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4969Y1 - 시멘트 콘크리트 건축물의 벽거푸집 수평받침구 - Google Patents

시멘트 콘크리트 건축물의 벽거푸집 수평받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4969Y1
KR200254969Y1 KR2019990000328U KR19990000328U KR200254969Y1 KR 200254969 Y1 KR200254969 Y1 KR 200254969Y1 KR 2019990000328 U KR2019990000328 U KR 2019990000328U KR 19990000328 U KR19990000328 U KR 19990000328U KR 200254969 Y1 KR200254969 Y1 KR 2002549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plate
fixed
horizontal
adjusting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03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6908U (ko
Inventor
김광식
김재관
Original Assignee
조용석
(주)레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석, (주)레벨텍 filed Critical 조용석
Priority to KR20199900003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4969Y1/ko
Publication of KR199900369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908U/ko
Priority to CN99121840A priority patent/CN1252480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49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4969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간벽체 구축시공을 위한 용도로 적당하게 이용되게 한 시멘트 콘크리트 건축물의 벽거푸집 수평받침구에 관한 것으로 거푸집 받침판 하부에 고정한 고정관체가 고정판의 기복판에 고정시킨 높이조정나사축에 끼워져서 결합연결토록 하고 고정관체(9)(9')의 하부측에 나사공(13)을 뚫어서 조정나사(14)로 체결고정하도록 하여 고정관체(9)(9')를 뽑아 올리거나 끼워 내려서 높이조정을 손쉽게 할수 있도록 하고 또 거푸집 수평받침구(A)(B)의 거푸집 받침판(6) 일측에는 연결부(16)(16')를 각각 연장형성하여 장공(27)을 뚫어서 상접결합하고 나사(28)와 너트(22)로 체결고정시켜서 일체로 결합시켜서 수평설치가 용이하고 설치작업이 간단히 될수 있게 구성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시멘트 콘크리트 건축물의 벽거푸집 수평받침구 { A HORIZONTAL UTENSIL FOR A WALL MOULD OF THE CEMENT CONCRETE BUILDING}
본 고안은 시멘트 콘크리트 건축물의 벽거푸집 수평받침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간벽체 구축시공을 위한 용도로 적당하게 이용될수 있도록 구성하여 설치작업을 손쉽게 할수 있게 하고 또 거푸집 받침판 하부에 고정시킨 고정관체가 고정판의 기복부에 고정된 높이조정나사축으로부터 상하 높이조정설치가 간단 용이하도록 구성하여 슬래브 콘크리트의 두께 설정에 따르는 거푸집 받침판의 높이 조정을 간단하고 손쉽게 할수 있도록 할 목적으로 한 것이다.
종래에는 시멘트 콘크리트 건축물의 벽거푸집 설치시 중간 벽체구축시공을 위해 양측의 슬래브 거푸집위에 거푸집 수평받침구를 양측으로 각각 분리 설치하여서 벽거푸집을 설치하게 되므로 거푸집 수평받침구의 균일한 수평설치작업이 어렵고 일손이 많이 소용되는 폐단이 있고 또 고정관체내에 나선을 형성하여 높이조정나사축 상부를 틀어 체결결합하거나 풀어서 빼내는 수단으로 높이조정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었으므로 높이조정나사축을 고정판의 기복부에 너트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분해시켜야만 높이조정나사축과 고정관체 체결의 길이가 조정케 되는 구조상 결함때문에 거푸집 수평받침구의 조작설치에 번거러움이 있는 등 결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에서 지적된 종래의 결함을 개선하기 위한 고안으로 거푸집 받침판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관체는 하부 고정판 위 기복판에 고정시킨 높이조정 나사축에 끼워져서 상부로 빼올리거나 끼워 넣은 다음 고정관체의 하부측에서 조정나사로 체결고정시키도록 하여 높이조정을 간편하고 손쉽게 하도록 함과 동시에 2개의 거푸집 수평받침구는 상부 받침판이 연장형성되어 연결부 상호간에 겹쳐져서 연결되도록 하고 또 고정나사와 너트로 결합케 되는 장공으로 인하여 폭조정이 되도록 하여 2개의 거푸집 수평받침구간의 폭조정과 함께 설치가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착안한 것으로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부를 절단, 절개한 일부전개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을 슬래브 거푸집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확대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있어 높이조정나사축과 고정관체를 일부 분해 전개시킨 일부확대사시도
도 4는 도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 높이조정나사축 6 : 거푸집받침판
9, 9': 고정관체 12, 12': 고정보울트
13 : 나사공 14 : 조정나사
16, 16' : 연결부 17 : 금속상판
18 : 기복부 19 : 고무하판
21, 21': 고무돌편 22 : 너트
24 : 받침너트 26 : 고정판
27 : 장공 28 : 나사
A.B : 거푸집 수평받침구
본 고안은 바닥의 슬래브 거푸집(20)(20')에 밀착고정되는 고무하판(19)과 중간에 기복판(18)을 이룬 금속상판(17)을 결합하여 고정판(26)을 구성하고 또 고무하판(19)의 고무돌편(21)(21')이 양측 금속상판(17)위로 노출되게 하여 고정못(23)을 고무돌편(21)(21')의 중심공을 통해 슬래브 거푸집(20)(20')에 고정시키도록 하였다. 또한 기복판(18) 상면에는 양측으로 높이조정나사축(1)(1')의 삽입공(2)(2')과 일측 삽입공(2)에 원공(2a)을 연결형성하여서 하부 너트(5)와 너트(5') 로서 기장이 긴 높이조정나사축(1)(1') 하부를 기복판(18) 상위에 체결설치하고 벽거푸집(10) 하부 고정각목(11)의 거푸집 받침판(6) 저면에는 나사실(7)(7')을 형성한 밑에 상하 내면으로 암나사(8)(8')를 형성시킨 고정관체(9)(9')를 고정보울트(12)(12')로 고정설치하고 그 고정관페(9)(9')의 관내부로 높이조정나사축 (1)(1') 상부를 끼워 결합시키고 그 하부에 받침너트(24)를 체결시키고 고정관체 (9)(9')의 하단측면에 형성한 나사공(13)에 조정나사(14)를 체결하여 고정하도록 하였다.
또한 2개의 거푸집 수평받침구(A)(B)의 상부 거푸집 받침판(6)에는 연결부(16)(16')를 연장형성하여 상호 연결하기 위한 장공(27)을 뚫어서 나사(28)와 너트(22)로 체결고정하여 2개의 거푸집 수평받침구(A)(B)가 연결부(16)(16')의 결합으로 인하여 일체로 구성되게 하였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25는 고정각목(11)위에 고정시킨 벽거푸집(10)의 고정받침구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2개의 거푸집 수평받침구(A)(B)를 각각 분리사용할 필요가 있을때 연결부(16)(16')는 절단시켜 각각 필요에 따라 사용될수 있는 것이다. 또한 건축물 실내의 중간벽체구축시공을 위한 용도로 도 4에 도시와 같이 사용될시에는 2개의 거푸집 수평받침구(A)(B)는 거푸집 받침판(6)에 연장형성시킨 연결부(16)(16')의 결합체결로 인하여 단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바닥의 슬래브 거푸집(20)(20')에 각기 고정될뿐 아니라 그 연결부(16)(16')로 인하여 모두 수평을 이루게 되므로 2개 거푸집 수평받침구(A)(B)의 수평설치가 손쉽게 이루어지게 되고 또 슬래브 거푸집(20)과 슬래브 거푸집(20')간에 이루어지는 중간벽체의 두께에 따라 폭조정설치케 되는 2개 거푸집 수평받침구(A)(B)는 상부 연결부(16)(16')에 뚫인 장공(27)을 맞추어 길게 또는 짧게 조정하여 나사(28)와 너트(22)를 풀어 조정시키고 다시 체결고정시키므로서 간격 조정이 되므로 조정이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고 또한 거푸집 받침판(6)의 높이조정은 거푸집 받침판(6) 하부에 고정볼트(12) (12')로 고정시킨 고정관체(9)(9')의 내관으로 끼워져서 연결 결합된 높이조정나사축(1)(1')에서 뽑아 올리거나 끼워 넣어서 높이를 높게 또는 낮게 조정시킨 다음고정관체(9)(9') 하부측의 조정나사(14)를 조여 체결시키고 받침너트(24)를 틀어 체결시키므로 조정이 된다.
이러한 높이조정은 먼저 슬래브 거푸집(20)(20') 상면에 거푸집 수평받침구 (A)(B)의 고정판(26)을 고정못(23)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조정나사(14)와 받침너트(24)의 조작만으로 가능하여 높이조정사용이 간편하고 또 설치작업이 쉽게 될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고무돌편(21)(21')을 형성한 고무하판(19)과 금속상판(17)으로 결합된 고정판(26)의 기복판(18)에 높이조정나사축(1)(1')을 고정하여 거푸집 받침판(6)의 하부에 고정보울트(12)(12')로 고정시킨 고정관체(9)(9')의 관내로 높이조정나사축 (1)(1') 상부를 끼워 결합시킨 고정관체(9)(9') 하부의 나사공(13)에 조정나사(14)를 체결고정토록 하고 받침너트(24)를 체결하며, 거푸집 수평받침구(A)(B)의 상부 거푸집 받침판(6) 일측에는 연결부(16)(16')를 연장형성하여 장공(27)을 각각 뚫고 상접시킨 곳에 나사(28) 너트(22)로 체결고정하여 된 시멘트 콘크리트 건축물의 벽거푸집 수평받침구.
KR2019990000328U 1998-10-26 1999-01-15 시멘트 콘크리트 건축물의 벽거푸집 수평받침구 KR2002549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328U KR200254969Y1 (ko) 1999-01-15 1999-01-15 시멘트 콘크리트 건축물의 벽거푸집 수평받침구
CN99121840A CN1252480A (zh) 1998-10-26 1999-10-19 墙体模板框架的支承装置及使用这种装置的施工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328U KR200254969Y1 (ko) 1999-01-15 1999-01-15 시멘트 콘크리트 건축물의 벽거푸집 수평받침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908U KR19990036908U (ko) 1999-10-05
KR200254969Y1 true KR200254969Y1 (ko) 2001-12-13

Family

ID=54757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0328U KR200254969Y1 (ko) 1998-10-26 1999-01-15 시멘트 콘크리트 건축물의 벽거푸집 수평받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496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322A (ko) * 2000-06-27 2000-11-06 남기식 거푸집 수평수직 조절기
KR100459011B1 (ko) * 2002-05-04 2004-12-03 서순옥 다층콘크리트 건축물의 연결부재 및 그 설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908U (ko) 199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09559A (ko) 건축물 내외장재 및 트러스 프로파일 고정용 브라켓
KR200254969Y1 (ko) 시멘트 콘크리트 건축물의 벽거푸집 수평받침구
CN212802536U (zh) 一种便于拆卸、安装的构造柱模板构造
KR19980021188U (ko) 천정 콘크리트 거푸집의 지지장치
KR200231221Y1 (ko) 철근 배근 간격 조절이 용이한 철근 받침대
KR200363086Y1 (ko) 옹벽 및 합벽용 거푸집 버팀대
KR100203013B1 (ko) 설치및해체가용이한벽체용시스템포옴
JP2004211365A (ja) フレーム
JP4240288B2 (ja) 支柱体
JPH0219094Y2 (ko)
CN220117464U (zh) 一种预埋钢构件及其封堵部件
KR200432140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분할구조의 조립식 거푸집
JPH0529281Y2 (ko)
JP3505600B2 (ja) 屋内間仕切り用壁下構造
JPH0122825Y2 (ko)
CN220131763U (zh) 一种塔吊附墙架
CN219176150U (zh) 一种可调节的窗框固定装置
CN114606980B (zh) 一种地下管廊结构变形缝插口钢边止水带的固定方法
KR200398640Y1 (ko) 전기배선박스 설치지지장치
KR200339870Y1 (ko) 천정거푸집 고정구
KR200320198Y1 (ko) 지하옹벽용 거푸집 고정구
KR960005781Y1 (ko) 건축용 석판 부착 금구
JPH0229127Y2 (ko)
KR200415826Y1 (ko) 건축용 서포트
KR200363245Y1 (ko) 조립식 천정패널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