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5554Y1 - 두피 지압장치 - Google Patents

두피 지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5554Y1
KR200255554Y1 KR2020010026708U KR20010026708U KR200255554Y1 KR 200255554 Y1 KR200255554 Y1 KR 200255554Y1 KR 2020010026708 U KR2020010026708 U KR 2020010026708U KR 20010026708 U KR20010026708 U KR 20010026708U KR 200255554 Y1 KR200255554 Y1 KR 2002555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calp
acupressure
rod
connect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67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택현
Original Assignee
이택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택현 filed Critical 이택현
Priority to KR20200100267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5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5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554Y1/ko

Links

Landscapes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두피 지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두피에 접촉되어 두피를 지압하는 지압봉과 상기 지압봉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부 그리고 상기 지압봉과 가압부 사이를 휘어진 상태에서도 가압부의 압력을 지압봉으로 전달할 수 있는 연결관으로 연결하며, 머리의 일부에 올려 놓을 수 있는 지지대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대의 중앙부에 고정부를 구비하고 그 고정부를 통하여 상기 지압봉이 탈착이 가능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지압장치가 개시된다.
본 두피 지압장치에 따르면, 머리에 위치한 특정 부위를 집중적으로 지압이 가능하며, 머리의 형태나 건강상태에 따라 적절한 지압봉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두피에 대한 가압상태와 평상 상태를 비교적 빠른 주기로 반복하여 지압효과를 높이되 머리에 충격은 주지 않도록 하여, 회사의 사무실 또는 공부방에서 업무나 공부를 계속하면서 자동으로 두피 지압이 가능하게 되어, 과도한 업무나 입시공부에 의하여 혹사된 머리를 건강하게 회복시켜주며, 두피에 대한 지압 효과로 인하여 머리카락이 빠지는 탈모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두피 지압장치{HEAD ACUPRESSURE DEVICE}
일반적으로 지압은 사람의 손 또는 손가락으로 인체의 특정부위 주로 경혈을 누르는 것으로, 국부적인 혈액순환을 돕고 근육의 위축 또는 이완을 회복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지압기법은 동양문화권에서는 매우 잘 알려져 있으며, 또한 매우 널리 시술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대인들 특히 입시를 준비하고 있는 학생들은 머리를 너무 과하게 사용하여 머리에 가해져 있는 정신적인 피로와 육체적인 피로를 해소할 필요성이 많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 경우 약물에 의한 부작용을 우려하지 않아도 되는 머리에 대한 지압이 효과적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두피 지압을 위한 종래기술에 있어, 지압용 기구로는 지압매트, 지압베개, 지압방석 등이 많이 있으나, 머리만을 위한 머리 전용 지압용 기구는 통상의 머리띠가 있으며 이는 머리의 옆부분을 주로 지압하기에 적당하며 가압상태와 평상 상태를 주기적으로 반복하기 불편하며, 이 외에는 그리 많지 않은 실정이다.
그 중에서 1996년 11월 15일에 출원된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 1996-40359호에는 사람의 머리에 장착하여 공기주입에 의해 돌출된 돌기부가 머리 전체를 지압하도록 고안된 '지압용 헤드 기어'가 개시되어 있다.
이 지압용 헤드 기어는 헬멧과 유사한 형상으로 제작되어 사용자가 머리에 덮어쓰도록 고안된 것으로서 머리를 전체적으로 지압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구조가 대형이어서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지 않고, 전체를 고루 압박함에 따라 머리 특정 부위를 집중적으로 지압하는 것이 어려워 머리에 위치한 경혈을 정확히 지압하기 곤란하며, 외피와 내피로 구성되어 머리전체를 덮어쓰도록 되어있음으로 인하여 더운 실내, 여름철과 같이 고온에서는 착용하기가 불편하며, 또한 대기압보다 상당히 높은 압력으로 머리를 압박하려면 많은 양의 공기를 주입하여야 하며, 특히 주기적으로 가압상태와 평상 상태를 반복할 경우 주기가 길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인이 고안한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20-2001-0011866호(2001년 4월 25일 출원)에는 휴대가 편리하고 내측으로 함몰된 굴곡면을 구비하여 사람이 벽에 대고 정수리부분에 압박을 가하면서 지압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고안된 '두피지압 운동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출원에서는 현대인들 특히 학생들이 매우 바쁜 생활에서 두피지압을 위하여 벽면에 머리를 기대고 있는 시간과 그 운동에 적합한 장소를 찾기가 다소 무리가 있다고 판단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머리에 위치한 특정 부위를 집중적으로 지압이 가능하며 머리의 형태나 건강상태에 따라 적절한 지압봉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두피에 대한 가압상태와 평상 상태를 비교적 빠른 주기로 반복하여 지압효과를 높이되 머리에 충격은 주지 않으며, 회사의사무실 또는 공부방에서 업무나 공부를 계속하면서 자동으로 두피 지압이 가능한 두피 지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머리는 다른 신체부위와 달리 머리는 내부에 뇌를 수용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머리에 직접 충격을 가하는 것보다 손가락으로 경혈을 눌러주듯이 지긋이 압력을 가하는 것이 필요하며, 또한 업무나 공부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지압장치를 사용함에 따라 머리에 전달되는 소음, 진동 및 전자파를 줄여 주어야 하며, 따라서 두피에 접촉되어 두피를 지압하는 지압봉을 구동시키는 가압부를 되도록이면 머리에서 멀리 위치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머리는 구의 형태를 띄고 있으며 주위에 눈, 코, 입, 귀 등 평소에 다른 것으로 가려놓는 것이 어려운 신체기관들이 있어, 이러한 기관들에게 방해를 주지않으면서 간편하게 지압봉을 위치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머리는 일반적으로 견고한 구조로 생각되어지나 특정 부위는 매우 약한 곳도 있어, 지압되는 압력에 견디는 정도가 각각 달라, 사용자가 편리하게 지압봉을 교환하거나 가압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두피를 지압하려면 머리카락을 통해서만 가능한데, 지압에 의하여 머리카락의 형태가 달라지거나 눌려져 머리카락 손질을 다시 하는 불편함이 없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두피 지압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두피 지압장치의 지압봉과 지지대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사용된 지압봉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두피 지압장치의 체결부재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두피 지압장치의 체결부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하는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하는 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두피 지압장치에서 공기를 가압시키는 일부 단면도.
<도면의 중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압봉 2 : 지지대
3 : 고정부 4 : 가압부
5 : 연결관 6 : 지압막
8 : 전달선 11 : 가압판
18 : 두피 19 : 공기저장소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두피 지압장치는 두피에 접촉되어 두피를 지압하는 지압봉과, 지압봉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부 그리고 상기 지압봉과 가압부 사이를 휘어진 상태에서도 가압부의 압력을 지압봉으로 전달할 수 있는 연결관으로 연결하며, 머리의 일부에 올려 놓을 수 있는 지지대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대의 중앙부에 고정부를 구비하고 그 고정부를 통하여 상기 지압봉이 탈착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관 내부에는 전달선을 삽입하고 상기 전달선의 일단을 지압봉의 내부에 구비된 가압판에 연결하여 가압부에서 발생된 압력이 가압판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관의 중간에 체결부재를 구비하거나 가압부에 연결관의 일단을 착탈이 가능토록 하는 체결부를 구비하여 연결관 전체의 길이를 조절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관 내부에 전달선을 삽입하여 가압부의 압력을 전달하는 대신에, 가압부 내부에 공기저장소를 구비하고, 공기저장소와 연결관 그리고 지압봉 하단에 부착된 지압막으로 밀폐된 공간을 형성한 후, 가압부가 공기저장소를 압축시키고 그 압축된 공기의 압력이 연결관을 통하여 지압봉의 지압막으로 전달시켜 지압막에 압력을 가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머리에 지지대를 직접 올려놓고 지압할 경우 일반적으로 사람들 특히 퍼머를 한 여성들은 머리카락이 눌려지거나 헝클어지는 것을 싫어하며, 이를 방지하고자 지지대의 하부에 다리를 형성하고 그 다리의 끝에 쿠션부재를 구비토록하며 다리와 쿠션부재를 합한 길이가 2c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두피 지압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지압장치를 사용하면서 업무나 공부를 평상시와 같이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머리에 전달되는 소음, 진동 및 전자파를 줄여 주어야 하며, 따라서 두피(18)에 접촉되어 두피(18)를 지압하는 지압봉(1)을 구동시키는 가압부(4)를 되도록이면 머리에서 멀리 위치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지압봉(1)과 가압부(4) 사이를 연결관(5)으로 연결하였으며, 연결관(5)의 일단은 가압부(4)의 체결부(13)에 체결되어 있고 또 다른 일단은 지압봉(1)에 연결되어 있게 하였다.
지지대(2)는 머리의 일부에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지지대(2)의 중앙부에 고정부(3)를 구비하고 그 고정부(3)를 통하여 상기 지압봉(1)의 탈착이 가능토록 한다. 지지대(2)의 형태는 머리 부위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원형, 직사각형, 타원형 등이 가능하다. 고정부(3)는 통상의 방법과 같이 돌출부와홈(14)을 결합시키는 방법이나 소켓 방식을 사용 할 수 있다. 도 2, 도 3에서는 지압봉(1)의 외부에 홈(14)을 설치한 경우이다. 이때 지압봉(1)과 고정부(3)의 형태를 도 3과 같이 원형으로 하여 지압봉(1)이 고정부(3)에 부착되면 지압봉(1)이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 사용자가 지압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머리를 돌려 주위를 살펴보거나 책상 위에서 업무나 공부하는 것을 자유롭게 한다.
가압부(4)는 통상 회사 사무실이나 수험생 공부방의 책상 위에 위치시키는 것이 적절하며, 지압봉(1)은 도 6, 도 7과 같이 사용자의 머리 위에 위치함으로, 연결관(5)은 사용자가 업무를 보거나 공부를 하면서 약간의 자세를 바꾸거나 머리를 움직일 때 가압부(4)가 따라서 움직이지 않도록 잘 휘어지는 성질을 가져야 하지만, 더불어 압력에 의하여 그 길이가 변형되지는 않아야 한다. 연결관(5)의 전체 길이가 변형되면 가압부(4)의 압력이 가압판(11)까지 전달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지지대(2)에는 도 7과 같이 밴드(15)를 이용하여 지지대(2)를 머리에 부착된 상태에서 지압을 할 수 있도록, 밴드(15)를 지지대(2)에 손쉽게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는 걸림부재(16)가 구비되어 있다. 도 6에서는 밴드(15) 대신에 사용자가 손으로 지압장치를 머리에 대고 지압을 하고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머리에 지지대(2)를 직접 올려놓고 지압할 경우 일반적으로 사람들 특히 퍼머를 한 여성들은 머리카락이 눌려지거나 헝클어지는 것을 싫어하며, 이를 방지하고자 도 2에서와 같이 지지대(2)의 하부에 다리(9)를 형성하고 그 다리(9)의 끝에 상기 다리(9)가 두피(18)에 직접 닿아 두피(18)에 통증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부드러운 쿠션부재(10)를 구비토록한다. 일반적으로 퍼머를 한 경우 머리카락이두피(18)에서 2cm이상의 두께를 갖으며 따라서 다리(9)와 쿠션부재(10)를 합한 길이가 2c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부(4)의 내부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전기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전기 모터의 회전력을 크랭크축(17)으로 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키고, 이 크랭크축(17)에 잘 휘어지지만 꺽이지 않는 강철선과 같은 재질로된 전달선(8)의 일단을 인접해진 상태에 있게 하면, 연결관(5) 내부에 삽입된 전달선(8)은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전기모터의 회전 주기를 변경시키면 전달선(8)의 왕복운동 주기가 변경되고 따라서 두피(18)가 지압되는 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
연결관(5)은 가압부(4)와 체결부(13)를 통하여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달선(8)이 받은 압력은 도 2에서와 같이 전달선(8)의 다른 끝에 연결되어 있는 가압판(11)까지 전달되게 된다. 가압판(11)이 압력을 받으면 자연히 지압막(6)을 밀어 지압막(6)에 압력을 가해지며 따라서 지압막(6)이 두피(18)에 지압을 하게 된다. 이때 지압막(6)은 전체적으로는 압력에 변형이 되지 않는 재질이 적합하지만 두피(18)가 접촉되는 쪽은 어느정도 쿠션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압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지압막(6)의 하부에 돌기(7)를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크랭크축(17)의 끝에서부터 가압판(11)까지 전달선(8)이 연결되어 있음으로 가압판(11)이 압력을 받아 움직이는 거리는 크랭크축(17)의 왕복운동거리와 같으며, 만일 가압판(11)이 압력을 받아 움직이는 거리에 의하여 지압막(6)이 두피(18)에 주는 압력이 너무 클 경우에는 가압판(11)이 움직이는 거리를 짧게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크랭크축(17)의 왕복운동 거리를 조절하는 방법과 연결관(5)의 길이를 늘려 크랭크축(17)과 전달선(8)사이에 유격이 생기도록 하는 방법이 있게 된다. 상대적으로 연결관(5)의 길이를 조절하는 방법이 크랭크축(17)의 왕복운동 거리를 조절하는 것보다 수월하며, 연결관(5)의 길이를 조절하는 방법으로는 도 4와 같이 연결관(5)의 중간에 연결관(5)을 2개로 나누고 그 양단에 통상의 볼트와 너트를 통한 결합에 의하여 길이조절이 가능한 체결부재(12)를 구비하는 방법과, 도 5에서와 같이 가압부(4)에 연결관(5)의 일단을 착탈이 가능토록 하는 체결부(13)를 두고 체결부(13)에서 가압부(4)와 연결관(5) 사이의 거리를 변경시키는 방법이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머리는 책상의 높이보다 높은데 위치하며 따라서 지압봉(1)의 외부에 연결관(5)을 부착시킬 경우 도 2, 도 3과 같이 옆쪽에서 부착시키는 것이 편리하며, 따라서 도 2에서와 같이 지압봉(1)의 내부에 위치하는 연결관(5)은 부드럽게 부채꼴의 원호 형태로 휘어지게 하는 것이 전달선(8)이 연결관(5) 내부에서 왕복할 때 갖는 마찰을 줄이는데 효과적이다.
머리의 지압되는 부위의 특성에 맞추어 형태가 다른 지압막(6)을 선택하여 지압을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하여 지압막(6)은 도 2와 같이 지압봉(1)의 하단을 통하여 착탈이 가능토록 한다.
또한, 도 8에서와 같이 가압부(4) 내부에 공기저장소(19)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저장소(19)와 연결관(5) 그리고 지압봉(1) 하단에 부착된 지압막(6)으로 밀폐된 공간을 형성한 후, 가압부(4)가 공기저장소(19)를 압축시켜 그 압축된 공기의 압력이 연결관(5)을 통하여 지압봉(1)의 지압막(6)으로 전달시켜 상기 지압막(6)에압력을 가하여 두피(18)가 지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공기저장소(19)를 주름관 형태로 하고 그 주름관을 크랭크축(17)의 왕복운동으로 가압을 하면, 주름관의 진행방향으로 압력이 대부분 전달되고, 또한 전기모터 대신에 손으로 공기저장소(19)를 압축시켜 사용할 때 편리하다.
머리에 위치한 특정 부위를 집중적으로 지압이 가능하며, 머리의 형태나 건강상태에 따라 적절한 지압봉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두피에 대한 가압상태와 평상 상태를 비교적 빠른 주기로 반복하여 지압효과를 높이되 머리에 충격은 주지 않도록 하여, 회사의 사무실 또는 공부방에서 업무나 공부를 계속하면서 자동으로 두피 지압이 가능하게 되어, 과도한 업무나 입시공부에 의하여 혹사된 머리를 건강하게 회복시켜주며, 두피에 대한 지압 효과로 인하여 머리카락이 빠지는 탈모를 예방할 수 있다.

Claims (14)

  1. 두피(18)에 접촉되어 두피(18)를 지압하는 지압봉(1)과 상기 지압봉(1)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부(4) 그리고 상기 지압봉(1)과 가압부(4) 사이를 휘어진 상태에서도 가압부(4)의 압력을 지압봉(1)으로 전달할 수 있는 연결관(5)으로 연결하며, 머리의 일부에 올려 놓을 수 있는 지지대(2)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대(2)의 중앙부에 고정부(3)를 구비하고 그 고정부(3)를 통하여 상기 지압봉(1)이 탈착이 가능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지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연결관(5) 내부에는 전달선(8)을 삽입하고 상기 전달선(8)의 일단을 지압봉(1)의 내부에 구비된 가압판(11)에 연결하여 가압부(4)에서 발생된 압력이 가압판(11)으로 전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지압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지압봉(1)과 고정부(3)의 형태를 원형으로 하여 지압봉(1)이 고정부(3)에 부착되면 지압봉(1)이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지압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연결관(5)의 중간에 체결부재(12)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재(12)의 결합된 길이를 조절하여 결과적으로 연결관(5) 전체의 길이를 조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지압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가압부(4)에 연결관(5)의 일단을 착탈이 가능토록 하는 체결부(13)를 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지압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체결부(13)에서 가압부(4)와 연결관(5) 사이의 거리를 변경시켜 결과적으로 연결관(5) 전체의 길이를 조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지압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지압봉(1) 상단 내부에 연결관(5)을 연장시키고, 상기 연장된 연결관(5)을 부채꼴의 원호 형태로 휘어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지압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가압판(11)과 두피(18) 사이에 완충작용을 하며 지압봉(1) 하단을 통하여 착탈이 가능한 지압막(6)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지압장치.
  9. 제 2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압부(4)에 전기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전기모터의 회전력을 크랭크축(17)으로 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킨 후, 전달선(8)을 왕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지압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가압부(4) 내부에 공기저장소(19)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저장소(19)와 연결관(5) 그리고 지압봉(1) 하단에 부착된 지압막(6)으로 밀폐된 공간을 형성한 후, 가압부(4)가 공기저장소(19)를 압축시켜 그 압축된 공기의 압력이 연결관(5)을 통하여 지압봉(1)의 지압막(6)으로 전달시켜 상기 지압막(6)에 압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지압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공기저장소(19)를 주름관 형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지압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지지대(2)의 일부에 머리를 감을 수 있는 밴드(15)를 착탈이 가능토록 하는 걸림부재(16)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지압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지지대(2)의 하부에 다리(9)를 형성하고 그 다리(9)의 끝에 쿠션부재(1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지압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다리(9)와 쿠션부재(10)를 합한 길이가 2c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지압장치.
KR2020010026708U 2001-08-31 2001-08-31 두피 지압장치 KR2002555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708U KR200255554Y1 (ko) 2001-08-31 2001-08-31 두피 지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708U KR200255554Y1 (ko) 2001-08-31 2001-08-31 두피 지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5554Y1 true KR200255554Y1 (ko) 2001-12-13

Family

ID=73107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708U KR200255554Y1 (ko) 2001-08-31 2001-08-31 두피 지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555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913B1 (ko) 2007-03-09 2008-03-31 기용호 공압식 두피 지압장치
KR101038518B1 (ko) * 2008-10-30 2011-06-02 이용백 다기능 안마기
KR101146340B1 (ko) 2009-11-20 2012-05-21 김병렬 귀 지압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913B1 (ko) 2007-03-09 2008-03-31 기용호 공압식 두피 지압장치
KR101038518B1 (ko) * 2008-10-30 2011-06-02 이용백 다기능 안마기
KR101146340B1 (ko) 2009-11-20 2012-05-21 김병렬 귀 지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88482A4 (en) VIBRATORY DEVICE.
JP3087862U (ja) マッサージ装置
KR101895263B1 (ko) 어깨 견착형 마사지기
KR200255554Y1 (ko) 두피 지압장치
CN208809007U (zh) 一种医疗卧床病人腿部康复护理装置
US7381193B2 (en) Tunning fork type therapeutic utensil
KR200393008Y1 (ko) 지압기구
KR20220167754A (ko) 손 마사지 장치
CN212940489U (zh) 一种手戴式穴位按摩器
CN213788758U (zh) 一种指压按摩枕
CN201022833Y (zh) 保健按摩枕
CN2199779Y (zh) 健身弹力锤
CN210447573U (zh) 一种肌肉筋膜放松器械
CN109793338B (zh) 一种面肌提拉塑形装置
CN208926994U (zh) 一种具有按摩功能的经络刷
JP2012170672A (ja) 胸及び肩周囲マッサージ器具
CN213911290U (zh) 一种医疗用膝关节按摩装置
JP7455419B1 (ja) 美容鍼ヘッド、および美容鍼ヘッドを備えるマッサージ機器
JP3194412U (ja) 胸及び肩周囲マッサージ器具
KR101532629B1 (ko) 가동형 가압판을 구비한 안면 윤곽 축소 및 마사지 기구
CN219271544U (zh) 一种可穿戴式按摩仪
CN213941435U (zh) 按摩头及人体护理装置
KR20190000785U (ko) 어깨 견착형 마사지기
CN211705252U (zh) 多功能按摩仪器
CN212261846U (zh) 一种便携式按摩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