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8220Y1 - 포장용 대강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포장용 대강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8220Y1
KR200258220Y1 KR2020010029166U KR20010029166U KR200258220Y1 KR 200258220 Y1 KR200258220 Y1 KR 200258220Y1 KR 2020010029166 U KR2020010029166 U KR 2020010029166U KR 20010029166 U KR20010029166 U KR 20010029166U KR 200258220 Y1 KR200258220 Y1 KR 2002582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rough
looper
whee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91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승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정피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정피앤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정피앤에이
Priority to KR20200100291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82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82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8220Y1/ko

Links

Landscapes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장용 대강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대강의 원활한 공급과 상기 대강의 잔량을 최소화하는 포장용 대강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기술적 구성은, 대강롤(110)의 이탈을 방지토록 설치된 고정장치(120) 및 바닥과 수직으로 세워져 장착되는 회전판(110)로 이루어진 디스펜서부(100);와 상기 디스펜서부(Dispenser;100)에서 공급되는 대강의 단부를 감지하여 공급을 제어토록 클램프장치(Clamp;210)가 설치된 제어부(200); 및 상기 제어부(200)를 지난 대강을 결속기로 공급하고 그 잔량을 저장토록 웨이트휠장치(Weight Wheel;320)가 설치된 루퍼부(Looper;300);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서, 포장용 대강을 결속기에 공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대강의 이탈을 방지하고 대강의 단부를 감지하여 공급을 제어하면서 대강의 잔량을 최소화함으로서, 대강이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포장용 대강 공급장치가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포장용 대강 공급장치{A Device for dispening Steel band for Binding}
본 고안은, 포장용 대강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대강의 이탈을 방지토록 디스펜서부와, 상기 대강의 단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작업을 완료한 대강의 잔량을 저장하는 루퍼부로 구성되어 포장용 대강을 결속기에 공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대강의 이탈을 방지하고 대강의 단부를 감지하여 공급을 제어하면서 대강의 잔량을 최소화함으로서, 대강의 원활한 공급과 용이하고 안전한 작업이 되도록 하는 포장용 대강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는 철강제품을 결속하는 결속기를 이용하여 상기 철강제품을 결속하여 포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포장작업을 수행하려면 상기 철강제품을 결속시키는데 필요한 대강(Steel Band)이 요구되며 상기 대강은 상기 결속기로 공급되는 장치를 통해 원활히 공급되어야 하며, 결속기로 공급된 상기 대강은 다음 작업을 위해 잔여량을 회수토록 되감기를 수행해야 한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의 포장용 대강 공급장치를 도시하고 있으며, 그 구성을 살펴보면,
중심에 수직으로 형성된 회전축(14)을 갖고 일측에 구동모터(11)와 방향전환밸브 (12)가 설치된 베이스부(10)를 갖추고, 상기 베이스부(10)의 회전축(14)에 고정된 기어(21)와, 상기 모터(11)에 장착된 기어(22)로 이루어진 기어부(20)를 갖추며, 상기 회전축(14)을 중심으로 상기 기어부(20) 상부에 고정되어 회전하며 회전판(31)과, 상기 회전판(31)에 고정되고 대강이 권취되어 있는 대강롤(32)과, 상기 회전하는 대강롤(32)의 유동을 방지토록 상기 대강롤(32)의 내측을 강하게 밀착시켜 고정토록 상기 회전판(31) 상면에 설치되는 밀착부재(35)와, 상기 밀착부재(35)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14)에 연결된 링크(33), 및 상기 링크(33)를 작동시키는 밀착핸들(34)로 이루어진 디스펜서부(30)를 구비하고, 상기 대강롤(32)에서 공급되는 대강을 상기 대강을 결속기로 공급토록 좌우 일정구간을 이동하면서 가이드 역할을 하는 롤부재(41)와, 상기 롤부재(41)의 하부면에 상기 방향전환밸브(12)와 연결된 암(42)으로 이루어진 댄싱암(Dancing Arm;40)으로 구성된다.
상기 대강롤에 권취되어 있는 대강이 결속기로 공급되고 잔여량이 상기 대강롤에 되감기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상기 대강이 대강롤(32)에서 인출되고 상기 댄싱암(40)에 지지되면서 상기 결속기(미도시)로 투입되며 이때, 상기 댄싱암(40)은 상기 결속기로 투입된 대강에 의해 당겨지면서 상기 방향전환 밸브(12)에 에어가 공급되고 이에 모터(11)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모터(11)의 회전에 따라, 상기 기어부(20)가 회전하고 동시에 회전판(31)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대강롤(32)이 풀리면서 상기 대강이 필요한 길이만큼 결속기 내부로 투입되게 된다.
상기 결속기가 작업을 완료한뒤 작동을 멈추면 상기 댄싱암(40)도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상기 방향전환밸브(12)의 에어공급을 차단하게 됨으로써 상기 회전판(31)의 회전이 멈추게 된다.
한편, 결속작업이 완료된 상기 결속기내의 대강의 잔여량은 상기 결속기의 구동기기(미도시)에 의해 밖으로 배출되며 이때, 댄싱암(40)은 순간적으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방향전환밸브(13)를 반대로 작동시키고 이는 상기 회전판(31)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대강롤(32)이 대강을 되감게 된다.
배출되는 상기 대강은, 상기 결속기의 내부에서 단부가 감지되어 배출이 중단되게 되며 상기 댄싱암(40)은 중립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어 회전이 중지됨으로서, 상기 모든 작업을 마치게 되며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면서 대강의 공급과 잔여량 되감기를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포장용 대강 공급장치는, 대강의 공급과 되감기를 반복하면서 권취되어 있던 대강에 진동, 회전 및 자체하중에 따라 느슨해져 흘러내리는 현상이 발생하며 더이상 대강이 인출되지 못하고 작동을 멈추게 되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작업을 수행하거나 그 정도가 심하면 아예 상기 대강롤(32)을 폐기하는 경우도 있어 작업이 매우 힘들었다 .
또한, 상기 대강롤에 권취되어 있는 대강이 점차 소요됨에 따라서 상기 대강의 권취력이 약해져 풀어지면서 상기 회전판(31)이 역회전하여도 되감아 지지않게 되어 상기 결속기내의 잔여량의 회수는 물론, 대강공급도 어려워 결국 다량의 대강이 권취된 대강롤을 교체하게 되어 대강의 낭비가 심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잔여량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마지막까지 작업을 수행하다 상기 대강의 단부가 결속기 내로 투입되는 경우가 있어 상기 결속기를 분해하여 정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정회전과 역회전을 고속으로 반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안전상의 문제 및 상기 모터(11)에서 나오는 압축공기가 유해물질을 배출하여 작업장내의 환경오염을 발생시키는 등의 여러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대강롤에서 대강이 권취력이 약해져 이완되어 이탈되지 않으면서, 상기 대강롤에 대강의 잔량을 최소화하고, 결속기 내로 상기 대강의 단부가 진입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면서 작업시 안전한 포장용 대강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포장용 대강공급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포장용 대강공급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대강 공급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4a, 4b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대강 공급장치를 나타낸 디스펜서부의 측면도 및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대강 공급장치를 나타낸 제어부의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대강 공급장치를 나타낸 루퍼부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디스펜서부 220...클램프가이드
110...회전판 230,240...상,하부휠
120...고정장치 250...감지센서
160...모터 300...루퍼부
170...대강롤 310...상부휠장치
200...제어부 320...웨이트휠장치
210...클램프장치 330...위치감지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포장용 대강공급장치에 있어서,
대강롤에 권취되어 있는 대강을 결속기로 공급토록 바닥과 수직으로 세워지고 중심을 관통하는 회전축과 고정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축 단부에서 상기 회전판 전면으로 회전축에 의해 끼워져 장착되는 대강롤을 밀착고정하기 위해 설치되는고정장치와,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회전축에 연결된 모터로 이루어진 디스펜서부;
상기 디스펜서부에서 공급되는 대강의 단부를 감지하여 공급을 제어토록 클램프장치 및 감지센서가 설치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통과한 대강을 결속기로 공급하고 그 잔량을 저장토록 상부휠장치와, 웨이트휠장치 및 위치감지센서가 설치된 루퍼부;를 포함하여 대강의 이탈을 방지하고 대강의 단부를 감지하여 공급을 제어하면서 대강의 잔량이 최소화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대강 공급장치를 마련함에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대강 공급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대강 공급장치를 나타낸 디스펜서부의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대강 공급장치를 나타낸 제어부의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대강 공급장치를 나타낸 루퍼부의 구성도로서, 본 고안은, 대강을 공급하는 디스펜서부(100)와,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200) 및 상기 대강의 잔량을 저장토록 설치된 루퍼부(300)를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대강을 공급하는 디스펜서부(100)는, 바닥과 수직으로 설치되는 회전판(110)과, 상기 회전판(110)에 설치되는대강롤(170)을 밀착 고정하는 고정장치(120)와, 상기 회전판(110)과 대강롤(170)을 관통하는 회전축(140)을 지지하는 지지대(150), 및 상기 회전축(140)과 연결되는 모터(16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장치(120)는, 상기 회전판(110)의 전면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전후로 이동가능토록 설치되는 밀착부재A(122)와, 상기 회전축(140)의 단부와 나사결합에 의해 분리, 결합되는 밀착핸들(123)과, 상기 밀착부재A(122)와 밀착핸들(123) 사이에 상호 힌지연결되어 상기 밀착핸들(123)의 회전에 의해 확장 및 축소가 가능토록 설치된 링크(121), 및 상기 대강롤(170)과 밀착핸들(123)에 사이에 회전축(140)에 끼워져 고정되고 밀착되는 밀착부재B(130)로 구성된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디스펜서부(100)에서 인출된 대강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200)는, 루퍼프레임(340)에 고정되어 대강을 상기 루퍼부(300)로 안내하는 상,하부휠(230)(240)과, 상기 대강의 단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250)와, 상기 감지센서(250)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클램프장치(210) 및 상기 클램프장치 하부에 설치되는 클램프가이드(2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클램프장치(210)는, 상기 루퍼프레임(340)에 고정되어 대강을 안내토록 설치된 롤러(213)와, 상기 대강과 밀착되어 대강공급을 정지토록 상기 롤러(213) 전방에 설치되는 피스톤(212), 및 상기 피스톤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감지센서(250)의 신호에 따라 상기 피스톤(212)을 작동시키는 에어실린더(211)로 이루어져 있다.
도 6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제어부(200)를 통과한 대강을 결속기로 공급하고 그 잔량을 저장토록 설치되는 루퍼부(300)는, 바닥과 일정높이를 갖도록 양측에 수직으로 세워진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상호연결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루퍼프레임(340)와, 상기 루퍼프레임(340)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휠장치(310)와, 상기 루퍼프레임(340)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하로 이동가능토록 설치된 웨이트휠장치(320), 및 상기 루퍼프레임(340)의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웨이트휠장치(320)의 위치를 감지하여 대강의 공급속도를 제어하는 위치감지센서(330)로 이루어져있다.
상기 루퍼프레임(34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휠장치(310)는, 상기 대강이 지나도록 원형의 드럼형상을 가지며, 양측면의 중심에 관통홀이 형성된 복수의 드럼휠(311)과, 상기 드럼휠(311)들이 회전토록 상기 관통홀(313)을 통과하고 양단부가 상기 루퍼프레임(340) 상부에 연결된 드럼휠 지지구(31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루퍼프레임(340)의 하부에 웨이트휠장치(320)는, 상기의 드럼휠(311)과, 상기 드럼휠(311)을 통과하는 중심축(321)과, 상기 루퍼프레임(340)의 양단에 밀착되어 상기 드럼휠(311)을 상하로 이동토록 상기 중심축(321)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승강용휠(322) 및 상기 중심축(321)의 일측에 고정되는 무게추(32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루퍼프레임(340)의 측면으로 일정한 높이에 부착되는 위치감지센서 (330)는, 상기 루퍼프레임(340)의 상부으로부터 상기 웨이트휠장치(320)의 상한위치를 감지하는 센서A(331)와, 저속구간위치를 감지하는 센서B(332), 및 하한위치를감지하는 센서C(333)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디스펜서부(100)에 대강롤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밀착핸들(123)을 회전시켜 회전축(140)으로부터 밀착핸들(123) 및 밀착부재B(130)를 분리한뒤 상기 대강롤(170)을 상기 회전판(110)을 관통한 회전축(140)에 끼워 고정시킨후 상기 밀착부재B(130)를 장착하여야 하며 상기 밀착부재B(130)로써 대강이 회전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밀착부재B(130)를 장착시킨후, 상기 밀착핸들(123)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회전축(140)과 나사결합시키면 상기 밀착핸들(123)이 전진하면서 링크(121)를 확장시키게되고 상기 링크(121)에 연결된 밀착부재A(122)가 상기 대강롤(170)의 내측면을 강하게 밀착시키므로 고속으로 회전하는 상기 대강롤(170)의 유동이 방지된다.
한편, 수직으로 대강롤(170)이 장착토록 설계된 상기 디스펜서부(100)는, 대강이 공급되면서 권취력이 약해져 대강이 흘러내리거나 꼬이는 현상을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대강롤(170)이 장착되면 디스펜서부(100)를 작동시키면 모터(160)에 의해 상기 회전판(110)이 회전하면서 대강이인출되게 되며 인출된 상기 대강은 제어부(200)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대강은 제어부(200) 하부에 위치한 하부휠(240)을 지나 클램프가이드 (220)를 통과하며 상기 클램프가이드(220) 상부에 위치한 클램프장치(210) 및 상부휠(230)을 지나 루퍼부(300)로 진입하게 된다.
상기 루퍼부(200)로 공급되는 대강은, 상기 루퍼부(300)의 상부휠장치(310)와 웨이트휠장치(320)에 설치된 드럼휠(311)을 연속적으로 통과한후 결속기로 공급되므로 상기 상부휠장치(310)와 웨이트휠장치(3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일정량이 저장되고 이것으로서, 모든 준비작업을 마치게 된다.
작업자가 결속기를 가동시키면, 상기 결속기에 대강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웨이트휠장치(320)가 상승하게 되고 상기 디스펜서부(100)의 공급속도와 상기 결속기내로 진입하는 대강의 속도가 일치하게 되면 상기 웨이트휠장치(320)는 일정높이를 유지하면서 대강을 공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결속기로 공급되는 과정중 상기 결속기내로의 진입속도가 빨라져 상기 웨이트휠장치(320)가 상승하여 상기 웨이트휠장치(320)이 상한위치에 부착된 센서A(331)를 지나게 되면 상기 센서A(331)가 상기 결속기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루퍼부(300)에 대강을 재저장하게 한다.
한편, 결속기의 결속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결속기내의 대강의 잔여량은 상기 결속기내의 구동기기(미도시)에 의해 공급되던 방향의 역방향인 밖으로 배출되며 상기 대강을 공급하면서 일정높이를 유지하던 웨이트휠장치(320)가 자체하중에 의해 하강하면서 결속기내에서 배출된 잔여량이 자동적으로 저장된다.
상기 결속기가 잔여량 배출동작을 완료하고, 상기 루퍼부(300)에서의 잔여량 저장작업이 종료되면, 디스펜서부(100)의 모터(160)가 작동하여 상기 루퍼부(300)로 상기 대강을 공급하게 되면서 상기 웨이트휠장치(320)를 하한위치에 부착된 센서C(333)가 감지 할 때까지 하강시켜 상기 대강을 재저장하게 된다.
이때, 하강하는 웨이트휠장치(320)가 저속위치에 부착된 센서B(332)를 지나게 되면 상기 디스펜서부(100)의 모터(160)가 감속을 시작하여 급작스런 충격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재저장과정은, 종래의 모터가 역회전하면서 되감기를 수행하는 과정이 생략되어 대강의 꼬임문제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모터의 용량을 최소화시켜 소음 및 유해물질 배출을 격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한 작업을 반복함에 따라, 결속기로 공급되는 상기 대강이 점차로 소진되고 상기 대강의 단부(170a)가 상기 하부휠(240)을 지나게 되면, 상기 하부휠의 일측에 고정된 감지센서(250)가 대강이 모두 소진됨을 인식하고 상기 크램프장치(210)의 에어실린더 (211)를 동작시켜 상기 대강의 단부(170a)가 상기 클램프장치(210)를 통과하기 전에 피스톤(212)을 작동시켜 대강 공급이 중단된다.
이때, 상기 클램프가이드(220)는, 고속으로 통과하는 대강의 공급을 중단토록 일정구간의 대강을 안내하여 급작스런 정지동작에 의한 진동 및 충격을 방지한다.
상기 제어부(200)에서 대강의 단부가 감지되어 작동을 멈추게되면, 작업자는상기 디스펜서부(100)에서 대강롤(170)을 교체한후, 상기 클램프장치(210)에 걸려있는 상기 대강의 단부(170a)와 교체된 대강의 시작부를 접착하여 사용하면 되며, 그 접착방법으로는 테이핑이나 용접등이 바람직하다.
접착이 완료되면 상기 작동중인 클램프장치(210) 해제한후, 상기 디스펜서부 (100)의 모터(160)를 구동시키면 상기 루퍼부(300)의 웨이트휠장치(320)가 하한위치까지 내려오면서 대강을 루퍼부(300)에 재저장하고 센서C(333)에 의해 상기 모터 (160)가 정지되면서 다음작업을 위해 대기하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대강 공급장치에 따르면,
상기 대강을 바닥과 수직하게 장착시키고 링크 및 밀착부재로서 대강롤을 밀착고정하여 상기 대강의 이탈이나 유동이 방지되며, 상기 제어부의 클램프장치 및 루퍼부에 의해 대강의 단부까지 소진되면서 자동으로 잔여량이 재저장됨으로서 상기 대강롤에 대강의 잔량을 최소화됨은 물론, 결속기 내로 상기 대강의 단부가 진입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원활한 대강공급이 되도록 하며, 모터의 용량을 최소화하여 소음 및 오염물질 배출을 격감시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 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극히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Claims (8)

  1. 포장용 대강공급장치에 있어서,
    대강롤(170)에 권취되어 있는 대강을 결속기로 공급토록 바닥과 수직으로 세워지고 중심을 관통하는 회전축(140)과 고정되는 회전판(110)과, 상기 회전축(140) 단부에서 상기 회전판(110) 전면으로 회전축(140)에 의해 끼워져 장착되는 대강롤(170)을 밀착고정하기 위해 설치되는 고정장치(120)와, 상기 회전축(140)을 지지하는 지지대(150), 및 상기 회전축(140)에 연결된 모터(160)로 이루어진 디스펜서부(100);
    상기 디스펜서부(100)에서 공급되는 대강의 단부를 감지하여 공급을 제어토록 클램프장치(210) 및 감지센서(70)가 설치된 제어부(200); 및
    상기 제어부(200)를 통과한 대강을 결속기로 공급하고 그 잔량을 저장토록 상부휠장치(310)와, 웨이트휠장치(320) 및 위치감지센서(330)가 설치된 루퍼부(300);를 포함하여 대강의 이탈을 방지하고 대강의 단부를 감지하여 공급을 제어하면서 대강의 잔량이 최소화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대강 공급장치.
  2. 상기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120)는,
    상기 회전판(110)의 전면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전후로 이동가능토록 설치되는 밀착부재A(122);
    상기 회전축(140)의 단부와 나사결합에 의해 분리, 결합되는 밀착핸들(123); 및
    상기 밀착부재A(122)와 밀착핸들(123) 사이에 상호 힌지연결되어 상기 밀착핸들(123)의 회전에 의해 확장 및 축소가 가능토록 설치된 링크(121);
    상기 대강롤(170)과 밀착핸들(123)에 사이에 회전축(140)에 끼워져 고정되고 밀착되는 밀착부재B(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대강 공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부(100)에서 인출된 대강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200)는,
    루퍼프레임(340)에 고정되어 대강을 상기 루퍼부(300)로 안내하는 상,하부 휠(230)(240);
    상기 대강의 단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250);
    상기 감지센서(250)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클램프장치(210); 및
    상기 클램프장치(210) 하부에 설치되는 클램프가이드(220);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대강 공급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장치(210)는,
    상기 상기 루퍼프레임(340)에 고정되어 대강을 안내토록 설치된 롤러(213);
    상기 대강과 밀착되어 상기 대강의 공급을 정지토록 상기 롤러(213)의 전방에 설치되는 피스톤(212); 및
    상기 피스톤(212)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감지센서(250)의 신호에 따라 상기 피스톤(212)을 작동시키는 에어실린더(211);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대강 공급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강의 잔여량을 저장하는 루퍼부(300)는,
    바닥과 일정높이를 갖도록 양측에 수직으로 세워진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상호연결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루퍼프레임(340);
    상기 루퍼프레임(340)의 상부에 고정된 상부휠장치(310);
    상기 루퍼프레임(340)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토록 설치된 웨이트휠장치(320); 및
    상기 루퍼프레임(340)의 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웨이트휠장치(320)의 위치를 감지하여 대강의 공급속도를 제어하는 위치감지센서(330)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대강 공급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휠장치(310)는,
    상기 대강이 지나도록 원형의 드럼형상을 가지며, 양측면의 중심에 관통홀(313)이 형성된 복수의 드럼휠(311);
    상기 드럼휠(311)이 회전토록 상기 관통홀(313)을 통과하고, 양단부가 상기 루퍼프레임(340) 상부에 고정되는 드럼휠 지지구(312)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대강 공급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휠장치(320)는,
    상기 대강이 지나도록 원형의 드럼형상을 가지며, 양측면의 중심에 관통홀(313)이 형성된 복수의 드럼휠(311);
    상기 드럼휠(311)이 회전토록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축(321);
    상기 루퍼프레임(340)의 양단에 밀착되어 상기 드럼휠(311)을 상하로 이동토록 상기 중심축(321)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승강용휠(322); 및
    상기 중심축(321)의 일측에 고정되는 무게추(323)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대강 공급장치.
  8.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센서(330)는,
    상기 루퍼프레임(340)에 부착되고, 상부으로부터 상기 웨이트휠의 상한위치를 감지하는 센서A(331);
    저속구간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B(332); 및
    하한위치를 감지하는 센서C(333)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대강 공급장치.
KR2020010029166U 2001-09-21 2001-09-21 포장용 대강 공급장치 KR2002582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166U KR200258220Y1 (ko) 2001-09-21 2001-09-21 포장용 대강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166U KR200258220Y1 (ko) 2001-09-21 2001-09-21 포장용 대강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8220Y1 true KR200258220Y1 (ko) 2001-12-31

Family

ID=73109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166U KR200258220Y1 (ko) 2001-09-21 2001-09-21 포장용 대강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822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48060A (en) Automatic web roll handling system for splicing
NL2004379C2 (en) Welding wire winder and welding wire feeder.
EP0248026B1 (en) A system for supplying strip to a processing line
US4778122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reel drums to the winder of a paper or board machine
JP2000118807A (ja) センタ―ドライブ巻き出し装置及びコア付き親ロ―ルを巻き出す方法
US6533212B1 (en) Web-splicing apparatus
JP4635152B2 (ja) 処理物袋詰め装置
KR200258220Y1 (ko) 포장용 대강 공급장치
CN116829461A (zh) 一种用于拉伸缠绕机的薄膜自由端控制装置和方法
US4609161A (en) System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processing strip material
US5462165A (en) Paper reel, paper reel unpacking station for unpacking the paper reel, and process for unpacking the paper reel
JP3453350B2 (ja) 連続巻出装置及びウェブの連続巻出方法
JP2628075B2 (ja) オートリールローダ
EP1657157B1 (en) A device for eliminating the trailing end that is formed in the film coming off wrapping machines for wrapping palletized loads when the reel of film is replaced
CA2314291C (en) Unwinding apparatus
US11661226B2 (en) Wrapping robot with enhanced safety and reliability
JPH07165356A (ja) シート及びフィルム巻取機
KR100544621B1 (ko) 밴딩 머신용 연속 대강 공급 장치
EP0489855B1 (en) Device for splicing web materials
JPH05200463A (ja) 材料供給装置
JP3048832B2 (ja) 2段圧延ロールチョック組立装置
JPH0741523Y2 (ja) スプール・コイル端末分離抜取り装置
JPH083408Y2 (ja) ペーパーロールへのテープ巻付機
JPH11293530A (ja) チーズ移載装置及びチーズ運搬車
JPH08175517A (ja) 円筒体の多重包装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