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5699Y1 - 옹벽용 토사유출방지 여과배수시설 - Google Patents

옹벽용 토사유출방지 여과배수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5699Y1
KR200255699Y1 KR2020010026560U KR20010026560U KR200255699Y1 KR 200255699 Y1 KR200255699 Y1 KR 200255699Y1 KR 2020010026560 U KR2020010026560 U KR 2020010026560U KR 20010026560 U KR20010026560 U KR 20010026560U KR 200255699 Y1 KR200255699 Y1 KR 2002556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drainage
filtration
soil
rain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65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낙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Priority to KR20200100265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6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6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699Y1/ko

Links

Landscapes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옹벽 내에 설치되는 토사유출방지 여과배수시설을 옹벽 시공단계에서 동시 시공이 가능토록 구성하여 주고, 통상적으로 배수구가 설치되어 있는 옹벽 내측에만 국부적으로 설치되어 있어 이곳에서만 배수행정을 취할 수 있도록 형성된 토사유출방지 여과배수시설을 연장 확대 구성하여 주며, 옹벽 내에 위치되는 옹벽기초상에 옹벽측으로 하향 경사진 물구배 콘크리트부를 구성하여 주어, 옹벽 내에 위치한 성토층으로 침투되는 우수를 원활하게 여과 배수 처리함과 동시에 배수처리 과정중 토사의 유출을 미연에 방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하고, 실사용시 우수가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일부분만으로 국부적으로 몰리며 여과 배수되어 배수구가 막히게 되는 문제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하며, 옹벽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이러한 여과배수에 관계된 전반적인 시설을 일체로 설치 구성하여 줄 수 있음에 따라 이러한 옹벽시설을 시공하는데 소요되는 공기 및 공사비용을 절감시켜줄 수 있도록 한 옹벽용 토사유출방지 여과배수시설에 관한 것이다.
특히, 폴리에틸렌 연결배수관이 외측에 등간격으로 연결 설치되어 있되, 다공체로 이루어진 유공관을 규석 및 토사가 채워진 내측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내설하고 있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골재필터봉을 옹벽을 타설시 내측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주고, 옹벽 내에 위치되는 옹벽기초상에 옹벽측으로 하향 경사진 물구배콘크리트부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옹벽용 토사유출방지 여과배수시설{DRAIN APPARATUS PREVENTING A SOIL FLOWING FOR A CONCRETE WALL}
본 고안은 옹벽용 토사유출방지 여과배수시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옹벽내에 설치되는 토사유출방지 여과배수시설을 옹벽 시공단계에서 동시 시공이 가능토록 구성하여 주고, 통상적으로 배수구가 설치되어 있는 옹벽 내측에만 국부적으로 설치되어 있어 이곳에서만 배수행정을 취할 수 있도록 형성된 토사유출방지 여과배수시설을 연장 확대 구성하여 주며, 옹벽 내에 위치되는 옹벽기초상에 옹벽측으로 하향 경사진 물구배 콘크리트부를 구성하여 주어, 옹벽 내에 위치한 성토층으로 침투되는 우수를 원활하게 여과 배수 처리함과 동시에 배수처리 과정중 토사의 유출을 미연에 방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하고, 실사용시 우수가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일부분만으로 국부적으로 몰리며 여과 배수되어 배수구가 막히게 되는 문제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하며, 옹벽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이러한 여과배수에 관계된 전반적인 시설을 일체로 설치 구성하여 줄 수 있음에 따라 이러한 옹벽시설을 시공하는데 소요되는 공기 및 공사비용을 절감시켜줄 수 있도록 한 옹벽용 토사유출방지 여과배수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붕괴의 위험 요인을 내재하고 있는 언덕 및 비탈길 등에는 재해방지를 위해 화강암을 쌓아 축대를 형성하거나 철근 콘크리트 등으로 제작된 옹벽 구조물을 시공하게 된다.
여기서 철근 콘크리트 옹벽을 시공함에 있어서는 실사용시 성토층 내로 유입되는 우수를 여과 배수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구를 형성시키는 것이 필수사항이다.
그러므로, 콘크리트 옹벽을 시공하는 단계 즉, 내측에 철근이 배근된 거푸집을 짜는 초기 시공단계에서 거푸집 상에 내,외측을 관통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수개를 관통되게 설치한 후 물과 시멘트, 모래, 자갈 등이 혼합된 혼합조성물을 타설하여 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시공되는 옹벽은 통상적으로 타설을 완료한 후 기존의 지반층과 옹벽 내에 토사로 이루어진 성토층을 다단으로 적층 형성하여 우수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취함과 동시에 이를 유도하여 옹벽에 관통 형성되어 있는 배수구 상으로 여과 배수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옹벽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순서에 의거하여 나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배수구의 입측에 토사의 유입을 저지할 수 있는 수단이 전혀 구비되어 있지 않아 폭우를 동반하게 되는 악천우시 우수와 함께 다량의 토사를 배수구 내로 유입시키게 되므로 사실상 효과적인 여과배수를 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둘째, 옹벽의 내측에 유입되는 우수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없음에 따라 기간이 경과하면 성토층 내에 다량의 우수를 체류시키게 되므로 이 우수가 옹벽 내로 침투하여 옹벽의 골격을 구성하고 있는 철근의 부식을 초래하여 옹벽 전체의 내구성을 크게 저하시켜 옹벽 붕괴와 같은 안전사고를 초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셋째,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일정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철근 부식을 진행시키게 되어 옹벽의 외부에 미려하지 못한 적화현상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고,
넷째, 여과배수과정에서 옹벽 내측에 위치한 토사를 다량 유출시켜 성토층의 붕괴를 초래하는 비안전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다섯째, 우수가 아무런 거름 과정도 거치지 않고 배출되게 되므로 토사 내에 포함되어 있는 색체 성분을 함유하며 배출되는 우수가 옹벽 외측을 심각하게 오염시키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그러므로, 근래에는 상술한 문제를 치유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다각도록 모색되고 있다.
그럼, 이해를 돕기 위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문제를 치유할 수 있도록 모색한 방법 중 공개된 자료중 일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4b,4c,4d는 종래의 옹벽용 토사유출방지 여과배수시설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고밀도의 폴리에틸렌수지를 이용하여 직사각형 또는 망태형으로 제작되어 있되, 내부에 자갈 또는 쇄석이 채워진 여과배수필터를 옹벽 내측에 위치된 배수구에 국부적으로 또는 전면에 걸쳐 부착 시공하여 콘크리트 옹벽의 여과배수시설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여과배수시설은 옹벽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배수구의 입측에 위치시켜 성토층을 경유하여 배수구 측으로 유도되는 우수만을 일정의 여과과정을 거쳐 배출시켜줄 수 있도록 하여 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토사에 의해 배수구가 막히는 문제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하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는 반면 실사용시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순서에 의거하여 나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배수구 내로 토사의 유입은 저지할 수 있으나 우수의 배출은 효과적으로 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성토층 내로 유입되는 우수가 상술한 바와 같이 배수구 측으로만 국부적으로 여과배수를 유도할 수 있도록 시공되어 있으므로 다량의 우수가 성토층 내로 유입될 경우 배수구에 과부하가 걸려 사실 신속하게 효과적인 배출행정을 취할 수 없기 때문이다.
둘째, 이 역시 옹벽의 내측에 유입되는 우수를 효과적으로 여과 배수할 수 없음에 따라 기간이 경과하면 성토층 내에 다량의 우수를 체류시키게 되므로 이 우수가 옹벽 내로 침투하여 옹벽의 골격을 구성하고 있는 철근의 부식을 초래하여 옹벽 전체의 내구성을 크게 저하시켜 옹벽 붕괴와 같은 안전사고를 초래시킬 우려가 있었으며,
셋째,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일정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철근 부식에 의해 옹벽의 외부에 미려하지 못한 적화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넷째, 집중호우가 발생하여 다량의 우수가 네트론 측으로 집중 전달될 경우에 이를 신속하게 여과배수 처리할 수 없어 수압에 의한 옹벽의 붕괴가 초래될 우려가 있었다.
즉, 네트론을 제작함에 있어 배출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토사를 거르기 위한 기능에만 주안점을 두어 제작하였기 때문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옹벽 내에 위치한 성토층으로 침투되는 우수를 원활하게 여과 배수 처리함과 동시에 배수처리 과정중 토사의 유출을 미연에 방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하고, 실사용시 우수가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일부분만으로 국부적으로 몰리며 여과 배수되어 배수구가 막히게 되는 문제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하며, 옹벽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이러한 여과배수에 관계된 전반적인 시설을 일체로 설치 구성하여 줄 수 있음에 따라 이러한 옹벽시설을 시공하는데 소요되는 공기 및 공사비용을 절감시켜줄 수 있도록 한 옹벽용 토사유출방지 여과배수시설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폴리에틸렌 연결배수관이 외측에 등간격으로 연결 설치되어 있되, 다공체로 이루어진 유공관을 규석 및 토사가 채워진 내측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내설하고 있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골재필터봉을 옹벽을 타설시 내측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옹벽 내에 위치되는 옹벽기초상에 옹벽측으로 하향 경사진 물구배 콘크리트부를 구성된 것이 제시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옹벽용 토사유출방지 여과배수시설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옹벽용 토사유출방지 여과배수시설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옹벽용 토사유출방지 여과배수시설의 요부구성물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4b,4c,4d는 종래의 옹벽용 토사유출방지 여과배수시설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옹벽 2 :옹벽기초
4 :성토층 6 :맨홀
8 :고밀도폴리에틸렌 골재필터봉 10 :유공관
12 :폴리에틸렌 연결배수관 14 :다공체
16 :규석 및 토사 18 :물구배콘크리트부
이하, 본 고안인 옹벽용 토사유출방지 여과배수시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옹벽용 토사유출방지 여과배수시설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옹벽용 토사유출방지 여과배수시설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옹벽용 토사유출방지 여과배수시설의 요부구성물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즉, 상세회로도상에 나타난 각 구성소자의 단자간의 연결상태에 대한 설명은 명확하게 나타나 있는 관계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1)의 외측면으로 관통 노출되게 되는 폴리에틸렌 연결배수관(12)이 외측에 등간격으로 연결 설치되어 있되, 전면이 다공체(14)로 이루어진 유공관(10)을 규석 및 토사(16)가 채워진 내부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내설하고 있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골재필터봉(8)이 옹벽(1)의 내측면에 수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옹벽(1) 내면 측으로 위치되는 옹벽기초(2)의 상부에는 옹벽(1)측으로 하향 경사진 물구배 콘크리트부(18)가 타설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을 간략히 설명하면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1)의 내측면에 수개 설치 고정되어 성토층(3)으로 유입되는 우수를 잔류됨이 없이 원활하게 여과배수 처리하여 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여과배수과정중 토사의 유출을 미연에 방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콘크리트 옹벽(1)을 시공하는 초기단계 즉, 옹벽(1)을 시공하고자 거푸집을 형성하는 초기 시공단계에서 거푸집 내측면에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 골재필터봉(8)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폴리에틸렌 연결배수관(12)을 거푸집을 관통토록 위치시켜 고정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건조하고, 건조가 완료된 이후에는 옹벽(1) 내면 측으로 위치되는 옹벽기초(2)의 상부에 옹벽(1) 측으로 하향 경사진 물구배 콘크리트부(18)를 타설하여 상술한 기능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인데,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내부에 규석 및 토사(16)를 내장하고 있어, 유입되는 우수와 혼입되는 토사의 여과를 취하도록 하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골재필터봉(8)을 횡방향으로 일정길이를 취하는 봉형태로 형성하되, 이 내부 중앙에 옹벽(1)의 외측면으로 관통되는 폴리에틸렌 연결배수관(12)이 외측에 등간격으로 연결 설치되어 있되, 전면이 다공체(14)로 이루어진 유공관(1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성토층(4) 내로 유입되는 우수를 종래처럼 배수구 상에 국부분적으로 별도 설치된 여과배수시설을 통해 유입시켜 여과 배출하는 것이 아니라 옹벽(1) 내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고밀도 폴리에틸렌 골재필터봉(8)을 통해 유입시켜 여과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다소 많은 우수가 성토층(4)내로 유입된다 할지라도 원활한 배출을 유도할 수 있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옹벽(1) 내면 측으로 위치되는 옹벽기초(2)의 상부에 옹벽(1)측으로하향 경사진 물구배 콘크리트부(18)를 타설하여 주어 우수가 성토층(4) 하부로 잔류됨이 없이 배수 처리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옹벽(1)의 내측으로 유입 후 체류되는 우수가 옹벽(1) 내로 침투하여 옹벽(1)의 골격을 구성하고 있는 철근의 부식을 초래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옹벽(1) 붕괴와 같은 안전사고를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철근 부식에 의해 옹벽의 외부에 미려하지 못한 적화현상이 발생되는 문제를 방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앞에서 표현한 바와 같이 다단계에 걸쳐 유입되는 우수를 여과 및 정화하여 배수 처리함에 따라 토사의 색체 성분을 함유하며 배출되는 우수에 의해 옹벽(1) 외측이 심각하게 오염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됨은 물론이고, 집중호우가 발생하여 다량의 우수가 배수구 측으로 집중 전달될 경우에 이를 신속하게 여과배수 처리하지 못하여 수압에 의한 옹벽(1)의 붕괴를 초래시킬 우려를 미연에 방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고, 여러가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옹벽 내에 설치되는 토사유출방지 여과배수시설을 옹벽 시공단계에서 동시시공이 가능토록 구성하여 주고, 통상적으로 배수구가 설치되어 있는 옹벽 내측에만 국부적으로 설치되어 있던 토사유출방지 여과배수시설을 연장 확대 구성하여 주며, 옹벽 내에 위치되는 옹벽기초상에 옹벽측으로 하향 경사진 물구배 콘크리트부를 형성하여 주어, 옹벽 내에 위치한 성토층으로 침투되는 우수를 원활하게 여과배수 처리함과 동시에 여과배수처리 과정중 토사의 유출을 미연에 방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하고, 실사용시 우수가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일부분만으로 국부적으로 몰리며 여과 배수되어 배수구가 막히게 되는 문제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하며, 옹벽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이러한 여과배수에 관계된 전반적인 시설을 일체로 설치 구성하여 줄 수 있음에 따라 이러한 옹벽시설을 시공하는데 소요되는 공기 및 공사비용을 절감시켜줄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폴리에틸렌 연결배수관(12)이 외측에 등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되, 다공체(14)로 이루어진 유공관(10)을 규석 및 토사(16)가 채워진 내측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내설하고 있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골재필터봉(8)을 옹벽(1)을 타설시 내측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주고, 옹벽(1) 내에 위치되는 옹벽기초(2)의 상부에 옹벽(1)측으로 하향 경사진 물구배 콘크리트부(18)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토사유출방지 여과배수시설.
KR2020010026560U 2001-08-31 2001-08-31 옹벽용 토사유출방지 여과배수시설 KR2002556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560U KR200255699Y1 (ko) 2001-08-31 2001-08-31 옹벽용 토사유출방지 여과배수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560U KR200255699Y1 (ko) 2001-08-31 2001-08-31 옹벽용 토사유출방지 여과배수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5699Y1 true KR200255699Y1 (ko) 2001-12-20

Family

ID=73107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560U KR200255699Y1 (ko) 2001-08-31 2001-08-31 옹벽용 토사유출방지 여과배수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569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688Y1 (ko) * 2013-09-03 2015-07-09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옹벽용 배수파일
KR20160097994A (ko) 2015-02-10 2016-08-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측구의 이물질 유입 방지 수단을 구비한 구조체
KR20210076699A (ko) * 2019-12-16 2021-06-24 안학현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식생 개비온
CN114351682A (zh) * 2021-12-24 2022-04-15 中冶天工集团有限公司 一种挡土墙用过滤排水管
CN115110573A (zh) * 2022-08-10 2022-09-27 陕西国防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挡土墙支护结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688Y1 (ko) * 2013-09-03 2015-07-09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옹벽용 배수파일
KR20160097994A (ko) 2015-02-10 2016-08-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측구의 이물질 유입 방지 수단을 구비한 구조체
KR20210076699A (ko) * 2019-12-16 2021-06-24 안학현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식생 개비온
KR102335129B1 (ko) * 2019-12-16 2021-12-06 안학현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식생 개비온
CN114351682A (zh) * 2021-12-24 2022-04-15 中冶天工集团有限公司 一种挡土墙用过滤排水管
CN115110573A (zh) * 2022-08-10 2022-09-27 陕西国防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挡土墙支护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2192B1 (ko) 우수를 지중에 침투 저장하는 침투 관정을 이용한 워터 포켓
KR101625658B1 (ko) 개구형 산마루 측구 및 시공방법
KR200255699Y1 (ko) 옹벽용 토사유출방지 여과배수시설
JP2009133110A (ja) 排水設備構造
JP2023072625A (ja) 路面成型補助部材、及び、路面成型方法
KR20140139217A (ko) 선배수 기능을 내포한 현장타설 콘크리트 방호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070012B1 (ko) 씨지 필터 조성물 및 그 씨지 필터 조성물을 이용한 옹벽의 붕괴 방지와 하자 방지 시공 방법
KR20090105254A (ko) 일체형 침투 집수정
KR101650285B1 (ko) 비탈면 배수시설
KR100402435B1 (ko) 옹벽용 토사유출방지시설
JP4011444B2 (ja) 排水用ブロック
KR200292752Y1 (ko) 옹벽용 토사유출방지 배수시설
JP2002227111A (ja) 水路ブロックとそれを使用した排水性舗装の排水設備
KR20000058758A (ko) 교량의 배수처리 시공방법
CN210140780U (zh) 防淤堵生态透水箱涵
JP2006328640A (ja) 暗渠排水構造及び雨水の浸透処理方法
JPH0583688B2 (ko)
KR101663914B1 (ko) 조립식 우수 침투형 측구
JP4510325B2 (ja) 泥溜め槽を有する雨水浸透施設
JP2000179034A (ja) 側溝、側溝の蓋部材、および境界ブロック
KR20080005134U (ko) 옹벽 시공용 조립식 프리캐스트 패널
KR200369409Y1 (ko) 옹벽용 배수파이프의 캡
KR100577851B1 (ko) 부력으로 인한 이탈방지용 도로 배수관로 보호장치
CN211646453U (zh) 洗车机基础
CN214143763U (zh) 一种深水大型双壁钢套箱围堰封底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