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3644Y1 - 뜰채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뜰채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3644Y1
KR200263644Y1 KR2019990004965U KR19990004965U KR200263644Y1 KR 200263644 Y1 KR200263644 Y1 KR 200263644Y1 KR 2019990004965 U KR2019990004965 U KR 2019990004965U KR 19990004965 U KR19990004965 U KR 19990004965U KR 200263644 Y1 KR200263644 Y1 KR 2002636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earing
retainer
circumferential surfac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49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8774U (ko
Inventor
김세진
Original Assignee
심은기
신우상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은기, 신우상사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심은기
Priority to KR20199900049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3644Y1/ko
Publication of KR200000187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7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36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36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7/00Landing-nets for fishing; Landing-spoons for fishing
    • A01K77/005Landing-nets for fishing; Landing-spoons for fishing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뜰채가 개시된다. 뜰채는 소정위치에 결합부재가 돌출형성되는 프레임, 프레임의 결합부재에 분해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부, 그 내주면에 축방향으로 제1 및 제2 홀이 형성되는 중공축이며, 제1 홀에는 프레임의 결합부재가 삽입되며, 제2 홀에는 손잡이부의 선단부가 삽입되므로써 프레임과 손잡이부를 일체로 분해가능하게 결합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뜰채의 연결구조{Structure For Connecting Lending Net}
본 고안은 뜰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과 손잡이부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뜰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뜰채는 물속에 있는 물고기를 건져올리거나 다른 물체를 물속으로 부터 건져올리는 도구이다. 이러한 뜰채는 특히 낚시에 있어서, 낚시대로 물고기를 낚아 물밖으로 당긴후, 뜰채를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물고기를 어획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뜰채는 그 손잡이부가 텔레스코픽(Telescopic)방식으로 전개되므로써 장거리의 물고기를 건져올릴 수 있는 유형이 있고, 또한 소정길이의 단일 손잡이부에 의하여 물고기를 건져올릴 수 있는 유형이 있다. 이러한 뜰채는 프레임과 손잡이부로 구성되어, 프레임에는 그물이 장착되어 물고기를 어획하게 되며, 사용자는 손잡이부를 파지하여 뜰채를 사용하게 된다.
도1 은 이러한 뜰채의 프레임과 손잡이부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뜰채(1)는 프레임(2) 및 손잡이부(8)로 구성되며, 프레임(2) 및 손잡이부(8)는 서로 분해 가능하게 결합된다.
프레임(2)은 원형단면을 갖으며 고리형상인 복수개의 와이어(Wire)로 구성된다. 그리고, 프레임(2)에는 그물(1a)이 장착된다. 복수개의 와이어는 제1 절첩부(3)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므로써 손잡이부(8)를 중심으로 접혀지게 되며, 또한, 제2 절첩부(4)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므로써 손잡이부(8)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접혀지게 된다. 따라서, 뜰채(1)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프레임(2)을 접어서 간편하게 보관하게 된다.
프레임(2)의 제1 단부(2a)에는 관통부재(5)가 장착되며, 제2 단부(2b)에는 볼트부재(6)가 장착된다. 관통부재(5)는 육면체 형상이며, 그 일측면에는 관통홀(5a)이 형성된다. 또한, 볼트부재(6)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6)이 형성된다. 따라서, 볼트부재(6)가 관통홀(15a)을 관통하므로써 프레임(2)의 제1 및 제2 단부(2a,2b)는 서로 일체로 결합된다.
한편, 손잡이부(8)의 선단부에는 너트부(8a)가 장착된다. 너트부(8a)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9)이 형성된다.
따라서, 프레임(2)의 볼트부재(6)를 손잡이부(8)의 너트부(8a)에 나사결합하므로써 프레임(2)과 손잡이부(8)는 서로 일체로 결합된다.
그러나, 이러한 뜰채(1)의 구조는 프레임(2)을 손잡이부(8)에 정열시키고 프레임(2)을 회전시키므로써 손잡이부(8)에 나사결합 하므로, 결합이 용이하지 않고, 결합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프레임을 손잡이부에 단시간 내에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는 뜰채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 은 종래의 뜰채의 프레임과 손잡이부의 연결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2 는 본 고안에 따른 뜰채의 프레임과 손잡이부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3 은 도2 의 "B-B"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4 는 뜰채의 프레임과 손잡이부가 연결부재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뜰채 30: 연결부재
32: 베어링(Bearing) 33: 리테이너(Retainer)
35: 베어링 수납홈 39: 스프링(Spring)
40: 손잡이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수의 와이어로 결합되어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 와이어의 사이에 접철부가 마련되어 접철가능하도록 형성되고, 그물이 장착되는 프레임과; 일측에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는 관통부재가 마련되고, 타측에 걸림홈이 마련된 사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된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의 단면 형상으로 내내주면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축방향으로 원주면을 따라 소정위치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베어링 수납홈, 상기 복수개의 베어링 수납홈에 유동가능하게 수납되는 복수개의 베어링, 상기 베어링 수납홈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고정핀 수납홈, 상기 고정핀 수납홈에 고정적으로 장착되는 고정핀, 상기 연결부재의 고정핀 수납홈의 반대방향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 상기 연결부재에 끼워져 상기 걸림턱에 지지되며, 그 내주면의 소정위치에는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베어링 수납홈의 상부에 접촉되는 접촉부가 형성되는 원형의리테이너, 그리고, 상기 접촉부의 일측과 상기 걸림턱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장착되어 상기 접촉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므로써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연결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전,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연결부재의 제1 홀에 결합될 때, 상기 리테이너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접촉부가 상기 복수개의 베어링을 가압하여 상기 복수개의 베어링이 상기 결합부재의 베어링 걸림홈에 걸리므로써 상기 결합부재와 연결부재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 1홀 및 손잡이부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 2홀이 형성된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뜰채의 연결구조.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 는 본 고안에 따른 뜰채의 프레임과 손잡이부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3 은 도2 의 "B-B"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4 는 뜰채의 프레임과 손잡이부가 연결부재에 의하여 서로 일체로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뜰채(10)는 프레임(11) 및 손잡이부(4O)로 구성되며, 프레임(11) 및 손잡이부(40)는 연결부재(30)에 의하여 서로 분해 가능하게 결합된다.
프레임(11)은 원형단면을 갖으며 고리 형상인 복수개의 와이어로 구성된다. 그리고, 프레임(11)에는 그물(10a)이 장착된다. 복수개의 와이어는 제1 절첩부(12)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므로써 손잡이부(40)를 중심으로 접혀지게 되며, 또한, 제2 절첩부(13)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므로써 손잡이부(40)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접혀지게 된다. 따라서, 뜰채(1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프레임(11)을 접어서 간편하게 보관하게 된다.
프레임(11)의 제1 단부(11b)에는 관통부재(14)가 장착되며, 제2 단부(11a)에는 육면체 형상의 몸체(15)로부터 일체로 돌출된 결합부재(16)가 장착된다. 관통부재(14)는 육면체 형상이며, 그 일측면에는 관통홀(15a)이 형성된다. 또한, 결합부재(16)는 대략 사각형 단면을 갖으며, 그 소정부위에는 베어링 걸림홈(17)이 형성된다.
따라서, 결합부재(16)가 관통홀(15a)을 관통하므로써 프레임(11)의 제1 및 제2 단부(11a,11b)는 서로 일체로 결합된다.
한편, 손잡이부(40)의 선단부에는 연결부재(30)가 분해가능하게 장착된다. 연결부재(30)는 중공축 형상이며, 그 중공에는 결합부재(16)가 결합가능하도록 대략 사각형 단면을 갖는 제1 홀(34) 및 원형의 손잡이부(40)가 결합가능한 제2 홀(34a)이 형성된다. 따라서, 대략 사각형 단면을 갖는 결합부재(16)가 사각형 단면을 갖는 연결부재(30)의 제1 홀(34)에 끼워지므로써, 결합부재(16)가 외력에 의하여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연결부재(30)의 그 내부에는 복수개의 베어링(32), 바람직하게는 4 개의 베어링(32)이 장착된다. 그리고, 연결부재(30)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베어링(32)이 제2 화살표 방향(32a)을 따라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복수개의 베어링(32)이 연결부재(30)의 내부방향으로 가압 되도록 제1 화살표 방향(20)을 따라 활주가능한 리테이너(33)가 장착된다. 따라서, 프레임(11)의 결합부재(16)가 연결부재(30)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복수개의 베어링(32)에 의하여 가압되므로써 프레임(11)과 손잡이부(40)는 서로 일체로 결합된다.
연결부재(30)는 그 내주면에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제1 홀(34)과 제2 홀(34a)이 형성되며, 제1 및 제2 홀(34,34a)의 경계부에는 제1 걸림턱(31b)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 홀(34,34a)은 서로 연통된다.
연결부재(30)의 소정위치에는 원주면을 따라 베어링 수납홈(35)이 형성되며, 베어링 수납홈(35)에는 베어링(32)이 유동가능하게 수납된다. 베어링 수납홈(35)은 연결부재(30)의 원주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베어링(32)에 외력이 가해지면, 베어링(32)은 베어링 수납홈(35)의 내부에서 제2 화살표 방향(32a)을 따라 상,하로 유동가능하다.
베어링 수납홈(35)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연결부재(30)의 외주면에는 고정핀 수납홈(37)이 형성된다. 고정핀 수납홈(37)은 연결부재(30)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깊이로 형성되며, 고정핀 수납홈(37)에는 고정핀(36)이 탄력적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고정핀(36)은 리테이너(33)가 제1 화살표 방향(20)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소정거리 이상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연결부재(30)의 선단부는 연결부재(30)의 후단부보다 작은 직경을 갖으므로,연결부재(30)의 외주면의 소정위치에는 제2 걸림턱(31a)이 형성된다.
한편, 리테이너(33)는 원형단면을 갖는 중공축이며, 그 내부직경이 연결부재(30)의 직경보다 길게 형성되므로, 그 내부에 연결부재(30)가 인입된다.
리테이너(33)의 내주면의 소정위치에는 내부 방향으로 돌출된 접촉부(38)가 형성된다. 접촉부(38)는 베어링(32)에 접촉하여 베어링(32)을 내부방향으로 가압시킨다. 그리고, 리테이너(33)의 접촉부(38)와 연결부재(30)의 제2 걸림턱(31a)의 사이에는 공간(41)이 형성된다. 이 공간(41)에는 스프링(39)이 탄성적으로 장착된다.
즉, 스프링(39)의 일측은 연결부재(30)의 제2 걸림턱(31a)에 지지되고, 스프링(39)의 타측은 접촉부(38)의 제1 측면(38b)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따라서, 스프링(39)은 리테이너(33)를 제1 화살표 방향(20)을 따라 전방으로 탄력적으로 밀게된다.
그리고, 접촉부(38)의 제2 측면(38a)은 고정핀(36)에 접촉되므로써, 전방으로 소정거리 이상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프레임와 손잡이부가 연결부재에 의하여 서로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 및 도4 를 참조하면, 먼저 프레임(11)을 결합시킨다. 즉, 접혀있던 제1 접철부(12) 및 제2 접철부(12)를 순차적으로 펼치므로써 원형의 프레임(11)을 형성한다. 그리고, 프레임(11)의 제2 단부(11a)에 장착된 결합부재(16)를 프레임(11)의 제1 단부(11b)에 장착된 관통부재(14)의 관통홀(15a)을 관통시키므로써, 프레임(11)을 결합하게 된다.
프레임(11) 결합 후, 연결부재(30)를 손잡이부(40)의 선단부에 결합한다. 즉, 손잡이부(40)의 선단부를 연결부재(30)의 제2 홀(34a)에 억지끼움방식에 의하여 결합한다. 그리고, 손잡이부(40)의 선단부가 제1 걸림턱(31b)에 접촉하여 더 이상 끼워지지 않을때 까지 삽입한다.
손잡이부(40)에 연결부재(30)를 결합한 후, 프레임(11)을 연결부재(30)에 결합하게 된다. 먼저, 연결부재(30)의 리테이너(33)를 제1 화살표 방향(20)을 따라 후방으로 당긴다. 리테이너(33)의 접촉부(38)가 베어링(32) 수납홈(35)을 지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베어링 수납부(35)에 수납된 베어링(32)은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유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프레임(11)의 결합부재(16)가 제1 홀(34)에 삽입되며, 결합부재(16)의 선단부는 제1 화살표 방향(20)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복수개의 베어링(32)의 저면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베어링(32)은 제2 화살표 방향(32a)을 따라 외부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 결합부재(16)가 연결부재(30)의 내주면으로 완전히 진입하게 되면, 베어링 걸림홈(17)이 베어링 수납홈(35)과 서로 대응된다. 따라서, 연결부재(30)의 상부에 장착된 베어링(32)은 중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동하므로써 베어링 걸림홈(17)에 각각 걸리게 된다. 이때, 하부의 베어링(32)은 중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동하여 리테이너(33)의 내주면과 접촉하고 있는 상태이다.
결합부재(16)가 연결부재(30)의 내주면에 결합된 후, 후방으로 탄력적으로 당겨져 있던 리테이너(33)를 해제하게 되면, 수축상태의 스프링(39)이 리테이너(33)의 접촉부(38)의 제1 측면(38b)을 탄력적으로 밀게된다. 따라서, 리테이너(33)는 제1 화살표 방향(20)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므로써, 리테이너(33)의 접촉부(38)는 복수개의 베어링(32)을 가압하게 되고, 복수개의 베어링(32)은 제2 화살표 방향(32a)을 따라 유동하므로써 베어링 걸림홈(17)에 걸리게 한다.
접촉부(38)의 제2 측면(38a)이 고정핀(36)에 의하여 고정되면, 리테이너(33)는 더 이상 전방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프례임(11)과 손잡이부(40)는 연결부재(30)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결합부재(16)는 사각형 단면이므로, 그 내주면이 사각형상인 연결부재(30)의 제1 홀(34)에서 공회전되지 않으므로써 결합상태가 더욱 확고해진다.
프레임(11)을 손잡이부(40)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순서와 역순으로 진행한다. 즉, 리테이너(33)를 제1 화살표 방향(20)을 따라 후방으로 당기고, 이때, 복수개의 베어링(32)은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외력을 가하여 결합부재(16)를 연결부재(30)로부터 인출하게 되면, 베어링(32)은 결합부재(16)의 베어링 고정홈(35)에 의하여 제2 화살표 방향(32a)을 따라 외부로 밀리게된다. 이 상태에서 결합부재(16)를 연결부재(30)로부터 완전히 인출하게 되면, 프레임(11)과 손잡이부(40)는 서로 분해되는 것이다.
프레임(11)과 손잡이부(40)의 분해 후, 프레임(11)의 제1 및 제2 절첩부(12,13)를 이용하여 프레임(11)을 접어서 보관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뜰채구조는 프레임과 손잡이부를 단시간내에 간편하게 결합하므로써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Claims (3)

  1. 다수의 와이어로 결합되어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 와이어의 사이에 접철부가 마련되어 접철가능하도록 형성되고, 그물이 장착되는 프레임과;
    일측에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는 관통부재가 마련되고, 타측에 걸림홈이 마련된 사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된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의 단면 형상으로 내내주면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축방향으로 원주면을 따라 소정위치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베어링 수납홈, 상기 복수개의 베어링 수납홈에 유동가능하게 수납되는 복수개의 베어링, 상기 베어링 수납홈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고정핀 수납홈, 상기 고정핀 수납홈에 고정적으로 장착되는 고정핀, 상기 연결부재의 고정핀 수납홈의 반대방향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 상기 연결부재에 끼워져 상기 걸림턱에 지지되며, 그 내부면의 소정위치에는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베어링 수납홈의 상부에 접촉되는 접촉부가 형성되는 원형의리테이너, 그리고, 상기 접촉부의 일측과 상기 걸림턱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장착되어 상기 접촉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므로써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연결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전,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연결부재의 제1 홀에 결합될 때, 상기 리테이너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접촉부가 상기 복수개의 베어링을 가압하여 상기 복수개의 베어링이 상기 결합부재의 베어링 걸림홈에 걸리므로써 상기 결합부재와 연결부재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 1홀 및 손잡이부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 2홀이 형성된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뜰채의 연결구조.
  2. 삭제
  3. 삭제
KR2019990004965U 1999-03-26 1999-03-26 뜰채의 연결구조 KR2002636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965U KR200263644Y1 (ko) 1999-03-26 1999-03-26 뜰채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965U KR200263644Y1 (ko) 1999-03-26 1999-03-26 뜰채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774U KR20000018774U (ko) 2000-10-25
KR200263644Y1 true KR200263644Y1 (ko) 2002-03-20

Family

ID=54760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4965U KR200263644Y1 (ko) 1999-03-26 1999-03-26 뜰채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364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541Y1 (ko) 2009-07-22 2011-11-04 이재효 구조개선된 도어용 손 끼임 방지구
KR101134083B1 (ko) * 2009-03-04 2012-04-13 김승범 도어 닫힘 방지구
KR20170003743U (ko) * 2016-04-21 2017-10-31 신승호 낚시용 뜰채 결합장치
KR20210003490A (ko) * 2019-07-02 2021-01-12 박동산 낚싯대용 뒷받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6220B1 (ko) 2019-07-24 2021-09-28 이성규 절첩식 낚시용 뜰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083B1 (ko) * 2009-03-04 2012-04-13 김승범 도어 닫힘 방지구
KR200456541Y1 (ko) 2009-07-22 2011-11-04 이재효 구조개선된 도어용 손 끼임 방지구
KR20170003743U (ko) * 2016-04-21 2017-10-31 신승호 낚시용 뜰채 결합장치
KR200485791Y1 (ko) * 2016-04-21 2018-02-22 신승호 낚시용 뜰채 결합장치
KR20210003490A (ko) * 2019-07-02 2021-01-12 박동산 낚싯대용 뒷받침대
KR102275323B1 (ko) * 2019-07-02 2021-07-09 박동산 낚싯대용 뒷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774U (ko) 2000-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2157A (en) One-touch assembling collapsible tent frame
US3908945A (en) Portable camera mounting apparatus
US4966178A (en) Tent movable between a collapsed position and a latched erect position
US3669133A (en) Collapsible rod
USRE28067E (en) Hyman collapsible rod
CA2454949A1 (en) Cable connector with universal locking sleeve
EP0413507A1 (en) Tent positionable between collapsed and erect conditions
US5020558A (en) Automatic umbrella having stable extending and folding structure
KR200263644Y1 (ko) 뜰채의 연결구조
US20200163317A1 (en) Special-shaped dip net provided with external handle
US20040128796A1 (en) Tool extension assembly with quick release lock mechanism
US5573027A (en) Foldable tent frame structure
KR200423920Y1 (ko)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
US3833012A (en) Adjustable tent pole
KR200484217Y1 (ko) 다단 접이식 폴대
EP0618375B1 (en) Connecting mechanism for detachably connecting two members together
CN108756445B (zh) 一种自锁死帐篷地钉
JP7402018B2 (ja) 伸縮棒用取付具
CN217246737U (zh) 伸缩机构及玩具棒
KR200447313Y1 (ko) 절첩식 포켓용 뜰채
US5597007A (en) Foldable tent frame
CN211473619U (zh) 简便操作的帐篷
ES2247275T3 (es) Paragua.
CN211597973U (zh) 一种四角折叠帐篷收纳器
KR200280131Y1 (ko) 뜰채의 다단 절첩식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