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143Y1 -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배수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143Y1
KR200257143Y1 KR2020010020561U KR20010020561U KR200257143Y1 KR 200257143 Y1 KR200257143 Y1 KR 200257143Y1 KR 2020010020561 U KR2020010020561 U KR 2020010020561U KR 20010020561 U KR20010020561 U KR 20010020561U KR 200257143 Y1 KR200257143 Y1 KR 2002571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sewage
guide rail
guide
drain 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05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하
Original Assignee
이은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하 filed Critical 이은하
Priority to KR20200100205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1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1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143Y1/ko

Links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욕실, 다용도실 등의 배수공에 설치되어 오수 배출 및 역류에 의한 악취를 차단하기 위한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트랩의 중앙에 형성되는 배수구의 내주면에 가이드레일 및 걸림턱을 일체로 사출성형하고, 그 가이드레일에는 가이드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차단부재를 가이드되게 설치하여 배출되는 오수의 량에 따라 승강가능토록 하므로서, 오수 등의 생활하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함은 물론, 배수구로부터 역류하는 악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각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중앙하단에 물수장홈(12)이 형성된 배수구(11)가 형성되는 케이스(10)와, 이물질등을 걸러 오수만을 배수할 수 있도록 다수의 배수공(13')이 천공되어 상기 케이스(10) 상면에 형성되는 단턱(10')에 재치되는 덮개(13)로 이루어져 하수구에서 역류되는 악취 및 벌레 등을 차단하기 위한 배수트랩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11)의 내주면 다수의 지점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하단부에 걸림턱을 갖는 가이드레일(15)과; 상기 배수구(11) 내주면의 가이드레일(15)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레일(15)의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돌기(18)가 돌출형성되어 배출되는 오수의 량에 따라 승하강되는 반구형의 차단부재(17);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배수트랩{Drain trap}
본 고안은 욕실, 다용도실 등의 배수공에 설치되어 오수 배출 및 역류에 의한 악취를 차단하기 위한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트랩의 중앙에 형성되는 배수구의 내주면에 가이드레일 및 걸림턱을 일체로 사출성형하고, 그 가이드레일에는 가이드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차단부재를 가이드되게 설치하여 배출되는 오수의 량에 따라 가이드레일에서 승강가능토록 설치하므로서, 오수 등의 생활하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함은 물론, 배수구로부터 역류하는 악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트랩이라 함은 욕실, 다용도실 등의 바닥면에 하수관과 함께 매설되도록 설치되어 각종 생활오수(生活汚水)가 하수관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배수트랩의 상부에는 걸름망이 구비되어 생활오수 내에 포함되어진 머리카락 또는 오니 등의 각종 이물질을 걸르도록 하여 하수관이 막히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하수관으로부터 역류되는 악취를 차단하는 데 사용된다.
이와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종래의 배수 트랩은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사각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중앙하단에 물수장홈(112)이 형성된 배수구(111)가 형성되는 케이스(100)와; 그 케이스(100)의 상면에 형성되는 단턱(100')에 재치되며, 이물질등을 걸러 오수만을 배수할 수 있도록 다수의 배수공(113')이 천공되고, 중앙하단에 반구형의 차단판(117)이 나사결합된 덮개(113)로 이루어져 하수구에서 역류되는 악취 및 벌레 등을 차단토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배수 트랩(1')에 의하면, 유입되는 오수를 안내하기 위한 차단판(117)이 덮개(113)하단에 나사결합으로 고정되므로서, 배수구(111)으로 유입되는 오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수구(111)와 차단판(117)사이에서 형성되는 공간부가 한정되게 되어 배출되는 오수의 량이 적게 되었고, 이에따라 오수의 배출속도가 떨어져 배출력이 현저히 저하되었으며, 또 오수가 배출되게되면 그 공간부를 통해 악취가 역류하게 되어 심한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으로는 배수트랩의 중앙에 형성되는 배수구의 내주면에 가이드레일 및 걸림턱을 일체로 사출성형하고, 그 가이드레일에는 가이드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차단부재를 가이드되게 설치하여 배출되는 오수의 량에 따라 승강가능토록 하므로서, 오수 등의 생활하수를 신속하게 배출하여 배수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배수구로부터 역류하는 악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배수트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을 보인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a, 4b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의 사용상태도.
도 5는 종래 배수트랩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수트랩 10 ; 케이스
15 ; 가이드레일 16 ; 걸림턱
17 ; 차단부재 18 ; 가이드돌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각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중앙하단에 물수장홈이 형성된 배수구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이물질등을 걸러 오수만을 배수할 수 있도록 다수의 배수공이 천공되어 상기 케이스 상면에 형성되는 단턱에 재치되는 덮개로 이루어져 하수구에서 역류되는 악취 및 벌레 등을 차단하기 위한 배수트랩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의 내주면 다수의 지점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하단부에 걸림턱을 갖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배수구 내주면의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의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돌기가 돌출형성되어 배출되는 오수의 량에 따라 승하강되는 반구형(半球形)의 차단부재;로 이루어진다.
즉, 배수트랩의 중앙에 형성되는 배수구의 내주면에 배출되는 오수의 량에 따라 승강되는 차단부재를 설치하므로서, 오수 등의 생활하수를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배출하여 배수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배수구로부터 역류하는 악취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을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을 보인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배수 트랩은 도 1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사각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중앙하단에 물수장홈(12)이 형성된 배수구(11)를 형성한 다음, 상면에 이물질등을 걸러 오수만을 배수할 수 있도록 다수의 배수공(13')이 천공된 덮개(13)를 덮어 하수구에서 역류되는 악취 및 벌레 등을 차단토록 하는 배수 트랩(10)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배수구(11)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가이드레일(15)을 돌출되게 형성하되, 그 가이드레일(15)의 설치각도는 돌출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5)의 수에 따라 다른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가이드레일(15)의 수를 3개 정도 즉, 각각 120°를 유지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어, 상기 배수구(11)의 내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레일(15)에는 오수배출 및 역류되는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차단부재(17)를 설치하되,차단부재(17)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5)의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돌기(18)가 돌출형성하여 배출되는 오수의 량에 따라 차단부재(17)가 가이드레일(15)에서 승하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15)에서 승하강되는 차단부재(17)의 형상은 오수를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역류되는 악취의 차단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반구형으로 형성하며, 그 차단부재(17)의 외주면 단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18)의 설치각도는 그 가이드돌기(18)가 결합되는 가이드레일(15)의 설치각도와 동일하여야 하는 것으로 가이드레일(15)의 수가 3개 즉, 각각 120°를 유지한 상태로 설치되게 되면, 가이드돌기(18) 또한 그와 동일하게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배수구(11)내주면에 승하강되는 상기 차단부재(17)의 상부에는 차단부재(17)의 설치 및 해체시 파지의 용이를 위해 손잡이(19)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배수구(11)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되어 오수배출 및 역류차단을 위한 차단부재(17)가 결합되는 가이드레일(15)의 하단에는 걸림턱(16)을 형성하여 오수가 유입되었을 때, 차단부재(17)가 유입되는 오수의 부력으로 상승하여 배수구(11)로 유입되는 오수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고, 그 걸림턱(16)의 높이는 배수구(11)의 하단에 형성되는 물수장홈(12)으로부터 일정간격 상부에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배수 트랩에 의하면, 욕실 또는 다용도실의 배수공에 끼움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욕실 또는 다용도실에서 발생되는 오수가 배수 트랩(10)의 배수구(11)로 배출되게 되면 도 4a에 도시한 바와같이 배수구(11) 내주면의 가이드레일(15)에 승강가능토록 결합된 차단부재(17)가 배수구(11)로 유입된 오수의 부력에 의하여 유입되는 오수의 량 즉, 수위만큼 상부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유입되는 오수의 량 즉, 수위만큼 상부로 상승하게 되는 차단부재(17)는 차단부재(17)상부의 손잡이(19)가 덮개(13)의 저면에 접촉하게 되면, 더 이상의 상승을 멈추게 되며, 차단부재(17)하단과 배수구(11)의 하단에 형성되는 물수장홈(12)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통해 유입된 오수가 배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차단부재(17)가 배수구(11)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15)에서 상부로 상승하게되면, 배수구(11)로 유입된 오수가 원활하게 배출되게 된다.
또, 상기 작용으로 배수구(11)로 유입된 오수가 배출되게 되면, 도 4b에 도시한 바와같이, 배수구(11) 내주면의 가이드레일(15)에서 상승된 차단부재(17)가 배출되는 오수의 수위에 따라 하강하게 되고, 오수가 모두 배출되게 되면, 차단부재(17)의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8)가 가이드레일(15)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턱(16)에 걸리게 되면서 악취의 역류를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배수구(11)로 유입되는 오수의 량에 따라 차단부재(17)가 배수구(11)의 가이드레일(15)에서 승강되므로서, 유입되는 오수를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역류되는 악취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배수트랩의 중앙에 형성되는 배수구의 내주면에 배출되는 오수의 량에 따라 승강되는 차단부재를 설치하므로서, 오수 등의 생활하수를 신속하게 배출하여 배수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배수구로부터 역류하는 악취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사각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중앙하단에 물수장홈(12)이 형성된 배수구(11)가 형성되는 케이스(10)와, 이물질등을 걸러 오수만을 배수할 수 있도록 다수의 배수공(13')이 천공되어 상기 케이스(10) 상면에 형성되는 단턱(10')에 재치되는 덮개(13)로 이루어져 하수구에서 역류되는 악취 및 벌레 등을 차단하기 위한 배수트랩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11)의 내주면 다수의 지점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하단부에 걸림턱을 갖는 가이드레일(15)과; 상기 배수구(11) 내주면의 가이드레일(15)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레일(15)의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돌기(18)가 돌출형성되어 배출되는 오수의 량에 따라 승하강되는 반구형의 차단부재(17);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11)의 내주면과 차단부재(17)의 외연하단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15)과 가이드돌기(18)는 각각 120°지점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랩.
KR2020010020561U 2001-07-07 2001-07-07 배수트랩 KR2002571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561U KR200257143Y1 (ko) 2001-07-07 2001-07-07 배수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561U KR200257143Y1 (ko) 2001-07-07 2001-07-07 배수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143Y1 true KR200257143Y1 (ko) 2001-12-24

Family

ID=73067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561U KR200257143Y1 (ko) 2001-07-07 2001-07-07 배수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14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797B1 (ko) 2009-04-16 2011-04-07 김지태 다단슬리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797B1 (ko) 2009-04-16 2011-04-07 김지태 다단슬리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6813B1 (ko) 배수구용 배수장치
CA2995031A1 (en) Floor sink strainer and assembly
KR200257143Y1 (ko) 배수트랩
KR100701785B1 (ko) 공동주택의 악취방지 배수전
KR20160003461U (ko)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200482529Y1 (ko)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20110005896U (ko) 부력을 이용한 배수트랩
KR20170064307A (ko) 악취차단 기능을 가지는 실내용 배수트랩
KR200458962Y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WO2002092926A1 (en) Drain-outlet structure
KR200387058Y1 (ko) 하수구 이중 배출 구조
KR100720355B1 (ko) 공동주택 하수관의 역류방지 배수전
KR100739365B1 (ko) 배수트랩
KR200308485Y1 (ko) 배수트랩
TW201700838A (zh) 防止排水逆流之落水頭
KR200266230Y1 (ko) 배수구
KR20210042467A (ko) 자동 악취차단 및 해충 등의 유입에 방지 기능을 지니는 배수조
KR100619180B1 (ko) 배수트랩
KR200262187Y1 (ko) 하수장치
KR200244689Y1 (ko) 하수구 악취역류방지용 배수변
KR200333411Y1 (ko) 악취역류방지장치
KR200305366Y1 (ko) 배수 트랩
KR0117655Y1 (ko) 3단 여과판과 2개의 쓰레기집수통이 달린 하수구마개
KR20040086229A (ko) 욕조용 이물질 걸름구조
KR200223980Y1 (ko) 배수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