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5841Y1 - 재봉기 - Google Patents

재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5841Y1
KR200255841Y1 KR2019980020007U KR19980020007U KR200255841Y1 KR 200255841 Y1 KR200255841 Y1 KR 200255841Y1 KR 2019980020007 U KR2019980020007 U KR 2019980020007U KR 19980020007 U KR19980020007 U KR 19980020007U KR 200255841 Y1 KR200255841 Y1 KR 2002558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kiln
rotary
rotat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00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8343U (ko
Inventor
진부도
Original Assignee
진부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부도 filed Critical 진부도
Priority to KR20199800200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841Y1/ko
Publication of KR200000083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3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8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841Y1/ko

Links

Landscapes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고안은 재봉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봉기 회전아암의 하우징에 결합되는 회전가마에 다수개의 구동축과 타이밍밸트의 전동에 의해 회전력을 부여하고 상기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가마에 의해 밑실을 재봉바늘의 윗실에 엮어주어 재봉동작이 연출되도록 하는 동시에 회전가마의 내부로 결합되는 고정가마는 X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아암의 회전량 만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주어 항상 재봉할수 있는 위치를 유지토록 하여 입체적인 재봉물의 평면과 코너부를 원활하게 논스톱으로 재봉할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
입체적인 제1,제2재봉부재의 평면과 코너부를 재봉바늘의 윗실과 회전가마의 밑실을 엮어 재봉할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재봉기의 회전아암에 형성된 결합공으로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회전가마에 회전력을 부여하여 재봉바늘과 상호작용으로 윗실과 밑실을 엮어주는 재봉동작이 연출될수 있도록 회전가마를 회전시켜주기 위한 회전가마의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가마의 내부로 결합되는 고정가마가 회전아암의 회전량 만큼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항상 재봉할수 있는 위치를 유지할수 있도록 고정가마를 역회전시켜주기 위한 고정가마의 역회전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재봉기{SEWING MACHINE}
본고안은 재봉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봉기 회전아암의 하우징에 결합되는 회전가마에 다수개의 구동축과 타이밍밸트의 전동에 의해 회전력을 부여하고 상기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가마에 의해 밑실을 재봉바늘의 윗실에 엮어주어 재봉동작이 연출되도록 하는 동시에 회전가마의 내부로 결합되는 고정가마는 X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아암의 회전량 만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주어 항상 재봉할수 있는 위치를 유지토록 하여 입체적인 재봉물의 평면과 코너부를 원활하게 논스톱으로 재봉할수 있도록된 재봉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재봉기의 구성은 상,하왕복운동을 하면서 윗실을 제공하는 재봉바늘과,
상기 재봉바늘과 상호작용으로 밑실을 제공하는 가마에 의해 재봉동작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의 가마는 회전가마와 고정가마로 나뉘는바, 상기 회전가마는 회전을 하면서 재봉바늘의 윗실에 밑실을 엮어주는 역할을 하게 되며 고정가마는 고정사태를 유지하면서 북실의 밑실을 공급하여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재봉바늘이 하강하면서 재봉물을 관통한뒤 받침대에 내장된 가마로 삽입되면 가마의 회전가마가 회전되면서 윗실을 낚아채 고정가마로 부터 공급되는 밑실을 엮어주게 된다.
따라서, 재봉물을 재봉선에 의해 재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재봉기는 항상 일직선상으로 밖에 재봉을 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종래 재봉기는 평면으로된 재봉물을 연결하기는 매우 용이하나 입체적인 재봉물은 불가능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도8에 나타낸 바와같은 재봉부재들을 제9도와 같이 재봉을 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었다.
그이유는, 상기 재봉부재들의 3면이 막혀있기 때문이며 설령 재봉을 한다 하더라도 틔여있는 직선부분만이 재봉이 가능할뿐 곡선의 재봉선을 얻지 못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고안이 선출원된 "다방향으로 재봉이 가능한 재봉기"(1998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519호. 동일출원인임)이다.
상기의 재봉기는 현제도 매우 우수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바, 한가지 문제가 발생하였다.
즉, 상기의 재봉기는 회전아암이 Y축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면서 회전을 하기 때문에 도9과 같은 재봉선을 얻을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9와 같은 재봉물을 재봉하기 위해 본고안을 안출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 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평면부와 코너부가 형성된 입체상의 제1재봉부재 양측면으로 제2재봉부재를 논스톱으로 재봉할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이고 능률적인 재봉작업을 할수 있고 재봉후의 자연스럽고 깨끗한 재봉선을 얻을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재봉기 회전아암의 하우징에 결합되는 회전가마에 다수개의 구동축과 타이밍밸트의 전동에 의해 회전력을 부여하고 상기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가마에 의해 밑실을 재봉바늘의 윗실에 엮어주어 재봉동작이 연출되도록 하는 동시에 회전가마의 내부로 결합되는 고정가마는 X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아암의 회전량 만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주어 항상 재봉할수 있는 위치를 유지토록 하면 본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고안의 회전아암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고안 회전아암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3은 본고안 회전아암의 단면도
도4는 본고안 회전아암의 회전,고정가마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단면도
도5는 본고안 회전아암에 의해 제1,2재봉부재를 재봉하는 상태를 나타낸 제1작용도
도6는 본고안 회전아암에 의해 제1,2재봉부재를 재봉하는 상태를 나타낸 제2작용도
도7은 본고안 회전아암에 의해 제1,2재봉부재를 재봉하는 상태를 나타낸 제3작용도
도8은 본고안 재봉기에 의해 재봉할 제1,2재봉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9는 본고안 재봉기에 의해 제1,2재봉부재를 재봉 완료한 상태의 사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1-재봉기 102-재봉바늘
103,104-제1,2재봉부재 105-재봉선
106-회전아암 107-결합공
111-제1구동축 112-제2구동축
113-제3구동축 114-제1풀리
115-타이밍밸트 116-제2풀리
121-고정베벨기어 122-제1회전축
123-제2회전축 124-제3회전축
125-제4회전축 126-구동기어
131-하우징 132-나사부
133-너트 134-작동축
135-회전가마 136-고정가마
137-삽입홈 138-보빈케이스
139-고정체 140-안내공
141-역회전링 142-삽입돌기
143-기어부 144-고정링
본 고안을 도1 내지 도9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입체적인 제1,제2재봉부재(103)(104)의 평면과 코너부를 재봉바늘(102)의 윗실과 회전가마(135)의 밑실을 엮어 재봉할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재봉기(101)의 회전아암(106)에 형성된 결합공(107)으로 결합되는 하우징(131)과,
상기 하우징(131)에 결합되는 회전가마(135)에 회전력을 부여하여 재봉바늘(102)과 상호작용으로 윗실과 밑실을 엮어주는 재봉동작이 연출될수 있도록 회전가마(135)를 회전시켜주기 위한 회전가마의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가마(135)의 내부로 결합되는 고정가마(136)가 회전아암(106)의 회전량만큼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항상 재봉할수 있는 위치를 유지할수 있도록 고정가마(136)를 역회전시켜주기 위한 고정가마의 역회전수단을 구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가마의 회전수단은 제1구동축(111)의 회전력을 제2구동축(112)과 제3구동축(113) 그리고 타이밍밸트(115)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가마(135)를 회전시키기 위해 하우징(131)에 베어링과 함께 내장되어 회전가마(135)를 고정하고 있는 작동축(134)으로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고정가마의 역회전수단은 회전아암(106)의 회전에 의해 고정베벨기어(121)와 맞물림되면서 공전되는 제1회전축(122)의 회전력을 제2회전축(123)과제3회전축(124) 그리고 제4회전축(125)을 통해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동기어(126)와,
상기 구동기어(126)의 회전에 의해 회전아암(106)의 회전량 만큼 역회전을 할수 있도록 고정체(139)에 결합되어 구동기어(126)와 기어부(143)를 맞물리고 있는 역회전링(141)과,
상기 역회전링(141)의 역회전력을 고정가마(136)로 전달하기 위해 역회전링(141)에 형성되는 삽입돌기(142)와,
상기 삽입돌기(142)의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해 삽입돌기(142)를 삽입할수 있도록 고정가마(136)에 형성된 삽입홈(137)으로 구비하였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우징(131)의 고정가마(136)에 결합되어 있는 보빈케이스(138)를 고정가마(136)로 부터 분리한뒤 밑실을 감고 있는 북실(도시안됨)을 삽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고정가마(136)에 북실을 삽입하고 보빈케이스(138)를 결합한 뒤 재봉기(101)에 전원을 인가시키면 재봉기(101)의 동력원과 연결된 재봉바늘(102)은 상,하왕복운동을 하는 동시에 제1구동축(111)도 회전하게된다.
상기 제1구동축(111)의 회전력은 회전가마(135)로 전달되어 고정가마(136)의 북실에 감겨 있는 밑실은 재봉바늘(102)의 윗실과 역어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제1구동축(111)과 베벨기어로 연결된 제2구동축(112)의 회전에 의해 제2구동축(112)과 베벨기어로 연결된 제3구동축(113)이 회전하게 되고 아울러 제3구동축(113)에 결합된 제1풀리(114)도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풀리(114)의 회전에 의해 제1풀리(114)에 감겨있는 타이밍밸트(115)가 이동되면서 하우징(131)내부로 베어링과 함께 결합되어 있는 작동축(134)의 제2풀리(116)를 회전시키게 되므로 작동축(134)과 이에 고정되어 있는 회전가마(135)가 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재봉바늘(102)이 윗실과 함께 하강하면서 재봉물(103)(104)을 관통한 뒤 고정체(139)의 안내공(140)을 통해 회전가마(135)가 위치된 부위로 삽입되면 회전가마(135)가 회전되면서 윗실을 낚아채 고정가마(136)로 부터 공급되는 밑실을 엮어주면서 재봉을 하게 된다.
그리고, 도8의 제1,제2재봉부재(103)(104)를 도9와같이 재봉하기 위해서는 회전아암(106)을 도1과 같이 180°로 회전시켜 가면서 재봉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회전아암(106)을 회전시키면 하우징(131)과 내부의 모든 부속품들이 회전아암(106)을 따라 회전하게 되므로 상,하왕복운동을 하면서 윗실을 공급하는 재봉바늘(102)과 밑실을 공급하는 고정가마(136)의 맞남점이 어긋나는 상태가 되어 재봉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맹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고안에서는 회전아암(106)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고정가마(136)를 역회전시켜 줌으로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즉, 상기의 회전아암(106)이 회전되면 제1회전축(122)의 베벨기어가 재봉기(101)에 고정된 고정베벨기어(121)와 맞물림되면서 공전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공전운동에 의해 제1회전축(122)이 회전되고 제1회전축(122)과 베벨기어들에 의해 맞물려 있는 제2회전축(123)이 회전한다.
또한, 상기 제2회전축(123)과 베벨기어들에 의해 맞물려 있는 제3회전축(122)이 회전되고 제3회전축(122)과 베벨기어들에 의해 맞물려 있는 제4회전축(125)도 회전을 하면서 구동기어(126)를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126)에 도3 및 도4와 같이 기어부(143)를 맞물리고 있는 역회전링(141)도 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역회전링(141)은 회전아암(106)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역회전링(141)의 삽입돌기(142)가 고정가마(136)의 삽입홈(137)에 도4와같이 삽입되어 있으므로 고정가마(136)도 역회전링(141)과 함께 회전아암(106)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아암(106)이 회전한량 만큼 역회전링(141)과 고정가마(136)가 역회전을 하게 되므로 실질적인 고정가마(136)의 위치는 변하지 않게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아암(106)이 회전되더라도 고정가마(136)의 위치는 변하지 않게 되므로 재봉바늘(102)의 윗실공급과 고정가마(136)의 밑실공급이 원활하게 되어 재봉이 가능해 지는 것이다.
물론, 상기 하우징(131)에 결합되는 고정체(139)도 하우징(131)과 함께 회전을 한다.
그러나, 상기 고정체(139)의 안내공(140)이 장공 형태로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체(139)가 회전되더라도 재봉바늘(102)의 원활한 상,하이동이 가능해진다.
상기와 같은 본고안의 재봉기(101)에 의해 도8의 재봉부재(103)(104)들을 재봉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1재봉부재(103)의 양측면에 제2재봉부재(104)를 접착재로 가접착 시킨 뒤 재봉에 임하게 된다.
즉, 상기 제1재봉부재(103)및 제2재봉부재(104)로된 재봉물을 도5와 같이 회전아암(106)이 수평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밀어넣으면 재봉바늘(102)의 승강작용과 회전가마(135)의 회전작용에 의해 용이하게 재봉을 할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재봉물(103)(104)의 평면 재봉작업이 완료되면 도6과 같이 회전아암(106)을 서서히 회전시키면서 재봉작업을 하게 되면 재봉물(103)(104)의 코너도 용이하게 재봉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도7과 같이 재봉물(103)(104)의 상대편 코너도 회전아암(106)의 회전시켜 재봉한 뒤 평면부를 재봉하면 도9와 같은 재봉선(105)을 갖는 재봉물(103)(104)을 얻을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고안은 회전아암(107)의 내측에서 재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재봉물(103)(104)의 폭이 매우 길어도 재봉이 가능해진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재봉기 회전아암의 하우징에 결합되는 회전가마에 다수개의 구동축과 타이밍밸트의 전동에 의해 회전력을 부여하고 상기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가마에 의해 밑실을 재봉바늘의 윗실에 엮어주어 재봉동작이 연출되도록 하는 동시에 회전가마의 내부로 결합되는 고정가마는 X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아암의 회전량 만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주어 항상 재봉할 수 있는 위치를 유지토록함으로서, 평면부와 코너부가 형성된 입체상의 제1재봉부재 양측면으로 제2재봉부재를 논스톱으로 재봉할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이고 능률적인 재봉작업을 할 수 있고 재봉후의 자연스럽고 깨끗한 재봉선을 얻을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입체적인 제1,제2재봉부재(103)(104)의 평면과 코너부를 재봉바늘(102)의 윗실과 회전가마(135)의 밑실을 엮어 재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재봉기(101)의 회전아암(106)에 형성된 결합공(107)으로 결합되는 하우징(131)과,
    상기 하우징(131)에 결합되는 회전가마(135)에 회전력을 부여하여 재봉바늘(102)과 상호작용으로 윗실과 밑실을 엮어주는 재봉동작이 연출될수 있도록 회전가마(135)를 회전시켜주기 위한 회전가마의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가마(135)의 내부로 결합되는 고정가마(136)가 회전아암(106)의 회전량만큼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항상 재봉할수 있는 위치를 유지할수 있도록 고정가마(136)를 역회전시켜주기 위한 고정가마의 역회전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마의 회전수단은 제1구동축(111)의 회전력을 제2구동축(112)과 제3구동축(113) 그리고 타이밍밸트(115)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가마(135)를 회전시키기 위해 하우징(131)에 베어링과 함께 내장되어 회전가마(135)를 고정하고 있는 작동축(134)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가마의 역회전수단은 회전아암(106)의 회전에 의해 고정베벨기어(121)와 맞물림되면서 공전되는 제1회전축(122)의 회전력을 제2회전축(123)과 제3회전축(124) 그리고 제4회전축(125)을 통해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동기어(126)와,
    상기 구동기어(126)의 회전에 의해 회전아암(106)의 회전량 만큼 역회전을 할수 있도록 고정체(139)에 결합되어 구동기어(126)와 기어부(143)를 맞물리고 있는 역회전링(141)과,
    상기 역회전링(141)의 역회전력을 고정가마(136)로 전달하기 위해 역회전링(141)에 형성되는 삽입돌기(142)와,
    상기 삽입돌기(142)의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해 삽입돌기(142)를 삽입할수 있도록 고정가마(136)에 형성된 삽입홈(137)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KR2019980020007U 1998-10-15 1998-10-15 재봉기 KR2002558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007U KR200255841Y1 (ko) 1998-10-15 1998-10-15 재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007U KR200255841Y1 (ko) 1998-10-15 1998-10-15 재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343U KR20000008343U (ko) 2000-05-15
KR200255841Y1 true KR200255841Y1 (ko) 2002-10-25

Family

ID=69516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0007U KR200255841Y1 (ko) 1998-10-15 1998-10-15 재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584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1837B1 (ko) * 2000-02-11 2002-09-11 진부도 재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343U (ko) 200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55841Y1 (ko) 재봉기
US5167195A (en) Apparatus to be fitted up on a conventional sewing machine for simultaneously sewing parallel lines of stitches
CN109423777B (zh) 缝纫机的刺布挑线机构
CN102433694B (zh) 一种三针锁式线迹平缝机的传动机构
CN109423778B (zh) 缝纫机
US20030172860A1 (en) Apparatus for driving shuttle of embroidery machine
JPS6127075B2 (ko)
CN109423779B (zh) 缝纫机的刺布挑线机构
CN108035083B (zh) 一种应用于电脑双排旋梭绗缝机的机头驱动结构
CN219908049U (zh) 一种180度旋转及上下滚轮送料的工业缝纫机
JP2000325681A (ja) 多頭パターンミシン
KR100524650B1 (ko) 스팽글 장식원단 및 그 제조방법
CN220485985U (zh) 一种带有辅助牵引装置的缝纫机
KR200170228Y1 (ko) 자수 및 누비 복합기의 원단장력 유지장치
CN202227103U (zh) 一种三针锁式线迹平缝机的传动机构
CN219709763U (zh) 旋梭装置及缝纫机
KR200230418Y1 (ko) 누비기능과 자수기능이 복합된 미싱기계의 보빈 구동장치
JPH0260687A (ja) ミシン
CN210886508U (zh) 缝纫机双头同步纠偏定位机构
KR100351837B1 (ko) 재봉기
CN218812545U (zh) 一种缝纫机用送料机构
CN213925356U (zh) 一种针杆旋转机机头
CN109423781B (zh) 缝纫机的勾线机构
CN110453383B (zh) 缝纫机双头同步纠偏定位机构
CN216378675U (zh) 一种360°旋转车缝边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