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7858B1 - 건축용 합성판재의 제조방법 및 제품 - Google Patents

건축용 합성판재의 제조방법 및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7858B1
KR100597858B1 KR20040053128A KR20040053128A KR100597858B1 KR 100597858 B1 KR100597858 B1 KR 100597858B1 KR 20040053128 A KR20040053128 A KR 20040053128A KR 20040053128 A KR20040053128 A KR 20040053128A KR 100597858 B1 KR100597858 B1 KR 100597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roller
resin
composit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53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4135A (ko
Inventor
이영남
손천근
Original Assignee
이영남
손천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남, 손천근 filed Critical 이영남
Priority to KR20040053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7858B1/ko
Publication of KR20060004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4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7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7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5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extrusion moulding around inserts
    • B29C48/154Coating solid articles, i.e. non-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0Making granules by moulding the material, i.e. treating it in the 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joining, lining or 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3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 B29C48/914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cool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5Solid
    • B29K2105/253Preform
    • B29K2105/256Sheets, plates, blanks or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6Scrap or recycl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627/00Use of polyvinylhalogenides or derivatives thereof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29K2627/12Use of polyvinylhalogenides or derivatives thereof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containing fluorine
    • B29K2627/18PTFE, i.e. polytetrafluorethene, e.g. ePTFE, i.e. expanded polytetrafluoreth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2Panels; Plate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10Building elements, e.g. bricks, blocks, tiles, panels, posts, bea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합성판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거푸집, 온돌바닥재, 건축용 내/외장재 등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폐비닐, 폐플라스틱, 폐어망로프 및 환경친화적인 왕겨, 폐목분말, 볏짚분말 등을 서로 혼합하여 용융하고 압출한, 자료 혼합 판재의 상면에 PE수지를 용융하여 PE수지 용융층을 형성하고 그 표면 PETE필름을 공급하여 PETE필름층을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 표면에는 시멘트나 기타 이물질이 잘 붙지 않고 매끄럽게 유지되고, 환경친화 물질에 포함된 섬유질에 의해 인장강도를 높이고,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 완화하는 것은 물론 바닥면에 사방으로 교차되게 형성한 홈부는 온도변화에 의한 수축과 팽창 및 외력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하고, 폐기시에는 전량 수거하여 재생사용이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건축용 합성판재의 제조방법 및 제품{The method and product of architecturing board}
도 1은 본 발명 건축용 합성판재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건축용 합성판재의 저면에 홈부를 도시해 보인 저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 건축용 합성판재의 제조방법을 도시해 보인 공정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건축용 합성판재 2: 자료 혼합판재
3: PE수지 용융층 4: PETE 필름층
5: 홈부
본 발명은 건축용 합성판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건축 공사장에서 사용하는 거푸집, 거실이나 안방의 온돌바닥재, 건축용 내/외장재 등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공해물질인 폐비닐, 폐플라스틱, 폐어망로프 및 환경친화적인 왕겨, 폐목분말, 볏짚분말 등을 서로 혼합하고 용융 압축하여 자료 혼합판재를 형성하고, 상면에 PE수지를 용융 압출하여 형성하는 PE수지 용융층을 형성한 후, 그 표면에 PETE(상표명 테프론, 등록상표 Teflen으로서 폴리테트라 플루오르에틸렌(Polytetrafluoro ethylene을 말하며, 이하, "PETE"라 한다.) 필름을 공급하고 팽창 롤러를 통과시키므로 PETE필름층을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 표면에 이물질이 쉽게 점착되지 않아 여러번 반복 사용이 가능하고, 공해물질을 제거하므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환경친화적인 자료를 사용하므로 인체의 건강유지에 기여하고, 식물의 섬유질에 의하여 인장 강도의 증가와 충격흡수의 작용을 하고, 판재의 균열과 수축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고, 폐자원을 활용하므로 비용을 절감하는 경제적인 건축용 합성판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건축물을 건축할 때 사용되는 거푸집은 판 형상의 목재를 주로 사용하였고 그 수요가 점차 늘어남에 따라 벌목량이 많아져 자연환경을 심각하게 파괴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전세계적으로 환경보호에 관한 각종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것이고, 우리 나라는 목재를 전량 외국에서 수입하기 때문에 외화 유출에 의한 경제적 손실이 초래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특허출원 제1993-13092호에 형틀용 판재의 제조방법으로, 공지의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칠렌에 약간의 고무와 유리섬유 및 발포제를 첨가하여 표면 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거푸집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표면에 이물질의 접착 방지를 위한 기능을 할 수 없는 것이고, 환경친화 물질에 의한 인장강화나 충격흡수작용의 기능을 할 수 없는 것이고, 수축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할 수 없는 것이고, 아울러 상기 거푸집은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한후 양생과정을 거치는 동안 콘크리트의 압력이나 하중에 의해 가운데가 볼록해지는 배불림 현상을 초래하여 양생 후 거푸집을 제거하면 건축구조물 벽체의 평탄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양생된 건축물 벽체에서 거푸집을 떼어내면 거푸집 표면에 시멘트나 기타 이물질이 많이 묻어있어 재사용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요즈음 건축용 내/외장재로 사용되는 벽판이나 천정판 또는 바닥판 등은 주로 베니아판 또는 합성 목재의 판상에 무늬나 도장으로 장식한 고급화된 건축자재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은 경량이고 사용폭이 넓은 건축내장재이기는 하나 건축구조물에 시공된 콘크리트가 양생되면서 화학반응을 일으켜 계절과 장소에 따라 표면온도가 최고 80℃까지 상승하므로 열에 의해 접합부분이 쉽게 떨어져 경제적이지 못하며 주위환경에 따라 수축과 팽창 및 변형이 쉽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일부 합성수지만을 원료로 하는 건축용 내장판재가 제조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내장판재는 열팽창계수가 매우 커서 시공 후에 비틀림 현상이 일어날 뿐 아니라 신축정도가 과다하여 연결부에 간극이 형성되고 열에 대한 변형이 일어나는 등 내열성이 약하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따라서 건축용 내/외장재로는 단순히 목재나 합성수지 재질만을 사용할 것이 아니라 실용적인 면이나 경제적인 면과 자원의 재활용 측면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고, 특히 농촌에 심각한 환경공해를 유발하고 있는 보온용 폐비닐과 산업의 발달로 용도 폐기되는 각종 플라스틱 제품 및 어촌에서 폐기되고 있는 어망 로프등을 수거하여 이를 건축용 내/외장 판재로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이 대두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심각한 환경공해를 유발하는 폐비닐, 폐플라스틱 및 폐어망 로프와 환경친화적인 왕겨, 폐목분말, 볏짚분말을 혼합하고 용융 압출하여 자료 혼합판재를 형성하고, 상면에 PE수지 용융층을 형성하고 그 표면에 PETE필름층을 형성한 건축용 합성판재를 제조하므로서, 건축용 내/외장 판재로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수입합판을 대체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사용의 횟수가 많고 폐기시는 전량 수거하고 생산하여 사용하므로 경제적이며, 온도에 의한 수축과 팽창 및 외력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하고, 충격에 의한 파손방지를 위하여 충격을 흡수하고 완충하는 건축용 합성판재의 제조방법 및 제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폐비닐, 폐플라스틱 및 폐어망 로프를 수거하여 각각 용융 압출하므로서 과립을 형성하는 과립형성단계와; 왕겨, 폐목분말 및 볏짚분말을 각각 건조장치에 의하여 건조하는 건조단계와;
상기 자료들의 비중을 계량장치에 의하여 계량하는 비중계량 단계와;
상기 비중이 계량된 자료들을 혼합하고 용융 압출하여 자료혼합 판재를 형성하는 자료 혼합판재 형성 단계와;
상기 자료 혼합판재를 냉각롤러인 1차 강제롤러를 통과시키므로서 온도를 115℃까지 냉각시킨 후 상면에 PE수지를 용융 압출하여 형성하는 PE수지용융층 형성 단계와; 상기 PE수지 용융층 표면에 PETE필름을 공급하고 열롤러인 2차 팽창롤 러를 통과시키므로서 접착 형성하는 PETE필름층 형성단계와; 열 롤러인 3차 압착롤러를 통과시키므로서 접착력을 강화하고, 냉각수로 냉각하는 냉각롤러 장치를 통과시키므로서 표면을 견고하고 매끄럽게 연마한 후, 1차 컷팅장치로 열에 의해 약간 늘어진 것을 감안하여 실제치수보다 약간 크게 재단하는 1차 컷팅단계와; 1차 컷팅된 판재를 온도 변화에 의한 수축방지를 위해 저온 저장장치에 24시간정도 저장한 후, 완제품 가공장치에서 실제 치수로 재단하고 배면에 홈부를 형성하여 완제품으로 가공하는 건축용 합성판재의 형성단계를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 건축용 합성판재의 제조방법을 도시해 보인 공정도이다.
본 발명은 거푸집, 온돌바닥재, 건축용 내/외장재로 사용할 수 있는 건축용 합성판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생활주변이나 농어촌 등에서 쉽게 버려져 그 활용가치가 없고 환경공해를 유발하는 폐자원과 환경 친화적이기는 하지만 쉽게 버려지는 자료들을 재활용하여 위생적이고 경제성 있는 건축자재를 제조하는 것이다.
특히 요즘 사회적으로 크게 이슈가 되고있는 새집 증후군등을 감안하여 폐자원 자료에 환경친화적인 자료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농촌지역에서 농작물을 기르기 위해 보온용으로 사용한 후 폐기된 폐비닐이나, 각종 생활용품으로 제작되어 수명이 다하거나 파손으로 용도 폐기된 각종 폐플라스틱 제품과, 어촌지역에서 어구에 사용한 후 폐기되거나 방치 되는 폐어망로프등을 수거하여 각각 180℃로 용융 압출하므로서 과립으로 형성한다.
상기 용융 압출된 과립들과 같이 혼합할 수 있도록 벼를 도정하고 버려지는 왕겨를 수거하여 건조장치로 건조하고, 목재소나 가구공장에서 버려지는 폐목이나 톱밥 등을 수거하여 분쇄기를 통해 폐목분말로 분쇄한 후 수분 제거를 위하여 건조장치로 건조하고, 농촌에서 추수하고 버려지는 볏짚을 수거하여 볏짚분말로 분쇄하여 건조 장치로 건조한다.
상기 자료들의 비중을 계량장치에 의하여 폐비닐 35%, 폐플라스틱 10%, 폐어망로프 15%와 왕겨20%, 폐목분말 15%, 볏짚분말 5%로 계량한다.
혼합되는 자료들의 비중을 상기와 같이 계량하는 것은 많은 실험결과에 의한 것으로 제조된 건축용 합성판재의 인장강도, 충격흡수, 판재균열, 수축변형등을 최적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비중이 계량된 자료들을 혼합하고 175℃로 용융 압출하여 자료혼합 판재(2)를 형성한다.
상기 혼합되는 식물성자료인 왕겨, 폐목분말 및 볏짚분말은 무기 섬유질로 폐비닐, 폐플라스틱 및 폐어망로프인 합성수지의 인장강도를 높여주고 충격흡수 작용을하며, 판재의 균열 및 수축변형을 방지한다. 또한 식물성분인 상기 자료들은 인체의 건강에 유익을 주는 것으로 그 특성을 살리면서 합성수지와 혼합한 건축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혼합된 자료들은 압출기에 투입되어 175℃에서 용융하면서 소정 두께의 자료 혼합판재로 형성될 때 왕겨, 폐목분말 및 볏짚분말은 섬유질 입자의 크기가 서로 다르므로 혼합과정에서 형성되는 미세공간을 적절히 조절하고 메워주므로 많은 압력의 필요없이 압출하여 자료혼합 판재(2)를 성형한다.
상기 압출 성형된 자료 혼합판재(2)는 변형을 줄이기 위하여 냉각롤러인 1차 강제롤러를 경유시키므로 전단계에서 175℃까지 가열되었던 자료혼합판재(2)를 115℃까지 냉각시킨 후 표면에 PE수지를 175℃에서 용융하여 0.2㎜두께로 압출된 PE수지 용융층(3)을 형성한다. 1차 강제롤러에서 자료혼합판재(2)를 115℃까지 냉각시키는 것은 변형을 줄이고 상면에 PE수지 용융층(3)을 최적으로 압출하기 위한 것이다.
PE수지 용융층(3)을 0.2㎜ 두께로 압출하는 이유는 상기 합성수지와 혼합된 왕겨, 폐목분말, 볏짚분말에 의해 표면이 거칠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건축용 합성판재(1)의 표면에 PETE필름 층(4)을 견고하게 융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PE수지를 175℃로 용융하여 형성된 PE수지 용융층(3) 위에 0.15㎜ 두께의 PETE필름을 공급하고 그 위에 열롤러인 제2팽창롤러를 통과시키면 다리미질을 하는것 같이 되어 PETE층(4)이 강력하게 접착 형성된다. 이때 자료혼합 판재(2)의 115℃의 열과 PE수지 용융층(3)의 175℃의 열이 PETE필름층(4)의 용융을 위한 열로 전도되는데 제2팽창롤러가 열을 가하면서 강제적으로 밀착시키므로 자료혼합판재(2)와 PE수지용융층(3)과 PETE필름층(4)이 일체로 접합된다.
상기 PETE 필름층(4) 위에 열롤러인 3차 압착롤러를 한번 더 통과시키는 것 은 접착력을 더욱 강화시키기 위한 것이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합성판재의 표면에 냉각수로 냉각되는 냉각롤러 장치를 통과시키는 것은 표면을 견고히 하고 매끄럽게 연마하므로서 표면에 시멘트나 이물질이 달라 붙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합성판재는 열에 의하여 약간 늘어져 있으므로 1차 컷팅장치에서는 실제 치수보다 약간 크게 재단하고, 온도변화에 의한 수축방지를 위해 저온 저장장치에 24시간 정도 저장한다.
완제품 가공장치에서 실제 치수로 재단하고 외부의 온도나 압력에 의한 변형방지를 위하여 바닥면에 교차형의 홈부(5)를 형성하여 건축용 합판재(1)를 완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완성된 건축용 합판재(1)는 용도에 따라 거푸집, 온돌 바닥재, 건축용 내/외장재 등으로 포장한 후 출고한다.
도 1은 본 발명 건축용 합성판재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 건축용 합성판재의 저면에 교차형의 홈부를 도시해 보인 저면도이다.
상기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건축용 합성판재(1)는 소정의 판형상으로 폐비닐 35%, 폐플라스틱 10%, 폐어망로프 15%인 합성수지에 무기섬유질인 왕겨 20%, 폐목분말 15%, 볏짚분말 5%를 혼합하고 용융 압출하여 제조하는 것으로 인장강도를 증가시키고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흡수 및 판재균열, 수축 변형을 방지하고, 콘크리트의 하중이나 압력 또는 외부의 온도에 의하여 수축, 팽창 및 변형이 되지 않고 평탄도를 유지하도록 바닥면에 사방으로 교차되는 홈부(5)를 형성하였다.
또한 자료혼합 판재(2)의 상면에 PE수지를 용융 압출하여 0.2㎜ 두께의 PE수지 용융층(3)을 압출 성형하고 상기 PE수지 용융층(3)의 표면에 0.15㎜ 두께의 PETE필름층(4)을 형성한 후 냉각롤러장치로 표면을 견고하고 깨끗하면서 매끄럽게 연마하여 시멘트나 이물질 등이 쉽게 붙지 않아 거푸집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 건축물 시공후 철거가 용이하고 여러번 사용이 가능한 구조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폐기되면 환경공해를 유발하는 폐비닐, 폐플라스틱, 폐어망로프와 환경친화적이지만 폐기되는 왕겨, 폐목분말, 볏짚분말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건축용 합성판재에 관한 것으로, 합성수지의 건축용판재는 제조시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경향이 있는데 섬유질인 왕겨, 폐목분말, 볏짚분말은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작용을 함은 물론 인장강도를 높이고 열 안정성 및 열 성형성이 우수하며, 바닥면에는 사방으로 교차되는 홈부를 형성하여 수축과 팽창 및 변형을 최소화하고, 표면에 PETE 필름층을 접착 연마하므로 메끄러운 표면을 유지하여 시멘트나 기타 이물질이 잘 달라 붙지 않아 거푸집의 경우에는 사용 횟수가 많아 경제적이며, 폐기시에는 전량 수거하여 재생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입되는 합판에 의존하지 않고 폐자원으로 대체할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가 있고 공해물질을 제거하므로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의 실시예에 관련하여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 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폐비닐, 폐플라스틱 및 폐어망 로프를 수거하여 각각 용융 압출하므로서 과립을 형성하는 과립형성단계와; 왕겨, 폐목분말 및 볏짚분말을 각각 건조장치에 의하여 건조하는 건조단계와;
    상기 자료들의 비중을 계량장치에 의하여 계량하는 비중계량 단계와;
    상기 비중이 계량된 자료들을 혼합하고 용융 압출하여 자료혼합 판재를 형성하는 자료 혼합판재 형성 단계와;
    상기 자료 혼합판재를 냉각롤러인 1차 강제롤러를 통과시키므로서 온도를 115℃까지 냉각시킨 후 상면에 PE수지를 용융 압출하여 형성하는 PE수지용융층 형성 단계와; 상기 PE수지 용융층 표면에 PETE필름을 공급하고 열 롤러인 2차 팽창롤러를 통과시키므로서 접착 형성하는 PETE필름층 형성단계와; 열 롤러인 3차 압착롤러를 통과시키므로서 접착력을 강화하고 냉각수로 냉각하는 냉각롤러 장치를 통과시키므로서 표면을 견고하고 매끄럽게 연마한 후 1차 컷팅 장치로 열에 의해 약간 늘어진 것을 감안하여 실제 치수보다 약간 크게 재단하는 1차 컷팅 단계와;
    1차 컷팅된 판재를 온도 변화에 의한 수축방지를 위해 저온 저장장치에 24시간정도 저장한 후 완제품 가공장치에서 실제 치수로 재단하고 배면에 홈부를 형성하여 완제품으로 가공하는 건축용 합성판재의 형성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합성판재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계량장치에 의하여 계량하는 자료들의 비중은 폐비닐 35%, 폐플라스틱 10%, 폐어망로프 15%와 왕겨20%, 폐목분말 15%, 볏짚분말 5%로 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합성판재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폐비닐, 폐플라스틱 및 폐어망로프를 과립으로 형성하기 위한 용융압출 온도는 180℃로 하고, 자료 혼합 판재를 형성하기 위한 과립들의 용융 압출온도는 175℃로 하고, 상면에 PE수지 용융층을 최적으로 압출하기 위하여 자료 혼합판재의 온도는 115℃까지 하강시키고, 표면에 PETE필름층을 형성하기 위한 PE수지융융층의 용융온도는 175℃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합성판재의 제조방법.
  4. 소정의 판상으로 형성된 자료 혼합판재는 상면에 0.2mm 두께의 PE수지 용융층을 성형하고, 상기 PE수지 용융층 표면에 0.15mm 두께의 PETE필름층을 일체로 형성하고, 바닥면에는 외부의 온도나 압력에 의한 변형방지를 위하여 교차형의 홈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합성판재.
KR20040053128A 2004-07-08 2004-07-08 건축용 합성판재의 제조방법 및 제품 KR100597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53128A KR100597858B1 (ko) 2004-07-08 2004-07-08 건축용 합성판재의 제조방법 및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53128A KR100597858B1 (ko) 2004-07-08 2004-07-08 건축용 합성판재의 제조방법 및 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4135A KR20060004135A (ko) 2006-01-12
KR100597858B1 true KR100597858B1 (ko) 2006-07-10

Family

ID=37116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53128A KR100597858B1 (ko) 2004-07-08 2004-07-08 건축용 합성판재의 제조방법 및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78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26427A (zh) * 2016-08-02 2017-02-22 浙江长兴森大竹木制品有限公司 一种高韧性竹木纤维复合装饰板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44535C (zh) * 2006-05-29 2007-10-24 郑兴福 利用稻壳和竹木废料制备的活性炭板材
CN103341990B (zh) * 2013-06-26 2015-07-15 东北林业大学 分层叠压法制备木塑复合板材的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26427A (zh) * 2016-08-02 2017-02-22 浙江长兴森大竹木制品有限公司 一种高韧性竹木纤维复合装饰板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4135A (ko) 2006-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18604A (en) Composite board and method
CN103213362A (zh) 一种复合塑料模板及其制备方法
WO2014039479A1 (en) Use of recycled packaging in polymer composite products
AU2010263466B2 (en) Bagasse composite,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interior material using same
US20120214910A1 (en) Reed composi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building material using the same
CN104804452A (zh) 一种利用棉花杆制备聚乙烯基木塑复合材料的方法
KR100597858B1 (ko) 건축용 합성판재의 제조방법 및 제품
KR102373316B1 (ko) 폐비닐 및 폐플라스틱 재사용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방법
KR101908413B1 (ko)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스티렌 혼합수지 및 소각재 분말을 사용한 성형용 수지 조성물
KR100886838B1 (ko) 목분 및 목재파쇄물 등의 프리프레그를 이용한 우드칩과성형체
Kibria et al. Effect of Recycled Polystyrene Polymer in Concrete as a Coarse Aggregate
KR102272182B1 (ko) 재활용 필름 포장재를 이용한 인공골재 제조방법
KR100531140B1 (ko)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다중 탄성보도블록의 제조방법
KR100689342B1 (ko)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와 폐비닐을 이용한 다중 탄성블록
KR102156942B1 (ko) 충격흡수형 친환경 보도블록의 제조방법
KR100952257B1 (ko) 투수성을 갖는 재활용 폴리올레핀 발포체 제조 방법 및그로부터 제조된 재활용 폴리올레핀 발포체
JP2002187115A (ja) 再生可能な木調成型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40018328A1 (en) System and process for converting waste plastic into a usable product
KR20020086037A (ko) 목재 합판 대체용 재활용 플라스틱판재의 제조 방법 및 그판재
KR200163250Y1 (ko) 재생합판
PL200752B1 (pl) Sposób wytwarzania materiałów termoizolacyjnych z odpadów poli(tereftalanu etylenu) - PET
Aliyari et al.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wood-plastic based on MDF sawdust with the addition of sawdust coal, sulfur and recycled rubber powder
JP2017036405A (ja) 合成樹脂混合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21798B1 (ko) 재생합판 및 그의 제조방법
CA3126821A1 (en) Recycled-plastic wood-chipping composite sheathing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10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