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6794Y1 -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6794Y1
KR200256794Y1 KR2020010026443U KR20010026443U KR200256794Y1 KR 200256794 Y1 KR200256794 Y1 KR 200256794Y1 KR 2020010026443 U KR2020010026443 U KR 2020010026443U KR 20010026443 U KR20010026443 U KR 20010026443U KR 200256794 Y1 KR200256794 Y1 KR 2002567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enser
chambers
main body
contents
fu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64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호
Original Assignee
김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호 filed Critical 김용호
Priority to KR20200100264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67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67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67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56Containers with an additional opening for filling or re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6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with closable apertures at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78Arrangements for separately storing several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중의 챔버를 제공함으로써, 샴푸와 린스 등 서로 쌍을 이루는 제품들의 사용이 편리하고, 저면에 깔때기부를 구비함으로써, 내용물의 재충전이 용이하도록 된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본체(10) 내부에 대롱(12)이 구비되고, 그 상부에 구비된 푸시버튼(14) 및 토출구(16)로 본체(10) 내부의 내용물을 소정량씩 펌핑토출하여 사용하도록 된 공지의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는 그 내부공간을 적어도 두 개의 챔버(18a,18b)로 구획하는 격벽(20)이 구비되고, 상기 챔버(18a,18b)에는 각각 상기 대롱(12a,12b)과 푸시버튼(14a,14b) 및 토출구(16a,16b)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디스펜서{dispenser}
본 고안은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샴푸와 린스 등 서로 쌍을 이루는 제품들의 사용이 편리하고, 내용물의 재충전이 용이하도록 된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구비된 푸시버튼(30)으로 내용물(32)을 펌핑하고, 푸시버튼(30) 단부에 구비된 토출구(34)로 내용물을 소정량씩 토출케하여 사용하도록 된 디스펜서가 많이 애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펜서에는 주로 샴푸나 린스 등의 내용물(32)이 담겨져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는 샴푸와 린스 등을 사용할 때, 각 제품이 담긴 상기의 디스펜서를 사용하고 있는데, 보통의 가정에서 샴푸, 린스, 표백제, 섬유유연제, 바디클린져, 바디오일 등 다수의 제품을 사용하다보면, 목욕탕 안의 좁은 공간에 각 제품들을 보관할 공간이 여유치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샴푸와 린스, 표백제와 섬유유연제 등 쌍을 이루는 제품의 경우, 사용자가 각각의 제품을 사용순서에 따라 일일이 찾아서 사용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한편, 상기의 디스펜서는 그 내용물(32)이 다 소진되면 비닐팩에 담겨져 판매되는 리필제품을 구입하여 리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상부의 마개(36)를 열어 비교적 좁은 입구를 통하여 리필제품을 붇다보면 리필제품이 입구 밖으로 쏟아지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깔대기 등을 사용하려면 새로 깔대기를 구입해야 하고, 리필할 때마다 깔대기를 찾아서 사용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덧붙여, 대개의 디스펜서는 샴푸나 린스 등의 각 제조사에서 제공하는데, 이러한 디스펜서들은 도 1에서와 같이, 내용물(32)을 흡수하는 대롱(38)이 디스펜서의 바닥면에 닿지 않아서 디스펜서내에 내용물이 잔존한 상태에서 리필하여야 하므로, 해당제품만을 사용하도록 강요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샴푸와 린스 등 서로 쌍을 이루는 제품들의 사용이 편리하고, 내용물의 재충전이 용이하도록 된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펜서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리필제품을 주입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2a,12b. 대롱
14a,14b. 푸시버튼 16a,16b. 토출구
18a,18b. 챔버 20. 격벽
22. 깔때기부 24a,24b. 주입구
26a,26b. 마개
본 고안에 따르면, 본체(10) 내부에 대롱(12)이 구비되고, 그 상부에 구비된 푸시버튼(14) 및 토출구(16)로 본체(10) 내부의 내용물을 소정량씩 펌핑토출하여 사용하도록 된 공지의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는 그 내부공간을 적어도 두 개의 챔버(18a,18b)로 구획하는 격벽(20)이 구비되고, 상기 챔버(18a,18b)에는 각각 상기 대롱(12a,12b)과 푸시버튼(14a,14b) 및 토출구(16a,16b)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10) 저면에는 위쪽으로 오목한 깔때기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챔버(18a,18b)의 바닥면에는 각각 주입구(24a,24b) 및 이 주입구(24a,24b)를 개폐하는 마개(26a,26b)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펜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깔대기부에 소정 제품을 붇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펜서는 그 내부공간을 적어도 두 개의 챔버(18a,18b)로 구획하는 격벽(20)이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각각의 챔버(18a,18b) 내부에 구비되어 챔버(18a,18b) 내부의 내용물을 흡수하는 대롱(12a,12b)과, 각각의 챔버(18a,18b) 상부에 구비되어 내용물을 소정량 펌핑하여 토출토록 된 푸시버튼(14a,14b) 및 토출구(16a,16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격벽(20)으로 구획된 각 챔버(18a,18b)에는 샴푸와 린스 등 쌍을 이뤄서 순서대로 사용되는 제품들이 각각 수용되며, 경우에 따라, 상기 격벽(20)을 두 개 이상 구비케 하여, 각각 구획되는 챔버(18a,18b)의 수를 늘림으로써, 다중의 제품을 하나의 디스펜서에 수용케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본체(10) 저면은 위쪽으로 오목한 원뿔형으로 성형되어깔때기부(22)를 이루게 하며, 각 챔버(18a,18b)의 저면 소정 위치에는 각 챔버(18a,18b)에 해당 제품을 충전할 수 있도록 주입구(24a,24b) 및 마개(26a,26b)가 구비된다. 상기 깔때기부(22)는 경우에 따라, 도 2에서와 같이 격벽(20)을 바닥면까지 연장형성하여 각 챔버(18a,18b)와 대응되도록 구획된 깔때기부(22a,22b)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각 챔버(18a,18b)의 대롱(12a,12b)은 깔대기부(22)의 둘레부, 즉, 본체(10) 저면의 둘레부까지 뻗어 있어서, 각 챔버(18a,18b)의 내용물이 완전히 소진될때까지 사용될 수 있게 한다.
도 3은 상기 각 챔버(18a,18b)의 내용물이 소진되었을 경우, 깔때기부(22)를 통하여 비닐팩(28) 등에 담겨 시판되는 리필제품(29)을 충전하는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디스펜서를 거꾸로 하여 깔때기부(22)에 리필제품(29)을 부어서 각 챔버(18a,18b) 저면에 구비된 주입구(24a,24b)로 충전시키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디스펜서 저면이 상대적으로 넓다는 점을 이용하여 깔때기부(22)를 형성하는 것은 리필제품(29)을 충전하기 용이하도록 할 뿐 아니라, 대롱(12a,12b)을 깔때기부(22) 둘레까지 연장시킴으로써, 챔버(18a,18b) 내의 내용물이 완전히 소질될 때까지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살펴본 디스펜서는 격벽(20)으로 구획된 다수개의 챔버(18a,18b)를 제공함으로써, 최근 들어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샴푸, 린스, 섬유유연제, 표백제, 바디 클린져, 바디 오일 등 다양한 제품들을 담는 다수개의 디스펜서를 소수의 디스펜서로 종류별로 정돈케 함으로써, 욕실의 정돈상태를 양호하게 하는 잇점이 있다. 또한, 순서대로 사용되며 쌍을 이루는 다수의 제품들을 하나의디스펜서에 모음으로써, 사용상 매우 편리한 잇점이 있다.
또한, 디스펜서 저면에 깔때기부(22)를 구비케함으로써, 각 챔버(18a,18b)에 내용물을 재충전할 때,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매우 편리하게 재충전 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게다가, 각 챔버(18a,18b)의 대롱(12a,12b) 단부가 깔대기부(22) 둘레, 즉, 디스펜서 저면의 둘레부로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각 챔버(18a,18b)의 내용물이 완전히 소진될 때까지 사용되도록 하여 매우 경제적이면서도,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제품을 바꾸어가며 사용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격벽으로 구획된 다수개의 챔버를 제공하고, 각 챔버에 순서대로 사용되며 쌍을 이루는 다수의 제품들을 각각 수용케 함으로써, 욕실의 정돈상태를 양호하게 할 뿐 아니라, 각 제품들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며, 디스펜서 저면에 깔때기부를 구비케 함으로써,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면서 매우 편리하게 재충전할 수 있도록 된 디스펜서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본체(10) 내부에 대롱(12)이 구비되고, 그 상부에 구비된 푸시버튼(14) 및 토출구(16)로 본체(10) 내부의 내용물을 소정량씩 펌핑토출하여 사용하도록 된 공지의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는 그 내부공간을 적어도 두 개의 챔버(18a,18b)로 구획하는 격벽(20)이 구비되고, 상기 챔버(18a,18b)에는 각각 상기 대롱(12a,12b)과 푸시버튼(14a,14b) 및 토출구(16a,16b)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 저면에는 위쪽으로 오목한 깔때기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챔버(18a,18b)의 바닥면에는 각각 주입구(24a,24b) 및 이 주입구(24a,24b)를 개폐하는 마개(26a,26b)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KR2020010026443U 2001-08-30 2001-08-30 디스펜서 KR2002567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443U KR200256794Y1 (ko) 2001-08-30 2001-08-30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443U KR200256794Y1 (ko) 2001-08-30 2001-08-30 디스펜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1928A Division KR100433817B1 (ko) 2001-10-08 2001-10-08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6794Y1 true KR200256794Y1 (ko) 2001-12-24

Family

ID=73107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443U KR200256794Y1 (ko) 2001-08-30 2001-08-30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679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8766B1 (ko) 공기유입통로를 갖는 음료용기
US6601737B1 (en) Baby wipe/rash cream dispenser
CA2327828A1 (en) Soap dispensing container
US5337923A (en) Flexible, inwardly foldable container for a liquid or a paste to be dispensed without ingress of air, and a method of manufacture
KR20170138658A (ko) 수동식 이중 분사장치
AU2004245587B2 (en) Water reservoir for a refrigerator
KR20100119253A (ko) 화장품 강제 토출 용기
KR200471795Y1 (ko) 복수의 저장 공간을 구비하는 펌프 용기
JP2018510821A (ja) 異種内容物混合容器
KR200256794Y1 (ko) 디스펜서
KR100433817B1 (ko) 디스펜서
KR100602418B1 (ko) 용기마개
JPH07309379A (ja) 定量取出し容器
KR101909618B1 (ko) 분리 공간을 갖는 펌핑 용기
KR200444062Y1 (ko) 염색제 용기
KR102050048B1 (ko) 이중 튜브 뚜껑
KR200397038Y1 (ko) 공기유입통로를 갖는 음료용기
KR200317079Y1 (ko) 세제용기
KR20130004528U (ko) 수납공간이 분리된 혼합용기
KR200230333Y1 (ko) 이중용기
KR102007200B1 (ko) 이중 튜브 뚜껑
KR200365545Y1 (ko) 카트리지형 다중구조의 포장용기
KR20200029872A (ko) 이중 용기
KR200445143Y1 (ko) 염색제 용기
KR101512431B1 (ko) 펌핑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