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015Y1 - 화장용 펜슬깎기 - Google Patents

화장용 펜슬깎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015Y1
KR970003015Y1 KR2019950014764U KR19950014764U KR970003015Y1 KR 970003015 Y1 KR970003015 Y1 KR 970003015Y1 KR 2019950014764 U KR2019950014764 U KR 2019950014764U KR 19950014764 U KR19950014764 U KR 19950014764U KR 970003015 Y1 KR970003015 Y1 KR 9700030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cil
cosmetic
insertion hole
cosmetic pencil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47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0797U (ko
Inventor
김기석
Original Assignee
김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석 filed Critical 김기석
Priority to KR20199500147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3015Y1/ko
Publication of KR9700007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7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0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0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23/00Sharpeners for pencils or leads
    • B43L23/08Sharpeners for pencils or leads in which the pencils or leads are sharpened mainly by rotational movement against cutting blades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화장용 펜슬깎기
제1도는 본 고안에 따흔 화장용 펜슬깎기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 펜슬깎기의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 펜슬깎기의 배면도.
제4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 펜슬깎기에 외부케이싱이 결합되는 상태의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 펜슬깎기에 화장용 펜슬이 삽입된 상태를 저면에서 나타낸 상태도.
제7a도는 제3도의 B부 확대도.
제7b도는 7a도의 C-C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화장용 펜슬깎기 1 : 받침판
2 : 보강돌기 3 : 삽입구 몸체
4 : 칼날수용 몸체 5 : 화장용 펜슬
6 : 펜슬 삽입구 7 : 선단부
8 : 고정스크류 9 : 칼날
10 : 절삭면 11 : 절개부
12 : 선단면 13 : 연결대
14 : 체안내가이드 15 : 펜슬심 접촉요홈
16 : 외부케이싱 17 : 결합부
18 : 만곡부 19 : 걸림돌기
20 : 삼입구멍 21 : 투명캡
22 : 삽입부 23 : 절개부
24 : 펜슬체 25 : 만곡면
26 : 펜슬심 27 : 펜슬심체
본 고안은 화장용 펜슬깎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용 펜슬을 편리하게 깍을 수 있으면서도 깎긴 화장용 펜슬의 심이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호형으로 깎이도록 한 화장용 펜슬깎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금까지는 여성들의 화장필수품이라 할 수 있는 화장용 펜슬(아이라인, 립라인, 아이라이너 샤도우 등을 지칭함)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연필깎기용 칼을 이용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화장용 펜슬을 깎기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특히 손으로 직접 깎음으로해서 화장용 펜슬이 필요이상으로 낭비된다는 문제점과 다 깎은 후에도 펜슬심이 날카롭게 되므로, 이것을 그대로 사용할 경우 사용부위에 통증이 발생된다는 문제점, 그리고 사용자가 원하는 매끄러운 라인이 연출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화장용 펜슬을 다 깎은 후에도 그 날카로운 펜슬심의 선단을 둥글게 마모시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화장용 펜슬을 편리하면서도 신속하게 깎을 수 있으면서, 동시에 깎인 화장용 펜슬심이 호형으로 깎이도록 한 화장용 펜슬깎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 펜슬깎기는 화장용 펜슬깎기가 삽입되어지는 삽입구 몸체와 이 삽입구 몸체내에 삽입된 화장용 펜슬을 깎기위한 칼날, 그리고 이 칼날에 의해 깎인 펜슬심이 호형으로 깎일수 있도록 하는 펜슬심 접촉요홈이 형성된 연결대가 구비되어진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 펜슬깎기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예시도면 제1도에서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 펜슬깎기를 나타낸 것으로, 본 고안은 사각판으로 된 받침판(1)의 상면에 소정의 배치간격을 갖는 보강돌기(2)가 다수개 형성되어지고, 이 보강돌기(2)의 윗쪽으로는 삽입구 몸체(3)가 형성되어지되, 이 삽입구 몸체(3)는 그 일측면이 상기 받침판(1)에 대해서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고 있으며, 칼날수용 몸체(4)가 일측방향에 한 몸체로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삽입구 몸체(3)의 내부에는 화장용 펜슬(5)을 수용하기 위한 펜슬삽입구(6)가 뚫려져 있는데, 이 펜슬삽입구(6)는 받침판(1)의 일측벽에서부터 뚫려져 있으며 그 선단부(7)는 직경이 좁아진 상태로 개방되어져 있다.
상기 칼날수용몸체(4)의 일측면은 고정스크류(8)를 통하여 칼날(9)이 결합되어지고, 이 칼날(9)의 일측 절삭면(10)은 상기 삽입구몸체(3)의 일측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절개부(11)를 이루고 있으며, 또한, 예시도면 제3도와 같이 칼날수용 몸체(4)의 선단면(12)쪽에서 대각선 방향으로는 연결대(13)가 형성되는데, 이 연결대(13)는 상기 칼날(9)의 끝면을 기준점으로하여 윗쪽방향에는 체안내가이드(14) 그리고 아래쪽에는 펜슬심 접촉요홈(15)이 각각 형성되어져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 펜슬깎기(A)는 예시도면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이 편리하도록 별도의 외부케이싱(16)를 결합시켜 사용할 수 도 있는데, 이 외부케이싱(16)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원통형으로 된 몸체의 선단 내벽둘레에는 결합부(17)가 형성되고, 이 결합부(17)의 상부는 만곡부(18)를 이루면서, 그 양단은 걸림돌기(19)가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결합부(17)가 형성되어진 방향의 반대쪽 방향에는 4각으로된 삽입구멍(20)이 형성되는데, 이 삽입구멍(20)은 상기 화장용 펜슬깎기(A)의 받침판(1)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그리고 외부케이싱(16)의 선단내벽 둘레에 구비된 결합부(17)에는 투명캡(21)이 결합되는데, 이 투명캡(21)의 일측에는 상기 외부케이싱(16)의 결합부(17)에는 투명캡(21)이 결합되는데, 이 투명캡(21)의 일측에는 상기 외부케이싱(16)의 결합부(17)와 끼워맞춤되어지는 삽입부(22)가 형성되어지며, 그리고 이 삽입부(22)의 양단에는 소정의 절개폭을 갖는 절개부(23)가 형성되어, 이 절개부(23)와 상기 외부케이싱(16)에 마련된 걸림돌기(19)가 상호긴밀하게 끼워맞춤되어지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진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 펜슬깎기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4도와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가 화장용 펜슬(5)를 깎고자 할 경우에 삽입구 몸체(3)의 중앙부에 형성된 펜슬삽입구(6)내에 화장용 펜슬(5)을 삽입시키면, 화장용 펜슬(5)의 펜슬심(26)이 삽입부 몸체(3)의 선단부(7)를 관통하여 펜슬심 접촉요홈(15)에 정확히 맞닿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삽입구몸체(3) 혹은 받침판(1)을 한쪽 손으로 잡고, 다른 한손으로는 삽입구 몸체(3)내에 결합된 화장용 펜슬(5)을 회전시키면 칼날(9)일측의 절삭면(10)에 의해 화장용 펜슬(5)을 펜슬심(26)이 동시에 깎이게 되는 것이다.
한편, 깎여진 화장용 펜슬(5)의 체은 칼날(9)와 삽입구 몸체(3)사이의 절개부(11)를 통하여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어지며, 또한 펜슬심(26)이 깎기면서 생성된 펜슬심체(27)도 연결대(13)에 형성된 체안내 가이드(14)를 통하여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어진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삽입구 몸체(3)의 펜슬 삽입구(6)내에 화장용 펜슬(5)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이를 회전시키면 간편하게 화장용 펜슬(5)이 깎기게 되므로 사용하기가 매우 편리한 잇점이 있으며 또한, 화장용 펜슬(5)이 깎기는 상태를 눈으로 직접 확인 할 수 있어 화장용 펜슬(5)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 펜슬깎기(A)는 예시도면 제6도와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슬심(26)이 둥글게 깎기는 장점이 있는데, 이는 펜슬심(26)이 연결대(13)에 마련된 호형상으로 된 펜슬심 접촉요홈(15)에 맞닿은 상태에서 깎이고, 또한 예시도면 제7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연결대(13)의 일측면에 구비된 상기 펜슬심 접촉요홈(15)이 만곡면(26)을 이루고 있어, 이 만곡면(26)에 의해 펜슬심(26)이 둥글게 깎이므로 깎자마자 곧바로 사용할 수가 있는 장점이 있다.
이밖에도 예시도면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투명캡(21)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진 외부케이싱(16)내에 본 고안을 결합시켜 사용하면, 펜슬을 깎는 과정에서 발생된 펜슬체(24)과 펜슬심 체(27)이 상기 외부케이싱(16)내에 수정되므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으며, 또한 외부케이싱(16)내에 펜슬체(24)등이 가득차면 투명캡(21)를 간단하게 분리시켜 펜슬체(24)을 인출시킬 수가 있으며, 투명캡(21)을 통하여 화장용 펜슬(5)이 깎이는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 할 수가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 화장용 펜슬을 직접 손으로 깎는 방식보다 더욱 진보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받침판(1)의 일측상단에 내부중앙을 관통하여 펜슬 삽입구(6)가 형성된 삽입구 몸체(3)와 고정스크류(8)에 의해 칼날(9)이 결합되어진 칼날수용 몸체(4)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펜슬삽입구(6)내에 삽입된 화장용 펜슬(5) 선단의 펜슬심(26)이 칼날수용몸체(4)의 선단면(12) 배면쪽에서 연결된 연결대(13)의 펜슬심 접촉요홈(15)에 접촉된 상태에서 깎이도록 하여, 깎인 펜슬심(26)의 선단이 둥근호형을 이루도록 한 화장용 펜슬깎기.
KR2019950014764U 1995-06-26 1995-06-26 화장용 펜슬깎기 KR9700030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4764U KR970003015Y1 (ko) 1995-06-26 1995-06-26 화장용 펜슬깎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4764U KR970003015Y1 (ko) 1995-06-26 1995-06-26 화장용 펜슬깎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797U KR970000797U (ko) 1997-01-21
KR970003015Y1 true KR970003015Y1 (ko) 1997-04-09

Family

ID=19416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4764U KR970003015Y1 (ko) 1995-06-26 1995-06-26 화장용 펜슬깎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301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797U (ko) 1997-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37931A (en) Device for cutting pieces from a substantially cylindrical article
DE8911280U1 (ko)
EP0469201A1 (en) Shaver having a clipper
US5010645A (en) Foldable T-shaped shaver
US7832108B2 (en) Pencil sharpener cap
JPH11170780A (ja) 回転式棒状物繰り出し具の中ねじ部材および取付装置
US4598478A (en) Sharpener press-button
KR970003015Y1 (ko) 화장용 펜슬깎기
JP2001218621A (ja) 棒状化粧材繰出容器
US20020046470A1 (en) Cosmetic pencil sharpener
US20030014870A1 (en) Sharpener for sharpening a soft-core pencil
JP3805924B2 (ja) 化粧芯用削り器
CN212765427U (zh) 便于成型的外壳及其卷笔刀
KR0121296Y1 (ko) 조각칼
USD421706S (en) Knife sharpener
CN212445331U (zh) 一种削皮刀与小刀一体化结构
JPH0732153Y2 (ja) 鉛筆削り器
KR930005408Y1 (ko) 봉상물조출장치
KR200204566Y1 (ko) 연필깍기
KR890007692Y1 (ko) 연필심깎기를 가진 눈썹연필
KR20000016550U (ko) 필기구형 제도칼
KR0113083Y1 (ko) 샤프형 커터칼
JP2000139570A (ja) 歯垢除去ピック付歯ブラシ
KR880000977Y1 (ko) 연필깎기가 부착된 연필꽂이
KR200191003Y1 (ko) 연필깍기가 구비된 필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