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5339Y1 - 액상물 포장기의 필터장치 - Google Patents

액상물 포장기의 필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5339Y1
KR200255339Y1 KR2019990004873U KR19990004873U KR200255339Y1 KR 200255339 Y1 KR200255339 Y1 KR 200255339Y1 KR 2019990004873 U KR2019990004873 U KR 2019990004873U KR 19990004873 U KR19990004873 U KR 19990004873U KR 200255339 Y1 KR200255339 Y1 KR 2002553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er device
liquid
packaging machin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48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8711U (ko
Inventor
안용순
Original Assignee
안용순
주식회사 동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용순, 주식회사 동이 filed Critical 안용순
Priority to KR20199900048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339Y1/ko
Publication of KR200000187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7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3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339Y1/ko

Links

Landscapes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상물 포장기의 필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필터장치의 포장기 설치작업 및 필터작동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하는 액상물 포장기의 필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요지는. 포장기 저장조(160)에 결합된 연결니플(162)의 외측으로 간단하게 결합되는 결합수단(120)이 형성되는 상부부재(110)와. 상기 상부부재(110)의 하측으로 연결토록 결합되며, 액상물을 여과하는 제 1 타공면(132)을 갖는 필터부재(130) 및 , 상기 필터부재(130)의 하측으로 연결토록 결합되며, 저면에 액상물을 여과하는 제 2 타공면(142)을 갖는 하부부재(140)를 갖추어 구성됨을 특징을 한다.
이에 따라서, 필터장치의 포장기 부착 작업이 용이하여 설치 작업성이 향상됨은 물론, 손쉬운 부착 및 분리작업으로 필터장치의 청결상태가 항상 양호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액상물 포장기의 필터장치{A filter device for a liquid material packing equipment}
본 고안은 추출 한약액등과 같은 액상물을 하나의 팩 형태로 된 포장재내 주입 및 실링하는 액상물 포장기에 있어서, 저장조내로 충진되는 액상물의 찌꺼기를 여과토록 하는 필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장기내에 충진되는 한약액등과 같은 추출된 액상물의 찌꺼기등을 여과하는 필터장치를 보다 간단하게 포장기의 저장조내에 부착할 수 있게 됨은 물론, 필터장치를 손쉽게 부착 및 분리할 수 있어 필터장치의 청결상태를 항상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액상물 포장기의 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약액등과 같은 액상물은 사용자가 한 번 복용할 수 있는 일정량을 포장재에 주입, 밀봉하여 사용이 편리하게 하며, 특히 현재에는 한약액 등을 개인이 달여서 복용하기 보다는 한 번에 다량을 추출한 후, 개별 포장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액상물의 포장작업에 있어서는, 상측으로 저장조가 설치된 포장기의 내측으로 포장재를 투입하여, 액을 주입하고 액 주입된 포장재를 실링하며, 이후 배출토록 하는 포장기를 사용하는데, 보통 상기 포장기의 저장조는 한약재를 액상물로 추출하는 추출장치와 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저장조에는 공급되는 한약액에 포함되어 있는 찌꺼기 또는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장치가 설치된다.
또한, 도 1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기(1) 케이스(10)의 상부에 나사 결합된 상판(20)과 일체로 된 하우징(22)에 수직 결합된 다수개의 고정바아(24)가 상기 하우징(22)의 내측으로 안착되는 저장조(30) 본체(32)의 상측으로 고정되는 상부판(34)에 결합되어 상기 포장기(1)의 상측으로 저장조(30)가 설치되며, 상기 저장조 상부판(34)의 양측으로 형성된 결합홈(34a)에는 포장기(1)의 일측으로 마련된 추출기(미도시)의 공급관(40)을 연결토록 니플(42)이 결합 고정된다.
따라서, 추출기에서 추출된 한약액등과 같은 액상물은 공급관(40)과, 상기 저장조(30)의 니플(42)을 통하여 저장조(30)내로 충진되며, 이때 상기 한약액을 여과하기 위하여 연결 니플(42)의 하측으로 필터장치(50)가 연결 설치된다.
이와 같은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액상물 포장기의 필터장치에 있어서는, 도 2 및 도 3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조(30)의 상부판(34)에 형성된 결합홈(34a) 에 연결 니플(42)이 삽입 고정되며, 상기 니플(42)의 내부에 형성된 스크류에 필터장치(50)의 상부플레이트(52) 중앙에 형성된 돌출부(52b)가 스크류(52a) 결합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52)의 하측에는 다수개의 타공(54a)이 형성된 필터관(54)이 결합되며, 상기 필터관(54)의 하측으로 하부플레이트(56)가 연결되어 상기 상,하부 플레이트(52)(56) 및 필터관(54)이 일체로 연결된 필터장치(50)가 저장조(30)내 양측으로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종래의 액상물 포장기의 필터장치(50)에 있어서는, 추출기에서 추출된 한약액등과 같은 액상물이 공급관(40)과 저장조(30)의 니플(42)을 통하여 그 하측으로 연결 설치된 필터장치(50)에 공급되면, 상기 필터관(54)의 타공(54a)에 의하여 액상물에 포함된 입도가 큰 찌꺼기등과 같은 이물질은 필터관(54)내에 남아있고, 여과된 액상물만 저장조(30)내로 충진토록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액상물 포장기의 필터장치(50)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3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필터장치(50)를 포장기(1)의 저장조(30)내에 설치하기 위하여는, 저장조(30)의 중앙 덮개를 개방시킨후, 작업자가 필터장치(50)의 필터관(54)을 잡아서 상부 프레이트(52)의 중앙에 돌출부(52b)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크류(52a)를 니플(42)의 내주면에 형성된 스크류에 결합함으로써, 필터장치(50)의 조립시 작업자가 필터장치(50)를 여러번 회전시키는 조립작업중에 필터관(54)의 타공(54a)부분에 의하여 부상을 입는 우려가 있었다.
또한, 저장조(30)의 내측으로 필터장치(50)를 설치하여야 하는데, 번거로운 스크류 결합작업으로 설치 작업성이 저하되며, 이에 따라 필터장치(50)의 청결유지를 위한 반복적인 부착 및 분리작업이 어렵게 되어 필터장치(50)의 청결상태가 항상 양호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더하여, 상기 필터장치(50)의 하부 플레이트(56)가 막혀있어 일정압력으로 공급되는 액상물이 필터관(54)의 측방향 부분만을 통하여 배출됨으로써, 액상물의 여과시간이 지연되고, 필요이상의 압력을 받게되어 필터장치(50)를 보다 견고하게 설치해야 하는 등의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것으로서 그 목적은, 필터부재는 물론, 하부부재에도 타공면이 형성됨으로써, 포장기 저장조내에 충진되는 액상물의 찌꺼기 또는 이물질의 여과작업이 보다 원활하게 수행되는 액상물 포장기의 필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부부재에 설치되어 저장조의 니플과 결합되는 상부부재의 결합수단이 프레스작업으로 간단하게 형성되는 간단한 구조로 인하여 필터장치의 제작이 용이한 액상물 포장기의 필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필터장치와 포장기 저장조간의 부착 및 분리 작업이 간편하여 사용이 편리함은 물론, 손쉬운 분리작업으로 필터장치의 청결상태를 항상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액상물 포장기의 필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상물 포장기의 필터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필터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필터장치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액상물 포장기의 필터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인 필터장치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상부부재 120.... 결합수단
130.... 필터부재 132,142.... 제 1,2 타공면
140.... 하부부재 150.... 필터장치
160.... 저장조 162.... 연결 니플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인 구성은,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결합수단을 갖는 상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의 하측으로 일체로 연결토록 결합되며, 다수의 타공이 형성되어 액상물을 여과토록 하는 제 1 타공면을 갖는 필터부재 및,
상기 필터부재의 하측으로 일체로 연결토록 결합되며, 저면으로 다수의 타공이 형성되어 액상물을 여과토록 하는 제 2 타공면을 갖는 하부부재를 갖추고,
상기 상부부재의 결합수단이 포장기 저장조의 상부판 양측에 결합 고정된 연결니플의 외측으로 결합되어 포장기 저장조내 양측으로 각각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 액상물 포장기의 필터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액상물 포장기의 필터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인 필터장치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로서, 본 고안인 액상물 포장기의 필터장치(150)는, 상부부재(110)와 필터부재(130) 및, 하부부재(140)로서 구성된다.
상기 상부부재(110)는, 플레이트를 판금작업 또는 프레스작업으로 압착 형성하여 마련되며, 상기 상부부재(110)의 중앙에는 포장기의 상측에 설치된 저장조(160) 내에 필터장치(150)를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결합수단(120)이 형성된다.그리고, 추출된 한약액등과 같은 액상물의 찌꺼기등을 여과토록 하는 상기 필터부재(130)는, 상기 상부부재(110)의 하측으로 일체로 연결토록 결합되며, 상기 상부부재(110)와 마찬가지로 플레이트를 판금작업 또는 프레스 압착으로 단면이 호형인 관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필터부재(130)는 액상물의 이물질등을 여과토록 다수의 타공 (132a)이 형성되는 제 1 타공면(132)을 갖는다.
또한, 상기 필터부재(130)의 하측으로 하부부재(140)가 일체로 연결토록 결합되며, 상기 하부부재(140)도 상부부재(110) 및 필터부재(130)와 마찬가지로 플레이트를 판금작업 또는 프레스 압착하여 형성하며, 상기 하부부재(140)의 하측에는 다수의 타공(142a)이 형성되어 액상물을 보다 원활하게 여과토록 하는 제 2 타공면(142)을 갖는다.
한편, 상기 상부부재(110)의 결합수단(120)은, 상부부재(110)의 중앙부분을 압착 형성한 호형의 결합홈(122)과, 상기 결합홈(122)의 양측으로 부분 절개되는 제 1,2 절개부(124)로서 형성되며, 상기 제 1,2 절개부(124)의 모서리부분(124a)(124b)들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또한, 상기 필터장치(150)는, 상기 상,하부부재(110)(140)와 필터부재(130)가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저장조(160)에 양측으로 설치되며, 추출기의 공급관(164)과 연결되는 연결니플(162)의 하부 외주면 스크류(162a)에 상부부재(110)의 결합수단(120)을 통하여 간단하게 회전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한약재를 추출기로서 추출하여 사용자가 한번에 개별 복용토록 포장기로서 포장하기전에, 추출과정에서 발생하는 한약재 찌꺼기등을 여과하여 포장공정을 수행토록 하는 포장기 필터장치(150)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필터장치(150)는, 크게 상,하부 부재(110)(140)와 그 사이에 일체로 연결 결합되는 필터부재(130)의 세부분으로서 이루어 지며, 상기 각 부재(110) (130)(140)들은 일체로 연결 결합된 일체형으로 되며, 상기 상,하부 부재(110) (140)와 필터부재(130)는 얇은 플레이트를 프레스 압착 또는 판금작업으로서 위에서 본 단면상태가 호형으로 형성되는 관형상을 이루어 상기 상,하부 부재(110)(140) 사이에 필터부재(130)가 연결된 하나의 원통관으로 제작된다.
한편, 상기 상부부재(110)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필터장치(150)를 저장조(160)의 내측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결합수단(120)이 설치되는데, 이는 도 4 및 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상부부재(10)의 중앙부분을 프레스 압착하여 호형의 결합홈(122)을 형성시키면 (상기 결합홈(122)은 다음에 설명하듯이, 액상물이 연결니플(162)을 통하여 필터장치(150)내로 투입되는 입구역활을 한다) 상기 결합홈(122)의 양측에는 사각형상으로 절개되는 제 1,2 절개부(124)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2 절개부(124)가 형성되는 상부부재(110)의 모서리 부분(124a)(124b)들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부부재(110)에서 상향및 하향 돌출토록 형성되는데, 이와 같이 경사를 갖도록 프레스 압착에 의해 모서리부분(124a)(124b)를 형성시키는 이유는, 상기 결합홈(122)에 저장조(160)의 상판부(166)에 형성된 결합홈(166a)을 통하여 결합 고정된 연결니플(162)이 삽입될때 연결니플(162)의 스크류(162a)에 상부부재(110)에 상향및 하향 돌출되는 모서리부분들이 도5에서와 같이 치합토록 되어 니플(162)의 회전시 간단하게 회전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4및 도5에서와 같이, 상부부재(110)에 형성되는 결합홈(122)의 절개부(124)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상향 및 하향토록 형성되는 모서리부분(124a)(124b)들이 니플(16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스크류(162a)에 각각 치합토록 되어 니플(162)의 회전시 스크류(162a)에 치합되는 모서리부분(124a)(124b)들이 스크류(162a)의 골을 따라 이동되는 너트의 역활을 수행하고, 역으로 상기 모소리부분에 치합되는 니플(162)의 스크류(162a)가 상부부재(110)에 결합되는 볼트역활을 하게됨으로써 상부부재(110)를 간단하게 니플(162)의 외측으로 결합토록 하며, 따라서 상기 상부부재(110)의 결합수단(120)에 의하여 필터장치(150)의 부착 및 분리작업이 용이한 것이다.
즉,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니플(42)의 내측 스크류(42a)에 필터장치(50)의 상부부재 돌출부(52)를 힘들게 돌리어 스크류 결합하는 것에 비하여,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부부재(110) 결합수단(120)은 연결니플 (162)의 외측으로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되는 동시에, 결합수단(120)의 구조가 프레스 압착시 한번의 가공작업으로 형성할 수 있어 제작이 용이한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상부부재(110)의 하측으로 결합된 필터부재(130)는 다수개의 타공(132a)이 형성된 제 1 타공면(132)을 갖는 동시에, 상기 필터부재(130)의 하측으로 결합된 하부부재(140)도 저면에 다수의 타공(142a)이 형성된 제 2 타공면(142)이 형성됨으로써, 종래 필터장치(50)에 비하여 측방향 및 하측에서 동시에 액상물이 여과되고, 이에 따라 액상물 여과작업이 극히 원활하게 수행되는 동시에, 여과시의 가압력도 감소되어 필터장치(150)의 결합력을 축소시킬 수 있으며, 이는 필터장치(150)의 부착 및 분리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이에 따라서, 필터장치(150)의 전체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제 1,2 타공면(132)(142)에 의한 여과적동이 원활하고. 특히 필터장치(150)의 부착 및 분리작업이 용이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인 액상물 포장기의 필터장치에 의하면, 포장기 저장조내에 충진되는 액상물의 찌꺼기 또는 이물질의 여과작업이 보다 원활하게 수행되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있점이 있다.
또한, 상부부재에 설치되어 저장조의 니플과 결합되는 상부부재의 결합수단이 프레스작업으로 간단하게 형성되는 간단한 구조로 인하여 필터장치의 제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필터장치와 포장기 저장조간의 부착 및 분리 작업이 간편하여 사용이 편리함은 물론, 설치작업시 부상의 위험이 적게되는 한편, 손쉬운 분리작업으로필터장치의 청결상태를 항상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어 액상물 포장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등의 여러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3)

  1. 액상물 포장기의 필터장치에 있어서,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결합수단(120)을 갖는 상부부재(110)와.
    상기 상부부재(110)의 하측으로 일체로 연결토록 결합되며, 다수의 타공 (132a)이 형성되어 액상물을 여과토록 하는 제 1 타공면(132)을 갖는 필터부재 (130) 및 ,
    상기 필터부재(130)의 하측으로 일체로 연결토록 결합되며, 저면으로 다수의 타공(142a)이 형성되어 액상물을 여과토록 하는 제 2 타공면(142)을 갖는 하부부재 (140)를 갖추고,
    상기 상부부재(110)에 형성되는 결합수단(120)에 의해 상,하부부재(110)(140)및 필터부재(130)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필터장치(150)를 포장기 저장조(160)의 상부판(166) 양측에 결합 고정된 연결니플(162)의 외측으로 결합하여 포장기 저장조(160)내 양측으로 각각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 포장기의 필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부재(110)(130)(140)는 플레이트를 가공하여 단면이 호형인 하나의 관 형상으로 서로 연결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 포장기의 필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110)의 결합수단(120)은, 상부부재(110)의 중앙부분을 압착 형성한 호형의 결합홈(122)과, 상기 결합홈(122)의 양측으로 부분 절개되어 마련된 제 1,2 절개부(124)로서 형성되며, 상기 제 1,2 절개부(124)의 양측 모서리부분(124a)(124b)들이 서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니플(162)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크류(162a)에 간단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 포장기의 필터장치.
KR2019990004873U 1999-03-26 1999-03-26 액상물 포장기의 필터장치 KR2002553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873U KR200255339Y1 (ko) 1999-03-26 1999-03-26 액상물 포장기의 필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873U KR200255339Y1 (ko) 1999-03-26 1999-03-26 액상물 포장기의 필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711U KR20000018711U (ko) 2000-10-25
KR200255339Y1 true KR200255339Y1 (ko) 2001-12-13

Family

ID=54760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4873U KR200255339Y1 (ko) 1999-03-26 1999-03-26 액상물 포장기의 필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533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4313A (ko) * 2003-03-27 2004-10-06 (주)세계로 찌꺼기 제거가 용이한 액즙 파우치 포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711U (ko) 2000-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7236B2 (en) Water treatment device
KR0149400B1 (ko) 필터장치
US6634509B2 (en) Filtration apparatus
KR200255339Y1 (ko) 액상물 포장기의 필터장치
KR100507482B1 (ko) 절삭유 여과용 백 필터 장치
JP3747100B2 (ja) 流体浄化装置
CN210885641U (zh) 一种通用滤芯
CN210631769U (zh) 一种新型管道除杂器
JP2845924B2 (ja) フィルターエレメント
CN216778078U (zh) 一种有机化学实验用简易的固液分离装置
KR200166228Y1 (ko) 세탁기용 이물질 여과장치
CN214321149U (zh) 一种净食机
CN216366927U (zh) 一种便于拆换滤芯的一体化污水处理装置
CN214912603U (zh) 一种具有防止喷嘴堵塞功能的医用喷壶
CN217287349U (zh) 一种植物提取分离装置
CN213942232U (zh) 模块化污水设备
CN220532353U (zh) 一种水箱积屑的清理装置
CN217972824U (zh) 一种污水处理再利用装置
CN217190795U (zh) 一种大豆蛋白加工用残渣回收装置
CN210386805U (zh) 一种漂洗液可回收利用的胶塞漂洗机
CN220345225U (zh) 一种多级过滤装置
CN219072230U (zh) 一种改良式除杂装置
CN213004129U (zh) 一种铁屑吸附装置及切削液过滤水箱
CN214115148U (zh) 一种工业污水处理设备
JP2004313837A (ja) フィルタ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