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8060Y1 - 원적외선방사분말이내장된보료 - Google Patents

원적외선방사분말이내장된보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8060Y1
KR200258060Y1 KR2019980009617U KR19980009617U KR200258060Y1 KR 200258060 Y1 KR200258060 Y1 KR 200258060Y1 KR 2019980009617 U KR2019980009617 U KR 2019980009617U KR 19980009617 U KR19980009617 U KR 19980009617U KR 200258060 Y1 KR200258060 Y1 KR 2002580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far
infrared radiation
heat transfer
transf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96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5715U (ko
Inventor
선우형철
Original Assignee
선우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우형철 filed Critical 선우형철
Priority to KR20199800096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8060Y1/ko
Publication of KR199800557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57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80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8060Y1/ko

Links

Landscapes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적외선 방사분말이 내장된 보료에 관한 것으로서, 가열에 의하지 않고도 상온에서 고효율로 원적외선이 방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계절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사용하여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고, 또한 원적외선 방사분말이 쏠리지 않도록 곧바로 구획되어 내장되도록 함으로써 원적외선 방사분말의 수납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취급 및 운반이 용이한 원적외선 방사분말이 내장된 보료의 제공을 목적을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보료는, 사각테두리(11) 및 상기 사각테두리의 하부를 막는 바닥판(13)을 가진 베이스(1)와; 베이스의 바닥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열판(2)과; 전열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구획칸(31)을 가진 격자틀(3)과; 격자틀의 각 구획칸에 수납되는 원적외선 방사분말(4)과; 원적외선 방사분말이 수납된 격자틀 상부를 덮는 제1천부재(5)와; 그리고, 제1천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돗자리(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원적외선 방사분말(4)로는 맥섬석분말, 맥반석분말, 건조황토분말, 게르마늄분말, 화강암분말, 옥돌분말 또는 이들의 모두 또는 선택적인 혼합분말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전열판(2)의 하부에 제2천부재(8)가 더 설치되고, 제2천부재와 전열판과의 사이에는 동박판(9)이 더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사각테두리(11) 및 돗자리(6)의 가장자리부에 걸쳐 가죽(71)으로 마감처리된다.

Description

원적외선 방사 분말이 내장된 보료{MATTRESS CONTAINED POWDER RADIATING FAR INFRARED RAYS}
본 고안은 원적외선 방사분말이 내장된 보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열하지 않고 상온에서도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고, 또한 격자 또는 하니콤 구조의 구획틀에 원적외선 방사분말이 구획내장됨으로써 원적외선 방사분말이 한쪽으로 쏠리지 않아 취급이 용이하고 원적외선이 고르게 방사되어 치료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원적외선 방사 분말이 내장된 보료에 관한 것이다.
원전외선은 인체내의 분자운동을 촉진시키고 모세혈관을 팽창시켜 혈액순환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악취를 중화시키고 분해하여 살균작용을 하는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음이 명백히 입증되고 있다. 이와 같이, 원적외선이 우리 몸의 노폐물을 배출, 각종 질병의 원인을 제거하고 분해하여 각종 성인병 치료와 예방에 뛰어난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이 알려짐에 따라 원적외선을 이용한 각종 보조치료도구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보조치료도구로 대표적인 것은 하루의 생활중 가장 많은 시간이 수면을 취하는 시간인 것을 감안하여 치료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고안된 원적외선 방사보료이다. 이 보료들중 대표적인 것으로 한국 실용신안공고 제95-10421호의 온돌 흙 보료를 들 수 있다.
선행기술의 보료는, 점토, 황토, 백토, 마사토 혼합분말을 보료 내부에 그대로 내장하면 한쪽으로 쏠리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혼합분말을 해초류로 만든 반죽풀과 혼합하고 이 속에 발열선을 내장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제조공정이 복잡하다. 또한, 혼합분말을 곰팡이가 슬거나 부패하기 쉬운 해초류 등으로 접착시킴으로써 장기간 보료를 사용하게 되면 오히려 치료효과가 반감될 우려가 있고 해초류 대신 공업용 접착제를 사용할 경우에는 더욱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원적외선을 이용한 치료효과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상온에서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원적외선이 많이 방사된다고 알려진 선행기술에 사용되는 황토나 맥반석 등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원적외선 방사물질의 경우 상온 이상으로 가열을 해야만 원적외선 방사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사용환경이나 용도에 있어서 많은 제약을 가진다. 즉, 가열을 해야 하므로 무더운 여름철에는 사용하기 어려워 장기간 치료를 요하는 경우 지속적인 치료가 힘들다.
한편, 1996년 11월 30일자 국내 국제침구의약신문에 소개된 "생광석(맥섬석으로 잘 알려져 있음)"의 경우 각종 기관에서 시험한 결과 0∼30℃의 상온에서도 고효율의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자원연구소에 맥섬석에 대한 원적외선 분포시험을 의뢰하여 시험번호 945-0418로 1994년 5월 12자로 나온 시험결과를 보면 더욱 잘 알 수 있다. 또한, 일본 코마테라 크리닉원에서 1996년 9월 7일자 발표한 상기 맥섬석에 대한 임상시험결과에 따르면. 맥섬석은 신경계통과 근육계통, 그리고 피로회복, 체질개선 등에 탁월한 효능이 있음과 아울러 악취제거와 살균효과도 뛰어난 광석인 것으로 입증된 바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치료효과 및 건강증진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던 중 상기 맥섬석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보료를 개발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맥섬석 분말 또는 이를 포함한 원적외선 방사분말을 주로 이용하여 가열에 의하지 않고도 상온에서 고효율로 원적외선이 방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계절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사용가능하여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고, 또한 원적외선 방사분말이 쏠리지 않도록 곧바로 구획되어 내장되도록 함으로써 원적외선 방사분말을 수납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취급 및 운반도 용이한 원적외선 방사분말이 내장된 보료의 제공을 목적을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부가적인 목적은 전자파 및 수맥에 의한 나쁜 영향을 차단할 수 있는 보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보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료의 하부조립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료의 상부조립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보료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이스 2 : 전열판
3 : 격자틀 4 : 원적외선 방사분말
5, 8, 61 : 천부재 6 : 돗자리
9 : 동박판 11 : 사각테두리
12 : 전측부재 13 : 바닥판
31 : 구획칸 71 : 가죽
72 : 고정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원적외선 방사분말이 내장된 보료는, 사각테두리 및 상기 사각테두리의 하부를 막는 바닥판을 가진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바닥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열판과; 상기 전열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구획칸을 가진 격자틀과; 상기 격자틀의 각 구획칸에 수납되는 원적외선 방사분말과; 상기 원적외선 방사분말이 수납된 격자틀 상부를 덮는 제1천부재와; 그리고, 상기 제1천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돗자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격자틀의 구획칸은 마름모형, 사각형, 하니콤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구획칸들에 수납되는 원적외선 방사분말은 맥섬석분말, 맥반석분말, 건조황토분말, 게르마늄분말, 화강암분말, 옥돌분말 또는 이들의 모두 또는 선택적인 혼합분말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전열판의 하부에 제2천부재가 더 설치될 수 있고, 또한 이 제2천부재와 전열판과의 사이에는 전자파 및 수맥에 의한 악영향을 차단하기 위하여 동박판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돗자리로는 왕골이나 대나무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돗자리의 저면은 천으로 마감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각테두리를 따라 미려하게 마감처리하기 위하여, 돗자리의 가장자리부를 사각테두리의 상면에 놓고, 돗자리의 가장자리부 상면에는 가죽의 일단부 및 고정부재를 아래에서 위로 차례로 놓은 다음, 고정부재를 나사못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하여 사각테두리에 고정함으로써 돗자리의 가장자리부 및 가죽의 일단부를 고정한 후 가죽의 타단부가 고정부재를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감싸면서 사각테두리의 저면에 놓이도록 하여 나사못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하여 이를 사각테두리의 저면에 고정하면, 사각테두리, 고정부재 및 돗자리의 가장자리부가 가죽으로 미려하게 마감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전열판의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는 사각테두리의 전측부재 일측 또는 양쪽에 전열판의 수에 따라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보료에 따르면, 보료제조과정에서 원적외선 방사분말을 수납할 때 원적외선 방사분말을 동식물성 또는 공업용 접착제 등으로 접착할 필요없이 그대로 격자틀의 각 구획칸에 부어 넣기만 하면 되므로 제조공정이 간단해진다.
그리고, 격자틀의 각 구획칸에 수납된 원적외선 방사분말이 보료를 운반하거나 취급하는 과정에서 각 구획칸 내부에서는 약간 쏠릴 수 있으나 이는 아주 국소적인 현상이고 격자틀 전체적으로는 고르게 분포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보료의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고, 보료의 옮겨 사용할 때에 별도로 원적외선 방사분말을 고르게 분포시키지 않고 그대로 바닥에 놓고 사용하여도 좋다.
본 고안에 따르면, 원적외선 방사분말로 맥섬석 분말 또는 이것과 다른 원적외선 방사분말을 서로 혼합한 혼합분말을 사용하게 되면, 상온에서도 고효율의 원적외선이 방사되므로 예컨대 더운 여름철에 전열판을 가열하지 않아도 되므로 더운 여름철이라 할지라도 보료를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부호 1은 베이스로서, 사각테두리(11)와, 상기 사각테두리(11)의 하부를 막는 바닥판(13)을 가짐으로써 상부가 개구된 수납공간을 가진다.
상기 바닥판(13)으로는 합판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사각테두리(11)의 전측부재(12)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베이스(1)의 수납공간쪽으로 개방됨으로써 내부공간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내부공간은 중앙부재에 의하여 상하로 구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베이스(1)의 바닥에는 적어도 하나의 전열판(2)이 설치된다. 예컨대 1인용 보료의 경우 전열판(2)은 1개 설치된다. 2인용 보료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전열판(2,2)이 설치되어도 좋고, 이 2개의 전열판(2,2)을 합한 크기를 가지는 1개의 전열판(2)만이 설치되어도 좋다.
그리고, 전열판(2)을 온, 오프조작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각테두리(11)의 전측부재(12)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전열판(2)의 설치 수량에 따라 그 만큼 조작부(21)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술한 전측부재(12)의 내부공간은 전열판(2)에 대한 배선공간 및 조작부(21)의 설치공간으로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열판(2)의 상부에는 다수의 구획칸(31)이 형성된 격자틀(3)이 설치된다. 격자틀(3)의 구획칸(31)은 마름모형, 사각형, 하니콤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는 사각형의 구획칸(31)들을 가진 격자틀(3)이 예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틀(3)의 구획칸(31)들에는 원적외선 방사분말(4)이 접착제 등에 의하여 접착하는 등의 공정을 별도로 거치지 않고 분말상태 그대로 수납된다. 이와 같이 원적외선 방사분말(4)이 구획칸(31)들에 분말상태 그대로 수납되도록 하면, 격자틀(3) 없이 원적외선 방사분말(4)을 수납하거나 원적외선 방사분말(4)을 접착제로 접착하여 수납할 때보다 작업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빠르게 수납할 수 있고, 완성된 보료를 운반 및 취급할 때 원적외선 방사분말(4)이 한 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원적외선 방사분말(4)로는 맥섬석분말, 맥반석분말, 건조황토분말, 게르마늄분말, 화강암분말, 옥돌분말 등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고, 이들을 모두 혼합하거나 선택적으로 혼합한 혼합분말이 사용되어도 좋다. 그러나, 상기 맥섬석분말 또는 이것이 혼합된 혼합분말의 경우를 제외하면 나머지 원적외선 방사분말(4)은 고효율의 원적외선을 방사하기 위해서는 가열을 요하는 특성을 가진다는 점을 고려하여 상온에서도 고효율의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도록 이들 중 맥섬석분말 또는 맥섬석분말이 일부 포함된 혼합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원적외선 방사분말(4)이 수납된 격자틀(3) 상부는 원적외선 방사분말(4)이 날리거나 누설되지 않도록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천부재(5)로 덮이며, 상기 제1천부재(5)상에 돗자리(6)가 설치된다. 돗자리(6)로는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지만 왕골이나 대나무 등 통풍성이 우수한 재질이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돗자리(6)의 표면은 미관을 위하여 예컨대 전통무늬나 한자무늬, 그림 등으로 미려하게 처리될 수 있다. 또한 돗자리의 저면은 천부재(61)로 마감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돗자리(6)가 설치되면, 가장자리부가 들뜨게 되고 이 들뜬 틈 사이로 원적외선 방사분말(4)이 날릴 수 있기 때문에 돗자리(6)는 가장자리부가 사각테두리(11)의 상면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돗자리(6)의 가장자리부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테두리(11)에 고정되어 가죽(71)으로 마감처리된다. 즉, 사각테두리(11)의 상면에 놓인 돗자리(6)의 가장자리부의 상면을 따라 가죽(71)들의 일단부가 놓이고, 가죽(71)의 일단부상에는 고정부재(72)(도 3 및 도 4 참조)가 놓이며, 이 고정부재(7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못과 같은 고정수단(73)에 의하여 사각테두리(11)에 고정됨으로써 돗자리(6)의 가장자리부 및 가죽(71)의 일단부가 고정부재(72) 및 사각테두리(11) 사이에 협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가죽(71)의 타단부는 고정부재(72)를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감싸면서 사각테두리(11)의 저면에 놓이도록 굴곡된 다음 고정수단(74)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써 고정부재(72)의 외부 및 돗자리(6)의 가장자리부를 가죽(71)이 감싸게 됨에 따라 사각테두리(11), 고정부재(72) 및 돗자리(6)의 가장자리부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려하게 마감처리될 수 있다.
여기서는 마감부재로 가죽(71)만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외에 인조가죽이나 천 등도 마감부재로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마감부재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전열판(2)의 하부 즉, 바닥판(13)의 상면에 제2천부재(8)가 더 설치될 수 있고, 이 제2천부재(8) 및 전열판(2)과의 사이에는 동박판(9)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박판(9)이 설치되면, 전열판(2)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를 제거할 수 있음과 아울러 수맥의 의하여 미치는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보료에 따르면, 보료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전열판(2) 위에 격자틀(3)을 놓고, 이 격자틀(3)의 각 구획칸(31)에 원적외선 방사분말(4)을 부어 넣어 평탄하게만 하면 되고 별도로 원적외선 방사분말(4)을 접착제 등으로 접착시키는 등의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원적외선 방사분말(4)을 수납하는 공정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원적외선 방사분말(4)이 각 구획칸(31)에 수납되면 보료를 제조하는 과정에서나 보료를 완성한 후 보료를 운반 또는 취급하는 과정에서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한 쪽으로 쏠리는 것이 방지되므로 뵤료를 운반 또는 취급하기 쉽고, 보료를 옮겨 사용할 때 원적외선 방사분말(4)을 고르게 분포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원적외선 방사분말(4)을 별도록 고르게 분포시키는 등의 번거로운 작업을 하지 않아도 좋다.
본 고안에 따르면, 원적외선 방사분말(4)로 맥섬석 분말 또는 이것과 다른 원적외선 방사분말이 혼합된 혼합분말이 사용될 경우 맥섬석 분말이 상온에서도 높은 원적외선 방사효율을 가지므로 굳이 전열판(2)에 의하여 원적외선 방사분말(4)을 가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여름철에도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겨울철 등에 전열판(2)을 사용할 경우 이에 따라 발생되는 전자파 등은 동박판(9)의 채용으로 제거될 수 있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동박판(9)에 의하여 지하에 수맥이 흐를 경우 수맥의 흐름에 따른 악영향이 방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보료에 의하면, 원적외선 방사분말(4)로 맥섬석 분말 또는 이것과 다른 원적외선 방사분말이 혼합된 혼합분말이 사용되면 전열판(2)에 의한 가열없이도 상온에서 원적외선 방사효율이 좋으므로 계절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꾸준하게 치료효과를 거둘 수 있어 우수한 보조치료도구 또는 건강증진도구로 사용될 수 있고, 특히 여름철에도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어 치료효과는 더욱 상승된다.
또한, 원적외선 방사분말(4)이 접착공정등의 작업을 거치지 않고 그대로 격자틀(3)의 구획칸(31)에 수납되도록 함으로써 제조공정이 단순화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이 줄어들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보료를 옮겨 사용할 경우 원적외선 방사분말(4)이 격자틀(3)에 의하여한 쪽으로 쏠리는 것이 방지되어 별도의 작업없이 보료를 옮겨 바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운반성, 취급성 및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더욱이, 전열판(2)의 하부에 동박판(9)이 더 설치되면 전열판(2)의 사용에 따라 전자파의 악영향이나 지하에 존재하는 수맥에 의한 나쁜 영향을 차단할 수 있어 치료효과가 상승된다.

Claims (2)

  1. 사각테두리(11) 및 상기 사각테두리의 하부를 막는 바닥판(13)을 가진 베이스(1)와; 상기 베이스의 바닥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열판(2)과; 상기 전열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구획칸(31)을 가진 격자틀(3)과; 상기 격자틀의 각 구획칸에 수납되는 원적외선 방사분말(4)과; 상기 원적외선 방사분말이 수납된 격자틀 상부를 덮는 제1천부재(5)와; 그리고, 상기 제1천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돗자리(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지의 보료에 있어서,
    상기 전열판(2)의 하부에 제2천부재(8)가 더 설치되고,
    상기 제2천부재와 전열판과의 사이에는 동박판(9)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분말이 내장된 보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돗자리(6)의 가장자리부가 사각테두리(11)의 상면에 놓이고,
    돗자리의 가장자리부 상면에는 가죽(71)의 일단부 및 고정부재(72)가 아래에서 위로 차례로 놓이며,
    상기 고정부재는 고정수단(73)에 의하여 사각테두리에 고정되고,
    가죽의 타단부는 고정부재를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감싸면서 사각테두리의 저면에 위치하여 고정수단(74)에 의하여 사각테두리의 저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분말이 내장된 보료.
KR2019980009617U 1998-06-05 1998-06-05 원적외선방사분말이내장된보료 KR2002580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617U KR200258060Y1 (ko) 1998-06-05 1998-06-05 원적외선방사분말이내장된보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617U KR200258060Y1 (ko) 1998-06-05 1998-06-05 원적외선방사분말이내장된보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5715U KR19980055715U (ko) 1998-10-07
KR200258060Y1 true KR200258060Y1 (ko) 2002-02-19

Family

ID=69512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9617U KR200258060Y1 (ko) 1998-06-05 1998-06-05 원적외선방사분말이내장된보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806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424B1 (ko) 2007-08-29 2009-01-07 송태열 쿠션 있는 돌 매트리스 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7888A (ko) * 2002-05-10 2003-11-15 최종우 침대
KR101025631B1 (ko) * 2010-07-19 2011-03-29 장기룡 황토지지틀이 구비된 황토분말 보료 및 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424B1 (ko) 2007-08-29 2009-01-07 송태열 쿠션 있는 돌 매트리스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5715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1732B1 (ko) 황토와 숯이 포함된 기능성 편백 온열 침대
KR200258060Y1 (ko) 원적외선방사분말이내장된보료
CN105054702A (zh) 远红外线热毯垫
KR20180037743A (ko) 원적외선 뜸기구
KR20110018134A (ko) 황토볼이 내장된 온열매트
JP2007307282A (ja) 温石浴装置
CN211723970U (zh) 一种带按摩和加热功能的足疗桶
KR200261222Y1 (ko) 찜질보료
CN204151106U (zh) 能量分子水设备
JP2007209693A (ja) 家庭用岩盤浴装置
KR200306012Y1 (ko) 전기 온열 패널을 이용한 물리치료 매트
KR101523342B1 (ko) 패널형 전열 히터
KR200180872Y1 (ko)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매트
KR102345214B1 (ko) 다용도 온열기
KR200345174Y1 (ko) 황토 온열 지압기
KR100404384B1 (ko) 은판이 구비된 매트용 패드, 그를 이용한 매트 및 매트의제조방법
KR930009280B1 (ko) 비닐장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473852B1 (ko) 이동식 건강 찜질기
CN211024826U (zh) 手持式保健装置
JPS6036135Y2 (ja) 炬燵マツト
KR20100008855U (ko)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
KR200339612Y1 (ko) 원적외선방사 나무온열침대
KR200178542Y1 (ko) 원적외선을 이용한 보온의자
KR200307324Y1 (ko) 자기요법을 적용한 돌침대
KR200186512Y1 (ko) 혼합재료를 이용한 온열매트리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