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5780Y1 - 수분 흡수없는 다목적 형상의 합성수지판 및 구조재 - Google Patents

수분 흡수없는 다목적 형상의 합성수지판 및 구조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5780Y1
KR200255780Y1 KR2020010025389U KR20010025389U KR200255780Y1 KR 200255780 Y1 KR200255780 Y1 KR 200255780Y1 KR 2020010025389 U KR2020010025389 U KR 2020010025389U KR 20010025389 U KR20010025389 U KR 20010025389U KR 200255780 Y1 KR200255780 Y1 KR 2002557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synthetic resin
mold
plywood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53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년
Original Assignee
김경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년 filed Critical 김경년
Priority to KR20200100253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7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7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780Y1/ko

Links

Landscapes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존의 합판 M.D.F 호마이카 판재 및 각목재를 대용하는 폐합 수지판 구조재로서 폐고온의 합성수지와 저온의 합성수지 및 폐지, 폐천, 폐합판, 폐목재 유리섬유 등을 혼합 가열하여 형틀용 합성수지 다목적 판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발전하는 산업사회와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되는(합성수지류의 폐용기와 합성수지 산업폐기물(폐융) 폐지, 폐천, 폐합판, 유리섬유)등을 수집하여 분쇄하고, 수분을 제거후 위 품목을 혼합하고(도6의C1) 저온의 합성수지(P.P, P.E, P.V.C, P.S) 등 고온의 합성수지(P.E.T, P.B.T, NYLON)등을 전기 히터식 압출기에서 평판으로 압출한 다음(도6의C2)
(도6)의(14) 금형속에 (위 식별)된 (도6의C1) 가열 60∼80°온도로 가열한 저온의 합성수지류 금형(도6)의(14) 속에 일차 투입하고 (도6의C2) 고온의 합성수지류의 평판 압출물을 (14) 금형속에 둘째 투입하고 (도6의C1) 저온의 합성수지류 (위 식별)를 셋째 투입하여 유압식 압축기로 압축시켜서 교정식 냉각하여 다목적 형상의 합성수지판 구조재를 제공된다.

Description

수분 흡수없는 다목적 형상의 합성수지판 및 구조재 {Not water as absorption General Mold Symthetic Resin Plate}
본 고안은 수분 흡수없는 다목적 형상의 합성수지판 구조재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합판 M.D.F 호마이카, 목재판에 대응하는 합성수지판을 생산함으로써 자원을 재활용 하고 환경을 보호하며 소요되는 수준의 물성과 강도를 가지므로 품질이 우수하고 사용성이 우수한 새로운 구성의 합판대용의 합성수지판구조재에 관한 것이다.
합성수지류의 제품이 사용량이 늘어나면서 폐합성수지의 양도 많아지고 있으나, 폐합성수지의 분리수거가 기술적으로 힘이 들어서 폐합성수지의 재활용도가 상당히 낮으며 대부분 소각 처리하는 실정이다.
성분별 분리수거가 기술적으로 매우 힘든 관계로 인하여 소중한 자원을 대부분 비싼 열료를 사용하여 소각 처리하는 실정이다. 그런데 폐합성수지류를 소각처리 할 때에는 고에너지가 필요할뿐만 아니라 소각시 유독성물질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심각한 환경오염의 주범임에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목재는 가구용이나 건축용 자재 등으로 그 사용범위가 상당히 넓은 소재이나, 우리나라 실정에 있어서는 모두가 막대한 외화를 들여서 수입하는 상태이며 따라서 산림이 파괴되어 심각한 자연훼손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에 대해 폐합성수지, 폐지, 폐합판 등의 폐기물을 이용하여 목재대용 (다목적 형상용 합성수지판) 사용할 수 있는 제품들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합성수지류를 이용한 목재대용 제품은 목제품에 비하여월등히 내구성이 높으며,수분에 강하고, 벌레서식이 전혀 없으며 가격이 합판 M.D.F 호마이카판보다 저렴한 것이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폐합성 수지류를 이용한 목재대용품들은 같은 종류의 합성수지류를 수집하여 분쇄하고 재생 칩 생산후에 생산된 칩을 압출기에서 압출하여 목재대용 합판을 제조하며 제조된 목재대용품은 용접 및 본드로 결합하며 못이나 타카못이 잘 박히지 않으며 오히려 제품들이 파손되며 톱질이 되지 않아 사용시 필요한 사이즈로 절단하여 사용하기가 곤란하기 때문에 조립, 공작이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소요되는 수준의 물성과 강도를 가지므로 합판 M.D.F, 호마이카, 판목재 각목 대용으로 사용하여도 전혀 손색없는 등 품질이 우수하여 사용성이 우수한 새로운 구성의 합판, M.D.F, 호마이카판 목재 각목대용의 수분 흡수없는 다목적 형상의 합성수지판 구조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 의자겸용 책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며(1, 2, 3)은 본 고안품을 사용하는 사시도
도2 책상 및 의자로써 도시한 사시도이며(2, 3, 4, 5, 6)은 본 고안품을 사용하는 사시도
도3 씽크대로써 도시한 사시도이며(7, 8)은 본 고안품을 사용하는 사시도
도4 본 고안품(A1, A2) 책상 상판 의자등받이 생산과정의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4의 (B9, B10)은 고안품을 생산하는 금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5 본 고안품(a3, a4, 5, 8) 의자의 상판, 책상상판, 씽크대제작용판 및 서랍용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5의(B11, B12)는 고안품을 생산하는 금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6 본 고안품인(a7) 씽크대 제작용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B13)은 고안품을 생산하는 금형을 도시한 사시도
※ 6의 C1, C2는 본 고안품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의자겸용상판 2. 의자등받이 3. 의자상판
4. 책상 상판 5. 책상서랍용판 6. 의자용 각판
7. 8. 씽크대제작용판 9. (B)1의 생산금형 10.(3)2의 생산금형
11. (B)3의 생산금형 12. (B)(4.5.8) 제작용 금형
13. B. 7, 8 생산용금형 14. 제조과정을 도시한 사시단면도
본 고안에 따르면 폐합성 수지류를 녹는점 별로 (P.V.C, P.E, P.P, P.S)등∼(P.E.T, P.B, T 나이론) 등을 선별하여 10M/M크기로 분쇄하고 폐합성수지, 폐천, 폐지, M.D.F, 폐합판, 폐목 등을 5∼50M/M 크기로 분쇄하여 저온의 합성수지류 (P.V.C, P.E, P.P, P.S) 등과 혼합하여 (3.5:2:2:2:1.5) 건조한 후에 (60∼80°) [도6] C1, 처럼 금형에 일차 투입하고,
고온의 합성수지류(P.E.T, P.B.T, NYLON) 등을 전기 히트식 평판 압출에서 압출한 다음 [도6] 14C2처럼 금형에 투입한후 그 위에 다시 저온합성수지 [6C1] 혼합물을 투입하여 히터가 열식 금형에 투입하여 유압식 압출기에서 압축하여 도면 부호의 1, 2, 3, 5, 6 등의 다양한 수분 흡수없는 다목적 형상의 합성수지 판구조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방법은 지금까지는 고온의 합성수지와 저온의 합성수지류가 전혀 결합방법이 연구되지 않았으며, 본 고안품으로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가열 혼합된 저온의 합성수지류를 전기 히터가열식 금형류 속에 일차 투입하고 다시 고온의 합성수지류를 이차로 금형류 속에 넣은후 다시 가열된 저온의 합성수지 혼합된 것을 금형류 속에 삼차 투입하여 가열 압축시키면 고온의 합성수지류가 식으면서 저온의 합성수지류에 열이 전도되고 발포현상이 되면서 본 고안품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도면(1, 2, 3, 5, 6) 등의 본 고안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도1의 1, 2, 3 도2] 의 5, 6, 2, 3, 도4] 의 A1, A2, 도5] a3, 4, 5, 8은 저온의 합성수지류, 폐지, 폐합판, 폐천 등을 [4:2:2:2] 비율로 혼합 와전 수분제거후 저온의 발포재를 전체비율 0.5% 혼합하여 압출한 다음 금형속에 넣고난 후 표면 고르기 공정후 냉각시켜서 생산함으로서 기존의 합판, 목재, M.D.F, 호마이카의 판으로서 사용되는 제품보다 월등한 제품을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품에 있어서 저온의 합성수지류와 폐합판, 폐목, 폐천, M.D.F, 호마이카류를 평판 라이스 부착된 압출기에서 압출시키면 평판 쉬트류와 합판과 같은 판재는 생산 제공되고 타카못, 일반못, 톱질면에서 합판에서 비하여 매우 우수하여 수분이 전혀 흡수하지 않는 것이며, 생산된 제품열에 의하여 다양한 무늬의 색상필림을 코팅하여 장식용 벽면재, 방음벽재, 방수재 등에 긴요하게 사용되는 고안품을 제공된다.
기존의 합판, M.D.F, 호마이카류의 판재는 나무, 종이, 저밀도 혼합물을 소견 배합 압축하여 생산되므로 물 흡수가 매우 빠르며 인체에 해로운 바퀴벌레류의 번식처는 온상이 되고 있다.
이에 본 고안품은 물과 벌레들의 서식에 대하여 전혀 관계가 없으며 물에 뜨는 것이 특징이고 장점이며, 도번 1, 2, 3, 5, 6 등의 고안품을 생산하는 것이며,
도2, 도3의 (4, 5, 7,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고온의 합성수지류와 저온의 합성수지류 폐지, 폐합판, 폐M.D.F, 폐천, 폐컵류를 고온의 합성수지류는 평판쉬트 압출하여 녹인 다음 저밀도 합성수지 혼합물을 양면에 첨가하여 고온의 합성수지가 식는 열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혼합되어 판재를 제공하는 방법이다.
먼저 저온의 합성수지류(P.V.C, P.E, P.P, P.S) 등 고온의 합성수지류(P.E.T, P.B.T, NYLON)등을 선별 10M/M 크기로 분쇄하여 저온의 합성수지류와 5∼50M/M 크기로 분쇄된 파지, 폐합판, 폐천, 폐M.D.F, 자판기용 폐컵류를 3.5:2:2:1.5 비율로 혼합하여 60∼80°로 가열하여 다양한 형태의 금형류에 도6] 의 14C 처럼 투입하고 난 후,
고온의 합성수지류 (P.E.T, P.B.T, NYLON)등의 평판, 쉬트형 압출하여 녹은 제품은 도6] 14C2처럼 금형속에 투입한 다음 저온의 합성수지 혼합품(도6] 의 14C 처럼 투입한 후에 금형의 상 ·하 부에 가열판 20∼40°온도를 전달 밀착하고 유압식 압축기에서 압축시켜서 급냉시켜서 본 고안품이 제조 제공된다.
이때 고온의 합성수지류는 혼합 1:1:1의 비율이며 수분을 완전 제거한 후에 압출한다. 이때 녹는 점 230∼250°의 온도를 가열되어야 쉬트형 평판 압출이 된다.
이때 저온의 함성수지 혼합품은 60∼80°가열된 것을 20∼40°추가 가열하면 140∼170°의 온도에서 용융 결합하여 본 고안품이 제공이 되며, 저온의 혼합된 합성수지류로 생산된 고안품은 높은 강도와 완만한 탄력성을 가진 완벽한 고안품이 제공된다.
먼저 다양한 종류의 합성수지류를 (고온의 합성수지) 제활용 기호 1번인(폐펫트병)류만 선별하고 나머지 가정용 저온의 합성수지 및 공업용 저온의 합성수지류와 먼지, 모래, 흙 등은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성형품의 강도나 물성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별도의 세척이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폐지, 폐합판, 폐M.D.F판, 폐천은 분쇄기에서 혼합 분쇄하여도 가능하며 위 기재된 내용물은 반드시 수분제거가 되어야 하며, 단순한 분쇄공정에 속하며 별도의 처리공정이 필요없다.
이때 상기의 제품별로 혼합물을 선별하여 제품별로 쉽게 이용 할 수가 있다. 이때 저온의 합성수지류와 폐천 6:4로 혼합하여 가열 압출, 압축하면 외부 표면이 미끄러우며 햇볕에 뒤틀리는 성질을 가지며 저온의 합성수지류와 폐지, 폐M.D.F 소재를 5:2.5:2.5 가열압축, 압축하면 외부표면이 미끄러운 점이 없으며 햇볕에 휨이 없어서 깨어지는 성질이 생긴다.
상기 예시한 두 장 ·단점을 적절히 배합하여야 본 고안품이 제공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고안품에 의한 판 및 구조재는 저온의 합성수지류와 폐목, 폐합판, 폐M.D.F, 폐천류를 적절하게 혼합하여 가열하고 고온은 합성수지류를 압출한 후에 삽입하면 목재의 용도처럼 자유로운 제품에 제공되며, 이러한 본 고안품에 의한 구조재는 합판대용품 판재 철도용 침목, 기초시공용 판재, 도로변경계구, 펀치용판재, 거푸집용판, 파렛트용판, 방음벽용판, 빗물 및 하수집중구 목재, 합판, M.D.F판, 호마이카판, 경량용 콘크리트 대용으로본 고안품이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저온의 합성수지와 폐합판, 폐천, 폐M.D.F판, 폐호마이카용판을 혼합하여 수분 흡수없는 다목적형상의 합성수지 판재를 만들어냄으로서 톱질 필요없는 합판, M.D.F판, 호마이카판, 목재 각재의 대치품으로 수입 대치 효과와 저온의 합성수지와 폐천류 등 혼합물과 고온의 합성수지를 혼합하여 공작시에 필요한 강도를 자유로이 만들 수 있고, 또한 수분흡수가 전혀 없으며 서식도 없으며 자원재활용 하여 환경 친화적인 제품이며 목재, 합판 수입대치 효과가 있으며 막대한 외화절약에 크나큰 효과를 가지는 본 고안품에 제공된다.

Claims (3)

  1. 저온의 폐합성수지류를 10M/M 크기로 분쇄하여 폐지, 폐천류 자동판매기용 컵류를 배합 가열하여 금형 속에 넣고 히터 가열식 압축하면 탄력성이 있고, 톱질이 필요없이 바로 사용 할 수 있는 의자 상판재와 의자의 등받이에 이용되는 수분비 흡수와 벌레서식이 없는 합판대용의 다목적 형상의 합성수지 이용한 판재.
  2. 저온의 폐합성수지류를 10M/M 크기로 분쇄하여 폐천류, 폐합판, 폐M.D.F, 폐지, 톱밥, 모래 등을 5∼50M/M 크기로 분쇄하여 건조한 다음 전기히터가열식 평면 생산식 압출기에서 압출하여 금형속에 넣고 압축 성형한 후 강제 냉각하여태양열에 변형이 없도록 하고 인화성에도 강하고수분 비흡수와 벌레서식이 없고 별도의 톱질이 필요없이 바로 공작의 용도에 사용되는 합판대용의 다목적 형상의 복합 합성수지를 이용한 판재 및 구조재.
  3. 저온의 폐합성수지 분쇄품류와 청구항2항의 혼합물을 혼합하여 약간의 가열 후 금형속에 일차 투입하고 고온의 폐합성수지류를 평면 생산식 압출기에서 용융 압출된 것을 금형속에 이차 투입한후 그 위에 청구항2항의 혼합물을 일차투입과 같은 방식으로 삼차 투입하여 유압식 압축기에서 압축을 가하면 고온의 합성수지 용융물이 상부와 하부로 열이 전달되면서 자동으로 결합되며 청구항1항과 청구항2항의 성질을 만족하여 매우 우수한 다목적 형상의 복합 합성수지 이용한 판재 및 구조재.
KR2020010025389U 2001-08-21 2001-08-21 수분 흡수없는 다목적 형상의 합성수지판 및 구조재 KR2002557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389U KR200255780Y1 (ko) 2001-08-21 2001-08-21 수분 흡수없는 다목적 형상의 합성수지판 및 구조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389U KR200255780Y1 (ko) 2001-08-21 2001-08-21 수분 흡수없는 다목적 형상의 합성수지판 및 구조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5780Y1 true KR200255780Y1 (ko) 2001-12-13

Family

ID=73107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5389U KR200255780Y1 (ko) 2001-08-21 2001-08-21 수분 흡수없는 다목적 형상의 합성수지판 및 구조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578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9366B1 (ko) 고체 연료
ES2293585T3 (es) Metodo para procesar residuos plasticos para obtener material matriz; el material matriz y el material compuesto.
US6586503B1 (en) Composite products comprising cellulosic materials and synthetic resin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20110192326A1 (en) Pallet with composite components
US20140054825A1 (en) Method of making structural members using waste and recycled plastics
WO2005009701A3 (de) Kunststoffe und holz enthaltende verbundwerkstoffe
KR20030027830A (ko) 복합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070681B1 (ko)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바이오 인조목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0886838B1 (ko) 목분 및 목재파쇄물 등의 프리프레그를 이용한 우드칩과성형체
KR100186945B1 (ko) 폐목죽재 및 폐기물 열가소성 수지필름을 이용한 재생건재품의 제조방법
KR200255780Y1 (ko) 수분 흡수없는 다목적 형상의 합성수지판 및 구조재
CN104379638A (zh) 天然纤维和生产方法以及在模块化建筑中的应用
KR20020092590A (ko) 폐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제조한 합성수지 판재 및 이를이용한 거푸집 패널
KR101127540B1 (ko) 현수막을 이용한 인조 목재 조성물과 그 인조 목재
WO2005082612A3 (fr) Poteaux en materiau composite a base de bois, procede de fabrication et applications
KR20080070233A (ko) 건축자재용 재생판재 제조방법
KR970064854A (ko) 폐품재활용목재
KR100597858B1 (ko) 건축용 합성판재의 제조방법 및 제품
KR101839549B1 (ko) 폐합성수지 펠릿의 제조방법
JPH07205149A (ja) 再生合成樹脂ペレットとそのペレットを用いて形成した再生合成樹脂製品
JPH08131989A (ja) 有機繊維廃材の再生処理方法
Farooq et al. Recycling of Was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into Insulating Wall Panels for Building Industry
KR20020043335A (ko) 폐품재활용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5305876A (ja) Frpリサイクル成形品の製法
KR20000063190A (ko) 폐폴리에틸렌필름과 폐폴리프로필렌필름, 폐지로 구성되는고분자강화조성물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