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8221Y1 - 주,부상표지 부착기 - Google Patents

주,부상표지 부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8221Y1
KR200258221Y1 KR2020010029177U KR20010029177U KR200258221Y1 KR 200258221 Y1 KR200258221 Y1 KR 200258221Y1 KR 2020010029177 U KR2020010029177 U KR 2020010029177U KR 20010029177 U KR20010029177 U KR 20010029177U KR 200258221 Y1 KR200258221 Y1 KR 2002582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paper
label
trademark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91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규재
Original Assignee
임규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규재 filed Critical 임규재
Priority to KR20200100291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82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82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8221Y1/ko

Links

Landscapes

  • Label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부상표지가 소정의 피치로 점착된 롤상의 테이프를 장전하여 병 외주면에 일정한 피치로 부착하는 주,부상표지 부착기의 구조단순화를 도모하여 제조원가의 경감과 가동시의 소음 감소, 경량화, 및 전기에너지비용의 경감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병을 상표지 부착위치를 거쳐 나가도록 연속적으로 실어 나르는 병 이송부(1)와, 상표지 공급부의 직전에서 병의 투입간격을 제어하는 인터발 벨트(2)와, 상표지가 일정한 피치로 점착된 롤상의 테이프를 풀어내면서 상표지를 박리해 공급하는 상표지 공급부(3)와, 상표지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상표지를 흡인트랙으로 흡인하여 흡착한 후 그 앞을 지나는 병을 고속 회전시켜 상표지를 부착시키는 상표지 흡인 부착부(4)와, 병 이송부(1)를 사이에 두고 상표지 흡입 부착부(3)의 맞은 편에 위치하여 병을 회전시키면서 상표지 흡인부착부와의 협동으로 상표지를 눌러 붙이는 병 회전부(5)로 이루어진 상표지 부착기에 있어서, 상표지 공급부(3) 상에 상표지 공급부(3) 상에 권취롤(6)에서 풀려나가는 주,부상표지(a,b)의 공급인터발 제어용 센서(8)를 설치하고, 이 센서(8)를 제어반(9) 내의 모터 콘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부상표지 부착기.

Description

주,부상표지 부착기{Main and sub-trademark sheet sticking device}
본 고안은 장척 테이프형 이형지의 점착면에 소정의 피치로 점착된 상표지를 둥근 병의 외주면에 부착하는 자동 상표지 부착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크기나 모양이 상이한 두 가지 상표지가 점착된 장척의 테이프를 장전하여 병 외주면에 일정한 피치로 부착하는 주,부상표지 부착기에 관한 것이다.
제약공장, 식음료 제조공장 등에서 생산되는 제품을 규격이 동일한 둥근 병(또는 용기. 이하 같음)에 담아 출고, 유통시키는 경우 병의 외주면에는 제조자의 상표가 인쇄된 상표지를 부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렇게 병 외주면에 상표지를 부착하는 일을 수작업으로도 할 수는 있지만 낮은 작업능률 때문에 병입 포장제품을 대량 제조하는 작업장에서는 거의 대부분 상표 부착작업을 자동화하고 있다. 여기에 사용되는 것이 자동화한 상표지 부착기다.
일반적으로 상표지 부착기는 병을 상표 부착위치를 거쳐 나가도록 연속적으로 실어나르는 캐터필러 등의 컨베이어로 이루어진 병 이송부와, 상표지 공급부의 직전에서 병의 투입간격을 제어하는 인터발 벨트와, 이형지에 모양과 크기가 동일한 복수의 상표지가 일정한 피치로 점착된 롤상의 테이프를 장전하여 이송되는 병의 속도에 맞춰 일정한 피치로 풀어내서 이형지로부터 상표지를 떼어 공급하고 이형지만 회수하여 되감는 상표지 공급부와, 상표지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상표지를 흡인하였다가 병에 옮겨주는 상표지 흡인 부착부와, 병 이송부를 사이에 두고 상표지 흡인 부착부의 맞은 편에 위치하여 병을 회전시키면서 상표지 흡인 부착부와의협동으로 상표지를 눌러 붙이는 병 회전부를 유기적으로 결합한 것이다.
이런 기능을 가진 상표지 부착기는 도 1과 같이 크기가 동일하고 피치도 균일한 상표지(a)가 점착된 테이프(c)를 장전하여 병당 한 장의 상표지만 부착하는 데만 적합한 전용기로, 병 하나에 크기가 다른 2종 상표지를 동시에 부착할 수는 없다.
그리고 포장용 병(d) 중에는 도 2와 같이 외주면에 주상표지(a)와 부상표지(b)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부착하는 것도 있다.
도 3에서, 2종 상표지가 부착형 테이프(c')에는 주상표지(a)와 부상표지(b)가 소정의 피치를 두고 축차적으로 점착되어 있고, 그 테이프에 특히 적합한 주,부상표지 부착기도 이미 제안되어 있다.
종래의 주,부상표지 부착기는 단종 상표지 부착기에서 병 이송부를 사이에 두고 상표지 공급부와 상표지 흡인 부착부를 병설하여 기존의 장치로는 주상표지를, 그리고 추가된 상표지 부착기로는 부상표지를 부착하던가 상기와는 반대로 각각의 기능을 맡긴 것이다.
이와 같이 주,부상표지를 각각 공급하여 부착하도록 구성하다보니 상표지 부착기의 제조원가가 월등히 높고, 중량화로 인하여 운송과 설치 및 위치변경이 쉽지 않았으며, 가동소음도 크고, 전기에너지비의 지출도 늘어나는 등 불합리한 점이 한 두 가지가 아니었기 때문에 주,부상표지 부착기에 대한 구조 개선이 절실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주,부상표지가 소정의 피치로 점착된 롤상의 테이프를 장전하여 병 외주면에 일정한 피치로 부착하는 주,부상표지 부착기의 구조단순화를 도모하여 제조원가의 경감과 가동시의 소음 감소, 경량화, 및 전기에너지비용의 경감을 구현할 수 있는 주,부상표지 부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과제는, 병 이송부에 병을 올려 놓으면 이송되다가 인터발 벨트에 의해 투입간격이 조정되어 이송되고, 상표지 공급부에서 테이프에 일정한 피치로 부착돼 있던 상표지를 낱장씩 박리하여 상표지 흡인 부착부로 넘기면 상표지 부착부가 그 상표지를 흡인하였다가 다가 온 병에 옮겨 붙도록 돕고, 그 직후 병 회전부에 의해 병을 회전시킬 때 상표지 흡인 부착부와 함께 상표지를 회전되는 병에 눌러 붙여 반출토록 한 자동 상표지 부착기에 있어서, 상기 상표지 공급부 상에, 주상표지와 부상표지의 공급인터발 제어용 센서를 설치하고, 이 센서를 제어반 내의 모터 콘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단일 상표지 공급부를 가진 상표지 부착기에서도 주,부상표지를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주,부상표지 부착기로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이형지에 동형의 상표지가 동일 피치로 부착된 테이프의 예시 도
도 2는 주,부상표지가 부착된 병의 예시도
도 3은 주,부상표지 부착형 테이프의 예시도
도 4a 및 도4b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 5는 동 정면도
도 6은 주,부상표지가 점착된 테이프에서의 센서의 위치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주상표지 b : 부상표지
1 : 병 이송부 2 : 인터발 벨트
3 : 상표지 공급부 4 : 상표지 흡인 부착부
5 : 병 회전부 6 : 권취롤
8 : 센서 9 : 제어반
도 4와 도 5에서, 본 고안이 제안하는 신규의 주,부상표지 부착기는 단종 상표지 부착기를 원용하되 간단한 장치를 추가함으로서 상기의 과제를 달성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즉, 주,부상표지 부착기는 단종 상표지 부착기와 마찬가지로 병을 상표 부착위치를 거쳐 나가도록 연속적으로 실어 나르는 병 이송부(1)와, 상표지 공급부의 직전에서 병의 투입간격을 제어하는 인터발 벨트(2)와, 이형지에 모양과 크기가 동일한 복수의 상표지가 일정한 피치로 점착된 롤상의 테이프를 장전하여 이송되는 병의 속도에 맞춰 일정한 피치로 풀어내서 이형지로부터 상표지를 떼어 공급하고 이형지만 회수하여 되감는 상표지 공급부(3)와, 상표지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상표지를 테이프에서 박리시켜 흡인한 후 그 앞을 지나는 병을 고속 회전시켜 그 외주면에 부착시키는 상표지 흡인 부착부(4)와, 병 이송부(1)를 사이에 두고 상표지 흡인 부착부(4)의 맞은 편에 위치하여 병을 회전시켜 상표지를 눌러 붙이는 병 회전부(5)로 이루어진 상표지 부착기를 바탕으로 하고, 상표지 공급부(3)의 권취롤(6)에 주,부상표지(a,b)가 점착된 테이프(c)를 대체 장전한 상태에서 그 테이프(c)가 풀려나갈 때 주,부 상표지(a,b)의 폭과 이들간의 피치를 검출하여 주,부상표지의 공급인터발을 제어하는 센서(8)를 추가 설치하고, 이 센서(8)를 제어반(9) 내의 모터 콘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연결한 것이다. 이는 종래 주,부상표지 부착기에서 어느 한 쪽의 상표지 공급부와 상표지 흡인 부착부를 배제한 것과도 같다.
모터 콘트롤러는 센서(8)로부터 감지된 주상표지(a)와 부상표지(b)의 폭과 피치에 관한 정보를 병의 이송속도와 외경에 맞춰 주,부 상표지(a,b)의 부착간격에 따른 테이프(c)의 풀림속도, 즉 주상표지(a)와 부상표지(b) 가 풀려나가 박리되는 공급인터발을 제어하는 것이다.
테이프(c)는 주상표지(a)의 선부착과 부상표지(b)의 후부착이 축차적으로 공급된다. 다음으로 주,부 상표지(a,b)의 부착과정에 대하여 부연한다.
도 6은 상표지 공급부(3) 내에서의 주,부상표지(a,b)에 대한 센서(8)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느린 속도로 궤도를 선회하는 병 이송부(1)의 초입에 주,부 상표지(a,b)가 부착될 병(d)을 세워서 올려놓는다. 병(d)은 병 이송부(1)에 실려 상표지 부착위치로 이송된다.
이에 앞서, 테이프(c)는 맨 앞의 주상표지(a)가 절반 가량 박리되어 상표지 공급부(2)의 박리 가이드(10)에 걸쳐진 채로 부착에 대비하고 있다.
병(d)이 상표지 공급부(3)를 빠져나갈 무렵 절반쯤 박리되어 있던 주상표지(a)의 선단이 병(d)의 외주면에 달라붙는다. 이대로 진행하다가 곧바로 상표지 흡인 부착부(4)에 진입한다. 그 순간, 고속으로 궤도를 선회 중인 흡인트랙에 휩쓸림에 따라 병(d)도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이송되고, 동시에 상표지 공급부(3)는 테이프(c)를 더 풀어내서 주상표지(a)의 미박리부분 마저 박리시켜 병(d)에 옮겨 붙게 한다. 상표지 흡인 부착부(4)의 흡인트랙은 박리된 주상표지(a)를 흡착하여 병(d)에게 제공함으로서 주상표지(a)를 차질없이 부착하게 된다.
병(d)은 상표지 흡인부착부(3)의 회전식 흡인벨트(3a)와 병 회전부(4)의 회전벨트(4a) 사이에 탄력적으로 찡겨서 회전되며, 이때 양쪽 트랙의 탄력이 주상표지(a)를 꼭꼭 눌러 붙이는 일을 한다. 여기까지는 공지의 단종 상표지 부착기의 상표지 부착기능과 같다.
이렇게 주상표지(a)를 공급한 직후 이번에는 센서(8)가 주상표지(a)와 부상표지(b)의 거리를 감지하여 제어반()의 모터 콘트롤러에 통보한다. 제어반(9)의 모터 콘트롤러는 구동모터(9)에게 즉각 부상표지(b)를 공급하도록 지시한다. 이런 과정을 거쳐 테이프(c')에서 박리된 부상표지(b)도 주상표지(a)와 같은 경로를 거쳐 주상표지(a)가 차지하고 남은 병(d)의 여백에 부착된다. 그리고 주,부상표지(a,b)의 부착임무를 수행한 상표지 공급부(3)는 후속 주,부상표지 부착작업을 대비한다.
이와 같이 상표지 공급부가 하나뿐인 단종 상표지 부착기에 주,부상표지 감지용 센서를 부착하고, 이 센서로 주상표지와 부상표지를 주기적 축차적으로 공급하는 상표지 공급부의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주,부상표지가 소정의 피치로 병의 외주면에 부착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주상표지 공급부와 부상표지 공급부를 병설한 종래의 주,부상표지 부착기와 비교하면 부착기의 구조가 아주 단순해져서 제조원가의 절감효과가 대단히 크다.
또, 가동 중에 발생하는 소음도 큰 폭으로 준다. 게다가 무게도 상당히 줄어 상표지 부착기 제조공장 내에서의 취급, 출고, 차량적재 및 하차, 수요처에서의 배치작업 등이 한결 수월해진다. 더욱이 상표지 공급부의 반감에 따라 가동시의 전력소모도 현저히 감소되므로 전기에너지비 경감효과도 상당할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1)

  1. 병을 상표지 부착위치를 거쳐 나가도록 연속적으로 실어 나르는 병 이송부(1)와, 상표지 공급부의 직전에서 병의 투입간격을 제어하는 인터발 벨트(2)와, 상표지가 일정한 피치로 점착된 롤상의 테이프를 풀어내면서 상표지를 박리해 공급하는 상표지 공급부(3)와, 상표지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상표지를 흡인트랙으로 흡인하여 흡착한 후 그 앞을 지나는 병을 고속 회전시켜 상표지를 부착시키는 상표지 흡인 부착부(4)와, 병 이송부(1)를 사이에 두고 상표지 흡입 부착부(3)의 맞은 편에 위치하여 병을 회전시키면서 상표지 흡인부착부와의 협동으로 상표지를 눌러 붙이는 병 회전부(5)로 이루어진 상표지 부착기에 있어서, 상표지 공급부(3) 상에 권취롤(6)에서 풀려나가는 주,부상표지(a,b)의 공급인터발 제어용 센서(8)를 설치하고, 이 센서(8)를 제어반(9) 내의 모터 콘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부상표지 부착기.
KR2020010029177U 2001-09-21 2001-09-21 주,부상표지 부착기 KR2002582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177U KR200258221Y1 (ko) 2001-09-21 2001-09-21 주,부상표지 부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177U KR200258221Y1 (ko) 2001-09-21 2001-09-21 주,부상표지 부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8221Y1 true KR200258221Y1 (ko) 2001-12-31

Family

ID=73109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177U KR200258221Y1 (ko) 2001-09-21 2001-09-21 주,부상표지 부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822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67280B2 (ja) 直線型ラベル貼付機械
US5188696A (en) Wrap around labeling machine
US4108710A (en) Apparatus for applying labels to containers
KR920004525B1 (ko) 라벨링장치
US6287671B1 (en) Computer controlled labeling machine for applying labels including stretch labels and tactilely sensible indicia on articles
US3834963A (en) Method for applying labels to containers
US5256239A (en) Continously moving web pressure-sensitive labeler
US4806197A (en) Continuous motion round bottle turret
JPS5843305B2 (ja) ラベル貼り機
JPS6317698B2 (ko)
JPH0285136A (ja) 連続式感圧ラベル貼着装置及び方法
US20090255623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pplying adhesive to labels
US4443285A (en) Tapered article labelling machine and method
WO2018195469A2 (en) Label application systems
JP3036724B2 (ja) ラベリング装置
KR200258221Y1 (ko) 주,부상표지 부착기
EP1292497B1 (en) Labeler for dispensing labels adhering to a backing strip
CA2007035C (en) &#34;machine and a method for high-speed, precisely registered label application&#34;
JP2010120663A (ja) ラベル移送装置及びラベル貼付装置
KR20130136870A (ko) 다각용기 라벨 부착장치 및 다각용기 라벨 부착방법
JP3067413B2 (ja) ロールラベラ
KR200276196Y1 (ko) 라벨 부착기
JPH0115627Y2 (ko)
JP5332516B2 (ja) ラベル移送装置及びラベル貼付装置
ES2186965T3 (es) Dispositivo para hacer girar una etiqueta alimentada en una maquina etiquetado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