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8016Y1 - 공기튜브의 배기장치 - Google Patents

공기튜브의 배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8016Y1
KR200258016Y1 KR2020010028931U KR20010028931U KR200258016Y1 KR 200258016 Y1 KR200258016 Y1 KR 200258016Y1 KR 2020010028931 U KR2020010028931 U KR 2020010028931U KR 20010028931 U KR20010028931 U KR 20010028931U KR 200258016 Y1 KR200258016 Y1 KR 2002580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inlet
pin
tube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89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주상
신명상
Original Assignee
신주상
신명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주상, 신명상 filed Critical 신주상
Priority to KR20200100289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80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80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8016Y1/ko

Links

Landscapes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튜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배출을 위해 주변에서 별도 도구를 찾거나 한 쪽 손으로 공기주입구를 잡아 누르고 다른 쪽 손으로 튜브몸체를 누르는 번거로운 동작없이 공기주입구에 함께 구비된 가압핀에 의해 한 쪽 손만으로도 간단하게 공기주입구를 개방시켜 그 개방된 공기주입구를 통해 튜브몸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공기튜브의 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공기 튜브(100)의 일측부에 공기주입구(210)와 마개(220), 연결편(230)으로 구성된 공기주입부(200)가 구비됨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구(210)의 외측에 가압핀(1)이 연결부(2)에 의해 일체로 구비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공기튜브의 공기주입구에 가압핀을 함께 구비하여 상기 가압핀의 공기주입구 삽입에 의해 상기 공기주입구의 개폐편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개폐편의 개방범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기존에 한 쪽 손으로 공기주입구를 잡아 누르고 다른 쪽 손으로 튜브몸체를 누르는 것에 의해 공기튜브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거나 주변에서 별도 가압도구를 찾는 번거로움 및 불편성 없이 보다 간편하게 공기튜브의 공기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튜브의 배기장치 {The device of discharging air in the air-tube}
본 고안은 공기튜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배출을 위해 주변에서 별도 도구를 찾거나 한 쪽 손으로 공기주입구를 잡아 누르고 다른 쪽 손으로 튜브몸체를 누르는 번거로운 동작없이 공기주입구에 함께 구비된 가압핀에 의해 한 쪽 손만으로도 간단하게 공기주입구를 개방시켜 그 개방된 공기주입구를 통해 튜브몸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공기튜브의 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공기튜브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몸체(100)의 일측에 형성된 공기주입구(210)를 통해 상기 튜브몸체(100) 내부로 공기가 주입될 수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공기주입구(210)에는 연결편(230)에 의해 마개(220)가 함께 구비되며, 상기 마개(220)의 단부측에는 마개(220)의 손잡음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손잡이(220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주입구(210) 내부에는 절개부(212)에 의해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된 개폐편(21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개폐편(211)은 상시 공기주입구(210)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다가 손으로 잡고 누름(도 5b 참조)에 의한 가압력이 작용되면, 그 절개된 일측이 공기주입구(210)로 부터 분리되면서 개방된 배기공(213)을 통해 튜브몸체(100)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주입구(210) 내부의 개폐편(211)을 가압하기 위한 도구를 주변에서 찾아 그 도구로 상기 개폐편(211)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튜브몸체(100) 내부의 공기를 배기공(213)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기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공기 튜브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주입구를 손으로 잡고 누르는 것에 의해 개폐편을 개방시켜 튜브몸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어 그 개방범위가 좁을 수 밖에 없고, 이로인해 한 쪽 손으로 공기주입구를 누르고 다른 쪽 손으로는 튜브몸체를 계속해서 눌러가면서 상기 튜브몸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야만 되므로 공기배출을 위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이의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변 도구를 이용해 개폐편을 개방시켜 튜브몸체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것은 그 도구를 주변에서 찾아 사용해야만 되는 번거로움 및 불편성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공기배출을 위해 주변에서 별도 도구를 찾거나 한 쪽 손으로 공기주입구를 잡아 누르고 다른 쪽 손으로 튜브몸체를 누르는 번거로운 동작없이 공기주입구에 함께 구비된 가압핀에 의해 한 쪽 손만으로도 간단하게 공기주입구를 개방시켜 그 개방된 공기주입구를 통해 튜브몸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공기주입구에 대한 상기 가압핀의 삽입에 의해 튜브몸체의 공기배출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가압핀의 외부 접촉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별도 보관함으로써 외부의 접촉에 의한 가압핀의 조기 손상 및 미관불량을 해소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가압핀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그 가압핀의 제조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기 튜브의 일측부에 공기주입구와 마개, 연결편으로 구성된 공기주입부가 구비됨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구의 외측에 가압핀이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공기 튜브의 배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가압핀은, 선단부에 경사면을 갖는 다수의 돌편의 조합으로 형성하되, 상기 돌편들 사이에 공기통로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돌편의 선단부에 접촉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돌편의 후방으로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주입구의 일측 동일선상으로 핀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주입구와 핀삽입구의 일측에 동일선상의 마개와 가압핀을 갖는 연결부가 연결되며, 상기 가압핀이 위치된 연결부에는 배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핀은, 원통형의 가압돌부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돌부의 중앙부에는 통기공이 상, 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은 사시도.
도 2는 사용상태 단면도.
도 3a,도 3b,도 3c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를 보인것으로서,
도 3a는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A-A선의 결합 단면도.
도 3c는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a,도 4b,도 4c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4a 는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B-B선의 결합 단면도.
도 4c는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a,도 5b,도 5c는 일반적인 공기 튜브를 보인 것으로서,
도 5a는 사시도.
도 5b는 사용상태의 일 례를 보인 단면도.
도 5c는 사용상태의 다른 례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압핀
11 : 돌편 12 : 공기통로
13 : 경사면 14 : 접촉돌기
15 : 걸림턱 16 : 가압돌부
17 : 통기공
2 : 연결부
21 : 배출공
3 : 핀삽입구
30 : 걸림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및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은 사시도이다.
이 공기튜브는 통상에서와 같이 튜브몸체(100)의 일측으로 공기주입구(210)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주입구(210)의 일측에는 마개(220)가 연결편(230)에 의해 일체로 구비된다.
이러한 공기 튜브에 있어, 본 고안은 상기 마개(220)와 대칭되게 공기주입구(210)의 타측부에 가압핀(1)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핀(1)은 연결부(2)에 의해 공기주입구(210)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서, 가압핀(1)은 길이가 길고 두께가 얇은 다수의 돌편(11) 조합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돌편(11) 간의 공간부로 공기통로(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압핀(1)의 돌편(11) 선단부는 공기주입구(210)에 대한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경사면(13)에 의해 끝이 뾰족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단부측 중앙에는 힘의 집중을 받도록 반구형의 접촉돌기(14)가 일체로 형성되고, 돌편(11)의 단부측에 걸림턱(15)이 형성되어 공기주입구(210)에 대한 가압핀(1)의 삽입을 걸림에 의해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편(11)의 조합은 십자 또는 일자 형태 등으로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나, 본 고안에서는 십자 또는 일자 형태가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2)에 의해 공기주입구(210) 일측으로 연장 형성된 가압핀(1)을 상기 공기주입구(210)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서 공기주입구(210) 내부의 개폐편(211)을 개방시키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공기주입구(210)에 가압핀(1)을 삽입시키게 되면, 상기 가압핀(1)의 경사면(13)에 의해 공기주입구(210)에 대한 가압핀(1)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가압핀(1)의 선단에 형성된 반구형의 접촉돌기(14)에 의한 힘의 집중에 의해서 공기주입구(210)의 개폐편(211)은 개방되는 것이다.
또한 이의 개방으로 개폐편(211)의 절개부(212)에는 배기공(213)이 형성되고, 상기 배기공(213)과 가압핀(1)의 돌편(11)들 사이에 형성된 공기통로(12)를 통해 튜브몸체(100) 내부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3a는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통상의 공기주입구(210)와 나란하게 일측 동일선 상으로 핀삽입구(3)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주입구(210) 및 핀삽입구(3)의 일측으로는 서로 평행하게 동일선 상으로 통상의 마개(220)와 가압핀(1)이 연결부(2)에 의해 공기주입구(210) 및 핀삽입구(3)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가압핀(1)이 위치된 연결부(2)에는 배출공(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핀삽입구(3)는 핀삽입구(3)의 걸림턱(15)이 삽입되는 다수의 걸림홈(30)이 형성된다.
도 3b는 삽입 보관된 상태를 보인 도 3a의 A-A선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연결부(2)에 일체로 형성된 마개(220)는 개폐편(211)을 갖는 공기주입구(210)에 삽입되고, 상기 마개(220)와 함께 연결부(2)에 일체로 형성된 가압핀(1)은 하부가 막혀진 핀삽입구(3)에 삽입 보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삽입구(3)로부터 가압핀(1)을 빼낸 후, 상기 가압핀(1)을 공기주입구(210)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서 공기주입구(210)의 개폐편(211)을 개방시켜 튜브몸체(1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4a는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제2 실시예와 같이 공기주입구(210)와 나란하게 일측 동일 선상으로 핀삽입구(3)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주입구(210) 및 핀삽입구(3)의 일측에는 통상의 마개(220)와 가압핀(1)이 연결부(2)에 의해 공기주입구(210) 및 핀삽입구(3)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여기서는 상기 가압핀(1)을원통형의 가압돌부(16)로 형성하고, 상기 가압돌부(16)는 통기공(17)에 의해 상.하로 관통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연결부(2)에 일체로 형성된 마개(220)는 개폐편(211)을 갖는 공기주입구(210)에 삽입되고, 상기 마개(220)와 함께 연결부(2)에 일체로 형성된 가압핀(1)은 핀삽입구(3)에 삽입 보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가압돌부(16)로 형성된 가압핀(1)을 공기주입구(210)에 삽입하게 되면, 이의 삽입력에 의해 공기주입구(210)의 개폐편(211)이 개방되고, 이의 개방으로 형성된 배기공(213)과 가압핀(1)의 통기공(17)을 통해 튜브몸체(10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공기튜브의 공기주입구에 가압핀을 함께 구비하여 상기 가압핀의 공기주입구 삽입에 의해 상기 공기주입구의 개폐편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개폐편의 개방범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기존에 한 쪽 손으로 공기주입구를 잡아 누르고 다른 쪽 손으로 튜브몸체를 누르는 것에 의해 공기튜브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거나 주변에서 별도 가압도구를 찾는 번거로움 및 불편성 없이 보다 간편하게 공기튜브의 공기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선단부가 경사면으로 형성된 다수의 돌편의 조합으로 가압핀을 구성하고, 상기 가압핀 사이로 공기통로를 형성함으로써 공기주입구에 대한 가압핀 삽입에 의한 튜브몸체의 내부공기 배출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도 갖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가압핀을 외부와 접촉되지 않게 별도로 보관함으로써 가압핀의 노출로 인한 외부의 빈번한 접촉으로 상기 가압핀이 조기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가압핀의 노출로 인한 미관 불량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가압핀을 통상의 튜브마개와 같이 단순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가압핀의 제조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제조원가의 절감 효과를 가져오는 이점도 있다.

Claims (4)

  1. 공기 튜브(100)의 일측부에 공기주입구(210)와 마개(220), 연결편(230)으로 구성된 공기주입부(200)가 구비됨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구(210)의 외측에 가압핀(1)이 연결부(2)에 의해 일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공기튜브의 배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핀(1)은,
    선단부에 경사면(13)을 갖는 다수의 돌편(11)의 조합으로 형성하되, 상기 돌편(11)들 사이에 공기통로(12)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돌편(11)의 선단부에 접촉돌기(14)가 구비되며, 상기 돌편(11)의 후방으로 걸림턱(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튜브의 배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구(210)의 일측 동일선상으로 핀삽입구(3)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주입구(210)와 핀삽입구(3)의 일측에 동일선상의 마개(22)와 가압핀(1)을 갖는 연결부(2)가 연결되며, 상기 가압핀(1)이 위치된 연결부(2)에는 배출공(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튜브의 배기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핀(1)은,
    원통형의 가압돌부(16)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돌부(16)의 중앙부에는 통기공(17)이 상, 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튜브의 배기장치.
KR2020010028931U 2001-09-19 2001-09-19 공기튜브의 배기장치 KR2002580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931U KR200258016Y1 (ko) 2001-09-19 2001-09-19 공기튜브의 배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931U KR200258016Y1 (ko) 2001-09-19 2001-09-19 공기튜브의 배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8016Y1 true KR200258016Y1 (ko) 2001-12-31

Family

ID=73069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8931U KR200258016Y1 (ko) 2001-09-19 2001-09-19 공기튜브의 배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801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2054B1 (ko) 2018-10-18 2020-04-17 최연희 에어튜브용 공기 연통 어댑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2054B1 (ko) 2018-10-18 2020-04-17 최연희 에어튜브용 공기 연통 어댑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3950B2 (en) Device for holding and actuating a sprayer
CA2624642A1 (en) Reset fixture for rekeyable lock assembly
US7287927B2 (en) Valve assembly
EP1982612A1 (en) Bobby pin
KR200258016Y1 (ko) 공기튜브의 배기장치
KR200428001Y1 (ko) 콘센트 안전 덮개
KR20110005753A (ko) 에어커플러
JP4141659B2 (ja) 液体噴出器
US8512562B2 (en) Drain mechanism and fluid filter including drain mechanism
JP2005137814A5 (ko)
US6928905B1 (en) Reinforcement structure for adjustable wrenches
KR200318714Y1 (ko) 대형 타이어용 공기 안전 주입장치
KR200386157Y1 (ko) 사물함용 열쇠
KR830007224A (ko) 소켓 발출기를 가진 소켓 구동식 래치트 랜치
KR101115883B1 (ko) 타이어 펑크 수리 장치
JP2869028B2 (ja) 錠前の不正解錠防止装置
JP7488851B2 (ja) 腕時計リストレット用のインサート
CN219135065U (zh) 一种直插卡式防伪扣
USD444051S1 (en) Key bow
KR200400310Y1 (ko) 튜브형 화장품용기의 밸브장치
KR200201497Y1 (ko) 자물쇠
KR200366755Y1 (ko) 가스라이타 잔류가스 배출장치
KR200259209Y1 (ko) 필기구의 구조
KR20040033694A (ko) 구멍덮개
KR200329788Y1 (ko) 청소구가 형성된 좌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