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5387Y1 - 가스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병마개 - Google Patents

가스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병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5387Y1
KR200255387Y1 KR2020010024631U KR20010024631U KR200255387Y1 KR 200255387 Y1 KR200255387 Y1 KR 200255387Y1 KR 2020010024631 U KR2020010024631 U KR 2020010024631U KR 20010024631 U KR20010024631 U KR 20010024631U KR 200255387 Y1 KR200255387 Y1 KR 2002553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guide surface
float valve
spherical guid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46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영
Original Assignee
이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영 filed Critical 이태영
Priority to KR20200100246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3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3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387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이다, 콜라, 환타 등을 포함하는 착향탄산음료를 비롯하여 알콜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주류 등을 담고 있는 병을 개봉한 상태에서 내용물을 따라낼 때 병 속의 기상부와 대기의 접촉을 차단함으로써 착향성분과 알콜성분이 날아가는 것을 방지하여 오랫동안 맛을 보존할 수 있도록 한 가스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병마개에 관한 것으로, 중심에 통로(32)를 갖는 연질중공관(30)을 병(20)의 목부(26)에 설치하고, 그 연질중공관(30)의 통로(32)에 구형안내면(34)을 형성하며, 원판형의 플로트밸브(50)를 구형안내면(34)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하고, 이 구형안내면(34)의 단부에 플로트밸브(50)의 회동각을 제한하는 스토퍼(34a)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가스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병마개{Bottle cap preventable for gas escape}
본 고안은 가스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병마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이다, 콜라, 환타 등을 포함하는 착향탄산음료를 비롯하여 알콜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주류 등을 담고 있는 병을 개봉한 상태에서 내용물을 따라낼 때 병 속의 기상부와 대기의 접촉을 차단함으로써 착향성분과 알콜성분이 날아가는 것을 방지하여 오랫동안 맛을 보존할 수 있도록 한 가스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병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의 봉함기술은 병 속의 내용물이 외부환경에 의해 오손이나 변질, 변패 등을 막고 의도적인 범죄에 의한 피해를 막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병은 첨부도면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10)의 입구(18)를 병뚜껑(14)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고, 병뚜껑(14)과 병(10) 사이에는 패킹(16)을 설치하여 병뚜껑(14)과 병(10)의 사이에 형성되는 미세한 틈새를 막아서 밀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병의 입구부 구조는 첨부도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10)을 기울여서 별도의 용기인 컵(19)에 내용물(12)을 따를 때 입구(18)의 단면 하부는 액상의 내용물(12)이 흐르고, 입구(18)의 단면 상부는 대기와 접촉하기 때문에 내용물(12)에 포함되어 있던 착향성분 및 알콜성분이 대기중으로 빠져나기기 때문에 개봉 후 곧 바로 마시지 않게 되면, 맛이 쉽게 변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탄산가스와 알콜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탄산음료와 주류는 그 현상이 더욱 심하여 병뚜껑(14)을 항상 닫아 놓지 않게 되면, 맛이 쉽게 변질되며, 병뚜껑(14)을 개방한 후 내용물(12)을 따르고, 다시 병뚜껑(14)을 닫을 때까지 병(10) 속의 기상부(11)가 대기와 필연적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병뚜껑(14)을 자주 열게 되면, 탄산가스 및 알콜성분이 쉽게 날아가서 싱거운 맛으로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병뚜껑이나 캡을 제거하더라도 병속의 기상부(氣相部)가 대기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용물에 포함되어 있는 착향성분 및 알콜성분이 대기중으로 날아가는 방지할 수 있고, 병 속의 내용물을 따라낼 때는 기상부는 폐쇄된 상태에서 내용물만이 흘러내릴 수 있는 액상통로를 자동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내용물이 지니는 맛을 보다 오랫동안 보존할 수 있는 가스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병마개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심에 통로를 갖는 연질중공관을병의 목부에 설치하고, 그 연질중공관의 통로에 구형안내면을 형성하며, 원판형의 플로트밸브를 구형안내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하고, 이 구형안내면의 단부에 플로트밸브의 회동각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형성하여 가스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병마개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병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 병으로부터 내용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스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병마개의 일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병마개의 일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병마개의 동작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스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병마개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스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병마개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20 : 병 22 : 내용물
24 : 입구 26 : 목부
30 : 연질중공관 32 : 통로
34 : 구형안내면 34a : 스토퍼
40 : 경질연장관 50 : 플로트밸브
60 : 캡 62 : 실링용 리브
70 : 일방향성 파열밴드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3 내지 도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질중공관(30) 중심에 구형(求刑)안내면(34)을 형성하고, 그 구형안내면(34)의 내부로 원판형으로 된 플로트밸브(50)를 삽입하여 구형안내면(34)에서 플로트밸브(50)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연질중공관(30)은 예컨대, 실리콘과 같은 연질의 고무를 재료로 하여 원통형으로 성형될 수 있으며, 그 중심에 형성된 구형안내면(34)의 내경은 중심에 형성된 통로(32)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한다.
또, 연질중공관(30)에 형성된 통로(32)보다 큰 직경을 갖는 플로트밸브(50)를 이 통로(32)를 통해 구형안내면(34)으로 삽입하기 위해서는 탄성을 갖는 연질중공관(30)의 측면을 가압하여 통로(32)를 일자에 가까운 타원형으로 만든 후 플로트밸브(50)를 연질중공관(30)의 내측으로 강제로 밀어 넣게 되면, 연질중공관(30)이 탄성에 의해 늘어나면서 플로트밸브(50)가 구형안내면(34)으로 삽입되고, 연질중공관(30)은 탄성에 의해 원형으로 복원된다.
그리고, 상기 연질중공관(30)의 하단부에는 플로트밸브(50)의 회동각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34a)를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플로트밸브(50)는 기울어진 병(20)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내용물(22)에 의해 일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액상통로(32)를 형성하는 동시에 병(20) 속의 기상부(25)를 폐쇄하게 되며, 구형안내면(34)에 형성된 스토퍼(34a)에 걸리면서 회동각이 제한되고, 탄성에 의해 병(20)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내용물(22)의 토출압에 의해 활처럼 휘면서 유로를 넓히게 된다.
즉, 플로트밸브(50)에 부여되는 탄성은 경질고무로 성형함으로써 부여할 수도 있고,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얇은 박판형태로 성형함으로써 부여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연질중공관(30)은 병(20)의 목부(26) 내측으로 압입되고, 이 목부(26) 내측에 형성된 턱(26a)에 걸리도록 구성하였다.
한편, 병(20)의 입구(24)를 개폐하기 위한 캡(60)의 안쪽에 관형태로 된 실링용 리브(62)를 형성하여 캡(60)을 병(20)에 나사결합하여 입구(24)를 닫을 때 리 실링용 리브(62)가 연질중공관(30)의 상단부에 밀착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캡(60)과 목부(26) 사이에 일방향성 파열밴드(70)를 형성하여 소비자가 내용물의 소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첨부도면 도6 및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스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병마개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질중공관(30)과 플로트밸브(50)그리고 캡(60)의 구성은 일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며, 다만 연질중공관(30)의 외부를 경질연장관(40)으로 감싸고, 이 경질연장관(40)을 병(20)의 목부(26)에 형성된 나사부(26b)에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일반적인병(20)에 결합되어 있던 병뚜껑(도시 않됨)을 제거한 후 경질연장관(40)을 병(20)의 입구(24)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였음)
또, 경질연장관(40)과 병(20) 사이에는 패킹(82)을 설치하여 기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20)의 입구(24)를 막고 있는 캡(60)을 개방측으로 돌리게 되면, 일방향성 파열밴드(70)가 파단되면서 캡(60)이 병(20)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이 개봉 전 일방향성 파열밴드(70)가 파단된 상태이면, 타인의 이용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병(20)을 수직으로 세워놓게 되면, 연질중공관(30)의 구형안내면(34)에 위치되어 있는 원판형의 플로트밸브(50)가 수평하게 자리잡게 되고, 플로트밸브(50)의 가장자리 부분이 구형안내면(34)의 내벽에 밀착되기 때문에 병(20) 속의 기상부(25)가 폐쇄되어 대기와 접촉하지 못하게 된다.
이후 병(20) 속의 내용물(22)을 컵(90)과 같은 다른 용기에 따라내기 위해 병(20)을 기울이게 되면, 내용물(22)이 입구(24)와 통로(32) 그리고 구형안내면(34)을 통해 흘러내리게 되는데, 이때 내용물(22)이 흘러내리면서 플로트밸브(50)에 작용되는 토출압에 의해 플로트밸브(50)가 일측으로 기울어져서 열리게 되며, 구형안내면(34)의 단부에 형성된 스토퍼(34a)에 걸리면서 더 이상 열리지못하게 된다.
즉, 병(20) 속의 기상부(25)는 스토퍼(34a)에 걸린 플로트밸브(50)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액상의 내용물(22) 만이 입구(24)와 통로(32)를 통해 흐르면서 열려진 구형안내면(34)을 통해 흘러내리게 되어 내용물(22)이 갖는 착향성분 및 알콜성분의 대기중으로의 방출이 차단된다.
이때 플로트밸브(50)는 탄성력을 갖기 때문에 내용물(22)의 토출압에 의해 활처럼 휘면서 구형안내면(34)상의 통로를 더욱 크게 개방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 연질중공관(30)에 형성된 구형안내면(34)이 구면(球面)으로 되어 있고 이에 삽입되어 있는 플로트밸브(50)는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병(20)을 기울이는 방향에 따라서 플로트밸브(50)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후 내용물(22)을 따라낸 다음 병(20)을 다시 수직으로 세워 놓게 되면, 원판형의 플로트밸브(50)가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 수평상태로 되어 병(20)은 다시 폐쇄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분리되었던 캡(60)을 다시 경질연장관(40)에 나사결합하게 되면, 캡(60)의 안쪽에 형성된 실링용 리브(62)가 연질중공관(30)의 상단부에 밀착되면서 병(20)을 폐쇄하게 되어 보다 오랜 시간 동안 내용물(22)의 착향성분 및 알콜성분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도면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질중공관(30)이 경질연장관(40)에 삽입된 경우에는 일반적인 병(20)으로부터 병뚜껑(도시 않됨)을 제거한 다음 경질연장관(40)을 병(20)의 목부(26)에 형성된 나사부(26b)에 결합하게 되면,일반적인 병을 이용하여 착향성분 및 알콜성분이 대기중으로 날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병의 입구를 막고 있는 병뚜껑이나 캡을 제거한 상태에서 방치하더라도 병의 입구를 폐쇄하고 있는 플로트밸브에 의해 병 속의 기상부가 대기와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병 속에 있는 내용물에 포함된 착향성분 및 알콜성분이 대기중으로 날아가는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맛의 변질을 방지할 수 효과가 있으며, 병을 기울여서 내용물을 따를 때에는 흘러내리는 내용물의 토출압에 의해 플로트밸브가 기울어지면서 통로를 자동으로 개방하고, 동시에 스토퍼에 걸리면서 기상부를 폐쇄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용물을 따르는 과정에서 착향성분 및 알콜성분이 날아가는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병에 있는 병뚜껑을 제거하고 경질연장관을 병의 입구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은 기존의 병을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중심에 통로(32)를 갖는 연질중공관(30)을 병(20)의 목부(26)에 설치하고, 그 연질중공관(30)의 통로(32)에 구형안내면(34)을 형성하며, 원판형의 플로트밸브(50)를 구형안내면(34)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하고, 이 구형안내면(34)의 단부에 플로트밸브(50)의 회동각을 제한하는 스토퍼(34a)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병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중공관(30)은 병(20)의 목부(26)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병마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중공관(30)은 병(20)의 목부(26)에 나사결합되는 경질연장관(40)을 매개로 병(20)의 목부(26)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병마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밸브(50)는 병(20)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내용물의 토출압에 의해 휘는 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병마개.
KR2020010024631U 2001-08-14 2001-08-14 가스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병마개 KR2002553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631U KR200255387Y1 (ko) 2001-08-14 2001-08-14 가스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병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631U KR200255387Y1 (ko) 2001-08-14 2001-08-14 가스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병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5387Y1 true KR200255387Y1 (ko) 2001-12-13

Family

ID=73106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4631U KR200255387Y1 (ko) 2001-08-14 2001-08-14 가스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병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538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216B1 (ko) * 2013-05-27 2014-03-13 한인식 탄산음료 토출 보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216B1 (ko) * 2013-05-27 2014-03-13 한인식 탄산음료 토출 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2230A (en) Carbonated beverage bottle
RU2364560C1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вспенивания напитков
US20060186076A1 (en) Bottle cap
JP3780944B2 (ja) 部分的に満たされた飲料ボトルの中身を保存するための器具ならびに該器具用のストッパ
JP2003182755A (ja) 真空保存用瓶栓
US10882650B2 (en) Carbonation preservation device
US20130175302A1 (en) Dispenser for a container
JP2004525828A (ja) 容器内に存在する流動体を放出するための閉鎖可能な放出装置
US6443336B2 (en) Reusable pouring cap for a container capable of receiving potable liquids for human consumption
US20090108022A1 (en) Liquid dispensing apparatus
AU2004230311B2 (en) Dispensing cap
US5551605A (en) Sealing and dispensing device
KR200255387Y1 (ko) 가스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병마개
CA2122737A1 (en) Foam generation by dispersion of bubbles
US6352165B1 (en) Replacement cap and pressurizing mechanism for bottle
GB2119742A (en) Beverage containers
JPH11334798A (ja) 密閉式ワインサーバー
US10781092B2 (en) Decanter
KR19980068663U (ko) 자동여닫이 뚜껑
US20020185462A1 (en) Syerling brown
US8297483B2 (en) Liquid dispenser
US11278828B1 (en) Filtration pouring spout or bottled liquids
JP3031163U (ja) 内部空気の追い出し可能な容器用蓋部材
US20220315872A1 (en) Liquid preservation device and method
US11352192B2 (en) Device for serving by single glas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