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6017Y1 - 회전식 코르크마개취출구조를 갖는 와인오프너 - Google Patents

회전식 코르크마개취출구조를 갖는 와인오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6017Y1
KR200256017Y1 KR2020010022895U KR20010022895U KR200256017Y1 KR 200256017 Y1 KR200256017 Y1 KR 200256017Y1 KR 2020010022895 U KR2020010022895 U KR 2020010022895U KR 20010022895 U KR20010022895 U KR 20010022895U KR 200256017 Y1 KR200256017 Y1 KR 2002560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wine
screw
cork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28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승일
Original Assignee
유승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승일 filed Critical 유승일
Priority to KR20200100228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60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60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6017Y1/ko
Priority to PCT/KR2002/001404 priority patent/WO2003011742A1/en
Priority to JP2003516941A priority patent/JP2004536752A/ja
Priority to US10/484,389 priority patent/US6978696B2/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5/00Candl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2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for removing stoppers
    • B67B7/04Cork-screws
    • B67B7/0417Cork-screws with supporting means for assisting the pulling action
    • B67B7/0441Cork-screws with supporting means for assisting the pulling action whereby the supporting means abut around the whole periphery of the neck of the bott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2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for removing stoppers
    • B67B7/04Cork-screws
    • B67B2007/0458Means for cutting sealing caps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통형의 지지체를 와인병의 입구부에 안착시키고 상부압입손잡이를 회전시켜 코르크마개에 파지스크류를 하강관입시킨 다음 상부압입손잡이와 나선결합된 하부취출핸들을 회전시킴으로써 상부압입손잡이와 일체로 연결된 파지스크류가 코르크마개를 파지한 체 상승하여 와인병의 입구에서 손쉽게 취출되게 하는 회전식 코르크마개취출구조를 갖는 와인오프너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와인오프너는 특히 코르크마개에 파지스크류가 삽입파지된 상태에서 하부취출핸들을 부드럽게 회전시켜 취출하므로 핸들을 강한 힘으로 무리하게 잡아당겨 빼낼 필요가 없어 무리한 동작이나 큰 힘이 들지 않아 사용이 매우 쉽고 안정적인 잇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코르크마개의 취출시 약간의 힘으로도 상하핸들들을 손쉽게 회전시켜 그 회전력을 직진력으로 변화시켜 코르크마개를 취출하므로 힘이 약한 노인이나 여자들이 사용하기에도 매우 편리하다.

Description

회전식 코르크마개취출구조를 갖는 와인오프너{A Wine Opener with Revolution Type Structure of Extracting Cork}
본 고안은 와인병의 입구를 폐쇄하고 있는 코르크(cork)마개를 취출하여 입구를 개봉시키는 와인오프너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원통형의 지지체를 와인병의 입구부에 안착시키고 상부압입손잡이를 회전시켜 코르크마개에 파지스크류를 하강관입시킨 다음 상부압입손잡이와 나선결합된 하부취출핸들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부압입손잡이와 연결된 파지스크류가 코르크마개를 파지한 체 상승하여 와인병의 입구에서 손쉽게 취출되게 하는 회전식 코르크마개취출구조를 갖는 와인오프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인병의 입구는 코르크(cork)나무에서 얻는 코르크마개를 이용하여 폐쇄하게 된다. 이 코르크마개는 통상 와인병의 입구에 깊숙이 삽입되어 쉽게 취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코르크마개를 와인병에서 빼내기 위하여 와인오프너라는 도구를 사용한다. 이러한 와인오프너는 보편적으로 나선형의 파지스크류를 갖는 핸들로 되어 있으며, 핸들을 손으로 잡고 돌리면 그와 연결된 파지스크류가 와인병에 삽입된 코르크마개내로 진입되어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코르크마개에 파지스크류가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핸들에 강한 힘을 가해 외부로 빼내게 된다.
또한, 종래의 와인오프너의 다른 예로는 전체가 긴 나선형으로 이루어진 스크류 형태로 스크류가 계속적인 회전압력으로 크르크마개를 관통하고, 코르크마개가 스크류를 따라 계속 상승하게 하여 취출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코르크의 미세한 파편이 와인병내로 떨어져 와인을 버리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또다른 예로서, 스크류의 하강에 따라 레버가 상승하고 이 레버를 아래로 누르면 지렛대원리에 의하여 코르크를 뽑아 올리는 형태가 있다. 이 경우에는 사용시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손에 레버가 걸리는 등 동작상에 불편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스크류가 코르크의 중심에 제대로 나삽되지 못하므로 코르크가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했다.
이러한 기존의 와인오프너들은 코르크마개의 취출시 핸들에 강한 힘을 주어야 하므로 힘이 약한 노인이나 여자들이 사용하기가 매우 힘들었다. 또한, 핸들을 잡아당기거나 눌러 빼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할 뿐더러 안정적이지 못하였다. 더욱이, 와인병내에서 코르크마개의 파손으로 인해 와인이 오염되어 먹기에 불쾌한 심각한 문제도 야기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제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원통형의 지지체를 와인병의 입구부에 안착시키고 상부압입손잡이를 회전시켜 코르크마개에 파지스크류를 하강관입시킨 다음 상부압입손잡이와 나선결합된 하부취출핸들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부압입손잡이와 연결된 파지스크류가 코르크마개를 파지한 체 상승하여 와인병의 입구에서 손쉽게 취출할 뿐만 아니라, 와인병 입구를 감싸고 있는 호일도 동시에 절단제거함으로써 별도의 호일커터등의 도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회전식 코르크마개취출구조를 갖는 와인오프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질 것이며, 도면에서 대응되는 부분을 지정하는 번호는 같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코르크마개취출구조를 갖는 와인오프너의 사시도 및 부분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a에서 도시한 원형절단판을 뒤집어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코르크마개취출구조를 갖는 와인오프너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부분단면도들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서 상부압입손잡이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사시도들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서 하부취출핸들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사시도들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들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지지체 12 : 삽입고정부
14 : 공간 16 : 걸림부
20 : 하부취출핸들 22 : 손잡이부
24 : 결합지지부 26 : 체결공
28 : 암나선부 30 : 이송스크류
32 : 통형몸체 34 : 숫나선부
40 : 상부압입손잡이 42 : 중심판부
44 : 손잡이부 50 : 원형절단판
52 : 원판형몸체 54 : 절단날
60 : 파지스크류 62 : 중심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코르크마개취출구조를 갖는 와인오프너는 와인병의 입구를 폐쇄하고 있는 코르크마개에 파지스크류를 진입고정시켜 병입구로부터 취출하는 와인오프너에 있어서, 상기 와인병의 입구부에 안착고정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상단에서 제자리 회전가능케 결합되며, 중심부에 암나선이 형성된 체결공이 구비되는 하부취출핸들; 상기 하부취출핸들의 체결공에 체결관통되며, 하단부에 상기 파지스크류가 고정되어 상기 하부취출핸들의 회전에 의해 상승하면서 상기 코르크마개로 진입고정된 상기 파지스크류를 상승시키는 이송스크류; 및 상기 이송스크류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이송스크류를 회전하강시켜 그 하단에 고정된 상기 파지스크류가 회전하면서 상기 코르크마개로 진입되게 하는 상부압입손잡이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코르크마개취출구조를 갖는 와인오프너의 사시도 및 부분단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a에서 도시한 원형절단판을 뒤집어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와인병(미도시)의 입구부에 끼워져 본 와인오프너(1)를 고정하는 원통형의 지지체(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지지체(10)는 하단부에 와인병의 입구에 끼워지는 단이 진 삽입고정부(12)를 갖고 있어 와인오프너가 흔들리지 않게 지지하며 파지스크류가 코르크의 정중앙으로 나삽될 수 있도록 위치를 지정한다. 그리고, 그 내부에는 코르크마개가 상승하기에 충분한 거리만큼의 공간(14)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단부가 좁아져 걸림부(16)를 형성하고 있다. 이 걸림부(16)는 와인병의 병입구 크기에 부합되는 직경을 가지며, 다양한 병크기에 적용가능하도록 여러단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걸림부(16)에는 하부취출핸들(20)이 회전가능케 결합된다.
하부취출핸들(20)은 상부에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와 연장되어 그 하부에는 지지체(10)에 걸려 회전되게 결합되는 결합지지부(24)를 구비하고 있다. 특히, 하부취출핸들(20)의 중심상에는 이송스크류(30)가 나합되는 암나선부가 형성된 체결공(26)이 형성되어 있다.
이송스크류(30)의 상단에는 상부압입손잡이(40)가 고정되어 있으며, 그 하단에는 와인병의 입구부를 싸고 있는 호일을 원형으로 절단하여 코르크마개(미도시)가 손쉽게 취출되도록 도우는 원형절단판(50)이 결합되어 있다. 이 원형절단판(50)은 지지체(10)내에 위치하며,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판형몸체(52)의 주연부에 와인병이 위치하는 아래를 향하여 절단날(54)들이 원형으로 돌출하고 있다.
원형절단판(50)의 중심에는 파지스크류(60)가 고정되어 있는 데, 이 파지스크류(60)는 전술한 이송스크류(30)와 동일한 피치(Pitch)를 갖도록 설계되어 이송스크류(30)의 1회전에 대하여 파지스크류(60)도 동일한 거리를 회전이동하게 된다. 이 파지스크류(60)는 단부가 뾰족한 중심부재(62)를 따라 나선형 스크류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이송스크류(30)와 파지스크류(62)는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실시 및 조합이 가능하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코르크마개취출구조를 갖는 와인오프너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부분단면도들이다.
본 와인오프너는 도 3a에서와 같이 이송스크류(30)를 중심축을 따라 회전하는 나선와이어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나선형 와이어의 상부는 그 자체로서 이송스크류의 숫나선의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도 3b에서와 같이 통형몸체(32)상에 그 외주면을 따라 숫나선부(34)를 형성하여 하부취출핸들(20)내의 암나선부(28)와 나합시킬 수도 있다.
또한, 파지스크류(60)는 도 1a 및 도 1b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축심에 뾰족한 단부를 갖는 중심부재를 가진 나사형 스크류와는 다르게, 도 3a 및 도 3b와 같이 뾰족한 중심부재를 생략하고 나선와이어만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서 상부압입손잡이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사시도들이다.
상부압입손잡이(40)는 도 4a에서와 같이 원판형으로 형상화할 수 있고, 도 4b와 같이 이송스크류가 고정되는 중심판부(42)에 양측으로 막대형 손잡이부(44)를 형성하여 일자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물론, 도 4a와 같이 원판형으로 할 때는 그 측면부에 오돌도돌한 엠보싱(Embossing)처리를 하여 파지회전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부압입손잡이(40)는 삼각형, 사각형, 십자형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서 하부취출핸들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사시도들로, 하부취출핸들(20)은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측면에 엠보싱처리가 된 원판형의 손잡이부분(22)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앞에서도 설명했듯이 핸들(20)의 중심상에는 전술한 이송스크류가 나합되는 암나선부(28)가 형성된 체결공(26)이 형성되어 있으며, 원판형의 손잡이부(22)의 아래에는 그와 연장되어 지지체에 걸려 제자리 회전되게 결합되는 결합지지부(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체와 결합지지부는 회전시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걸림부의 하면과 결합지지부의 상면, 즉 상호접촉면중 어느 일측에 체결공을 중심으로 환상형 요철부(미도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취출핸들(20)은 손잡이부분(22)을 도 5b와 같이 막대형으로 돌출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막대형 손잡이부분은 2개 또는 그 이상으로, 바람직하게는 도시한 바와 같이 4개를 형성하는 것이 사용상 편리하다.
물론, 하부취출핸들(20)도 상부압입손잡이와 마찬가지로 본 고안의 목적 및 취지를 해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들로, 이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와인병(100)에서 코르크마개(110)를 따기 위해서는 먼저 본 와인오프너(1)의 지지체(10)를 병입구(주둥이)(102)에 안착시켜 고정한다. 그러면, 도 6a에서 보는 것처럼 지지체(10)의 삽입고정부(12)가 병입구(102)에 외부에서 끼워져 고정되게 되고, 지지체(10)의 내부에 위치한 파지스크류(60)의 하단부가 코르크마개(110)의 상부에 인접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하부취출핸들(20)을 한손으로 잡고, 다른쪽 손으로 상부압입손잡이(40)를 잡고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부압입손잡이(40)가 회전하면서 그와 연결된 이송스크류(30)를 회전시킨다. 이송스크류(30)는 하부취출핸들(20)의 암나선부(28)에 의하여 하강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그와 연결된 원형절단판(50)과 파지스크류(60)도 일체로 회전하면서 하강하게 된다. 그에 따라서, 도 6b에서와 같이 파지스크류(60)가 코르크마개(110)내로 계속하여 회전진입하게 되고, 마지막으로 원형절단판(50)이 코르크마개(110)에 근접하면서 그를 싸고 있는 호일의 표면을 회전하면서 원형으로 절단하게 되어 코르크마개(110)의 취출을 용이하게 하며, 완전 밀착후에는 파지스크류의 회전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파지스크류(60)가 코르크마개(110)에 진입되어 코르크마개(110)를파지한 상태에서, 와인병(100)에서 코르크마개(110)를 취출하기 위해서는 하부취출핸들(20)을 앞과정의 상부압입손잡이(40)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암나선부(28)의 회전으로 인해 그와 나합된 이송스크류(30)의 숫나선부를 밀어올리게 된다. 좀더 상세히 부연설명하면, 병입구(102)에 안착고정된 지지체(10)상에서 그와 결합된 하부취출핸들(20)이 제자리 회전하면서 그와 나선결합된 이송스크류(30)를 밀어올리게 되어 이송스크류(30)가 수직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작용은 코르크마개(110)와 병목 내벽간의 마찰력이 이송스크류(30)와 하부취출핸들(20)의 암나선부(28)간의 마찰력보다 크기 때문에 가능해진다. 그로 인하여, 이송스크류(30)와 일체로 된 파지스크류(60)도 코르크마개(110)를 파지한 체 상승하여 와인병(100)에서 코르크마개(110)를 취출하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압입손잡이(40)를 원판형으로 형상화하는 한편, 지지체(10a)와 취출핸들(20a)을 결합시켜 와인잔모양으로 디자인하여 미려함을 배가하고 있다. 이때, 지지체(10a) 및 취출핸들(20a)에는 와인잔의 중간부분에 각각 걸림부(16a)와 그와 걸려 결합되는 결합지지부(24a)의 작용을 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여, 와인잔의 아랫부분이 회전취출부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게 한다. 이때에는 컵의 바깥면에 양각, 음각의 다양한 무늬를 성형함으로써 작동시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파지를 용이하게 하고 미려함을 한층 배가시키게 된다. 특히, 지지체(10a)의 걸림부(16a)와 취출핸들(20a)의 결합지지부(24a)는 그 대응부위중 일측 수평부분에 지지체(10a)상에서 취출핸들(20a)이 하방으로 압력을 받을 때(상부압입손잡이를 회전시켜 코르크마개에 파지스크류를 삽입할 때)에는 회전을 억제하고 상방향으로 압력을 받을 때(취부핸들을 회전시켜 코르크마개를 파지한 파지스크류를 수직상승시킬 때)에는 회전을 허락하는 걸림돌기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돌기는 걸림부(16a)와 결합지지부(24a)의 대응면에 형성되며 이송스크류나선부의 나선경사각도 보다도 작은 경사각을 갖는 돌기로 형성된다. 또한, 지지부와 회전취출핸들(20a)의 체결부는 이 걸림돌기의 높이와 같거나 조금 큰 폭으로 이격된다. 따라서, 상부압입손잡이의 회전으로 하방이동할 때는 이 이격이 밀착됨으로써 회전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게 되고, 상승취출시에는 상기 나선부의 회전상승각도에 의하여 저절로 이격이 이루어지므로 취출핸들(20a)의 회전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작용은 도 1의 경우 취출핸들의 손잡이부(22)와 걸림부(16)의 접촉면간에 걸림돌기를 형성함으로써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와인오프너(1a)를 거꾸로 뒤집어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파지스크류(60)에 양초(120)를 꽂아 촛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개시된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회전식 코르크마개취출구조를갖는 와인오프너는 원통형의 지지체를 와인병의 입구부에 안착시키고 상부압입손잡이를 회전시켜 코르크마개에 파지스크류를 하강관입시킨 다음 상부압입손잡이와 나선결합된 하부취출핸들을 회전시킴으로써 상부압입손잡이와 연결된 파지스크류가 코르크마개를 파지한 체 상승하여 와인병의 입구에서 코르크마개를 손쉽게 취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코르크마개에 파지스크류가 삽입파지된 상태에서 하부취출핸들을 부드럽게 회전시켜 취출하므로 큰 힘이 들지 않아 사용이 매우 쉽고 안정적인 잇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코르크마개의 취출시 약간의 힘으로도 상하핸들들을 손쉽게 회전시켜 그 회전력을 직진력으로 변화시켜 코르크마개를 취출하므로 힘이 약한 노인이나 여자들이 사용하기에도 매우 편리하다. 또한, 지지체와 취출핸들을 결합시켜 와인잔모양으로 디자인하는 한편 그 표면에 다양한 무늬를 성형하여 미려함을 배가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Claims (8)

  1. 와인병의 입구를 폐쇄하고 있는 코르크마개에 파지스크류를 진입고정시켜 병입구로부터 취출하는 와인오프너에 있어서,
    상기 와인병의 입구부에 안착고정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상단에서 제자리 회전가능케 결합되며, 중심부에 암나선이 형성된 체결공이 구비되는 하부취출핸들;
    상기 하부취출핸들의 체결공에 체결관통되며, 하단부에 상기 파지스크류가 고정되어 상기 하부취출핸들의 회전에 의해 상승하면서 상기 코르크마개로 진입고정된 상기 파지스크류를 상승시키는 이송스크류; 및
    상기 이송스크류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이송스크류를 회전하강시켜 그 하단에 고정된 상기 파지스크류가 회전하면서 상기 코르크마개로 진입되게 하는 상부압입손잡이를 포함하는 회전식 코르크마개취출구조를 갖는 와인오프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이송스크류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와인병의 코르크마개를 싼 은막지를 회전절단하는 원형절단판을 더 포함하는 회전식 코르크마개취출구조를 갖는 와인오프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압입손잡이는 측면에 엠보싱처리된 원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코르크마개취출구조를 갖는 와인오프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압입손잡이는 상기 이송스크류에 고정되는 중심판부로부터 적어도 하나이상 막대형으로 돌출되는 막대형 손잡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코르크마개취출구조를 갖는 와인오프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취출핸들은 측면에 엠보싱처리가 된 원판형의 손잡이부분과, 중심상에 상기 이송스크류가 나합되는 암나선부가 형성된 체결공 및, 상기 손잡이부분의 하부에 연장되어 상기 지지체에 걸려 제자리 회전되게 결합되는 결합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코르크마개취출구조를 갖는 와인오프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취출핸들은 그 중심으로부터 십자형으로 직선의 손잡이부가 돌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코르크마개취출구조를 갖는 와인오프너.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압입손잡이는 원판형이 적용되는 한편, 상기 지지체 및 상기 취출핸들이 상호 회전가능케 결합되어 와인잔모양으로 형상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코르크마개취출구조를 갖는 와인오프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와 상기 취출핸들은 와인잔형상의 중간부위에서 각각 걸림부와 결합지지부를 돌출시켜 회전가능케 걸려 결합되며, 그 소정 대응부위에 상기 지지체상에서 상기 취출핸들이 상기 지지체쪽으로 압력을 받을 때에는 회전을 억제하고 그 반대방향으로 압력을 받을 때에는 회전을 허락하는 걸림돌기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코르크마개취출구조를 갖는 와인오프너.
KR2020010022895U 2001-07-27 2001-07-27 회전식 코르크마개취출구조를 갖는 와인오프너 KR2002560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895U KR200256017Y1 (ko) 2001-07-27 2001-07-27 회전식 코르크마개취출구조를 갖는 와인오프너
PCT/KR2002/001404 WO2003011742A1 (en) 2001-07-27 2002-07-26 Corkscrew
JP2003516941A JP2004536752A (ja) 2001-07-27 2002-07-26 コルク抜き
US10/484,389 US6978696B2 (en) 2001-07-27 2002-07-26 Corkscre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895U KR200256017Y1 (ko) 2001-07-27 2001-07-27 회전식 코르크마개취출구조를 갖는 와인오프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6017Y1 true KR200256017Y1 (ko) 2001-12-13

Family

ID=19708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2895U KR200256017Y1 (ko) 2001-07-27 2001-07-27 회전식 코르크마개취출구조를 갖는 와인오프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978696B2 (ko)
JP (1) JP2004536752A (ko)
KR (1) KR200256017Y1 (ko)
WO (1) WO200301174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35036A (zh) * 2021-08-05 2021-12-03 姚瑾 一种便于酒塞复位的开瓶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UD20020140A1 (it) * 2002-06-20 2003-12-22 Alberto Fabbro Taglia capsule
US9415904B1 (en) * 2003-05-13 2016-08-16 James E. Spooner Extraction facilitating cork closure
GB2403679B (en) * 2003-07-08 2006-08-09 Richard William Cropley Conker cutter
US7237455B2 (en) * 2005-07-05 2007-07-03 Wining Taylors, Llc Bottle stop remover
US20070193415A1 (en) * 2006-02-23 2007-08-23 Eugene Eric Isaacson Power driven wine bottle opener
US7481134B2 (en) * 2006-10-30 2009-01-27 Brookstone Purchasing, Inc. Bottle opener with integrated wrapper cutter
US7318362B1 (en) * 2007-01-17 2008-01-15 Richard Hoyer Combined function wine bottle foil cutter and cork remover
US8365459B2 (en) * 2007-02-15 2013-02-05 Gary Bennis Stem guide and replaceable cartridges
US7775140B2 (en) * 2008-03-28 2010-08-17 C.C. & L Company Limited Cork extractor
CN101612780B (zh) * 2008-06-24 2013-05-0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脱模辅助工具
JP4927883B2 (ja) * 2009-01-08 2012-05-09 独立行政法人建築研究所 携行型引抜試験器
WO2012122005A1 (en) * 2011-03-04 2012-09-13 Be Aerospace, Inc. Mountable cork puller
GB2489418B (en) * 2011-03-25 2014-03-12 Barrie Thompson A bottle stopper extracting device
US20130192426A1 (en) * 2011-08-05 2013-08-01 Claude Maufette Stand for a corkscrew
US8667867B2 (en) 2011-09-16 2014-03-11 Brookstone Purchasing, Inc. Powered bottle opening device with integrated wrapper cutter
CN105841123A (zh) * 2016-05-24 2016-08-10 台州市黄岩海耀工艺品有限公司 烛台及其制备方法
CN206337006U (zh) * 2017-01-06 2017-07-18 金丰国际有限公司 复合式开瓶器
CN107720662A (zh) * 2017-10-23 2018-02-23 张新 一种开瓶器
CN107720663A (zh) * 2017-11-21 2018-02-23 张新 一种具有多功能的开瓶器
CN108033420A (zh) * 2017-12-20 2018-05-15 张新 一种多级可调距离的开瓶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39629B1 (fr) * 1988-11-30 1991-02-22 Soulas Dominique Tire-bouchon mecanique a vis
DE4326582A1 (de) * 1993-08-07 1995-02-09 Sieger Gmbh & Co Korkenzieher
DE19800719A1 (de) * 1998-01-12 1999-08-26 Moeller Korkenzieher für Sektkorken oder Ähnlichem mit Befestigung an der Flasche
DE20102580U1 (de) * 2001-02-14 2001-04-26 Pohl & Mueller Gmbh Mes Und Re Flaschenkorkenzieher mit Sicherheitseinricht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35036A (zh) * 2021-08-05 2021-12-03 姚瑾 一种便于酒塞复位的开瓶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536752A (ja) 2004-12-09
US20040231465A1 (en) 2004-11-25
WO2003011742A1 (en) 2003-02-13
US6978696B2 (en) 2005-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56017Y1 (ko) 회전식 코르크마개취출구조를 갖는 와인오프너
TW575404B (en) Food processing appliance
EP0129301B1 (en) Cork extractor
US4310969A (en) Partial-coring device
US6041697A (en) Apparatus for controlled cracking of nut-like fruits and the like
GB2101571A (en) Corkscrews
US5095778A (en) Electric cork screw
US2212328A (en) Separator and extractor
EP3158896B1 (en) Juice-extraction module for juicer
US7114258B2 (en) Fruit stone remover
JP4175906B2 (ja) コルク栓抜き
WO2002079072A1 (en) Cork extracting device
JP4500442B2 (ja) 容器中で材料を切断するための方法
US2483166A (en) Holder for paper cups
US2116325A (en) Orange juice extractor
US20170043990A1 (en) Below The Bead Foil Cutter
US3307256A (en) Magnetic lid retainer for can opener having lid release means
CA2715735A1 (en) Coring device
CN211211263U (zh) 一种适用于茶饼的分茶器件
US5289638A (en) Safety can opener
AU8174687A (en) Screw cap opener
GB2275415A (en) A juicer
US3605833A (en) Eggshell opener
CN212994146U (zh) 一种茶面切削部及茶饼的分茶器件
US2621880A (en) Lid remover for wall can ope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