑥의 정도가 다른 공간의 상면에 열가소성막(20)이 위치하게 되면 압력을 받아 상호 부착되는 동시에 상기 열가소성막에 온도가 올라가면 열가소성막이 녹아 배포층의 벽 상부 및 들쑥날쑥의 정도가 다른 공간의 내면에 균일하게 면 부착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베포층과 열가소성막을 고정력이 강하게 일체로 형성하여 방수성의 탁월한 효과 및 착용의 쾌적함 그리고 외관상 미려한 매트를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매트{MAT}
본 고안은 바닥에 깔아 사용하는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포층과 열가소성막을 고정력이 강하게 일체로 부착시켜 방수성의 탁월한 효과 및 착용의 쾌적함 그리고 외관상 미려한 매트를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매트(MAT)는 각종 바닥면에 깔아 사용하는 것으로 일상생활에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다.
예를들어 신발의 바닥창깔개와 가방의 바닥면깔개 그리고 현관이나 욕실등의 바닥면깔개 등으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매트(깔개)는 처음에 하나의 몸체구조로 제조했는데 그 재질로는 플라스틱 또는 천 등의 단일한 재료가 사용되었다.
상기 두 가지 재료는 각기 장·단점을 가지고 있는데, 전자인 플라스틱은 방수성이 좋은 장점이 있지만 공기가 통하지 않아 불쾌감을 초래할 수 있고, 후자인 천은 반대로 통풍성이 좋아 착용시 쾌적함을 느낄 수 있지만 방수성에 있어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단일 재료로 만들어진 매트(깔개)는 상기의 결점을 보완할 수 있는 제품으로 요구된다 할 것이다.
그런데 만약 플라스틱과 천을 단순히 결합하기만 한다면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무게도 증가해 가벼움이 생명인 운동화 같은 제품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 등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것으로, 배포층과 열가소성막이 압력과 온도의 상승에 의해 일체로 부착됨으로 고정력이 강한 매트를 제공함을 제1목적으로 하는 것이고, 제2목적은 무게가 증가되지 않고도 방수성의 효과가 높도록 한 것이며, 제3목적은 제품 품질의 착용이 쾌적하도록 한 것이며, 제4목적은 매트의 외관이 미려하고 참신하도록 한 것이고, 제5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매트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바닥에 깔아 사용하는 매트에 있어서,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들쑥날쑥의 정도가 다른 공간이 다수개 형성되는 동시에 외부 둘레는 벽 구조로 이루어지는 배포층; 상기 들쑥날쑥의 정도가 다른 공간의 상면에 열가소성막이 위치하게 되면 압력을 받아 상호 부착되는 동시에 상기 열가소성막에 온도가 올라가면 열가소성막이 녹아 배포층의 벽 상부 및 들쑥날쑥의 정도가 다른 공간의 내면에 균일하게 면 부착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적용된 매트의 분해 사시도.
도 2 의 (a)(b)는 본 고안 매트를 진공의 모형 틀 및 가열부품에 두었을 때
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고안 매트가 가공되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 매트가 가공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 매트가 가공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 확대 사시도.
도 6 의 (a)(b)는 본 고안 매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배포층 11: 들쑥날쑥의 정도가 다른 공간
12: 벽 20: 열가소성막
30: 진공모형틀 31: 위표면층
32: 공기구멍 33: 중간이 빈 공간
40: 가열부품
본 고안에 적용된 바닥에 깔아 사용하는 매트는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고안에 적용된 매트는 배포층(10)과 열가소성막(20)이 주요 구조에 해당된다.
상기 배포층(10)은 적어도 한 면에 임의로 들쑥날쑥의 정도가 다른 공간(11)이 있어야 하며, 이 들쑥날쑥의 정도가 다른 공간(11)은 직포 혹은 바늘로 뜬 것으로 모양 설계 혹은 무늬를 교차, 중첩해서 만들어지며, 그 들쑥날쑥한 정도의 깊이가 달라서 배포층(10)에 반드시 들쑥날쑥의 정도가 다른 공간(11)이 형성되게 하여야 하며 외부 둘레는 벽(12)의 구조를 이루어야 한다.
그리고 열가소성막(20)은 반드시 열가소성을 갖추고 있어야 하며 티피유(TPU) 혹은 임의의 플라스틱재질, 야광막, 반광막으로 만들어 진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매트의 구체적인 제조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자는 반드시 배포층(10)을 진공모형틀(30)의 위에 설치하고, 이 진공모형틀(30)의 위 표면(31)에는 오목 들어가게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공기구멍(32)이 형성된다. 각 공기구멍(32)은 균일하게 중간이 빈 공간(33)과 서로 통하게 하고, 진공모형틀(30)의 중간이 빈 공간(33)은 진공펌프의 배기관(도면상 미 도시함)과 서로 통하게 한다. 상기 열가소성막(20)을 배포층(10)의 상방에 설치하고 동시에 열가소성막(20)의 상방에 가열부품(40)을 설치하면 이 가열부품(40)이 전도관 혹은 중주파(IR)가 된다.
또한 제조자는 반드시 열가소성막(20)을 배포층(10)의 들쑥날쑥의 정도가 다른 공간(11)의 윗부분에 복개해야 하는데, 배포층(10)과 열가소성막(20)의 사이에 열가소성물질을 도포(이 물질은 가열했을 때 부드러워져 모양이 굳어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하여 양자가 결합해 한 몸을 이루게 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자는 반드시 가열부품(40) 및 진공펌프를 작동하여 진공펌프가 중간이 빈 공간(33)의 공기를 빼내 진공상태를 유지하게 해야한다. 그래야 공기구멍(32)이 들쑥날쑥의 정도가 다른 공간(11)과 열가소성막(20) 사이의 공기를 빼내 진공상태로 만든다.
상기 가열부품(40)이 열가소성막(20)을 가공해 녹이면 이 녹은 열가소성막(20)이 배포층(10)의 벽(12) 및 들쑥날쑥의 정도가 다른 공간(11)내에 둘러싸여 결합된다. 이로써 적어도 배포층(10)과 열가소성막(20)의 쌍층 구조가 만들어지게 된다.
본 고안은 배포층(10)이 내면을 이루어 사용자가 착용할 때 쾌적함을 느낄수 있으며 또한 열가소성막(20)이 외층을 이루어 방수기능을 제공하여 방수성과 쾌적함을 동시에 제공하고 있다. 더욱 중요한 것은 본 고안은 들쑥날쑥의 정도가 다른 공간(11)과 열가소성막(20)을 결합한 구조로 결합면적 및 시각상의 입체장식효과의 증가 이외 전체 무게는 늘어나지 않아 가볍고 얇은 것을 요구하는 제품의 실제수요에 부합되며 따라서 사용범위가 광범위하고도 실용성을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열가소성막(20)이 만약 반광막 혹은 야광막일 때는 주간 혹은 야간의 시각적 장식성을 높이고 아울러 취미성을 더해준다. 따라서 신발의 앞뒤 깔개, 가방, 스키복...등의 제품에 사용하면 그 특이한 점으로 인해 시장 경쟁력이 뛰어나다. 같은 이유로 열가소성막(20)이 전기가 통하는 재료일 경우는 본 고안이 전도성을 띠게 되므로 전로를 설계하여 전력을 운송하는 작용도 하게 된다.
상기 본 고안의 배포층(10)이 만약 전도 성질의 실로 교차하여 엮은 것이거나 전부 도전 성질의 실로 엮은 것이면 항전전기의 장점을 구비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배포층(10)은 도 6 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다층구조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배포층과 열가소성막이 압력과 온도의 상승에 의해 일체로 부착됨으로 고정력이 강한 매트를 제공하도록 한 것으로, 특히 무게가 증가되지 않고도 방수성의 효과가 높도록 한 것이며, 제품 품질의 착용이 쾌적하도록 한 것이고, 매트의 외관이 미려하고 참신하도록 한 것임은 물론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5)

  1. 바닥에 깔아 사용하는 매트에 있어서,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들쑥날쑥의 정도가 다른 공간(11)이 다수개 형성되는 동시에 외부 둘레는 벽 구조로 이루어지는 배포층(10);
    상기 들쑥날쑥의 정도가 다른 공간(11)의 상면에 열가소성막(20)이 위치하게 되면 압력을 받아 상호 부착되는 동시에 상기 열가소성막(20)에 온도가 올라가면 열가소성막(20)이 녹아 배포층(10)의 벽 상부 및 들쑥날쑥의 정도가 다른 공간(11)의 내면에 균일하게 면 부착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배포층(10)과 열가소성막(20)의 사이에는 열가소성물질이 도포되어 배포층과 열가소성막이 일체로 눌러 붙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막(20)이 야광막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막(20)이 전기 도전재료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배포층(10)이 도전 성질을 갖는 도전 실로 역어 정전기 방지의 목적을 갖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KR2020010018042U 2001-06-16 2001-06-16 매트 KR2002586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042U KR200258648Y1 (ko) 2001-06-16 2001-06-16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042U KR200258648Y1 (ko) 2001-06-16 2001-06-16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8648Y1 true KR200258648Y1 (ko) 2001-12-28

Family

ID=73066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8042U KR200258648Y1 (ko) 2001-06-16 2001-06-16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864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6546B1 (en) Shoe bottom having interspersed materials
USD448542S1 (en) Sandal with carpet insole
ITPD20000091A1 (it) Calzatura traspirante
US9049900B1 (en) Shoe having a bottom surface formed from a piece of fabric material and a separate insert piece
KR200258648Y1 (ko) 매트
CN209798220U (zh) 可热塑纱线编织面料
WO2018137647A1 (zh) 橡胶复合物、橡胶鞋底及其制造方法
JPH05123204A (ja) カツプソール形状を有する靴底及びその製造方法
JP4578757B2 (ja) 靴底及び靴
KR200487208Y1 (ko) 입체적인 조형과 무늬를 가진 신발바닥 구조
JP3082891U (ja) 複合層シート構造
US20020172800A1 (en) Sheet member for making shoes, bags, coats or the like
KR20200022897A (ko) 투습방수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74336B1 (ko) 좌변기용 커버 제작방법
EP1495690A1 (en) Shoe with padded upper
CN210901614U (zh) 一种一次性拖鞋
TWI796615B (zh) 網格布結構
KR100221566B1 (ko) 자리
KR200265361Y1 (ko) 샌달용 이중 밑창
JP2806859B2 (ja) 履物の底板
JPS6057323B2 (ja) 運動靴の射出成形製造方法
TW201826961A (zh) 橡膠複合物、橡膠鞋底及其製造方法
JP3005618U (ja) 足 袋
US20130143024A1 (en) Laminated Cloth
KR200314676Y1 (ko) 접착공정이 없는 조립식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