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8486Y1 - 폐자재용 분쇄기 - Google Patents

폐자재용 분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8486Y1
KR200258486Y1 KR2020010026654U KR20010026654U KR200258486Y1 KR 200258486 Y1 KR200258486 Y1 KR 200258486Y1 KR 2020010026654 U KR2020010026654 U KR 2020010026654U KR 20010026654 U KR20010026654 U KR 20010026654U KR 200258486 Y1 KR200258486 Y1 KR 2002584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ing
rollers
pulverizer
roller
wast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66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호
이병규
Original Assignee
최진호
이병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호, 이병규 filed Critical 최진호
Priority to KR20200100266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84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84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8486Y1/ko

Links

Landscapes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자재의 재생을 위하여 폐자재 덩어리를 분쇄하는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분쇄기 내에서 쌍을 이루며 설치되어지는 분쇄로울러의 대향위치를 변경하여 피분쇄물의 인입력을 증가시킴으로서 제품의 분쇄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분쇄기는, 상부로 부터 투입되어진 분쇄물을 분쇄할 수 있도록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한쌍의 분쇄로울러(12,12')가 상호 소정 간격을 유지하며 구성되어진 분쇄기로서: 상기 한쌍의 분쇄로울러(12,12')는 상호 회동축의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되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자재용 분쇄기{A TRITURATION DEVICE FOR TRASH MATERIAL}
본 고안은 폐자재용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설물에서 제거되어진 아스콘(아스팔트 콘크리트:Asphalt Concrete)과 같은 폐 건축자재를 쌍을 이루는 로울러구조를 이용하여 작은 입경구조로 분쇄하기 위한 분쇄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에 따라 운송 능력은 산업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단거리의 지상 운송 수단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차량에 의한 운송방법으로 이러한 차량 운송의 효율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이 도로이다.
이와 같은 도로 포장 방법에 있어서, 시멘트 콘크리트는 그 강도나 내구성에 있어서 아스팔트보다 우수하나 시공비가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시공시 장시간의 양생 과정을 요구되어 주로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포장 방법이 사용되고있다.
아스팔트 콘크리트는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비가 적게 소요되는 반면에 내구성이 시멘트 콘크리트보다 떨어짐으로 시공 후 수시로 보수해야 하며, 이와 같이 아스팔트 콘크리트가 포장된 도로의 보수시 기존의 아스팔트 위에 다시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덮어 시공하고 있으나 이와 같이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적층할 경우 노면이 높아져 보수하는데는 한계가 있음으로 소정 기간 동안은 적층 방법으로 보수를 한 후 다시 보수를 할 경우에는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걷어내고 새로운 아스팔트콘크리트를 시공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아스팔트 콘크리트가 시공된 도로의 보수시 발생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폐기물은 기름 성분을 포함하고 있음으로 땅에 묻거나 방치하였을 경우 토양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음으로 이를 재생하여 다시 사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폐아스콘을 잘개 분쇄하여 폐기물로부터 금속이나 흙 등의 이물질을 선별하고 선별된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가열과 함께 혼합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폐기물량을 감소시키게 된다.
한편 종래 분쇄기의 계략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평방향으로 서로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한쌍의 로울러(1,2)가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구비되었으며, 이들 한쌍의 로울러(1,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인 파쇄실 내에 폐아스콘 덩어리(4)을 비롯하여 암석, 광석등의 피분쇄물을 호퍼(3)를 통하여 공급하고, 그 공급된 피분쇄물은 상기 한쌍의 로울러(1,2) 사이의 가압력에 의해 분쇄되어지는 형식의 것이 있다.
그러나, 상기에서는 호퍼(3)를 통해 투입되어지는 피분쇄물은 그 크기 및 형태가 균일치 못한 가운데 있는데, 이러한 피분쇄물들의 일부는 분쇄로울러(1,2)사이로 인입되지 못하고 그 입구측에서 겉돌게 됨으로 인하여 분쇄효율이 저하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피분쇄물들은 호퍼(3) 윗쪽에서 작업자가 직접 도구를 사용하여 강제로 로울러(1,2) 사이로 밀어넣어 주어야 함으로 작업안전성 또한 저하되어지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키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쌍을 이루는 분쇄로울러의 대향위치를 변경한 분쇄기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피분쇄물에 대한 분쇄효율 개선 및 이로인한 작업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투입되어진 분쇄물을 분쇄할 수 있도록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어지는 한쌍의 분쇄로울러가 상호 소정 간격을 유지하며 대향 설치되어진 분쇄기로서: 상기 한쌍의 분쇄로울러는 상호 다른 높이를 이루며 설치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자재용 분쇄기를 통해 이룰 수 있게된다.
도 1은 종래 분쇄기의 단면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분쇄기에서 로울러에 의하여 피분쇄물에 작용하는 인입력 모식도.
도 6은 상기 분쇄기의 분쇄로울러를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상기 분쇄기의 투입구측에 바스켓이 추가로 구비되어진 상태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분쇄기 11 : 가이드
12,12' : 분쇄로울러 13,13' : 기어
14 : 벨트풀리 15 : 구동모터
16 : 벨트 18 : 개폐도어
22 : 분쇄날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분쇄기가 재생을 위한 폐아스콘의 분쇄에 사용되어지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분쇄기 정면도이며, 도 4는 내부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먼저 본 실시예의 폐아스콘 분쇄기(10)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유입되어지는 폐아스콘 덩어리(A)를 로울러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11)가 상측에 형성되었으며, 쌍을 이루어 회전하는 분쇄로울러(12,12')는 상호간의 높이차(h)를 이루며 설치되었다.
상기 분쇄로울러(12,12')는 각 회동축의 일단에 결합되어진 기어(13,13')에 의해 서로 치합됨으로서 회동력의 전달이 이루어지며, 그중 하나의 기어(13)는 작동기어(14')와 치합이 이루어져 구동모터(15)로 부터의 동력을 벨트(16) 및 벨트풀리(14)를 통해 전달받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7은 폐아스콘 이송용 컨베이어이고, 18은 분쇄되어진 폐아스콘을 선택적으로 컨베이어(17)를 통해 이송시키거나 외부로 배출토록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개폐도어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분쇄기의 폐아스콘 분쇄작업을 위한 동작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이 인가되어짐에 따라 구동모터(15)로 부터의 동력이 벨트(16)를 통해 벨트풀리(14)로 전달되어지면, 벨트풀리(14)와 동축상에 고정되어져 있는 작동기어(14')가 함께 회전되어지게 된다.
이로인해 상호간에 나사치합이 이루어져있는 상태의 기어(13,13')로 회동력이 전달되면서 분쇄기(10) 내에서 각 로울러축을 중심으로 분쇄로울러(12,12')의 회전작동이 이루어지게된다.
이와같은 분쇄로울러(12,12')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폐아스콘 덩어리(A)가 상부로 부터 투입되어지면, 가이드(11)에 의해 분쇄로울러(12',12)측으로 안내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쌍을 이루는 분쇄로울러(12,12')로 안내되어진 폐아스콘 덩어리(A)는 회동되어지는 분쇄로울러(12, 12') 상호간의 가압력 및 각 로울러의 외주면상에 돌출 형성되어진 고강도의 분쇄날에 의해 보다 작은 입경으로 분쇄되어져 하방에 모여지게 된다.
이때, 쌍을 이루는 상기 분쇄로울러(12,12')는 상호간에 h의 높이차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상부에서 투입되어지는 폐아스콘 덩어리(A)는 1차적으로 상측 분쇄로울러(12')와의 접촉에 의해 하방으로의 인입력을 받게되고, 이후 하부에서 회동되어지고 있는 하측 분쇄로울러(12)에 의해 인입력이 더하여 지면서 로울러쌍 사이에서 분쇄돌기에 의한 분쇄가 이루어지면서 한층 효율적인 분쇄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동작을 비교예를 통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종래 수평구조의 분쇄로울러에서는 폐아스콘의 자체 하중에 의해서 로울러 사이로 인입되어 짐으로 인해 분쇄효율이 저하되었던 반면, 본 고안의 분쇄로울러(12,12') 구조에 의하면 도 5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같이 폐아스콘 덩어리(A)의 하중 뿐만 아니라 하측 분쇄로울러(12)의 수평방향 이송력 및 상측 분쇄로울러(12')에 의한 수직방향 이송력이 함께 작용하면서 분쇄로울러 사이로의 인입력이 증가되어 분쇄효율이 더욱 개선되어지게 됨을 알 수 있다.
이후, 상기에서와 같이 분쇄된 후 하측으로 낙하되어지는 폐아스콘은 이송컨베이어(17)에 의해 다음공정으로 이송되어지게 되며, 이송컨베이어(17)의 이송을 제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개폐도어(18)를 힌지회동시켜 개방시킴으로서 상기 낙하물을 별도로 배출 보관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각 분쇄로울러의 외주면상에 돌출되어지는 분쇄날(22)을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착탈식으로 구성함으로서, 피분쇄물의 종류 또는 분쇄크기에 따라 적절한 치수의 분쇄날(22)을 선택하여 교체할 수 있게된다.
즉, 이를 위해서 분쇄로울러상의 각 해당개소에 분쇄날(22)이 안착되어질 수 있는 장착용 홈(23)이 형성되며, 분쇄날(22)의 고정은 고정볼트(24)에 의해 이루어지게되는 것이다.
도 7은 상기 분쇄기의 투입구측에 별도의 바스켓(30)을 더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때, 상기 바스켓(30)은 그 선단이 실린더로드(32)와 연결되어 실린더(31) 작동에 의해 선단측으로 이동됨과 함께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소정의 경사면을 이룸으로서 바스켓(30)에 적재되어져 있던 피분쇄물을 분쇄기내로 투입시키게 되며, 이때 분쇄기 상부에는 바스켓(30) 하부의 지지봉(34)이 끼워져 가이드되어지는 가이드홈(33)이 소정길이로 형성되어져 있음으로 바스켓(30)의 이동거리를 안내 및 제한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분쇄기 구조 및 적용대상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예를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폐아스콘을 분쇄대상으로 하는 분쇄기의 동작이 설명되었으나, 이러한 분쇄로울러의 단차구조가 기타 다른 폐건축자제 등의 분쇄기에도 적용되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고안의 분쇄기는, 쌍을 이루는 2개의 분쇄로울러가 서로다른 높이를 갖도록 설치한 구조를 이룸으로서 외부로 부터 투입되어지는 폐자제에 대한 높은 분쇄효율을 나타낼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는 분쇄로울러의 분쇄날을 교체가 용이한 착탈식 구조로 이룸으로서 피분쇄물에 대한 적용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

Claims (3)

  1. 상측의 투입구로 부터 투입되어지는 피분쇄물을 소정크기로 분쇄할 수 있도록 구동수단에 의해 회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외주면상에는 다수의 분쇄날이 돌출되어져 있는 한쌍의 분쇄로울러(12,12')가 상호 소정 간격을 유지하며 구성되어진 분쇄기에 있어서:
    상기 분쇄로울러(12,12')는 상호 회동축의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자재 분쇄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쇄로울러(12,12')의 분쇄날(22)은 착탈이 가능한 것으로서, 분쇄로울러의 외주면상에는 각 해당개소에 분쇄날 장착용 홈(23)이 형성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자재 분쇄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를 개폐시킴과 함께 투입전의 피분쇄물이 적재되어지는 바스켓(30)이 설치되되, 상기 바스켓(30)은 일단에서 연결되어진 실린더(31) 작동에 의해 소정 경사를 이루도록 유동가능하게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자재 분쇄기.
KR2020010026654U 2001-08-31 2001-08-31 폐자재용 분쇄기 KR2002584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654U KR200258486Y1 (ko) 2001-08-31 2001-08-31 폐자재용 분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654U KR200258486Y1 (ko) 2001-08-31 2001-08-31 폐자재용 분쇄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3368A Division KR20030018803A (ko) 2001-08-31 2001-08-31 폐자재용 분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8486Y1 true KR200258486Y1 (ko) 2001-12-28

Family

ID=73107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654U KR200258486Y1 (ko) 2001-08-31 2001-08-31 폐자재용 분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848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640B1 (ko) * 2018-04-30 2018-10-19 이종갑 판상의 인조대리석 마블칩 및 판상의 폐인조대리석 파쇄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640B1 (ko) * 2018-04-30 2018-10-19 이종갑 판상의 인조대리석 마블칩 및 판상의 폐인조대리석 파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6079A (ko) 재생골재의 제조장치
KR101987832B1 (ko) 수직형 건식 굵은골재와 잔골재 제조 장치 및 방법
CN203990733U (zh) 一种高效碎石机
KR100863332B1 (ko) 재생 골재용 회전 연마기
CN110142086B (zh) 一种物料粉碎研磨机及其使用方法
KR100951428B1 (ko) 재생 골재용 회전 연마기
KR100879158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 중 다중 분쇄롤러와 요철형 라이너를 이용한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제조장치
KR100897708B1 (ko) 회전 분쇄기
KR100909445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용 체인 해머 크러셔
CN105555407B (zh) 具有弹簧装置的用于粉碎矿石的设备和方法
KR101101878B1 (ko) 건설폐기물의 파쇄 겸 마쇄장치
KR101194661B1 (ko) 골재 마쇄장치
KR20090110056A (ko) 재생골재를 위한 건설폐기물의 마쇄장치
KR200258486Y1 (ko) 폐자재용 분쇄기
CN211865275U (zh) 一种环保用工业垃圾粉碎设备
KR100529587B1 (ko) 골재 재생을 위한 건설폐기물의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CN104264567B (zh) 用于沥青混合料的强制搅拌破碎机
CN208275521U (zh) 一种建筑垃圾用的破碎机
KR101336713B1 (ko) 스크류콘 파·마쇄기
KR20030018803A (ko) 폐자재용 분쇄기
CN214599341U (zh) 一种土木工程建筑垃圾粉碎回收处理装置
CN112456841B (zh) 一种建筑固体废弃物回收再利用方法
CN108246459A (zh) 一种建筑废料破碎装置
CN114101273A (zh) 一种建筑垃圾的回收加工处理方法
CN203196676U (zh) 一种废旧玻璃粉碎机的二级粉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