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4888Y1 - 텐트용 조인트 - Google Patents

텐트용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4888Y1
KR200254888Y1 KR2020010024526U KR20010024526U KR200254888Y1 KR 200254888 Y1 KR200254888 Y1 KR 200254888Y1 KR 2020010024526 U KR2020010024526 U KR 2020010024526U KR 20010024526 U KR20010024526 U KR 20010024526U KR 200254888 Y1 KR200254888 Y1 KR 2002548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insertion hole
tent
base
spherica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45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용우
Original Assignee
전용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용우 filed Critical 전용우
Priority to KR20200100245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48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48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4888Y1/ko

Links

Landscapes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고안은 텐트의 폴대를 지지하는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인트의 베이스에 다수개의 삽입공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공으로 다수개의 연결관에 형성되는 구면체를 결합하므로서 폴대가 결합되는 연결관들을 적은 부피로 접어서 보관 및 휴대할 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
텐트의 폴대(115)와 연결되는 조인트(101)의 연결관(111)을 절첩하여 적은 부피로 휴대가 용의토록 하기 위한 연결관의 절첩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텐트용 조인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텐트용 조인트{TENT JOINT}
본고안은 텐트의 폴대를 지지하는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인트의 베이스에 다수개의 삽입공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공으로 다수개의 연결관에 형성되는 구면체를 결합함으로서 폴대가 결합되는 연결관들을 적은 부피로 접어서 보관 및 휴대할 수 있도록 된 텐트용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텐트의 골격을 유지시켜주는 폴대는 조인트에 의해 지지되었다.
즉, 상기 조인트의 구성은 한개의 베이스 측면에 여러개의 연결관들이 일체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고정된 연결관으로 폴대가 결합되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여러개의 연결관이 베이스와 일체로된 조인트는 대부분 금속이나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조인트는 여러개의 연결관들이 베이스에 방사상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많은 부피를 차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인트의 보관면적 및 휴대면적이 자연적으로 커지게 되므로 텐트가방 외주면으로 튀어나오는 것이 보통이어서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과 텐트가방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본고안의 목적은,
베이스에 결합되어 있는 다수개의 연결관들을 절첩할 수 있도록 하여 적은부피로 보관 및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고안은,
베이스에 다수개의 삽입공을 형성하고 삽입공의 외측부로는 다수개의 안내홈을 형성시킨뒤 상기 삽입공으로 연결관에 형성된 구면체를 결합하여 연결관을 안내홈으로 눕히거나 삽입공 방향으로 세우는 동작에 의해 연결관들을 절첩 및 펼 수 있도록 하면 본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고안 조인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고안 조인트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3은 본고안 조인트의 결합된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본고안 조인트의 베이스에 연결관을 결합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1 : 조인트 102 : 베이스
103 : 삽입공 104 : 걸림턱
105 : 안내홈 106 : 나사공
111 : 연결관 112 : 구면체
113 : 탈거방지편 114 : 보울트
115 : 폴대
본 고안의 구성을 도1 내지 도4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텐트의 폴대(115)와 연결되는 조인트(101)의 연결관(111)을 절첩하여 적은 부피로 휴대가 용이토록 하기 위한 연결관의 절첩수단을 구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의 절첩수단은 베이스(102)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삽입공(103)과,
상기 삽입공(103)으로 삽입되는 연결관(111)에 형성된 구면체(112)와,
상기 구면체(112)가 삽입공(103)상측으로 탈거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삽입공(103)의 상측부에 형성되는 걸림턱(104)과,
상기 구면체(112)의 연결관(111)이 펴질 수 있도록 베이스(102)의 측면으로 삽입공(103)과 연결되어 형성되는 다수개의 안내홈(105)과,
상기 삽입공(103)으로 삽입된 구면체(112)가 삽입공(103) 하측으로 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베이스(102)의 나사공(106)으로 체결되는 보울트(114)에 의해 고정되는 탈거방지편(113)으로 구비하였다.
이와같이된 본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인트(101)의 베이스(102)에 연결관(111)들을 결합하는 과정을 도4에 나타내었다.
즉, 상기 베이스(102)에 형성된 삽입공(103)의 저부로 구면체(112)가 하측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 연결관(111)을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연결관(111)에 형성된 구면체(112)가 완전히 삽입공(103) 으로 삽입되도록 결합시키면 구면체(112)가 삽입공(103)에 형성된 걸림턱(104)에 걸리는 상태가 되므로 더이상 삽입되지 못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관(111)을 베이스(102)에 형성된 안내홈(105)으로 회전시켜 눕힌다.
그리고, 상기의 다른 연결관(111)들도 상기한 바와같은 순서로 각각의 삽입공(103)으로 삽입하여 안내홈(105)으로 눕힌상태에서 탈거방지편(113)을 베이스(102)저면의 중앙에 위치시키는 동시에 보울트(114)를 나사공(106)으로 체결시키면 탈거방지편(113)이 베이스(102)저면에 고정되어진다.
한편, 상기의 탈거방지편(113)은 외주면이 삽입공(103)의 하측부를 도3과 같이 부분적으로 막고 있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연결관(111)을 세워도 구면체(111)가 삽입공(103)하측부를 통하여 탈거되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베이스(102)의 삽입공(103)에 구면체(112)를 결합하고 있는 연결관(111)을 안내홈(105)으로 눕힌 상태에서는 폴대(115)를 결합하여 도1과 같은 텐트의 골격을 만들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조인트(101)를 보관 및 휴대시에는 연결관(111)을 세워서 삽입공(103)과 일치시키면 적은 부피로 접혀지게 되는 것이므로 보관 및 휴대가 매우 양호해진다.
이와같이된 본고안은 베이스에 다수개의 삽입공을 형성하고 삽입공의 외측부로는 다수개의 안내홈을 형성시킨뒤 상기 삽입공으로 연결관에 형성된 구면체를 결합하여 연결관을 안내홈으로 눕히거나 삽입공 방향으로 세우는 동작에 의해 연결관들을 절첩 및 펼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적은부피로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만큼 텐트가방으로 튀어나오는 일이 없을 뿐만 아니라 텐트가방의 파손등을 미연에 막을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텐트의 폴대(115)와 연결되는 조인트(101)의 연결관(111)을 절첩하여 적은 부피로 휴대가 용이토록 하기 위한 연결관의 절첩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조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의 절첩수단은 베이스(102)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삽입공(103)과,
    상기 삽입공(103)으로 삽입되는 연결관(111)에 형성된 구면체(112)와,
    상기 구면체(112)가 삽입공(103)상측으로 탈거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삽입공(103)의 상측부에 형성되는 걸림턱(104)과,
    상기 구면체(112)의 연결관(111)이 펴질 수 있도록 베이스(102)의 측면으로 삽입공(103)과 연결되어 형성되는 다수개의 안내홈(105)과,
    상기 삽입공(103)으로 삽입된 구면체(112)가 삽입공(103) 하측으로 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베이스(102)의 나사공(106)으로 체결되는 보울트(114)에 의해 고정되는 탈거방지편(113)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조인트.
KR2020010024526U 2001-08-13 2001-08-13 텐트용 조인트 KR2002548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526U KR200254888Y1 (ko) 2001-08-13 2001-08-13 텐트용 조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526U KR200254888Y1 (ko) 2001-08-13 2001-08-13 텐트용 조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4888Y1 true KR200254888Y1 (ko) 2001-12-03

Family

ID=73068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4526U KR200254888Y1 (ko) 2001-08-13 2001-08-13 텐트용 조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488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247B1 (ko) 2011-10-07 2013-11-27 손종필 완충성과 간편성이 증대되는 대형텐트용 폴대어셈블리
KR200487649Y1 (ko) 2018-03-19 2018-10-17 이명수 텐트 및 타프 폴대 연결용 접이식 허브
KR20200046638A (ko) 2018-10-25 2020-05-07 민경순 텐트 및 타프 폴대 연결용 조인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247B1 (ko) 2011-10-07 2013-11-27 손종필 완충성과 간편성이 증대되는 대형텐트용 폴대어셈블리
KR200487649Y1 (ko) 2018-03-19 2018-10-17 이명수 텐트 및 타프 폴대 연결용 접이식 허브
KR20200046638A (ko) 2018-10-25 2020-05-07 민경순 텐트 및 타프 폴대 연결용 조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7391B2 (en) Foldable and portable frame
US6216717B1 (en) Collapsible tent frame
KR200182863Y1 (ko) 텐트폴의 연결구조
US6193263B1 (en) Seat positioning frame of a stroller
US20040163696A1 (en) Top setting-up mechanism for folding tent
USD470336S1 (en) Collapsible Z-stand
US6607284B1 (en) Lighting structure used for decorating
KR200254888Y1 (ko) 텐트용 조인트
KR20000000909U (ko) 텐트용 조인트
KR101080822B1 (ko) 우산꽂이
US20020108647A1 (en) Tent with awning
KR200382808Y1 (ko) 텐트용 폴대 절첩구조
KR200263644Y1 (ko) 뜰채의 연결구조
US20020117196A1 (en) Retractable upright pole for a camping tent
KR200241273Y1 (ko) 야외용 조립식 테이블
AU6126299A (en) A tent which is pitched and disassembled by one touch
JPS608809B2 (ja) 人造クリスマスツリ−
KR20200000006U (ko) 스프링클러 지주관용 삼발이 지지대
CN214384715U (zh) 扩音机改良结构
CN218633209U (zh) 一种能并排连接的接插线盒
KR200297787Y1 (ko) 그늘막
KR200236561Y1 (ko) 우산집이 구비된 우산
CN218343995U (zh) 一种方便进行收放的折叠箱
CN200969012Y (zh) 柔光箱的卡座
KR200206760Y1 (ko) 금속제 찜소쿠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