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543Y1 - 복합 조립식 형강 - Google Patents

복합 조립식 형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543Y1
KR200257543Y1 KR2020010029968U KR20010029968U KR200257543Y1 KR 200257543 Y1 KR200257543 Y1 KR 200257543Y1 KR 2020010029968 U KR2020010029968 U KR 2020010029968U KR 20010029968 U KR20010029968 U KR 20010029968U KR 200257543 Y1 KR200257543 Y1 KR 2002575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ection steel
hole
coupling hole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99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형식
Original Assignee
민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형식 filed Critical 민형식
Priority to KR20200100299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5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5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543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건설공사시 건축, 토목, 기계설비, 전기 및 통신분야의 내외장재, 장비, 배관닥트, 케이블, 각종 자재를 적재하기 위한 선반등 시설물 설치를 위한 지지용 복합 조립식 형강에 관한 것이다.
이 형강의 형태는 철판에 1줄 또는 3줄의 직사각형 또는 타원 모양으로 연속 돌출타공하여 결합구멍을 형성하고, 끝단부가 형강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압연한 형강으로서, 형강의 1면 또는 3면은 연속돌출타공하여 안쪽으로 돌출된 결합구멍리브가 구성되고, 1면은 안쪽으로 돌출된 슬로트홀과 슬로트홀리브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형강은 종래의 'ㄱ','ㄷ','I' 및 'H'형태의 주조 형강에 비해 경량이면서 강도가 뛰어나고 무타공 또는 1줄의 돌출되지 않은 구멍으로 이루어진 기존의 경량형강에 비해 슬로트홀 및 결합구멍의 돌출된 리브로 인한 형강의 강도 보강으로 강도가 뛰어나고, 상하좌우 구멍과 슬로트홀에 간단한 브라켓트를 이용해 방향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기능의 형강 조립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여러개의 형강을 결합하여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는 결합구멍에 볼트를 삽입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복합 조립식 형강이다.
특히, 상하좌우 단면이 대칭이어서 어는 방향에서나 'T'형상의 볼트를 슬로트홀이나 직사각형 또는 타원의 홀에 직접 삽입하여 브라켓트 및 부속설치물을 쉽게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 조립식 형강 {Assemble type complex section steel}
본 고안은 건설공사시 내외장 및 각종 설비 시설물의 지지용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일면이 형강의 내측으로 돌출된 슬로트홀이 형성된 기존 끝단부가 형강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강을 개선하여 시공시 여러방향과 형태의 조립에 불편함이 없고 강도가 뛰어난 조립식 형강을 개발하여 종래의 공법을 경량화, 조립화, 단순화시켜 원가 절감의 목적으로 고안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형강은 주조 성형한 ㄱ형강, ㄷ형강, H형강 및 I형강 등과 롤링 성형한 C형강, Z형강 등이 있다. 이러한 형강들은 대부분 건축 토목 철골구조물과 각종 시설물을 지지하는 지주 또는 보강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주조 성형한 형강들은 제조공장에서 하나의 단일체로 만들어진 뒤 출하되기 때문에 형태 변형이 불가능하며 시공시 용접등에 의해 국부적인 성질변화와 강도저하가 발생하고 강도에 비해 고중량이어서 운반 및 시공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압연 형강중 무타공 형강은 조립식 결합이 불가능하고 무거우며 시공에 불편한 단점이 있다.
반면에 타공한 조립식 앵글이나 C형강은 크기에 비해 가볍고 조립이 용이한장점이 있으나, 타공으로 인한 상당한 강도저하가 있어 사용하중에 큰 제약이 따르며, 과다한 연결부속류를 필요하게 되어 시공품질 저하와 시공비용 상승의 요인이 되어 왔던 것이다.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설공사시 사용하는 중소형 형강을 공사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일측에 슬로트홀을 형성하고, 결합구멍을 1줄 또는 3줄을 타공하여 전체적인 형강의 무게를 경량화 시키고, 결합구멍 및 슬로트홀의 형강 안쪽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한 결합구멍리브와 슬로트홀리브로 뛰어난 강도를 유지시키며, 형강의 상하좌우 여러방향의 조립과 필요한 강도에 맞추어 여러개의 형강을 서로 조합하여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다용도 다기능성 복합 조립식 형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1줄 복합조립식 형강의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에 의한 1줄 복합조립식 형강의 결합구멍을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2b는 본 고안에 의한 1줄 복합조립식 형강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3줄 복합조립식 형강의 사시도.
도 4a는 본 고안에 의한 3줄 복합조립식 형강의 결합구멍을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4b는 본 고안에 의한 3줄 복합조립식 형강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복합조립식 형강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조립식 형강
2 : 슬로트홀
3 : 슬로트홀 리브
4 : 결합구멍
5 : 결합구멍 리브
6 : T볼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강판을 압연하여 만든 결합구멍을 가진 구조용 형강(1)에 있어서, 형강(1)의 일측면에는 형강(1)의 내측으로 돌출된 슬로트홀 리브(3)를 가진 슬로트홀(2)을 형성하고, 그 타측면에 타공을 하여 연속된 결합구멍(4)을 구성하고 결합구멍 주위의 부분이 형강 내측으로 돌출되어 결합구멍리브(5)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1줄 복합조립식 형강(1)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고안에 의한 1줄 복합조립식 형강(1)의 결합구멍을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며, 도 2b는 본 고안에 의한 1줄 복합조립식 형강(1)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3줄 복합조립식 형강(1)의 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고안에 의한 3줄 복합조립식 형강(1)의 결합구멍을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며, 도 4b는 본 고안에 의한 3줄 복합조립식 형강(1)의 종단면도이다.
사각형 모양의 복합 조립식 형강(1)의 일측면에는 슬로트홀(2)이 형성되고, 슬로트홀(2)을 이루는 형강의 끝부분이 형강(1)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슬로트홀리브(3)를 구성한다.
형강의 다른면에는 타공을 통하여 형성된 1줄 혹은 3줄의 직사각형 또는 타원모양의 결합구멍(4)이 형강의 각면에 한줄로 연속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결합구멍(4)을 이루는 형강(1)의 부분이 형강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결합구멍리브(5)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복합 조립식 형강(1)은 슬로트홀(2)과 결합구멍(4)을 형성함으로서 형강(1)의 단면모양이 대칭으로 형성되어 T볼트(6)등을 이용하여 손쉽게 필요한 형상의 구조로 이용할 수 있고, 필요한 부속물들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형강(1)의 무게를 줄여 운반 및 시공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형강(1)의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구성한 슬로트홀리브(3)와 결합구멍리브(5)는 타공으로 형성한 1줄 혹은 3줄의 결합구멍(4)에 의해 발생되는 형강(1)의 강도저하를 방지하여 주어 형강(1)의 무게를 줄이면서도 강도의 저하가 없도록 하여 준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복합 조립식 형강(1)의 사용상태도이다.
T볼트(6)를 복합 조립식 형강(1)의 슬로트홀(2)이나 결합구멍(4)에 직접 삽입하여 여러개의 복합 조립식 형강(1)을 필요한 모양으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건설공사시 각종 설치 지지용의 철물을 별도의 용접작업이 없이 필요 강도에 맞추어 여러개의 형강을 서로 조합하여 상하좌우 여러방향으로 순수조립이 용이하므로 재료비 인건비 간접비 등 시공비용 절감에 기여할 수 있으며, 형강(1)의 무게가 가벼워 운반 및 시공이 간편하고, 형강의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된 슬로트홀리브(3)와 결합구멍리브(5)에 의해 형강의 강도가 우수하며, 복합 조립식 형강(1)의 슬로트홀(2)이나 결합구멍(4)을 통하여 T형상의 볼트로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작업의 간편성이 있다.

Claims (1)

  1. 강판을 압연하여 만든 결합구멍을 가진 구조용 형강(1)에 있어서,
    형강(1)의 일측면에는 형강(1)의 내측으로 돌출된 슬로트홀리브(3)를 가진 슬로트홀(2)을 형성하고, 그 타측면에 타공을 하여 연속된 결합구멍(4)을 구성하고 결합구멍 주위의 부분이 형강 내측으로 돌출되어 결합구멍리브(5)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립식 형강.
KR2020010029968U 2001-09-28 2001-09-28 복합 조립식 형강 KR2002575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968U KR200257543Y1 (ko) 2001-09-28 2001-09-28 복합 조립식 형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968U KR200257543Y1 (ko) 2001-09-28 2001-09-28 복합 조립식 형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543Y1 true KR200257543Y1 (ko) 2001-12-29

Family

ID=73109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968U KR200257543Y1 (ko) 2001-09-28 2001-09-28 복합 조립식 형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54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824B1 (ko) * 2009-09-02 2018-05-14 오글랜드 시스템 에이에스 길이 프로파일 장치
KR20200095763A (ko) * 2019-02-01 2020-08-11 한보일렉트(주) 사각 블록 형상의 파이프 부재 및 그에 의한 조립 물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824B1 (ko) * 2009-09-02 2018-05-14 오글랜드 시스템 에이에스 길이 프로파일 장치
KR101934175B1 (ko) * 2009-09-02 2018-12-31 오글랜드 시스템 에이에스 길이 프로파일 장치
KR20200095763A (ko) * 2019-02-01 2020-08-11 한보일렉트(주) 사각 블록 형상의 파이프 부재 및 그에 의한 조립 물품
KR102202804B1 (ko) 2019-02-01 2021-01-14 한보일렉트(주) 사각 블록 형상의 파이프 부재 및 그에 의한 조립 물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8608B1 (ko) 파이 트러스 구조
CA2459936A1 (en) Building wall element
US4752157A (en) Trench shoring box unit
KR200257543Y1 (ko) 복합 조립식 형강
CN211817259U (zh) 一种加气混凝土外挂墙板双向减震连接装置
CN212271314U (zh) 钢板剪力墙
KR20100037335A (ko) 플랜지 강성이 향상된 거더 빔 및 그 시공방법
FI120413B (fi) Suljettu silta
FI77774B (fi) Stegstruktur foer hyllor.
JP2000320287A (ja) ライナープレートを用いた矩形立坑の土留壁構造
KR20180041845A (ko)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KR19990006842A (ko) 스틸하우스의 프레임 및 프레임의 결합구조
KR100457173B1 (ko) 건축용 골조
CN216640968U (zh) 钢结构与混凝土结构相结合的装配式建筑结构
CN212104563U (zh) 用于建筑物墙面的顶部或底部中间位置的装配式建筑构件
KR20090093274A (ko) 조립식 형강
CN220225711U (zh) 一种装配式高强钢结构连接节点及钢梁柱结构
KR200300653Y1 (ko) 복합 조립식 형강
CN212200789U (zh) 用于建筑物中间层中间位置的装配式建筑构件
CN212295081U (zh) 用于建筑物墙面中间位置的装配式建筑构件
KR100402631B1 (ko) 복합 조립식 형강
CN212200797U (zh) 用于建筑物空间中间位置的装配式建筑构件
CN215858195U (zh) 一种钢管混凝土柱与型钢混凝土梁连接节点
CN215948680U (zh) 钢梁穿线节点
CN217204635U (zh) 一种装配式建筑中的梁体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