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687Y1 - 대형 화이트 보드 - Google Patents

대형 화이트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687Y1
KR200257687Y1 KR2020010027529U KR20010027529U KR200257687Y1 KR 200257687 Y1 KR200257687 Y1 KR 200257687Y1 KR 2020010027529 U KR2020010027529 U KR 2020010027529U KR 20010027529 U KR20010027529 U KR 20010027529U KR 200257687 Y1 KR200257687 Y1 KR 2002576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memo
frame
plate
p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75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근
주순연
Original Assignee
박동근
주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근, 주순연 filed Critical 박동근
Priority to KR20200100275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6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6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687Y1/ko

Link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이트 보드(WHITE BOARD)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메모지를 압정이나 핀으로 꽂아 부착할 수 있는 부재로 된 메모꽂이판과, 메모판과 메모꽂이판 및 판재로 구성된 보드의 외곽부를 보호하고 화이트 보드의 미려함을 더해 주기 위한 플라스틱재의 프레임이 구비된 것으로서, 상기 메모판은 얇은 철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플라스틱재의 프레임은 자체 텐션을 가지는 체결리브와 플라스틱재 프레임의 휨 방지를 위한 철관이 플라스틱재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화이트 보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수성 및 유성펜 등의 필기구를 사용하여 필기를 할 수 있도록 한 메모판과, 메모지를 압정이나 핀으로 꽂아 부착할 수 있는 부재로 된 메모꽂이판과, 상기 메모판과 메모꽂이판을 설치할 수 있는 판재와, 상기 메모판과 메모꽂이판 및 판재로 구성된 보드의 외곽부를 보호하고 화이트 보드의 미려함을 더해 주기 위한 플라스틱재의 프레임과 플라스틱재의 연결구로 구성된다. 상기 플라스틱재의 프레임은 자체 텐션을 가지는 체결리브와 플라스틱재 프레임의 휨 방지를 위하여 플라스틱재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축방향으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사각형의 철관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조립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화이트 보드의 프레임 및 연결구가 플라스틱재로 되어 있어서 무게를 감소시킴은 물론 제작경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 및 연결구는 제조공정에서 여러가지의 색상으로 된 제품을 사출·생산할 수 있어서 화이트 보드의 외곽부의 프레임에 대하여 미려함을 더해 줄 수 있다. 또한 화이트 보드의 메모판이 얇은 철판으로 되어 있어서 자석류의 문구 재료를 부착할 수 있고, 화이트 보드의 일측 일부에 구비된 메모꽂이판에 메모지를 부착할 수 있어서 다기능성을 가지는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대형 화이트 보드{The big white board}
본 고안은 화이트 보드(WHITE BOARD)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메모지를 압정이나 핀으로 꽂아 부착할 수 있는 부재로 된 메모꽂이판과, 메모판과 메모꽂이판 및 판재로 구성된 보드의 외곽부를 보호하고 화이트 보드의 미려함을 더해 주기 위한 플라스틱재의 프레임이 구비된 것으로서, 상기 메모판은 얇은 철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플라스틱재의 프레임은 자체 텐션을 가지는 체결리브와 플라스틱재 프레임의 휨 방지를 위한 철관이 플라스틱재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화이트 보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대형 화이트 보드는 단순히 수성 및 유성펜 등의 필기구를 사용하여 필기를 할 수 있도록 한 메모판으로 되어 있어서, 쓰고 지울 수 있는 기능 외에는 별다른 기능이 없었다.
또한 종래의 메모판은 나무가루를 접착제와 혼합하여 만든 판재와, 합판으로 된 판재 및 플라스틱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된 판재 위에 하얀색의 도료를 도포한 후 코팅 처리한 것으로서, 나무와 플라스틱재 및 합성수지재의 특성상 온도 및 주위환경에 의하여 휨이 발생될 수 있고 내구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자는 상기 쓰고 지우는 기능 외에 별다른 기능이 없는 것을 개선하기 위하여 소형이며 휴대할 수 있는 메모판으로서, 메모판의 일측 일부에 콜크와 같이 압정 또는 핀을 꽂을 수 있는 부재로 된 메모꽂이판을 구비하여서 메모지 등을 압정이나 핀으로 꽂을 수 있는 휴대용 메모판을 출원하여 등록제 2001-244363호로 등록을 받은 바 있으나, 소형이며 휴대할 수 있는 메모판에만 적용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대형 화이트 보드와는 사용용도가 다르다.
또한 대형 화이트 보드의 경우에는 판재 및 메모판으로 구성된 보드의 외곽부를 감싸는 프레임이 스틸이나 알루미늄으로 되어 있어서, 무게가 무겁고 제작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제 1도의 종래의 화이트 보드를 나타낸 정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판재와 프레임 및 연결구를 견고히 연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체결수단인 볼트나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제조원가가 상승되고, 제조공정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체결방법에 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용신안등록 1996-6807호의 “화이트 보드의 결합구조”는 제 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새시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체결리브가 형성되고, 새시의 체결리브 사이에 기밀하게 끼워지도록 연결구의 일측과 타측 끝에 끼움돌기가 형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조립시 칠판의 상단부와 하단부 및 양측 외곽부가 각기 새시의 상단부와 하단부 및 양측부의 내측 삽입홈에 삽지되도록 하고, 새시 각 코너부에서 연결구의 끼움돌기가 새시의 체결리브 사이로 삽입되도록 하며, 이 때, 연결구의 끼움돌기 외부면이 새시의 체결리브 사이에 기밀하게 밀착되어 마찰력에 의한 억지 끼움식으로 견고하게 체결하는 방법을 언급하고 있으나, 이 또한 연결구에 의해서만 체결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자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인 플라스틱재의 프레임의 자체 텐션을 가지는 체결리브에 의해 메모판과 메모꽂이판 및 판재로 구성된 보드의 외곽부를 견고히 체결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또한 종래의 연결구 및 새시는 알루미늄이나 스틸(steel)로 되어 있어서, 제작경비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과 연결구 및 새시를 다양한 색상으로 하기에는 다소 어려운 점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메모지를 압정이나 핀으로 꽂아 부착할 수 있는 부재로 된 메모꽂이판과, 메모판과 메모꽂이판 및 판재로 구성된 보드의 외곽부를 보호하고 화이트 보드의 미려함을 더해 주기 위한 플라스틱재의 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메모판은 얇은 철판으로 형성하고,상기 플라스틱재의 프레임은 자체 텐션을 가지는 체결리브와 플라스틱재 프레임의 휨 방지를 위한 철관이 플라스틱재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구비하여서 된 대형 화이트 보드를 제공함으로써, 화이트 보드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프레임 및 연결구를 플라스틱재로 하여 무게를 감소시킴은 물론 제작경비를 절감시키며, 상기 프레임 및 연결구를 제조공정에서 여러 가지의 색상으로 된 제품을 사출생산하여 화이트 보드의 외곽부의 프레임에 대하여 미려함을 더해 줄 수 있도록 하며, 뿐만 아니라 화이트 보드의 메모판을 얇은 철판으로 하여 자석류의 문구 재료를 부착할 수 있고, 일측 일부에 구비된 메모꽂이판에 메모지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성을 가지는 화이트 보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 1도는 종래의 화이트 보드를 나타낸 정면도
제 2도는 또 다른 종래의 화이트 보드의 절개 상태의 사시도
제 3도는 본 고안의 화이트 보드의 정면도
제 4도는 본 고안의 화이트 보드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
제 5도는 제 3도의 a-a'의 단면도
제 6도는 제 3도의 b-b'의 절개 상태의 사시도
제 7도는 본 고안의 구성부품 중 플라스틱재의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보드(BOARD) B: 플라스틱재의 프레임
1: 메모판 2: 메모꽂이판
3: 판재 4: 플라스틱재 연결구
5: 체결리브 6: 철관
7: 걸고리 8: 걸고리 끼움돌기
9: 선반 10: 삽입홈
11: 내부공간 12: 끼움돌기
13: 덮개
본 고안의 구성은 제 4도의 본 고안의 화이트 보드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와 제 6도의 제 3도 b-b'의 절개 상태의 사시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성 및 유성펜 등의 필기구를 사용하여 필기를 할 수 있도록 한 메모판(1)과, 메모지를 압정이나 핀으로 꽂아 부착할 수 있는 부재로 된 메모꽂이판(2)과, 상기 메모판(1)과 메모꽂이판(2)을 설치할 수 있는 판재(3)와, 상기 메모판(1)과 메모꽂이판(2) 및 판재(3)로 구성된 보드(A)의 외곽부를 보호하고 화이트 보드의 미려함을 더해 주기 위한 플라스틱재의 프레임(B)과 플라스틱재의 연결구(4)로 구성된다.
상기 플라스틱재의 프레임(B)에 있어서, 상단 및 양측부의 플라스틱재의 프레임은 자체 텐션을 가지는 체결리브(5)와 플라스틱재 프레임의 휨 방지를 위하여 플라스틱재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축방향으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사각형의 철관(6)이 구비되고, 화이트 보드를 벽에 걸 수 있는 걸고리(7)가 상단에 구비되며, 걸고리(7)를 끼울 수 있는 걸고리의 끼움돌기(8)로 구성된다. 또한 하단의 플라스틱재의 프레임(B)에는 자체 텐션을 가지는 체결리브(5)와 플라스틱재 프레임의 휨 방지를 위하여 플라스틱재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축방향으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사각형의 철관(6)이 구비되고, 필기구를 놓을 수 있는 선반(9)과 선반(9)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홈(10)이 형성된다.
상기 플라스틱재의 연결구(4)에는 플라스틱재 프레임(B)의 철관(6)의 내부공간(11)에 삽입되어질 끼움돌기(12)가 플라스틱재의 연결구(4)의 양측에 형성된다.
본 고안의 화이트 보드의 메모판(1)과 메모꽂이판(2)의 구획 구분은 'T'자형의 덮개(13)를 메모판(1)과 메모꽂이판(2)의 사이에 있는 공간에 끼워 고정하거나 양면접착테이프로 접착하여 경계부를 형성시킨다.
상기 메모판(1)은 얇은 철판으로 형성되며, 얇은 철판 위에 하얀색의 도료를 도포한 후 코팅처리 된다.
상기 메모지를 압정이나 핀으로 꽂아 부착할 수 있는 부재로 된 메모꽂이판(2)은 콜크, 우드락, 신축성을 갖는 골판지, 합판, 합성수지판 등을 총칭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메모판(1)과 메모꽂이판(2) 및 판재(3)로 구성된 보드(A)에 자체 텐션을 가지는 플라스틱재의 프레임(B)을 보드(A)의 상단과 하단의 외곽부에 억지 끼움식으로 견고하게 끼운 후, 좌측의 플라스틱재 프레임(B)에 있어서 플라스틱재 프레임(B)의 휨 방지를 위한 철관(6)의 내부공간(11)의 양측에 플라스틱재의 연결구(4)를 끼운 다음, 화이트 보드의 상단 및 하단에 설치된 플라스틱재의 프레임(B)의 휨 방지를 위한 철관(6)의 좌측 내부 공간(11)에 삽입하면서 플라스틱재 프레임(B)을 보드(A)의 좌측에 억지 끼움식으로 견고하게 끼운다. 그리고 상단의 플라스틱재 프레임(B)에 형성되어 있는 걸고리 끼움돌기(8)에 걸고리(7)를 삽입한 다음, 우측의 플라스틱재 프레임(B)에 있어서 플라스틱재 프레임(B)의 휨 방지를 위한 철관(6)의 내부공간(11)의 양측에 플라스틱재의 연결구(4)를 끼운 다음, 화이트 보드의 상단 및 하단에 설치된 플라스틱재의 프레임(B)의 휨 방지를 위한 철관(6)의 우측 내부 공간(11)에 삽입하면서 플라스틱재 프레임(B)을 보드(A)의 우측에 억지 끼움식으로 견고하게 끼운다 .
그리고 하단의 플라스틱재의 프레임(B)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10)에선반(9)을 삽입하면 화이트 보드의 조립은 완성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화이트 보드는 화이트 보드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프레임 및 연결구를 플라스틱재로 하여 무게를 감소시킴은 물론 제작경비를 절감시키며, 상기 프레임 및 연결구를 제조공정에서 여러 가지의 색상으로 된 제품을 사출생산하여 화이트 보드의 외곽부의 프레임에 대하여 미려함을 더해 줄 수 있도록 하며 또한 화이트 보드의 메모판을 얇은 철판으로 하여 자석류의 문구 재료를 부착할 수 있고, 일측 일부에 구비된 메모꽂이판에 메모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성을 가질 수 있다.

Claims (5)

  1. 화이트 보드(WHITE BOARD)에 있어서, 메모지를 압정이나 핀으로 꽂아 부착할 수 있는 부재로 된 메모꽂이판(2)을 보드(A)의 일측에 일부 형성하고, 메모판(1)과 메모꽂이판(2)의 구획 구분을 위한 'T'자형 덮개(13)가 구비되며, 메모판(1)과 메모꽂이판(2) 및 판재(3)로 구성된 보드(A)의 외곽부를 보호하고 체결수단인 볼트와 너트 및 나사를 체결하지 아니하고 체결이 가능하도록 한 플라스틱재의 프레임(B)과 플라스틱재의 연결구(4)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화이트 보드.
  2. 제 1항에 있어서, 메모판(1)은 얇은 철판으로 형성되고, 얇은 철판 위에 하얀색의 도료를 도포한 후 코팅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화이트 보드.
  3. 제 1항에 있어서, 메모꽂이판(2)은 콜크, 우드락, 신축성을 갖는 골판지, 합판, 합성수지판 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화이트 보드
  4. 제 1항에 있어서, 플라스틱재 프레임(B)의 상단 및 양측부에는 자체 텐션을 가지는 체결리브(5)와 플라스틱재 프레임의 휨 방지를 위하여 플라스틱재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축방향으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사각형의 철관(6)이 구비되고, 화이트 보드를 벽에 걸 수 있는 걸고리(7)가 상단에 구비되며, 걸고리(7)를 끼울 수 있는 걸고리의 끼움돌기(8)로 구성된 것과 하단의 플라스틱재의 프레임(B)에는 자체 텐션을 가지는 체결리브(5)와 플라스틱재 프레임의 휨 방지를 위하여 플라스틱재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축방향으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사각형의 철관(6)이 구비되고, 필기구를 놓을 수 있는 선반(9)과 선반(9)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홈(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화이트 보드.
  5. 제 1항에 있어서, 메모판(1)과 메모꽂이판(2) 및 판재(3)로 구성된 보드(A)는 메모판(1)과 메모꽂이판(2)의 구획을 구분해 주기 위한 'T'자형 덮개(13)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화이트 보드.
KR2020010027529U 2001-09-08 2001-09-08 대형 화이트 보드 KR2002576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529U KR200257687Y1 (ko) 2001-09-08 2001-09-08 대형 화이트 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529U KR200257687Y1 (ko) 2001-09-08 2001-09-08 대형 화이트 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687Y1 true KR200257687Y1 (ko) 2001-12-24

Family

ID=73108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7529U KR200257687Y1 (ko) 2001-09-08 2001-09-08 대형 화이트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68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687B1 (ko) 2006-01-19 2007-08-02 장상준 걸이형 보드
KR200471187Y1 (ko) 2012-06-27 2014-02-10 (주)크래들코리아 얇은 테두리를 가진 칠판보드
KR101629612B1 (ko) * 2015-09-21 2016-06-10 (주)금강칠판교구산업 칠판 시트 구조
KR101639518B1 (ko) * 2015-02-12 2016-07-13 (주)금강칠판교구산업 모둠 수업용 자석칠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687B1 (ko) 2006-01-19 2007-08-02 장상준 걸이형 보드
KR200471187Y1 (ko) 2012-06-27 2014-02-10 (주)크래들코리아 얇은 테두리를 가진 칠판보드
KR101639518B1 (ko) * 2015-02-12 2016-07-13 (주)금강칠판교구산업 모둠 수업용 자석칠판
KR101629612B1 (ko) * 2015-09-21 2016-06-10 (주)금강칠판교구산업 칠판 시트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3993B2 (en) Board assembly
KR200257687Y1 (ko) 대형 화이트 보드
CA2470728A1 (en) Display system
JP3347304B2 (ja) ボードの取付構造
JPH0134242Y2 (ko)
KR101639518B1 (ko) 모둠 수업용 자석칠판
KR100839531B1 (ko) 미술용 파렛트
JPS5852239U (ja) パツキン付縁材
JP2723040B2 (ja) 黒板の枠材取付構造
JP5883620B2 (ja) 薄型壁面筆記用ボード
US20070245613A1 (en) Image display device with permanently incorporated pins
KR19990033360U (ko) 브래킷이 구비된 일체식 벽걸이용 보드
JPH0410629Y2 (ko)
JP3476340B2 (ja) 筆記装置
JP2543169Y2 (ja) 浴室ユニットの天井取付構造
KR200423192Y1 (ko) 책상 상판 연결구조
JPH0342859Y2 (ko)
JPS5833090Y2 (ja) シユウノウバコトウニオケルソウシヨクバン
KR200422176Y1 (ko) 기록용 보드 세트
KR200203384Y1 (ko) 터널구조의 학습용 자석
KR950006795Y1 (ko) 천정판
KR200244363Y1 (ko) 휴대용 메모판
KR200443284Y1 (ko) 모니터용 표시보드
JPS6341954Y2 (ko)
KR200215675Y1 (ko) 결착기능 및 외관이 개선된 벽걸이식 필판용 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