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192Y1 - 유속저하 기능을 갖는 호안 기초블록 - Google Patents

유속저하 기능을 갖는 호안 기초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192Y1
KR200257192Y1 KR2020010026263U KR20010026263U KR200257192Y1 KR 200257192 Y1 KR200257192 Y1 KR 200257192Y1 KR 2020010026263 U KR2020010026263 U KR 2020010026263U KR 20010026263 U KR20010026263 U KR 20010026263U KR 200257192 Y1 KR200257192 Y1 KR 2002571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lock
holes
space
fro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62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용
Original Assignee
강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정용 filed Critical 강정용
Priority to KR20200100262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1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1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192Y1/ko

Links

Abstract

블록의 앞쪽을 흐르는 물의 속력을 저하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저항편(11)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통공(12)이 형성되어 있는 전면판(1)과, 상기한 전면판(1)과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통공(21, 31)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중판(2) 및 후면판(3)과, 상기한 전면판(1), 중판(2), 후면판(3)의 공간을 분할하기 위한 여러개의 칸막이판(5)과, 상기한 전면판(1) 및 중판(2)의 사이에 공간을 상하로 분리하기 위하여 설치되며 복수개의 통공(41)이 형성되어 있는 분리판(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블록의 앞쪽을 흐르는 물의 속력을 저하시켜 줌으로써 고기집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고, 기반토를 넣을 수 있는 공간을 별도로 형성하여 고정력을 높여 주며, 축대 및 옹벽용 블록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는, 유속저하 기능을 갖는 호안 기초블록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속저하 기능을 갖는 호안 기초블록{a base block for bank protection}
이 고안은 유속저하 기능을 갖는 호안 기초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블록의 앞쪽을 흐르는 물의 속력을 저하시켜 줌으로써 고기집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고, 기반토를 넣을 수 있는 공간을 별도로 형성하여 고정력을 높여 주며, 축대 및 옹벽용 블록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는, 유속저하 기능을 갖는호안 기초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 호수, 저수지 등에는 유로변경이나 범람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리고 깨끗하게 정돈되어 있는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가장자리 부분에 호안블록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한 호안블복은 자연석의 모습을 인조가공하였기 때문에 이를 정렬하여 설치하게 되면 매우 깔끔하면서도 정돈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 주게 되며, 호안을 유지관리하기에도 매우 편리한 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호안블복은 하천, 호수, 저수지 등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초가 자라는 것을 방해하게 되고, 자연적으로 수초밑에 형성되는 어류 서식처를 없어지도록 하기 때문에 하천, 호수, 저수지 등의 생태계를 파괴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초가 자랄 수 있으며 고기집으로서도 사용될 수 있는 기초블복을 호안블복의 하단에 설치함으로써 하천, 호수, 저수지 등의 가장자리가 환경친화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공고번호 제2001-219550호(공고일: 2001년 4월 2일)의 '고기집이 형성되어 있는 호안 기초블록'에서 본 출원인에 의하여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실용신안 등록공고번호 제2001-219550호에서 개시되어 있는 기술은, 블록의 앞쪽을 흐르는 물의 흐름이 그대로 고기집의 안쪽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고기집으로서의 역할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고정력도 상대적으로 약한 문제점이 있다.
이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블록의 앞쪽을 흐르는 물의 속력을 저하시켜 줌으로써 고기집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고, 기반토를 넣을 수 있는 공간을 별도로 형성하여 고정력을 높여 주며, 축대 및 옹벽용 블록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는, 유속저하 기능을 갖는 호안 기초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속저하 기능을 갖는 호안 기초블록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속저하 기능을 갖는 호안 기초블록의 연결설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전면판 2 : 중판
3 : 후면판 4 : 분리판
5 : 칸막이판 11 : 저항편
12, 21, 31, 41 : 통공
이하,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속저하 기능을 갖는 호안 기초블록의 구성은, 블록의 앞쪽을 흐르는 물의 속력을 저하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저항편(11)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통공(12)이 형성되어 있는 전면판(1)과, 상기한 전면판(1)과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통공(21, 31)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중판(2) 및 후면판(3)과, 상기한 전면판(1), 중판(2), 후면판(3)의 공간을 분할하기 위한 여러개의 칸막이판(5)과, 상기한 전면판(1) 및 중판(2)의 사이에 공간을 상하로 분리하기 위하여 설치되며 복수개의 통공(41)이 형성되어 있는 분리판(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속저하 기능을 갖는 호안 기초블록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하천, 호수, 저수지 등의 가장자리에 호안블록을 쌓는 경우에 상기한 호안블록의 하단에 호안 기초블록을 먼저 쌓게 된다.
상기한 호안 기초블록은 측면을 연이어서 일렬로 쌓게 되며,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열로 쌓은 위에 앞쪽칸을 남기고 뒤로 물러서서 다시 일열로 쌓음으로써 높게 쌓을 수가 있다.
상기한 호안 기초블록을 쌓으면서, 중판(1)과 후면판(3)의 사이의 공간에는 하천, 호수, 저수지 등의 주변에 있는 모래, 흙, 자갈 등을 넣어주게 됨으로써 고정력이 강화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호안 기초블록이 쌓아지게 되면, 분리판(4)의 아래쪽에서는 통공(41)을 통하여 수초가 자라나게 됨으로써 분리판(4)의 위쪽에 자연스럽게 환경친화적인 고기집이 형성되고, 통공(12, 21, 41)을 통하여 물과 고기가 드나들 수 있게 된다. 이때, 전면판(1)의 앞쪽에 형성되어 있는 저항편(11)은 물의 흐름을 완화시켜주기 때문에 고기집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통공(12, 21, 31, 41)도 물이 드나들 수 있도록 하여 물에 의한 압력을 해소시켜줌으로써 블록이 물의 압력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호안 기초불록에 의해 하천, 호수, 저수지 등의 가장자리가 어류들이 번창하는 환경친화적인 공간으로서 제공되고, 이와더불어 호안블록이 견고하게 축조될 수 있도록 튼튼한 기초 지지력을 제공함으로써 하천이나 호수의 외관을 깨끗하면서도 청결하게 유지관리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호안 기초블록의 전면판(1)의 앞쪽에 형성되어 있는 저항편(11)은 미적인 감각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절개지의 축대나 옹벽으로서 사용하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축대나 옹벽으로 사용하더라도 중판(1)과 후면판(3)의 사이의 공간에 넣어주는 모래, 흙, 자갈 등에 의해 충분한 고정력이 제공될 수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서, 블록의 앞쪽을 흐르는 물의 속력을 저하시켜 줌으로써 고기집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고, 기반토를 넣을 수 있는 공간을 별도로 형성하여 고정력을 높여 주며, 축대 및 옹벽용 블록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 유속저하 기능을 갖는 호안 기초블록을 제공할 수가 있다. 이 고안의 이와 같은 효과는 블록 분야에서 이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응용되어 이용될 수가 있다.

Claims (1)

  1. 블록의 앞쪽을 흐르는 물의 속력을 저하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저항편(11)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통공(12)이 형성되어 있는 전면판(1)과, 상기한 전면판(1)과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통공(21, 31)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중판(2) 및 후면판(3)과, 상기한 전면판(1), 중판(2), 후면판(3)의 공간을 분할하기 위한 여러개의 칸막이판(5)과, 상기한 전면판(1) 및 중판(2)의 사이에 공간을 상하로 분리하기 위하여 설치되며 복수개의 통공(41)이 형성되어 있는 분리판(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속저하 기능을 갖는 호안 기초블록.
KR2020010026263U 2001-08-29 2001-08-29 유속저하 기능을 갖는 호안 기초블록 KR2002571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263U KR200257192Y1 (ko) 2001-08-29 2001-08-29 유속저하 기능을 갖는 호안 기초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263U KR200257192Y1 (ko) 2001-08-29 2001-08-29 유속저하 기능을 갖는 호안 기초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192Y1 true KR200257192Y1 (ko) 2001-12-24

Family

ID=73107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263U KR200257192Y1 (ko) 2001-08-29 2001-08-29 유속저하 기능을 갖는 호안 기초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19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7438A (ko) * 2002-09-18 2003-03-03 석성기업주식회사 수질 정화 기능을 갖는 호안 기초블록
KR100911227B1 (ko) * 2007-08-28 2009-08-06 양영희 수지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7438A (ko) * 2002-09-18 2003-03-03 석성기업주식회사 수질 정화 기능을 갖는 호안 기초블록
KR100911227B1 (ko) * 2007-08-28 2009-08-06 양영희 수지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57192Y1 (ko) 유속저하 기능을 갖는 호안 기초블록
KR200257193Y1 (ko) 유속저하 기능을 구비한 호안 기초블록
KR200219550Y1 (ko) 고기집이 형성되어 있는 호안 기초블록
KR200284980Y1 (ko)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조립부비노출형호안블록
KR100769940B1 (ko) 친환경성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
KR100459611B1 (ko) 어소를 갖는 호안블록
KR200229198Y1 (ko) 호안기초 및 옹벽 겸용 블록
JPH0641934A (ja) 潜 堤
KR100523317B1 (ko) 하천 생태계 보호를 위한 원통형 물고기 집 블록을 이용한제방축대 설치구조
KR20090012420A (ko) 어소블록
KR200408221Y1 (ko) 친환경적인 하천 호안 시설물
KR200298530Y1 (ko) 어초블록
JP2006125102A (ja) 海岸用ブロック
KR200356111Y1 (ko) 호안블록
KR100478156B1 (ko) 환경친화적 호안블록
KR100654304B1 (ko) 친환경적인 하천 호안 시설물
KR100618562B1 (ko) 하천바닥에 설치되는 친환경적인 세굴방지블럭
KR101016406B1 (ko) 바구니형 호안블록
KR200284979Y1 (ko)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조립식호안블록
KR200286236Y1 (ko) 하천 생태계 보호를 위한 원통형 물고기 집 블록을이용한 제방축대 설치구조
KR20030079391A (ko)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 호안블록
KR200262758Y1 (ko) 어소를 갖는 조립식 호안블럭
KR200447621Y1 (ko) 어소용 호안 블록
CN208594527U (zh) 景观生态驳岸结构
KR102333349B1 (ko) 블럭이 일체화된 친환경 대형 식생호안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