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6571Y1 - 용기덮개 - Google Patents

용기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6571Y1
KR200256571Y1 KR2020010025309U KR20010025309U KR200256571Y1 KR 200256571 Y1 KR200256571 Y1 KR 200256571Y1 KR 2020010025309 U KR2020010025309 U KR 2020010025309U KR 20010025309 U KR20010025309 U KR 20010025309U KR 200256571 Y1 KR200256571 Y1 KR 2002565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ood
cover
upper portion
cov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53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종관
Original Assignee
표종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표종관 filed Critical 표종관
Priority to KR20200100253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65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65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6571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덮개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트여지게 형성된 용기몸체(100)의 주연부(110)와 결합되는 결합홈(210)이 저면부에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수납공간(220)이 형성된 덮개몸체(200)와, 상기 덮개몸체(200)의 상부를 개, 폐하는 뚜껑부재(300)와, 상기 덮개몸체(200)와 뚜껑부재(300)를 일체로 이어주는 연결부재(400)로 구성된다.
따라서, 내부에 음식물이 담긴 용기몸체(100)의 상부를 용기덮개(10)를 이용하여 밀폐하므로써,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침투하여 음식물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며, 용기몸체(100)의 흔들림 등에 의해 음식물이 외부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반찬 등과 같은 별도의 음식물을 담을 수 있도록 덮개몸체(200)의 상부에 수납공간(220)이 형성되므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용기덮개{Container cover}
본 고안은 내부에 음식물이 담겨져 있는 용기몸체의 상부를 밀폐하여 음식물에 이물질이 침투하거나,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용기덮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면부에 결합홈이 형성된 용기덮개를 용기몸체의 주연부에 결합시켜 그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음식물에 이물질이 침투하거나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덮개는 내부에 음식물이 담겨져 있는 용기몸체의 상부를 밀폐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용기덮개를 이용하여 용기몸체의 상부를 밀폐하면, 용기몸체의 내부가 외부와 완전히 차단되므로, 용기몸체의 내부에 담겨져 있는 음식물에 인체에 해로운 이물질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음식물의 위생이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용기몸체의 상부를 밀폐하여 음식물의 위생을 유지하는 것은 용기몸체에 담겨져 있는 음식물에 침투되는 이물질이 인체에 해로운 각종 질병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일반가정집에서 각종 행사로 많은 손님이 있는 경우에나, 일반 대중음식점 등의 경우 음식물에 이물질이 침투되게 되면, 식중독 등과 같은 심각한 질병을 유발하므로, 이를 미연에 예방하기 위하여 용기몸체의 상부를 밀폐한 상태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용기몸체의 상부를 밀폐할 경우 얻을 수 있는 다른 효과로는 용기몸체의 외부에서 발생하는 충격 등에 의해 음식물이 외부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한다.
즉, 음식점에서 배달을 나갈 경우나, 야외로 소풍을 떠가는 것과 같이, 용기몸체에 담겨져 있는 음식물이 장기간 이동할 경우 이를 보호해야 할 필요가 있는것이다.
결국, 상기와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하여 최근에는 용기몸체에 포장용 자루 형태의 위생비닐을 사용하거나, 얇은 비닐로 성형된 랩(wrap)을 이용하여 용기몸체의 상부만을 밀폐하여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위생비닐을 사용할 경우 용기몸체를 감싼 상태로 그 끝단을 매듭지어 용기몸체에 담겨져 있는 음식물에 이물질 등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 후에는 상기 위생비닐만을 용기에서 분리하여 폐기하도록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용기덮개는 용기의 밀폐방법이 비교적 간단하고, 사용 후 폐기가 용이하여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널리 사용되어 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위생비닐 또는 랩의 경우에는 사용 후 별도의 소제 없이 폐기처분하기 때문에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위생비닐이나 랩의 경우 그 소재가 비닐재로써, 소각 또는 매몰할 경우 쉽게 타거나 썩지 않아 토양을 헤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위생비닐의 경우 자루 형태로 용기를 전체적으로 감싸는 상태로 사용하게 되기 때문에 음식물이 닿지 않는 불필한 부분의 사용에 따른 손실이 있게 된다.
이러한 불필요한 부분의 사용은 경제적인 손실을 유발하고, 환경 쓰레기량을 늘리게 되어 환경오염 예방차원에서 적합하지 않게 된다.
또한, 용기의 상부를 단순히 밀폐하는 기능만을 제공하여 반찬 등과 같은 별도의 음식물이 추가로 공급될 경우 이를 다시 밀폐하기 위한 용기덮개가 필요하게 되는 등의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에 음식물이 담긴 용기의 상부를 밀폐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며, 용기의 흔들림 등에 의해 음식물이 외부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용기덮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반찬 등과 같은 별도의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용기덮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용기덮개와 용기몸체의 형상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용기덮개와 용기몸체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뚜껑부재와 덮개몸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용기덮개 100 - 용기몸체
200 - 덮개몸체 210 - 결합홈
220 - 수납공간 230 - 안착홈
240 - 간막이 300 - 뚜껑체
310 - 밀착홈 400 - 연결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가 트여지게 형성된 용기몸체의 주연부와 결합되는 결합홈이 저면부에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덮개몸체와;
상기 덮개몸체의 상부를 개, 폐하는 뚜껑부재와;
상기 덮개몸체와 뚜껑부재를 일체로 이어주는 연결부재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덮개몸체의 저면부에 형성된 결합홈과 주연부를 이용하여 용기몸체의 상부를 밀폐하므로, 음식물에 이물질이 침투하거나, 외부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덮개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수납공간를 이용하여 반찬 등을 담은 후뚜껑부재로 그 상부에 결합하여 사용하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용기덮개와 용기몸체의 형상을 분해 사시도로 도시한 것으로, 용기몸체의 주연부와 결합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용기덮개의 저면부 형상을 보이고 있다.
도 2는 본 고안인 용기덮개와 용기몸체의 결합상태를 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용기몸체와 그 상부에 결합된 용기덮개의 전체적인 결합상태를 단면으로 보이고 있다.
도 3은 뚜껑부재와 덮개부재의 구성을 사시도로 도시한 것으로, 연결부재를 통하여 회동하는 것에 의해 덮개몸체의 상부를 개, 폐하는 뚜껑부재의 형상 및 덮개몸체의 상부 구성을 보이고 있다.
즉,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내부에 음식물이 담겨져 있는 용기몸체(100)의 상부를 밀폐하는 용기덮개(10)의 구성은 상부에 수납공간(220)이 형성된 덮개몸체(200)와, 상기 덮개몸체(200)를 개, 폐하는 뚜껑부재(300)와, 이 뚜껑부재(300)와 덮개몸체(20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400)로 이루어지며, 상기 덮개몸체(200), 뚜껑부재(300), 연결부재(400)는 일체로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몸체(200)의 저면부에는 용기몸체(100)의 주연부(100)와 결합가능하도록 결합홈(210)이 형성되며, 수납공간(220)에는 이쑤시게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안착홈(230)이 형성되며, 공간을 일정하게 구획하는 간막이(240)가 상부로돌출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간막이(240)는 수납공간(220)의 공간분할을 목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형상은 도 3과 같이, 일자형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나, 여러 가지의 음식을 다양하게 담을 수 있도록 십자형 또는 그 외의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덮개몸체(200)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덮개몸체(200)의 상부를 개, 폐하는 뚜껑부재(300)가 위치하며, 이 뚜껑부재(300)와 덮개몸체(200)는 연결부재(400)를 통하여 연결되어 진다.
이때, 상기 뚜껑부재(300)에는 덮개몸체(200)의 상부를 밀폐할 경우 그 기밀유지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덮개부재(200)의 지름과 상응하는 크기의 밀착홈(31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용기덮개(10)는 사용 후 폐기가 용이한 종이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덮개몸체(200)에 형성된 수납공간(220)을 간막이(240)를 통하여 일정하게 구획한 후 반찬 등과 같은 별도의 음식물은 이 구획된 수납공간(220)에 담는다.
그리고, 음식물의 섭취가 끝난 후 치아를 청소할 수 있는 이쑤시개는 안착홈(230)에 보관하며, 이 음식물과 이쑤시개가 안착된 수납공간(220)은 뚜껑부재(300)를 이용하여 밀폐시킨다.
이때, 상기 뚜껑부재(300)는 덮개몸체(200)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연결부재(400)를 통하여 회동시키는 것으로, 덮개몸체(200)의 상부를 밀폐시킬 수 있으며, 개방할 경우에도 상기 연결부재(400)를 통하여 그 목적을 이룰 수 있다.
결국, 뚜껑부재(300)의 상부에 형성된 밀착홈(310)이 덮개몸체(200)의 주연부(110)와 밀착되면서 그 상부를 밀폐하므로, 수납공간(220)에 담겨져 있는 음식물을 안전하게 보관함과 동시에 연결부재(400)를 통하여 뚜껑부재(300)는 개방 후에도 덮개몸체(200)와 분리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도 2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와 같이 구성된 용기덮개(10)를 덮개몸체(200)의 저면부에 형성된 결합홈(210)을 통하여 용기몸체(100)의 주연부(110)와 결합시킨다.
이는, 용기몸체(100)의 상부를 밀폐하여 외부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것으로, 그 내부에 담겨져 있는 음식물에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용기몸체(100)가 흔들려 음식물이 외부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음식의 배달이나, 소풍 등과 같이 음식물이 담겨져 있는 용기몸체(100)가 외부로 이동할 경우 본 고안인 용기덮개(10)를 이용하여 그 상부를 밀폐하므로, 안전하게 음식물을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첫째, 내부에 음식물이 담긴 용기의 상부를 밀폐하므로써,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며, 용기의 흔들림 등에 의해 음식물이 외부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반찬 등과 같은 별도의 음식물을 담을 수 있도록 덮개몸체의 상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므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상부가 트여지게 형성된 용기(100)의 주연부(110)와 결합되는 결합홈(210)이 저면부에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수납공간(220)이 형성된 덮개몸체(200)와;
    상기 덮개몸체(200)의 상부를 개, 폐하는 뚜껑부재(300)와;
    상기 덮개몸체(200)와 뚜껑부재(300)를 일체로 이어주는 연결부재(4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덮개.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220)의 일측에는 이쑤시게를 보관할 수 있도록 안착홈(23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덮개.
  3.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220)에는 공간을 일정하게 구획하는 간막이(24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덮개.
KR2020010025309U 2001-08-21 2001-08-21 용기덮개 KR2002565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309U KR200256571Y1 (ko) 2001-08-21 2001-08-21 용기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309U KR200256571Y1 (ko) 2001-08-21 2001-08-21 용기덮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0244A Division KR20030016591A (ko) 2001-08-21 2001-08-21 용기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6571Y1 true KR200256571Y1 (ko) 2001-12-24

Family

ID=73068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5309U KR200256571Y1 (ko) 2001-08-21 2001-08-21 용기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657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03572A (en) Disposable receptacle for spittle
US20030052018A1 (en) Tobacco dipping cup with saliva reservoir
KR200256571Y1 (ko) 용기덮개
KR20030016591A (ko) 용기덮개
FR2723074A1 (fr) Dispositif de couvercle d'emballage du type pot pour aliments consommables a melanger a au moins un ingredient
US7077571B1 (en) Collapsible and disposable trash receptacle
FR2855817A1 (fr) Emballage pour produit alimentaires.
JPH09252911A (ja) 爪楊枝や調味料を携帯できる箸
KR200316999Y1 (ko) 다수의 수용 내용물에 대한 독립적 밀폐 및 사용이용이한 식품보관용기
FR2609451A1 (fr) Recipient etanche a usage notamment alimentaire
KR940007917Y1 (ko) 일체(一切) 반찬용기
KR200245853Y1 (ko) 진공커버
KR200212614Y1 (ko) 용기뚜껑
KR200220186Y1 (ko) 다수의 저장실이 구비되는 반찬용기
KR200214248Y1 (ko) 음식 용기
KR20100127160A (ko) 소스수용부가 형성된 음식물 용기 뚜껑
KR200216454Y1 (ko) 다기능 반찬 통
KR200321744Y1 (ko) 용기 뚜껑
KR200218085Y1 (ko) 뚜껑이 개폐되는 음식물 보관용기
KR200311433Y1 (ko) 다수의 식품 내용물을 보관할 수 있는 진공 밀폐용기.
KR950010560Y1 (ko) 냉장고 보관용 찬통
KR950007469Y1 (ko) 장류포장용 용기
JP3061500U (ja) 蓋付きおろし器
KR19980062343U (ko) 수납실이 있는 통
KR200258680Y1 (ko) 수저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2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