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8855U -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 - Google Patents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8855U
KR20100008855U KR2020100001320U KR20100001320U KR20100008855U KR 20100008855 U KR20100008855 U KR 20100008855U KR 2020100001320 U KR2020100001320 U KR 2020100001320U KR 20100001320 U KR20100001320 U KR 20100001320U KR 20100008855 U KR20100008855 U KR 2010000885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bath
far
water
tile
heal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3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규
Original Assignee
김창규
김정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규, 김정선 filed Critical 김창규
Priority to KR20201000013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8855U/ko
Publication of KR201000088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85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22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6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for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양 발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된 족욕 용기부,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족욕 용기부의 내부에 형성된 원적외선 전열부, 상기 수용공간의 상면에 구비된 건강 타일 및 상기 족욕 용기부에 형성되어 상기 건강 타일의 열 또는 원적외선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다리를 감싸는 다리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건강 타일은 황토, 소금 및 탄소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물을 사용하지 않고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족욕을 즐길 수 있다.

Description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FOOT BATH DEVICE WITHOUT USING WATER}
본 고안은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황토에 탄소섬유 및 구운 소금 등을 첨가하여 형성된 건강 타일을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에 구비하여 건강 타일에서 발생되는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족 사우나를 함으로써 물을 사용하지 않는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신욕 열풍이 불기 시작하면서 반신욕의 효과를 얻으면서 시간과 공간, 물절약 효과까지 더해져서 한층 인기가 높아진 것이 바로 족욕(足浴)이다.
한의학적으로 볼 때, 족욕 또한 반신욕과 마찬가지로 하반신을 따뜻하게 함으로써 혈액순환 장애를 초래하는 냉기를 없애는 것으로, 머리는 차갑고 발은 따뜻하게 하는 두한족열(頭寒足熱) 상태의 건강 목욕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한방에서는 병의 근원으로 지목하는 "냉(冷)"을 없애는 족욕은 더 없이 좋은 웰빙 건강법이 될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고 보면, 족욕은 반신욕과 그 효과는 같지만 옷을 벗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과 반신욕 용품에 비하여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다는 이유로 인해 웰빙족으로부터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갖는 족욕기들이 제안되고 있고, 이들 중 물을 이용한 습식방식의 족욕기가 많이 알려지고 있으나, 이는 일정한 온도로 가열된 온수에 족욕을 하는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발을 담그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족욕에 따른 사용자의 활동이 자유롭지 못하다.
또한, 물을 사용함에 따른 장소적 제한(주로 가정에서 사용)이 수반될 수 밖에 없고, 또 족욕을 하는 과정에서 물이 넘치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뿐 아니라 족욕을 마친 후에는 물을 버려야 하고, 또 주변을 청소해야 하는 등의 여러 가지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물을 이용한 종래 습식 족욕기는 물의 가열에 따른 가열 장치의 부가로 인해 족욕기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물을 지속적으로 전기 가열을 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과다한 전기 소비량에 의한 에너지 효율이 크게 떨어진다는 문제와 더불어 제품의 부피가 비대하여 운반 등의 취급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결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물을 가열하기 위한 전열부의 전선이 물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감전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물을 사용하지 않고 좁은 공간에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황토를 함유한 건강 타일을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에 이용함으로써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황토에 탄소섬유 및 구운 소금을 첨가함으로써 건강 타일의 강도와 내구성을 높여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건강 타일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이 긴 파장으로 회절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양 발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된 족욕 용기부;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족욕 용기부의 내부에 형성된 원적외선 전열부; 상기 수용공간의 상면에 구비된 건강 타일; 및 상기 족욕 용기부에 형성되어 상기 건강 타일의 열 또는 원적외선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다리를 감싸는 다리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건강 타일은 황토, 소금 및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황토, 소금 및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건강 타일을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에 이용함으로써, 물을 사용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고 원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내구성이 강한 탄소섬유를 이용함으로써 원적외선 방출량을 더 늘일 수 있고, 점성이 약해져서 타일이 갈라지면서 황토 등이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건강 타일은 백토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소금은 구운 소금을 이용할 수 있다. 구운 소금을 이용함으로써 방충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황토에 독소가 제거된 구운 소금을 첨가함으로써 미세한 소금 결정의 원적외선 반사로 인해 원적외선 방출량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 타일은 황토 77.5%, 백토 20% 및 소금 2.5%의 혼합물에 탄소섬유를 내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의 상기 다리 수용부에는 사용자의 다리에 맞도록 상기 다리 수용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고정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밴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다리 수용부를 다리의 크기에 맞게 쉽게 조절할 수 있고 열기 내지 원적외선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은 격벽으로 구획되며, 상기 격벽 상면에는 복수개의 지압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양 발이 놓이는 수용공간의 격벽에 돌기를 형성하여 발을 지압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다리 수용부는 단열재질로 형성되거나, 상기 다리 수용부의 내면에는 단열 처리를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낮은 온도에서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가 작동하더라도 충분한 족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용공간의 측벽에는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을 통해 긴 파장의 원적외선이 회절되어 방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용공간의 측벽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건강 타일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이 회절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파장이 긴 원적외선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멍은 상기 수용공간의 측벽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족욕 용기부의 일측에는 상기 원적외선 전열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싱부가 형성되고, 상기 온도 센싱부의 일측에는 온도 조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 타일은 상기 수용 공간에서 장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파손된 건강 타일을 쉽게 교체하여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건강 타일을 이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황토를 포함한 건강타일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을 이용함으로써,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을 돕고 세포조직 생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황토를 함유한 건강 타일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유기화합물 분자에 공진 및 공명을 줄 수 있고, 세포를 미세하게 흔들어 줌으로써 세포조직을 활성화하며 노화 방지, 신진대사 촉진 등 성인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파장이 긴 원적외선을 이용함으로써 원적외선이 피부 깊숙이 침투하여 열을 만들어 내고, 이러한 열작용으로 인해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는 세균을 제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황토, 구운 소금 및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건강 타일을 구비함으로써, 고온에서 황토 성분 등이 떨어져 나가거나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건강 타일을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건강 타일이 파손되더라도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를 계속할 수 있으며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의 사용 연한을 늘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구운 소금을 포함시켜 황토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을 반사시킴으로써 원적외선 방출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토를 함유한 건강 타일은 천천히 가열되고 천천히 냉각되기 때문에 동일한 소비전력으로 보다 긴 시간 동안 높은 온도에서 족욕을 즐길 수 있으며, 사용자의 화상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따른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의 사용 상태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5 는 도 1에 따른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에 구비된 황토를 포함한 건강 타일의 원적외선 방출 에너지를 도시한 실험 그래프,
도 6은 도 1에 따른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에 구비된 황토를 포함한 건강 타일의 원적외선 방사율을 도시한 실험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고안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고안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따른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의 사용 상태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100)는 사용자의 양 발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110)이 형성된 족욕 용기부(120), 수용공간(1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족욕 용기부(120)의 내부에 형성된 원적외선 전열부(140), 수용공간(110)의 상면에 구비된 건강 타일(160) 및 족욕 용기부(120)에 형성되어 건강 타일(160)의 열 또는 원적외선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다리를 감싸는 다리 수용부(180)를 포함한다.
여기서, 족욕 용기부(120)는 사용자의 두 발을 수용할 수 있도록 음각으로 형성된 수용 공간(11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 공간(110)은 대략 성인의 평균적인 발 크기에 맞추어 형성될 수 있다.
수용 공간(110)은 사용자의 두 발을 각각 수용할 수 있도록 2개가 형성되며, 각각의 수용 공간(110)은 격벽(104)에 의해서 구획될 수 있다. 여기서, 격벽(104)의 폭은 사용자가 편안하게 두 발을 수용 공간(110)에 둘 수 있도록 너무 크지 않은 것이 좋다.
각각의 수용 공간(110)은 대략 직사각형 모양 또는 대략적인 발 형상에 맞추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수용 공간(110)을 형성하는 측벽(101) 중 적어도 하나의 측벽(101)에는 복수개의 구멍(102)이 형성될 수 있다. 건강 타일(160)에서 발생한 원적외선이 수용 공간(110)의 측벽(101)에 형성된 구멍(102)을 통과하면서 회절(回折)되어 비교적 긴 파장의 원적외선이 방출될 수 있다. 원적외선의 파장이 길수록 피부 깊숙이 침투할 수 있다. 또한, 구멍(102)을 통해 방출되는 원적외선의 회절로 인해 약하게 옆에서 나오는 미온의 열로 사용자의 발을 전체적으로 감싸면서 피부 내부를 자극할 수도 있다.
이 때, 원적외선 회절 구멍(102)은 수용 공간(110)의 측벽(101) 중 어느 일부분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측벽(101)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수용 공간(110)의 바닥면 내지 하부에는 건강 타일(160)이 구비되는데, 건강 타일(160)은 황토를 주성분으로 한다. 건강 타일(160)은 황토에 소금 및 백토를 혼합하고, 그 혼합물에 탄소 섬유를 넣어서 형성될 수 있다.
황토에 탄소섬유와 소금을 첨가하여 타일 형태로 건강 타일(160)을 제조함으로써, 황토에서 발생되는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집먼지 제거 및 항균, 방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황토의 점성이 약해 갈라져서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고 타일 형태로 만들기 때문에 가정에서 쉽게 황토에서 발생하는 원적외선을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100)의 건강 타일(160)은 수용 공간(110)에서 분리 또는 장탈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10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건강 타일(160)을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100)의 수용 공간(110)에 장착하여 사용하고,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1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건강 타일(160)을 수용 공간(110)에서 분리하여 가정의 욕실에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건강 타일(160)은 수용 공간(110)에서부터 장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파손된 건강 타일(160)의 교체가 용이하여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100)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황토를 함유하는 건강 타일(160)을 이용함으로써,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100)에 물을 사용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고 황토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을 족욕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내구성이 강한 탄소섬유를 이용함으로써 원적외선 방출량을 더 늘일 수 있고, 점성이 약해져서 타일이 갈라지면서 황토 등이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건강 타일(160)에 함유된 소금으로는 구운 소금을 이용할 수도 있다. 구운 소금을 이용함으로써 방충 효과를 높일 수 있고, 황토에 독소가 제거된 구운 소금을 첨가함으로써 미세한 소금 결정의 원적외선 반사로 인해 원적외선 방출량을 더욱 높일 수 있으며, 황토의 방충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고 인체의 노폐물 제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타일(160)을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황토를 구하여 곱게 분쇄한다. 분쇄된 황토 가루를 제토시킨다. 즉, 분쇄된 황토 가루를 체로 쳐서 말리고, 원료를 혼합한 후 숙성시킨다. 이 때, 혼합되는 원료는 황토 77.5%, 백토 20% 및 소금 2.5%이며, 이 3가지 원료의 혼합물에 탄소 섬유를 넣은 후 숙성시킨다. 그 다음으로 숙성된 혼합물을 원하는 모양으로 타일을 성형한다. 성형된 타일을 활성 가열하고 냉각시켜 최종 건강 타일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인체에 좋은 황토와 탄소섬유를 이용하여 건강 타일을 제조함으로써, 탄소섬유의 장점인 내구성과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황토의 원적외선 방출량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열가공에 의한 황토의 균열을 막아 강도와 내구성을 높일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타일(160)은 우수한 원적외선 방출로 혈액 순환과 세포조직 생성에 도움을 주며 황토에서 발생하는 원적외선은 유기화합물 분자에 공진 및 공명작용이 강하며, 세포를 1분에 약 2000번씩 미세하게 흔들어 줌으로써 세포조직을 활성화하여 노화방지, 신진대사 촉진 등 성인병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타일(160)은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100) 뿐만 아니라, 방석이나 침대에 건강 타일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집의 실내 벽면의 일부에 벽지를 바르지 않고 전열 패널(미도시)을 벽면에 설치하고 전열 패널 위에 건강 타일을 부착함으로써, 난방과 함께 원적외선에 의한 건강 증진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가정의 욕실 내벽에 건강 타일을 부착할 수도 있고, 친환경 인테리어 타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토를 함유한 건강 타일(160)은 일반적인 황토 타일과 달리 천천히 가열되고 천천히 냉각되기 때문에 동일한 소비전력을 소비한다고 가정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타일(160)이 더 많은 원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도 5 는 도 1에 따른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에 구비된 황토를 포함한 건강 타일의 원적외선 방출 에너지를 도시한 실험 그래프이고, 도 6은 도 1에 따른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에 구비된 황토를 포함한 건강 타일의 원적외선 방사율을 도시한 실험 그래프이다. 도 5 및 도 6의 그래프는 한국 건자재 실험 연구원에 의뢰하여 얻은 실험 그래프이며,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타일(160)은 거의 흑체(Black Body)와 비슷한 량의 원적외선을 방출함을 알 수 있다.
실제 찜질방이나 사우나에서의 온도인 80℃에서 원적외선 방출 내지 방사율, 방사에너지를 측정하였다. 우선 도 5를 참조하면 파장이 5~20 ㎛인 구간에서 방사율이 0.92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최대 방사 에너지는 6.29 × 102 (W/m2)으로 방사 에너지가 비교적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토대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타일은 우수한 원적외선 방출 정도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건강 타일(160)을 가열하기 위해서 수용공간(1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족욕 용기부(120)의 내부에 형성된 원적외선 전열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원적외선 전열부(140)에 전기를 공급하여 가열시키고, 그 열을 이용하여 건강 타일(160)을 가열할 수 있다.
이 때, 원적외선 전열부(140)의 온도를 감지하여 건강 타일(160)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족욕 용기부(120)의 일측에는 원적외선 전열부(140)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싱부(12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온도 센싱부(122)의 일측에는 원적외선 전열부(14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도 조절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온도 센싱부(122)는 원적외선 전열판(140)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원적외선 전열판(140)에 의한 과열로 인해 열손실 또는 사용자의 신체가 화상을 입을 수도 있기 때문에 족용 용기부(120)의 내부를 알루미늄 테이프로 감싸서 족욕 용기부(120) 내부에서 적외선 반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100)에는 사용자의 다리를 감싸기 위한 다리 수용부(18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100)의 족욕 용기부(120)의 가장자리와 연결되도록 다리 수용부(180)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가 양 발을 수용 공간(110)에 둔 상태에서 다리 수용부(180)로 다리를 감싸게 되면 건강 타일(160)에서 발생하는 열기 또는 원적외선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건강 타일(160)에서 발생하는 원적외선을 거의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소비전력을 줄일 수도 있다.
여기서, 다리 수용부(180)의 일단측에는 사용자의 다리 둘레에 맞게 다리 수용부(18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고정부재(190)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재(190)를 이용함으로써 다리 수용부(180)의 일단이 사용자의 다리 둘레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다.
사용 편의를 위해 고정부재(190)는 밴드 형태 또는 벨크로(찍찍이)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리 수용부(180)를 다리의 크기 또는 둘레에 맞게 쉽게 조절함으로써, 다리 수용부(180) 내의 열기 또는 원적외선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다리 수용부(180)는 단열재질로 형성되거나, 다리 수용부(180)의 내면에는 단열 처리 또는 단열 코팅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 인해,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100)가 작동하더라도 사용 시간이 길어지면 다리 수용부(180) 내의 온도가 상승하여 충분한 족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리 수용부(180)는 부드러운 재질 또는 변형이 용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재질을 이용하여 다리 수용부(180)를 형성함으로써,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100)의 수용 공간(110)에 사용자가 발을 넣기 전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 수용부(180)를 아래쪽으로 쉽게 내릴 수 있다.
또한, 수용 공간(110)을 구획하는 격벽(104)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지압 돌기(106)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양 발이 놓이는 수용 공간(110)의 격벽(104)에 지압 돌기(106)를 형성하여 발을 지압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수용 공간(110)에 발을 넣고 족욕을 하는 중에 건강 타일(106)의 온도가 높다고 느껴지거나 사용자의 발에서 땀이 많이 나는 경우에는, 발을 수용 공간(110)에서 빼내어서 지압 돌기(106) 위에 둘 수도 있다.
지압 돌기(106)는 발의 지압 뿐만 아니라, 족욕을 잠깐 쉬면서 온도 조절을 할 때 이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지압 돌기(106) 뿐만 아니라 지압봉(미도시)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나란하게 배열된 복수개의 지압봉을 격벽(104) 상면에 형성하여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황토를 함유한 건강 타일을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에 이용함으로써,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는 세균을 없앨 수 있으며,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혈액 순환에 도움을 주는 등 사용자의 피로를 조기에 풀어 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 110: 수용공간
120: 족욕 용기부 140: 원적외선 전열부
160: 건강 타일 180: 다리 수용부

Claims (8)

  1. 사용자의 양 발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된 족욕 용기부;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족욕 용기부의 내부에 형성된 원적외선 전열부;
    상기 수용공간의 상면에 구비된 건강 타일; 및
    상기 족욕 용기부에 형성되어 상기 건강 타일의 열 또는 원적외선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다리를 감싸는 다리 수용부;
    를 구비하며,
    상기 건강 타일에서 발생한 원적외선이 회절(回折)되어 긴 파장의 원적외선이 방출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의 측벽 전체에 걸쳐 복수개의 원적외선 회절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건강 타일은 황토, 소금 및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타일은 백토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소금은 구운 소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타일은 황토 77.5%, 백토 20% 및 소금 2.5%의 혼합물에 탄소섬유를 내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수용부에는 사용자의 다리에 맞도록 상기 다리 수용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고정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밴드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은 격벽으로 구획되며, 상기 격벽 상면에는 복수개의 지압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수용부는 단열재질로 형성되거나, 상기 다리 수용부의 내면에는 단열 처리가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족욕 용기부의 일측에는 상기 원적외선 전열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싱부가 형성되고, 상기 온도 센싱부의 일측에는 온도 조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타일은 상기 수용 공간에서 장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
KR2020100001320U 2010-02-05 2010-02-05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 KR2010000885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320U KR20100008855U (ko) 2010-02-05 2010-02-05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320U KR20100008855U (ko) 2010-02-05 2010-02-05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966 Division 2009-02-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855U true KR20100008855U (ko) 2010-09-06

Family

ID=44199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320U KR20100008855U (ko) 2010-02-05 2010-02-05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885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412Y1 (ko) * 2012-12-28 2013-12-13 서병대 족욕기 겸용 좌변기
CN105768997A (zh) * 2016-04-11 2016-07-20 德中利德(天津)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多功能足浴盆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412Y1 (ko) * 2012-12-28 2013-12-13 서병대 족욕기 겸용 좌변기
CN105768997A (zh) * 2016-04-11 2016-07-20 德中利德(天津)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多功能足浴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5236B1 (ko) 전신 돔 사우나 장치
KR101514646B1 (ko) 족욕 겸용 좌욕기
KR200460431Y1 (ko) 건식 적외선 발생장치
KR20150010488A (ko) 침대형 온열기
KR20090010990U (ko) 건식 족욕기
KR101567526B1 (ko) 온열매트
KR20100008855U (ko) 물을 사용하지 않는 족욕기
KR200376748Y1 (ko) 건식 족욕기
KR200365925Y1 (ko) 황토볼 온열 매트
CN207477044U (zh) 一种基于石墨烯技术的远红外理疗鞋
KR20140088478A (ko) 온열 찜질기
KR20120045205A (ko) 찜질 겸용 건강 적송 사우나 부스
KR100902883B1 (ko) 건식 수족 온열기
KR200408936Y1 (ko) 개인용 온열 장치
KR200467671Y1 (ko) 족욕기
CN211244457U (zh) 一种远红外保健加热装置
KR101523342B1 (ko) 패널형 전열 히터
TWI423773B (zh) Ceramic foot bath boots
KR200371920Y1 (ko) 원적외선을 이용한 발 전용 찜질기
KR200240403Y1 (ko) 원적외선 방사용 바이오세라믹이 부착된 온열좌욕방석의료기
KR20180132403A (ko) 원적외선 방출 건강욕조
CN1878525B (zh) 用于桑拿浴室的远红外辐射发生器及提供有该发生器的桑拿浴室
KR200340132Y1 (ko) 수맥 차단 기능을 갖는 라텍스 황토 듀얼 침대
KR200217375Y1 (ko) 찜질용 원적외선 방사기
KR100269075B1 (ko) 전기온열건강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