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891Y1 -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 및 이를 구비한 커터 및 이를구비한 샤프 및 다기능 커터 - Google Patents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 및 이를 구비한 커터 및 이를구비한 샤프 및 다기능 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891Y1
KR200257891Y1 KR2020010029191U KR20010029191U KR200257891Y1 KR 200257891 Y1 KR200257891 Y1 KR 200257891Y1 KR 2020010029191 U KR2020010029191 U KR 2020010029191U KR 20010029191 U KR20010029191 U KR 20010029191U KR 200257891 Y1 KR200257891 Y1 KR 2002578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fe
cutting
barrel
hollow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91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호
Original Assignee
양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호 filed Critical 양승호
Priority to KR20200100291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8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8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891Y1/ko

Links

Landscapes

  • Kni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곡선 경로를 그리며 자유자재로 절단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과, 이 칼을 파지하여 사용하기에 용이하도록 한 곡선절단용 칼을 구비한 커터와, 이 칼을 필기구의 일종인 샤프펜슬과 같은 형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곡선절단용 칼을 구비한 샤프와, 직선절단용 칼과 곡선절단용 칼을 일체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커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은, 곡선 경로를 따라 절단작업이 용이하도록 속이 빈 중공원통으로 되되 단부가 경사지게 파단되어 그 파단된 단부에 칼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종이 등의 파열 없이 곡선 경로를 그리며 자유자재로 잘단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 및 이를 구비한 커터 및 이를 구비한 샤프 및 다기능 커터{Knife capable of cutting forming a curved line and cutter having it and mechanical pencil having it and multi-functional cutter}
본 고안은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 이를 구비한 커터, 이를 구비한 샤프, 및 다기능 커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곡선 경로를 그리며 자유자재로 절단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과, 이 칼을 파지하여 사용하기에 용이하도록 한 곡선절단용 칼을 구비한 커터와, 이 칼을 필기구의 일종인 샤프펜슬과 같은 형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곡선절단용 칼을 구비한 샤프와, 직선절단용 칼과 곡선절단용 칼을 일체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커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사무용 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통상, 종이를 절단하거나 연필을 깎는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사무용 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의 일측에 칼날부(1)가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는 한편, 칼의 길이방향 중간 중간에는 다수의 마디부(2)가 형성되어 있어 칼날부(1)의 끝이 무디어질 경우 마디부(2)를 통해 그 단부를 제거함으로써 다시 새로워진 칼날부를 통해 절단작업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칼의 경우, 무디어진 날을 번거롭게 연마할 필요 없이 손쉽게 칼날부(1)를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현재 흔히 사용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이러한 칼을 파지하기에 용이하도록 구성하여 절단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한 커터(cutter)도 공지되어 있으나, 상기한 칼이나 이를 구비한 커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을 그리며 절단작업을 수행하여야 할 경우 곡선 경로를 따라 매끄럽게 절단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는 칼 자체가 평판형인데다가 그 일측에 형성된 칼날부(1)는 통상 양날로 연마되어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절단작업이 수행되는 칼날부(1)의 날끝은 곧은 직선형을 이루게 되어 구조적으로 곡선을 따라 매끄럽게 지나갈 수 없게 되는 것이며, 능숙한 손놀림으로 절단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이상은 예컨대 종이를 절단하는 경우 곡선 경로를 지나는 도중 종이를 파열시키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곡선 경로를 그리며 절단작업을 자유자재로 수행할 수 있어 절단작업이 용이하고 절단하고자 하는 자재의 파열 등이 발생하지 않는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을 파지하여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한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을 구비한 커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을 필기구의 일종인 샤프펜슬(mechanical pencil)과 같은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을 구비한 샤프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직선절단용 칼과 곡선절단용 칼을 일체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칼을 선택하여 절단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 커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사무용 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칼에 의해 절단된 종이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을 구비한 커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후단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을 구비한 샤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커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후단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3, 4, 5, 6, 7, 8: 칼 1b, 2b, 3b, 4b, 5b, 6b, 7b, 8b: 칼날부
1c, 2c, 3c, 4c, 5c, 8c: 마디부 2a, 3a, 4a, 8a: 중공원통
8d: 평판부 8e: 전단홈
10, 50, 60: 심통 11, 61, 68: 요철홈
20, 63, 65: 노브 21, 63a, 65a: 요철판스프링
22: 지찰부 30, 62: 선단캡
31, 53, 64, 66: 출구부 40, 67: 후단캡
41, 67a: 전단용 원통홈 51: 척
52: 압착링 53: 출구부
54: 선단부 55: 후단캡
56: 외통 57: 스프링
67b: 전단용 평판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은, 곡선 경로를 따라 절단작업이 용이하도록 속이 빈 중공원통으로 되되 단부가 경사지게 파단되어 그 파단된 단부에 칼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공원통의 중간 중간에는 마디부가 형성되어 외력에 의한 전단시 상기 마디부가 새로운 칼날부가 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마디부는, 상기 중공원통의 외주연 둘레를 따라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마디부는, 상기 중공원통의 외주연 일부가 파단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마디부는, 상기 중공원통의 외주연 일부가 파단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중공원통의 파단되지 않은 부위는 길이방향으로 평평한 평판부가 형성되어, 상기 중공원통이 상기 평판부를 통해 전단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평판부에는, 전단될 부위를 안내하는 전단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을 구비한 커터는 곡선 경로를 따라 절단작업이 용이하도록 속이 빈 중공원통의 단부가 경사지게 파단되어 그 파단된 단부에는 칼날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원통의 중간 중간에는 마디부가 형성되어 외력에 의한 전단시 상기 마디부가 새로운 칼날부가 되도록 이루어진 칼과, 상기 칼을 파지하여 사용하기에 용이하도록 내부에 수용시키며 외주연의 길이방향으로는 요철홈이 형성된 심통과, 상기 칼의 단부와 결합되되 상기 칼이 상기 요철홈을 따라 단계적으로 왕복되도록 한 요철판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칼을 상기 심통 내에서 단계적으로 왕복시키는 노브와, 상기 심통의 선단에 결합되며 상기 칼날부의 외주연 둘레를 지지하는 출구부가 구비된 선단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은, 상기 심통의 후단에 결합되어 상기 노브가 상기 심통의 내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후단캡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후단캡에는, 상기 칼이 상기 마디부를 통해 전단되기에 용이하도록 상기 칼날부가 삽입되어 외력에 의해 전단되도록 하는 전단용 원통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브에는, 심통의 외부로 돌출되어 손가락으로 왕복시키기 용이하도록 하는 요철곡면이 형성된 지찰부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을 구비한 샤프는 외통의 내부에 스프링으로 탄지되어 왕복되며 다수개의 심을 내부에 수용하는 심통과, 상기 심통의 단부에 결합되어 왕복되며 상기 심통의 내부에 수용된 심을 파지 또는 이탈시키며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척과, 상기 척의 외주연을 압착하는 압착링과, 상기 외통의 선단에 결합되며 상기 심통으로부터 노출된 심의 외주연을 지지하는 출구부가 구비된 선단부를 포함하여, 상기 심통의 일단부를 눌렀을 때 심이 출구부를 통해 단계적으로 나오도록 한 노크식 샤프에 있어서, 상기 심은 곡선 경로를 따라 절단작업이 용이하도록 속이 빈 중공원통의 단부가 경사지게 파단되어 그 파단된 단부에는 칼날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원통의 중간 중간에는 마디부가 형성되어 외력에 의한 전단시 상기 마디부가 새로운 칼날부가 되도록 이루어진 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심통의 단부에는, 상기 심통의 내부에 수용된 다수개의 심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후단캡이 결합되되, 상기 후단캡에는 상기 칼이 상기 마디부를 통해 전단되기에 용이하도록 상기 칼날부가 삽입되어 외력에 의해 전단되도록 하는 전단용 원통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커터는 일단에 칼날부가 형성된 칼과, 상기 칼을 내부에 수용하는 심통과, 상기 심통의 외주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요철홈과, 상기 칼의 단부와 결합되되 상기 칼이 상기 요철홈을 따라 단계적으로 왕복되도록 한 요철판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칼을 상기 심통 내에서 단계적으로 왕복시키는 노브와, 상기 심통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심통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칼날부를 지지하는 출구부를 포함하는 커터에 있어서, 상기 칼은 곡선 경로를 따라 절단작업이용이하도록 속이 빈 중공원통의 단부가 경사지게 파단되어 그 파단된 단부에는 칼날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원통의 중간 중간에는 마디부가 형성되어 외력에 의한 전단시 상기 마디부가 새로운 칼날부가 되도록 이루어진 곡선절단용 칼과, 평판의 단부가 경사지게 파단되어 그 파단된 단부에는 칼날부가 형성되고 상기 평판의 중간 중간에는 마디부가 형성되어 외력에 의한 전단시 상기 마디부가 새로운 칼날부가 되도록 이루어진 직선절단용 칼을 포함하되, 상기 곡선절단용 칼과 직선절단용 칼은 각각의 칼날부가 상기 심통의 양단부에 각각 노출되도록 상기 요철홈, 노브, 및 출구부가 각각 상기 심통에 한 쌍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기능 커터는, 상기 곡선절단용 칼 및 직선절단용 칼이 각각 마디부를 통해 전단되기에 용이하도록 하는 전단용 원통홈과 전단용 평판홈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심통의 단부에 결합되는 후단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2)은 속 빈 중공원통의 단부가 경사지게 파단되어 그 파단된 단부에 칼날부(2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칼날부(2b)는, 중공원통(2a)의 경사지게 파단된 단부를 따라 곡선형을 이루게 되며 그 곡률, 즉 구부러진 정도는 중공원통의 직경이나 파단된 경사각도에 의해 좌우된다. 그러나 사무용으로 사용하게 될 칼의 경우 중공원통의 직경은 대체로 수 밀리미터(mm) 이내일 것이므로 칼날부는 대체로 바늘(needle) 끝과 같이 날카로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칼날부(2b)를 바늘 끝과 비교해 본다. 곡선 경로를 따라 절단작업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는 상기한 칼날부(2b)보다는 바늘 끝이 가장 이상적이라 할 수도 있다. 그러나 만약 바늘 끝으로 절단작업을 수행한다면 곡선 경로를 자유롭게 지나가기에는 용이할 수 있으나 그 지나간 자리에는 찢어짐 등의 파열이 예상되므로 바늘 자체로는 절단작업을 수행하기에 어렵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은 무디어진 칼날부(2b)를 손쉽게 교체하도록 하는 마디부(2c)가 형성될 수 있다. 마디부(2c, 3c)는 도 2에서와 같이 중공원통(2a)의 외주연 둘레를 따라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고, 혹은 도 3에서와 같이 중공원통(3a)의 일부가 파단되어 이루어진 것일 수도 있다.
즉, 마디부(2c, 3c)는 칼(2, 3)이 외력에 의해 전단될 경우 무디어진 칼날부를 대신하여 새로운 칼날부가 되는 구성이므로, 칼날부(2b, 3b)의 파단된 경사각도와 동일한 경사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중공원통의 직경이 비교적 클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칼(8)의 구조를 이루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4에서의 칼(3)과 비교하여 보면 평판부(8d)가 더 형성된 차이가 있다.
평판부(8d)는, 중공원통(8a)의 파단되지 않은 부위가 중공원통(8a)의 길이방향으로 평평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중공원통(8a)이 평판부(8d)의 전단으로보다 용이하게 전단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중공원통(8a)의 직경이 비교적 큰 경우, 중공원통(8a)이 평판부(8d)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로 전단된다면 그 전단될 부위, 즉 중공원통의 파단되지 않은 부위는 중공원통(8a)의 곡률에 따라 원호형을 이루게 되는데, 원호형보다는 평판부(8d)와 같은 평판형이 보다 용이하게 전단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에 있어서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은 중공원통의 직경을 고려하여 상기와 같은 평판부를 형성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평판부(8d)에는 전단될 부위를 안내하는 전단홈(8e)이 형성될 수 있다.
전단홈(8e)은, 평판부(8d)의 전단될 부위에 형성되어 중공원통(8a)이 전단될 경우 평판부(8d)의 전단홈(8e)이 안내하는 부위를 따라 보다 용이하게 전단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을 구비한 커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후단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하여 사용하기에 용이하도록 심통(10), 노브(20), 및 선단캡(30)과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심통(10)은,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4)을 내부에 수용하여 손으로 칼(4)을 파지하기에 용이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그 외주연의 길이방향으로는 요철홈(11)이 형성되어 있다.
노브(20)는, 칼(4)의 단부와 결합되어 칼(4)을 요철홈(11)을 따라 단계적으로 전후진시키는 구성으로서, 노브(20)의 일측에는 요철홈(11)에 대응되는 요철판스프링(21)이 구비되어 있어 요철판스프링(21)의 탄발력으로 칼(4)을요철홈(11)의 소정 위치에 임시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노브(20)에는 심통의 외부로 돌출되어 손가락으로 전후진시키기 용이하도록 하는 요철곡면이 형성된 지찰부(22)가 구비될 수 있다.
노브(20)와 칼(4)과의 구체적인 결합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20)의 일측에 칼(4)의 속빈 중앙부에 삽입 고정되도록 하는 원통형 돌기를 형성시켜 결합시킬 수도 있으나, 이는 단지 예시적인 구조에 불과하며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여하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함은 당연하다.
또한, 노브(20)와 요철판스프링(21)과의 구체적인 결합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커터에도 이미 공지되어 있는 기술이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선단캡(30)은, 심통(10)의 선단에 결합되어 심통(10)의 내부에 수용된 칼(4)의 칼날부(4b)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선단캡(30)의 중앙부에는 출구부(31)가 구비되어 요철홈(11)을 따라 전진된 칼(4)의 칼날부(4b)를 절단작업시 흔들림이 없도록 지지해 준다. 출구부(31)는 칼날부(4b)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속 빈 중공원통의 단부가 경사진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을 구비한 커터는 심통의 후단에 후단캡(4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후단캡(40)은, 심통(10)의 후단에 결합되어 심통(10)의 요철홈(11)을 따라 왕복하는 노브(20)의 외부이탈을 방지하는 구성으로서, 후단캡(40)에는 칼(4)이 마디부(4c)를 중심으로 전단되기에 용이하도록 칼날부(4b)가 삽입되는 전단용 원통홈(4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을 구비한 커터는 무디어진 칼날부(4b)를 마디부(4c)의 전단으로 수시 교체하는 데 따른 칼(4) 길이의 축소에 대응되도록 심통(10)의 외주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요철홈(11)을 따라 왕복하는 노브(20)를 통해 칼(4)을 손쉽게 전후진시킬 수 있으므로 손으로 파지하여 절단작업을 수행하는 데 있어 편리하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을 구비한 샤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통(50), 척(51), 압착링(52), 및 선단부(54)와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노크작동으로 연필심이 나오게 하는 샤프펜슬과 같은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9에는 노크작동식 샤프펜슬의 일 예로서 심통의 단부를 눌렀을 때 심통의 내부에 수용된 심이 출구부를 통해 나오는 기본적인 구조가 단면도로 나타나 있다.
심통(50)은, 다수개의 심, 즉 다수개의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을 내부에 수용시키는 구성으로서, 샤프의 외관을 이루는 외통(56)의 내부에 스프링(57)으로 탄지되어 심통(50)의 단부가 외력에 의해 가압되더라도 스프링(57)의 탄발력으로 복원되어 외통(56) 내부에서 왕복하게 되는 구성이다.
척(51)은, 심통(50)의 단부에 결합되어 심통(50)과 함께 왕복되면서 칼(5)을 파지 또는 이탈시키며 칼날부(5b)를 출구부(53)쪽으로 이송시키는 구성이다. 척(51)은 3개로 분할된 단위 유닛이 칼(5)이 이송될 경로를 중심축으로 하여 그 외주연을 둘러싼 형태를 이루어, 심통(50)의 단부가 가압되어 도면상 좌측으로 전진하면 칼(5)의 외주연을 둘러싼 상태로 칼을 전진시키며 벌어지게 되고, 다시 심통(50)이 스프링(57)의 탄발력으로 복원되면 원위치로 이동되면서 칼(8)의 외주연을 파지하게 된다. 물론, 척(51)은 반드시 3개로 분할될 필요는 없다.
압착링(52)은, 외통(56)의 선단에 결합되어 척(51)의 외주연을 압착시키는 구성이다. 척은 외력에 의해 가압되어 전진한 심통(50)이 스프링의 탄발력으로 복원되면 이 압착링(52)의 압착에 의해 칼(5)의 외주연을 파지하게 되는 것이다.
선단부(54)는, 심통(50)과 척(51)의 왕복에 의해 점진적으로 전진하는 칼(5)의 칼날부(5b)를 지지하기 위한 출구부(53)가 구비되어 외통(56)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을 구비한 샤프는 심통(50)의 후단에 후단캡(5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후단캡(55)은, 심통(50)의 단부를 밀폐 또는 개방시켜 심통(50)의 내부에 수용된 다수개의 칼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때로는 심통(50)을 왕복시키는 데 있어서 손가락으로 심통의 단부를 누르기에 용이하도록 하는 기능도 하게 된다. 그리고, 후단캡(55)에는 칼(5)이 마디부(5c)를 통해 전단되기에 용이하도록 하는 전단용 원통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전단용 원통홈은 도 8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앞서 설명한 도 7에서와 같은 구조를 이루면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을 구비한 샤프는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5)의 칼날부(5b)가 무디어진 경우, 심통(50)의 단부를 노크식으로 눌러 칼(5)을 일정량 전진시킨 후 무디어진 칼날부(5b)를 마디부(5c)를 중심으로 전단시켜 떼어내면 새로운 칼날부가 된 마디부(5c)를 통해 절단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커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후단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에는 곡선절단용 칼과 직선절단용 칼을 일체로 구성하여 선택적인 절단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 다기능 커터가 나타나 있다. 곡선절단용 칼(6)은 본 고안에 따른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2, 3)이 이에 해당될 수 있으며, 직선절단용 칼(7)은 도 1을 통해 종래 기술로 언급된 바 있는 평판형 칼(1)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곡선절단용 칼(6)과 직선절단용 칼(7)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통(60), 노브(63, 65), 및 출구부(64, 66)와 유기적으로 연계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노브(63, 65)와 출구부(64, 66)는 각각 도 6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진다. 다만, 심통(60)은 곡선절단용 칼(6) 및 직선절단용 칼(7)을 내부에 함께 수용하는 구성으로서, 그 양단부에는 곡선절단용 칼(6)과 직선절단용 칼(7)의 칼날부가 각각 노출되도록 되어 있고, 심통(60)의 외주연 길이방향으로는 요철홈(62)이 심통(60) 내부에 수용된 칼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노브(63, 65)와 출구부(64, 66) 역시 심통(60)의 내부에 수용된 칼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각각 구비된다.
물론, 노브(63, 65)에는 도 6을 통해 설명한 바 있는 요철판스프링(63a, 65a)이 각각 구비되며, 출구부(64)는 심통(60)의 선단에 결합되는 선단캡을 통해 심통의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커터는 하나의 심통(60)에 곡선절단용 칼(6)과 직선절단용 칼(7)을 일체화시켜 각자 그 나름의 특징을 갖는 칼의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커터는 심통(60)의 후단에 결합되는 후단캡(6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단캡(67)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절단용 칼(6)과 직선절단용 칼(7)의 무디어진 칼날부(6b, 7b)를 떼어내어 교체시키도록 한 전단용 원통홈(67a)과 전단용 평판홈(67b)이 형성된다.
기타, 미설명부호 58, 69는 패킹(packing)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에 의하면 파단된 중공원통의 단부에 형성된 칼날부를 통해 칼을 손으로 돌려가며 절단하는 등의 방법으로 곡선 경로를 그리며 자유자재로 잘단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을 구비한 커터와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을 구비한 샤프에 의하면 무디어진 칼날부를 마디부의 전단으로 수시 교체하는 데 따른 칼길이의 축소에 대응되도록 칼을 전진시키는 구조를 이루므로 지속적이고도 원활한 절단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한편, 칼을 필기구를 잡고 능숙하게 사용하던 것처럼 사용할 수 있어 사용하기에도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커터에 의하면 심통에 일체된 곡선절단용 칼과 직선절단용 칼을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선택하여 절단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다기능적이면서도 사용하기에 편리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4)

  1. 곡선 경로를 따라 절단작업이 용이하도록 속이 빈 중공원통으로 되되 단부가 경사지게 파단되어 그 파단된 단부에 칼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원통의 중간 중간에는 마디부가 형성되어 외력에 의한 전단시 상기 마디부가 새로운 칼날부가 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디부는 상기 중공원통의 외주연 둘레를 따라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디부는 상기 중공원통의 외주연 일부가 파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디부는 상기 중공원통의 외주연 일부가 파단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중공원통의 파단되지 않은 부위는 길이방향으로 평평한 평판부가 형성되어, 상기 중공원통이 상기 평판부를 통해 전단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에는, 전단될 부위를 안내하는 전단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
  7. 곡선 경로를 따라 절단작업이 용이하도록 속이 빈 중공원통의 단부가 경사지게 파단되어 그 파단된 단부에는 칼날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원통의 중간 중간에는 마디부가 형성되어 외력에 의한 전단시 상기 마디부가 새로운 칼날부가 되도록 이루어진 칼과, 상기 칼을 파지하여 사용하기에 용이하도록 내부에 수용시키며 외주연의 길이방향으로는 요철홈이 형성된 심통과, 상기 칼의 단부와 결합되되 상기 칼이 상기 요철홈을 따라 단계적으로 왕복되도록 한 요철판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칼을 상기 심통 내에서 단계적으로 왕복시키는 노브와, 상기 심통의 선단에 결합되며 상기 칼날부의 외주연 둘레를 지지하는 출구부가 구비된 선단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을 구비한 커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심통의 후단에 결합되어 상기 노브가 상기 심통의 내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방지하는 후단캡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을 구비한 커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캡에는, 상기 칼이 상기 마디부를 통해 전단되기에 용이하도록 상기 칼날부가 삽입되어 외력에 의해 전단되도록 하는 전단용 원통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을 구비한 커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에는 심통의 외부로 돌출되어 손가락으로 왕복시키기 용이하도록 하는 요철곡면이 형성된 지찰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을 구비한 커터.
  11. 외통의 내부에 스프링으로 탄지되어 왕복되며 다수개의 심을 내부에 수용하는 심통과, 상기 심통의 단부에 결합되어 왕복되며 상기 심통의 내부에 수용된 심을 파지 또는 이탈시키며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척과, 상기 척의 외주연을 압착하는 압착링과, 상기 외통의 선단에 결합되며 상기 심통으로부터 노출된 심의 외주연을 지지하는 출구부가 구비된 선단부를 포함하여, 상기 심통의 일단부를 눌렀을 때 심이 출구부를 통해 단계적으로 나오도록 한 노크식 샤프에 있어서,
    상기 심은, 곡선 경로를 따라 절단작업이 용이하도록 속이 빈 중공원통의 단부가경사지게 파단되어 그 파단된 단부에는 칼날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원통의 중간 중간에는 마디부가 형성되어 외력에 의한 전단시 상기 마디부가 새로운 칼날부가 되도록 이루어진 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을 구비한 샤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심통의 단부에는 상기 심통의 내부에 수용된 다수개의 심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후단캡이 결합되되, 상기 후단캡에는 상기 칼이 상기 마디부를 통해 전단되기에 용이하도록 상기 칼날부가 삽입되어 외력에 의해 전단되도록 하는 전단용 원통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을 구비한 샤프.
  13. 일단에 칼날부가 형성된 칼과, 상기 칼을 내부에 수용하는 심통과, 상기 심통의 외주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요철홈과, 상기 칼의 단부와 결합되되 상기 칼이 상기 요철홈을 따라 단계적으로 왕복되도록 한 요철판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칼을 상기 심통 내에서 단계적으로 왕복시키는 노브와, 상기 심통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심통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칼날부를 지지하는 출구부를 포함하는 커터에 있어서,
    상기 칼은, 곡선 경로를 따라 절단작업이 용이하도록 속이 빈 중공원통의 단부가 경사지게 파단되어 그 파단된 단부에는 칼날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원통의 중간 중간에는 마디부가 형성되어 외력에 의한 전단시 상기 마디부가 새로운 칼날부가 되도록 이루어진 곡선절단용 칼과, 평판의 단부가 경사지게 파단되어 그 파단된 단부에는 칼날부가 형성되고 상기 평판의 중간 중간에는 마디부가 형성되어 외력에의한 전단시 상기 마디부가 새로운 칼날부가 되도록 이루어진 직선절단용 칼을 포함하되, 상기 곡선절단용 칼과 직선절단용 칼은 각각의 칼날부가 상기 심통의 양단부에 각각 노출되도록 상기 요철홈, 노브, 및 출구부가 각각 상기 심통에 한 쌍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커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절단용 칼 및 직선절단용 칼이 각각 마디부를 통해 전단되기에 용이하도록 하는 전단용 원통홈과 전단용 평판홈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심통의 단부에 결합되는 후단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다기능 커터.
KR2020010029191U 2001-09-21 2001-09-21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 및 이를 구비한 커터 및 이를구비한 샤프 및 다기능 커터 KR2002578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191U KR200257891Y1 (ko) 2001-09-21 2001-09-21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 및 이를 구비한 커터 및 이를구비한 샤프 및 다기능 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191U KR200257891Y1 (ko) 2001-09-21 2001-09-21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 및 이를 구비한 커터 및 이를구비한 샤프 및 다기능 커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8508A Division KR20030025470A (ko) 2001-09-21 2001-09-21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 및 이를 구비한 커터 및 이를구비한 샤프 및 다기능 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891Y1 true KR200257891Y1 (ko) 2001-12-31

Family

ID=73109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191U KR200257891Y1 (ko) 2001-09-21 2001-09-21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 및 이를 구비한 커터 및 이를구비한 샤프 및 다기능 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89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60370B1 (en) Hand tool
CA2410858C (en) Rolling razor and shaving method
US20110016734A1 (en) Razor
JP2008518217A (ja) ミクロトーム刃のためのメスホルダ
EP0212530A1 (en) Cutter
CN1160008C (zh) 指甲钳
KR200257891Y1 (ko)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 및 이를 구비한 커터 및 이를구비한 샤프 및 다기능 커터
WO2020086643A1 (en) Finger razor
KR20030025470A (ko) 곡선절단이 가능한 칼 및 이를 구비한 커터 및 이를구비한 샤프 및 다기능 커터
CN210784557U (zh) 一种应用于齿状突切除的夹持器和夹持固定组件
JPH08509919A (ja) 鋸フレーム
US6123476A (en) Crayon holder with integral sharpener
KR101760452B1 (ko) 터치펜 팁 및 펜슬심 깎기용의 터치펜슬 뚜껑을 구비한 터치펜슬
JPH0240900Y2 (ko)
KR100370971B1 (ko) 지류절단용 회전칼
KR101728794B1 (ko) 터치펜 팁 및 펜슬심 깎기용의 터치펜슬 뚜껑을 구비한 터치펜슬
CN218044164U (zh) 眉笔切削装置
KR970003015Y1 (ko) 화장용 펜슬깎기
JP3221162U (ja) 鉛筆削器
KR20180049917A (ko) 연필심이 보존되는 연필깎이
US572452A (en) Cigar-cutting attachment for lead-pencils
RU98117424A (ru) Хирургический реж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JPH1034592A (ja) ペーパーカッター
JP3040159U (ja) 新聞切りぬき用押し出し切りはさみ
KR200354956Y1 (ko) 연필깎이가 내장된 연필꽂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DISMISSAL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30521

Effective date: 2003102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