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800Y1 - 통스 크레인 리프터의 하향 개방용 치구 - Google Patents

통스 크레인 리프터의 하향 개방용 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800Y1
KR200257800Y1 KR2019970033550U KR19970033550U KR200257800Y1 KR 200257800 Y1 KR200257800 Y1 KR 200257800Y1 KR 2019970033550 U KR2019970033550 U KR 2019970033550U KR 19970033550 U KR19970033550 U KR 19970033550U KR 200257800 Y1 KR200257800 Y1 KR 2002578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tip
jig
lev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35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0140U (ko
Inventor
한춘동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700335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800Y1/ko
Publication of KR199900201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1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8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8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68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mounted on, or guided by, ji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스 크레인 리프터의 스프링 텐션 및 슈 레벨을 조정할 때 용이하게 하향 개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치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조정 치구 및 체결 베이스로 구성하되, 상기 조정 치구는 베이스, 기둥부, 안장부, 지렛대부 및 나사부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는 긴 변 중간에는 핀 고정부를 구비하며, 짧은 변 중간에는 암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둥부는 그 선단부에 수평으로 이연된 홀더부를 구비하고, 그 선단부에는 관통 홀을 구비하고, 상기 안장부는 상기 베이스의 긴 변 양측 모서리에 크랭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렛대부는 긴 막대 형상의 지렛대의 중간에 핀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 홀을 구비하고, 그 첨단부에는 한 쌍의 렌치를 구비하며, 상기 나사부는 상기 암나사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수나사부와, 상기 수나사부의 첨단부에 설치되어 지렛대의 선단이 관통할 수 있는 홀더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 베이스는 기존의 스크루 커버에 설치하되, 상기 체결 볼트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 홀이 구비되고, 상기 조정 치구 및 체결 베이스는 체결 볼트 및 다수개의 너트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스프링 로드의 텐션 조절 및 그리핑 슈의 레벨 조정에 있어서 아암의 하향 개방시 개방 상태가 유지되므로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1인이 단독으로 신속하게 작업할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통스 크레인 리프터의 하향 개방용 치구
본 고안은 통스 크레인 리프터의 스프링 텐션 및 슈 레벨을 조정할 때 용이하게 하향 개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치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 내에는 철에 관계되는 각종 중량물을 운반하기 위하여 많은 종류의 크레인(Crane)들이 가동되고 있는데, 특히 천정에 부착되어 중량물을 운반하는 크레인(Crane)이 천정 크레인(Crane)이다. 한편 연주 공정을 거쳐 생산되는 슬래브는 후공정의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항상 고온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와 같은 고온 슬래브(Hot Slab)를 집어서 운반하는 설비가 천정 크레인의 일종인 통스 크레인(Tong's Crane)이다. 이는 일반 통(Tong) 장치와 구조가 다른 리프터(Lifter) 형식을 취하고 있는 리프터 통스(Lifter Tong's)로 구성된 것이다.
도 1은 상기 리프터 통스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먼저 천정에서 슬래브가 있는 위치로 이동한 리프터 통스 장치(99)는 로프(12)가 풀리면서 하강된 후, 미도시된 모터에 의해 스크루(10)가 회전되어 아암(20)이 폐쇄되면 아암(20)의 내측 하부에 장착된 좌우 4개의 그리핑 슈(23)가 슬래브 측면에 접촉되면서 슬래브를 집게 되고, 그 후 로프(12)가 감기면서 일정 높이 이상으로 들어올려진 리프터 통스 장치(99)는 목적 하역지까지 이동한 후 다시 로프(12)가 풀리면서 하강된 후, 미도시된 모터에 의해 스크루(10)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아암(20)이 개방되면 그리핑 슈(23)가 슬래브 측면에서 분리되면서 슬래브를 놓게 됨으로써 리프터 통스 장치(99)의 1 사이클(Cycle)인 슬래브 운반이 이루어진다. 상기 리프터 통스의 특성 중의 한 가지는 스크루(10)의 폐쇄에 의한 슬래브 집기 후에 권상 조작 시에 발생하는 순간적인 충격을 흡수하는 아암(20)의 조절 장치가 스프링 로드(24)라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리프터 장치의 슬래브 집기 작업이 반복되면서 장기간 사용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20)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스프링 로드(24)의 고정용 로드 너트(25)가 이완되며, 상기와 같은 이완 현상이 심화될 경우에는 스프링의 텐션 상태가 느슨해지면서 오조작이 발생되고 이에 따른 그리핑 슈(23)의 슬립(Slip) 현상과 롤러 및 23 빠짐 현상이 나타나면서 슬래브의 낙하 등 각종 대형 설비 사고와 안전 사고를 유발하게 될 뿐만 아니라 슬래브 집기 공정상 불균형(Unbalance) 현상이 빈번히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스프링 로드(24)의 텐션 이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텐션 조절용 로드 너트(25)의 조임 작업 및 그리핑 슈(23)의 레벨의 조정이 필요하며, 상기 조임 및 조정 작업의 사전 점검 및 정비 1단계 작업으로서 리프터 아암(20)의 그리핑 슈(23)를 하향 개방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종래에 있어서는 상기 아암(20)의 하향 개방 작업 시에 사용되는 적절한 치구가 없었기 때문에 먼저 크레인(Crane) 운전실에서 호이스트(Hoist) 조작으로 리프터 통스 장치(99)를 지면에서 300 mm 정도로 권하시킨 후, 작업자 2 명이 홀더(21)를 개방한 후 아암(20)을 하향 개방시키기 위하여 쇠막대 등을 이용하여 그리핑 슈(23)와 아암(20)의 사이 틈새에 끼운 다음 물리적인 힘을 가함으로써 밑으로 당겨서 개방을 유도하였다. 그 후 스프링 로드(24)의 로드 너트(25)를 몽키 스패너(Monkey Spanner) 등을 이용하여 조임 또는 풀림 조정을 함으로써 텐션 및 레벨을 맞추었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아암(20)의 개방 방식은 강제로 힘으로 가하여 개방하는 것이므로 원시적이고 무리한 작업이며, 홀더(21)의 개방 후에도 스프링 로드(24)의 텐션 및 그리핑 슈(23)의 레벨 조정 작업이 종료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아암(20)의 개방 상태가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 중 1인은 계속 힘을 가하고 있어야 하므로 안전한 자세를 가질 수 없고, 판단 오류에 따른 안전 사고의 위험에 노출된 채 작업에 임해야 하는 불합리한 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2인 또는 3인의 작업자가 오랜 시간에 걸쳐 상기 조정 작업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스프링 로드의 텐션 조절 및 그리핑 슈의 레벨 조정에 있어서 아암의 하향 개방시 작업자의 안전도를 높이고, 1인이 단독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통스 크레인 리프터의 하향 개방용 치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통스 크레인 리프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조정 치구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조정 치구를 통스 크레인에 장착한 전면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조정 치구를 통스 크레인에 장착한 후면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크루(Screw) 11 : 스크루 커버(Screw Cover)
12 : 로프(Rope)
20 : 아암(Arm) 21 : 홀더(Holder)
22 : 라이너(Liner) 23 : 그리핑 슈(Gripping Shoe)
24 : 스프링 로드(Spring Rod) 25 : 로드 너트(Rod Nut)
26 : 볼트 홀(Bolt Hall)
30 : 조정 치구 31 : 기둥부
32 : 눈금(Scale) 33 : 홀더부
34 : 안장부(Saddle) 35 : 베이스(Base)
36 : 핀(Pin) 고정부 37 : 핀(Pin)
38 : 암나사부
40 : 지렛대 41 : 렌치(Wrench)
50 : 수나사부 51 : 홀더(Holder)
52 : 손잡이
60 : 체결 볼트 61, 62, 63, 64 : 너트
70 : 체결 베이스(Base)
99 : 리프터 통스 장치(Lifter Tong's System)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 치구(30) 및 체결 베이스(7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정 치구(30)는 베이스(35), 기둥부(31), 안장부(34), 지렛대부 및 나사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베이스(35)는 바닥과 수평으로 사다리꼴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넓은 폭을 가지는 변의 중간에는 핀 고정부(36)를 구비하며, 좁은 폭을 가지는 편의 중간에는 암나사부(38)를 구비하고, 상기 기둥부(31)는 상기 베이스(35)에 수직으로 설치된 채 그 중단부에는 눈금(32)을 구비하고 그 선단부에는 수평으로 이연된 홀더부(33)를 구비하되, 상기 홀더부(33)의 선단부에는 체결 볼트(60)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 홀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안장부(34)는 상기 베이스(35)의 넓은 폭을 가지는 쪽 모서리에 크랭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아암(20)의 하단을 얹은 채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지렛대부는 긴 막대 형상의 지렛대(40)의 중간에 핀(37)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 홀을 구비하고, 그 첨단부에는 한 쌍의 렌치(41)를 구비하며, 상기 나사부는 상기 암나사부(38)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수나사부(50)와, 상기 수나사부(50)의 첨단부에 설치되어 지렛대(40)의 선단이 관통할 수 있는 홀더(51) 및 상기 수나사부(50)의 승하강을 위하여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52)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체결 베이스(70)는 기존의 스크루 커버(1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체결 볼트(60)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 홀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조정 치구(30) 및 체결 베이스(70)를 연결하여 주는 체결 볼트(60)는 홀더부(33)의 상하 및 체결 베이스(70)의 상하에서 각각 2개의 너트(61, 62, 63, 64)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의 동작을 도 3 및 도 4의 동작 상태도에 의해 설명하면 먼저 로프(12)를 풀어서 리프터 통스 장치(99)를 하강시키면서 안장부(34)에 아암(20)의 하단부를 얹어놓는다. 그 후 홀더부(33)와 체결 베이스(70) 사이의 거리가 적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체결 볼트(60)와 너트(61, 62, 63, 64)를 사용하여 고정시킨다. 그 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핑 슈(23)의 장착에 사용되는 볼트 홀(26)에 렌치(41)를 삽입하고 지렛대(40)를 베이스(35)의 상부로 위치시킨 후 지렛대(40)의 선단을 홀더(51)의 구멍에 삽입하고, 손잡이(52)를 돌려서 적절히 높이를 맞춤으로써 지렛대(40)의 핀 홀과 핀 고정부(36)의 구멍을 맞춘 후 상기 일치된 구멍에 핀(37)을 삽입한다.
상기와 같이 체결된 본 고안의 치구의 손잡이(52)를 1인의 작업자가 회전시킴에 따라 지렛대(40)의 끝부분이 상승하면 렌치(41)는 하강하므로 그리핑 슈(23)가 동반되어 하강하고, 따라서 스프링 로드(24) 및 로드 너트(25)가 개방된다. 이때 손잡이(52)의 동작을 멈추면 스프링 로드(24) 및 로드 너트(25)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안전하게 로드 너트(25)의 조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로드 너트(25)의 조정 시에 눈금(32)의 "0" 지점을 스프링 로드(24)의 상단부, 즉 로드 너트(25)에 맞춤으로써 용이하게 텐션 조정 및 레벨 조정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스프링 로드의 텐션 조절 및 그리핑 슈의 레벨 조정에 있어서 아암의 하향 개방시 개방 상태가 유지되므로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1인이 단독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통스 크레인 리프터의 스프링 텐션 및 슈 레벨을 조정할 때 용이하게 하향 개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치구에 있어서, 조정 치구(30) 및 체결 베이스(70)로 구성하되, 상기 조정 치구(30)는 베이스(35), 기둥부(31), 안장부(34), 지렛대부 및 나사부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35)는 사다리꼴 구조로 형성하되, 긴 변의 중간에는 핀 고정부(36)를 구비하며, 짧은 변의 중간에는 암나사부(38)를 구비하고, 상기 기둥부(31)는 상기 베이스(35)에 수직으로 설치된 채 그 선단부에는 수평으로 이연된 홀더부(33)를 구비하되, 상기 홀더부(33)의 선단부에는 체결 볼트(60)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 홀을 구비하고, 상기 안장부(34)는 상기 베이스(35)의 긴 변 양측 모서리에 크랭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렛대부는 긴 막대 형상의 지렛대(40)의 중간에 핀(37)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 홀을 구비하고, 그 첨단부에는 한 쌍의 렌치(41)를 구비하며, 상기 나사부는 상기 암나사부(38)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수나사부(50)와, 상기 수나사부(50)의 첨단부에 설치되어 지렛대(40)의 선단이 관통할 수 있는 홀더(51)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 베이스(70)는 기존의 스크루 커버(11)에 설치하되, 상기 체결 볼트(60)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 홀이 구비되고, 상기 조정 치구(30) 및 체결 베이스(70)는 체결 볼트(60) 및 다수개의 너트(61, 62, 63, 64)에 의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스 크레인 리프터의 하향 개방용 치구
KR2019970033550U 1997-11-24 1997-11-24 통스 크레인 리프터의 하향 개방용 치구 KR2002578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550U KR200257800Y1 (ko) 1997-11-24 1997-11-24 통스 크레인 리프터의 하향 개방용 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550U KR200257800Y1 (ko) 1997-11-24 1997-11-24 통스 크레인 리프터의 하향 개방용 치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140U KR19990020140U (ko) 1999-06-15
KR200257800Y1 true KR200257800Y1 (ko) 2002-02-19

Family

ID=53897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3550U KR200257800Y1 (ko) 1997-11-24 1997-11-24 통스 크레인 리프터의 하향 개방용 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80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140U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46259A (en) Manhole cover lifter
US4360110A (en) Positive grip lifting mechanism
US4530536A (en) Lifting tongs
KR200257800Y1 (ko) 통스 크레인 리프터의 하향 개방용 치구
CN108821098B (zh) 一种带有保险挂板能同时吊运两根钢轨的吊具
JP3321149B1 (ja) パイプ吊り上げ機具
JP2799991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吊り装置
US3178219A (en) Erection clamp
US2674485A (en) Lifting tool
CN202785237U (zh) 一种白车身侧围外板吊运装置
KR101635454B1 (ko) 물류운반용 도킹지그이동형 안전곤돌라
JP2008280814A (ja) マンホール金蓋開閉器
US2263857A (en) Handling apparatus
CN216764019U (zh) 铝锭垛专用起吊装置
JPH061585A (ja) 軸受箱付きロールの自動玉掛吊具
CN210944523U (zh) 一种预埋起吊结构
CN204980843U (zh) 一种吊具
KR200179089Y1 (ko) 맨홀뚜껑 개방장치
US5192105A (en) Pole handler
US3788690A (en) Billet turning wrench
KR200220765Y1 (ko) 잠금장치가 부착된 크레인후크
KR200166514Y1 (ko) 승주용볼트및너트
KR20130073478A (ko) 만능 장척물 후크를 구비한 체인블록
JPS6243985Y2 (ko)
US20230047423A1 (en) Grapple for Formwork Pan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