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4626Y1 - 취수탑의 스크린 설치장치 - Google Patents

취수탑의 스크린 설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4626Y1
KR200254626Y1 KR2020010023821U KR20010023821U KR200254626Y1 KR 200254626 Y1 KR200254626 Y1 KR 200254626Y1 KR 2020010023821 U KR2020010023821 U KR 2020010023821U KR 20010023821 U KR20010023821 U KR 20010023821U KR 200254626 Y1 KR200254626 Y1 KR 2002546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tower
wire rope
water intake
guide
guid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38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종식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금전기업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금전기업사 filed Critical 유한회사 금전기업사
Priority to KR20200100238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46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46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4626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저수지와 댐에 시공된 초 고층화된 취수탑에 스크린의 설치작업을 용이하도록 한 취수탑의 스크린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취수탑 측벽면에 설치되어 와이어로우프의 권취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대차와, 상기 취수탑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취수탑에서 상기 대차를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암과, 상기 취수탑 하부 주변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대차와 연결된 와이어로우프를 정, 역회전방향으로 권취시킬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전동윈치부와, 상기 전동원치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동원치부의 동력을 대차에 전달하는 와이어로우프와, 상기 와이어로우프와 관통결합되어 상기 와이어로우프의 이동을 안내하는 다수개의 안내로울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스크린의 설치시공기간을 단축 및 비용을 절감하고, 이로인해 스크린의 설치에 따른 시공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뿐아니라, 또한, 초 고층화된 취수탑에 작업대차를 이용함으로써, 스크린 설치부품의 이동이 용이하고, 작업대차의 작업공간확보가 넓으므로, 작업시 신뢰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취수탑의 스크린 설치장치 { Installing Apparatus of Screen for Intake Tower }
본 고안은 취수탑의 스크린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수지와 댐(DMA)에 시공된 초 고층화된 취수탑에 스크린의 설치작업을 용이하도록 한 취수탑의 스크린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수지, 댐 또는 강 등은 홍수 피해 경감, 공업 및 농업용수공급을 위해 사용되고, 이중에서 댐은 원수의 고 낙차를 이용한 수력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종합적인 개발사업이다.
이와 같이 댐설비 중 취수탑(1)의 설치는 주요 공사중의 하나이며 소단면, 초고층으로 이루지고, 각 층마다 취수구(2)가 형성되며, 상기 취수구(2)에 설치되는 스크린(3)은 취수시 취수탑(1) 내부로 부유물 및 기타 이물질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한다.
상기 스크린(3) 구조는 지지빔, 스크린부 및 기타 구성품으로 이루어지며, 폭 3M 내외, 길이 40M 내외의 소폭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스크린(3)를 설치하기 위한 종래의 스크린 설치장치는 도 1 a, b에 도시된 바와같이, 초 고층화된 취수탑(1) 외부에 여러개로 이루어진 비계(4)를 설치하고, 이 비계(4) 설치 후 비계(4)와 연결하여 안전발판(5) 및 안전망(6)등을 설치한다. 이러한 비계(4)를 설치 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될뿐아니라 취수탑(1) 벽면에 스크린(3)을 정밀하게 시공하기 위한 작업공간이 필요하나 상기 비계(4) 설치의 한계로 인한 설치작업공간의 협소로 인한 시공품질 및 작업능률이저하되고, 이로인해 스크린(3)의 안정성 및 경제성등에서 불리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스크린(3)을 취수탑(1)에 설치 후 상기 취수탑(1) 외부에 설치된 비계(4)를 철거해야 함으로 공사기간의 장기화를 초래하는 단점 있었다.
또한, 초고층화된 취수탑(1)에 스크린(3)을 설치할 경우 작업공간까지의 부품이동에 따른 시간이 과다하게 걸리므로, 공간이동이 어려울뿐아니라, 여러개의 스크린(3) 설치부품도 다함께 이동해야함으로, 부품이동에 따른 안정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초 고층화된 취수탑에 스크린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스크린의 설치시공기간을 단축하고, 이로인해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취수탑의 스크린 설치장치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초 고층화된 취수탑에 대차를 이용하여 스크린을 설치함으로써, 스크린 설치부품의 이동이 용이할뿐아니라 작업공간이 확보되어 설치에 따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취수탑의 스크린 설치장치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취수탑의 스크린 설치장치는, 취수탑 측벽면에 설치되어 와이어로우프의 권취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대차와, 상기 취수탑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취수탑에서 상기 대차를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암과, 상기 취수탑 하부 주변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대차와 연결된 와이어로우프를 정, 역회전방향으로 권취시킬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전동윈치부와, 상기 전동원치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동원치부의 동력을 대차에 전달하는 와이어로우프와, 상기 와이어로우프와 관통결합되어 상기 와이어로우프의 이동을 안내하는 다수개의 안내로울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는 종래에 따른 취수탑의 스크린 설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1b는 종래에 따른 취수탑의 스크린 설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절단된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취수탑의 스크린 설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취수탑의 스크린 설치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3의 B부 확대 사시도,
도 6은 도 3의 C부 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3의 D부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취수탑의 스크린 설치장치의 구성 중 대차를 나타낸 사시도,
도 9a는 도 8의 E부 확대 사시도,
도 9b는 도 8의 F부 확대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취수탑의 스크린 설치장치의 구성 중 대차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
도 11a은 본 고안에 따른 취수탑의 스크린 설치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1b는 도 11a의 G부 확대 평면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취수탑의 스크린 설치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취수탑의 스크린 설치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200 : 대차
201, 202 : 제 1 ,2 작업공간부 203, 204 : 제 4, 5 안내로울러
205, 206 : 제 2, 3 로울러 연결부 207 : 로우프
208 : 로우프 결합부 209 : 이동바퀴
210 : 공간이동부 300 : 전동윈치부
400 : 제 1 안내로울러 500 : 제 2 안내로울러
600 : 로울러 지지암 601 : 제 3 안내로울러
700 : 고정지지암 701 : 와이어로우프 고정부
800 : 와이어로우프 900 : 앙카볼트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취수탑의 스크린 설치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취수탑의 스크린 설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취수탑의 스크린 설치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 사시도 이고, 도 5는 도 3의 B부 확대 사시도 이고, 도 6은 도 3의 C부 확대 사시도 이고, 도 7은 도 3의 D부 확대 사시도 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취수탑의 스크린 설치장치의 구성 중 대차를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9a는 도 8의 E부 확대 사시도 이고, 도 9b는 도 8의 F부 확대 사시도 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취수탑의 스크린 설치장치의 구성 중 대차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 이고, 도 11a은 본 고안에 따른 취수탑의 스크린 설치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이고, 도 11b는 도 11a의 G부 확대 평면도 이고,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취수탑의 스크린 설치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이고,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취수탑의 스크린 설치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이다.
도 2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수탑(1)의 스크린(3) 설치장치본체(100)는 대차(200)와, 다수개의 지지암(600)(700)과,전동윈치부(300)와, 와이어로우프(800)와, 다수개의 안내로울러(400)(500)(601)(203)(20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대차(200)는 와이어로우프(800)의 권취에 따라 상, 하로 이동하도록 상기 취수탑(1) 측벽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대차(200)는 제 1, 2 작업공간부(201)(202)와, 로우프 결합부(208)와, 다수개의 이동바퀴(209)와, 공간이동부(21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대차(200)는 취수탑(1)에 스크린(3)을 한 개 이상 설치할 수 있도록 이중으로된 제 1, 2 작업공간부(201)(20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로우프 결합부(208)는 후술하는 제 4, 5 안내로울러(203)(204)로 하부에 설치된 로울러 연결부(205)(206)에 연결된 로우프(800)와 결합고정되도록 상기 제 1 작업공간부(201)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다수개의 이동바퀴(209)는 상기 취수탑(1)의 측벽면에 대차(200)를 밀착시킴과 동시에 취수탑(1)의 측벽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2 작업공간부(201)(202)의 각각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간이동부(210)는 각각의 제 1, 2 작업공간부(201)(202)로 자유롭게 작업자 및 부품등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1 ,2 작업공간부(201)(202)내에 연결설치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다수개의 지지암(600)(700)은 상기 취수탑(1)에서 상기 대차(200)를 이동에 따라 지지하도록 상기 취수탑(1) 상단에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지지암(600)(700)은 로울러 지지암(600)과, 고정지지암(700)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로울러 지지암(600)은 상기 와이어로우프(800)를 취수탑(1) 상부로 안내하도록 상기 취수탑(1) 상단 임의의 한쪽 위치에 다수개의 앙카볼트(900)에 의해 체결고정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고정지지암(700)은 상기 와이어로우프(800)의 끝단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취수탑(1) 상단 임의의 다른쪽 위치에 다수개의 앙카볼트(900)에 의해 체결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지지암(700)에는 와이어로우프(800)의 끝단과 결합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와이어로우프(800) 끝단을 고정시키도록 와이어로우프 고정부(701)가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전동윈치부(300)는 대차(200)와 연결된 와이어로우프(800)를 정, 역회전 방향으로 권취시킬 수 있게 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취수탑(1)의 하부 주변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동윈치부(300)는 권취드럼(301)과, 구동모터(302)와, 감속기어부(303)와, 역전방지장치부(304)와, 조작스위치부(305)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권취드럼(301)은 후술하는 구동모터(302)의 회전에 따라 와이어로우프(800)를 정, 역회전방향으로 권취하도록 상기 전동윈치부(300)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모터(302)는 전원인가에 따라 권취드럼(301)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권취드럼(301)의 임의의 한쪽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감속기어부(303)는 상기 구동모터(302)의 회전력을 감속시키도록 상기 권취드럼(301)과 구동모터(302)사이에 치합설치되어 있다.
상기 역전방지장치부(304)는 상기 권취드럼(301)의 회전력을 제어하도록 상기 권취드럼(301)의 임의의 다른쪽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작스위치부(305)는 상기 구동모터(302)에 전원을 인가함과 동시에 회전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전동윈치부(300) 내부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역전방지장치부(304)는 전자브레이크(304a)와, 전원공급부(304b)와, 리모콘부(304c)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자브레이크(304a)는 상기 대차(200)의 하중 무게에 따라 과부하 여부를 판단함과 동시에 제어하도록 상기 역전방지장치부(304)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304b)는 상기 전자브레이크(304a)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리모콘부(304c)는 상기 전자브레이크(304a)와 연결되어 상기 전자브레이크(304a)의 작동을 조작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다수개의 안내로울러(400)(500)(601)(203)(204)는 상기 와이어로우프(80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와이어로우프(800)와 관통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안내로울러(400)(500)(601)(203)(204)는 제 1 ,2, 3, 4, 5, 안내로울러(400)(500)(601)(203)(20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 1 안내로울러(400)는 정, 역회전방향으로 귄취되는 와이어로우프(800)를 안내하도록 상기 전동윈치부(300) 앞쪽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제 2 안내로울러(500)는 제 1 안내로울러(400)를 통과한 와이어로우프(800)를 상기 취수탑(1) 상부로 안내하도록 상기 제 1 안내로울러(400) 전면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3 안내로울러(601)는 상기 제 2 안내로울러(500)를 통과한 와이어로우프(800)를 상기 대차(200)로 안내하도록 상기 취수탑(1) 상단에 설치된 로울러 지지암(600)에 설치되어 있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제 4 안내로울러는 상기 제 3 안내로울러(601)를 통과한 와이어로우프(800)를 관통연결함과 동시에 이 와이어로우프(800)의 길이 변위에 따라 대차(200)를 상, 하이동시키도록 상기 대차(200) 상부 한쪽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제 5 안내로울러는 상기 제 4 안내로울러를 통과한 와이어로우프(800)를 관통연결함과 동시에 이 와이이로우프(800)의 길이 변위에 따라 대차(200)를 상, 하이동시키도록 상기 대차(200) 상부 다른쪽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안내로울러(500)에는 후술하는 고정지지부(502)와 결합되도록 제 1 로울러 연결부(50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지지부(502)는 상기 제 1 로울러 연결부(501)와 결합됨과 동시에 제 2 안내로울러(500)를 고정지지하도록 상기 취수탑(1) 하부 주변 임의의 위치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지지부(502)는 상기 취수탑(1) 하부 주변 임의의 위치에 앙카볼트(900)와 체결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4, 5 안내로울러(203)(204)의 각각 하부에는 대차(200)에 연결된 로우프(207)와 연결되도록 제 2, 3 로울러 연결부(205)(206)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취수탑(1)의 스크린 설치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지와 댐에 시공된 초 고층화된 취수탑(1)에 원수의 부유물 및 기타 이물질의 침입을 막기위해 취수탑(1)의 취수구(2)에 스크린(3)을 설치한다.
상기 스크린(3)을 설치 하기 위해 와이어로우프(800)의 권취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제 1, 2 작업공간부(201)(202)로 이루어진 대차(200)를 취수탑(1) 측벽면에 설치한다.
이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와이어로우프(800)를 정, 역회전방향으로 권취시킬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전동윈치부(300)를 취수탑(1) 하부주변 임의의 위치에 설치한다.
이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전동윈치부(300)의 작동에 따라 권취되는 와이어로우프(800)를 취수탑(1) 상부로 안내하는 제 2 안내로울러(500)를 전동윈치부(300)의 전면 임의의 위치에 설치한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취수탑(1) 상부로 안내된 와이어로우프(800)를 대차(200)로 안내할 수 있도록 취수탑(1) 상단 임의의 한쪽에 제 3 안내로울러(601)를 구비한 로울러 지지암(600)을 설치한다.
이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와이어로우프(80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취수탑(1) 상단 임의의 다른쪽 위치에 와이어로우프 고정부(701)를 구비한 고정지지암(700)을 설치한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로울러 지지암(600)의 제 3 안내로울러(601)를 관통한 상기 와이어로우프(800)를 대차(200) 상부 임의의 한쪽 위치에 설치된 제 4 안내로울러(203)에 관통연결한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제 4 안내로울러(203)를 관통한 상기 와이어로우프(800)를 대차(200) 상부 임의의 다른쪽 동일선상 위치에 설치된 제 5 안내로울러(204)에 관통연결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취수탑(1)에 설치된 대차(200)를 상부로 이동시킬 경우 상기 전동윈치부(300) 내부 임의의 위치에 설치된 조작스위치부(305)를 작동시키면, 상기 구동모터(302)에 전원이 인가되고, 이와 동시에 권취드럼(301)이 정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권취드럼(301)의 정방향회전과 동시에 와이어로우프(800)를 감는다. 상기 와이어로우프(800)는 제 2 안내로울러(500)를 통해 취수탑(1) 상단에 설치된 로울러 지지암(600)의 제 3 안내로울러(601)를 거쳐 상기 대차(200)에 설치된 제 4, 5 안내로울러(203)(204)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권취드럼(301)의 회전력을 대차(200)에 전달시켜 상기 대차(200)를 상부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2, 3, 4, 5, 안내로울러(400)(500)(601)(203)(204)는 서로 순차적으로 회전하여 상기 권취드럼(301)의 회전에 따른 구동력을 대차(200)에 전달한다.
상기 와이어로우프(800)의 길이가 변위되어 취수탑(1)에 설치된 대차(200)가 취수탑(1) 상부로 올라가게 된다.
이때, 대차(200)에는 다수개의 이동바퀴(209)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이동바퀴(209)가 취수탑(1) 벽면에 밀착되어 외부환경 즉 바람에 영향없이 이동가능하다.
또한, 상기 조작스위치부(305)를 반대로 조작하면, 상기 전동윈치부(300)의 구동모터(302)가 역회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권취드럼(301)은 반대로 와이어로우프(800)를 권취한다.
이때, 상기 취수탑(1)의 대차(200)는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전동윈치부(300)의 역전방지장치부(304)를 작동시켜 대차(200)를 상, 하부 이동시 원하는 작업위치에서 멈추게 할뿐아니라 다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역정방지장치부(304)의 상기 전자브레이크(304a)에 의해 상기 대차(200)의 하중 무게에 따른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전동윈치부(300)는 스크린(3)의 설치작업에 따라 사용용량을 임의의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취수탑(1)에 와이어로우프(800)의 권취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대차(200)를 설치함으로써, 스크린(3)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이로인한 스크린(3)의 설치시공기간 및 비용을 절감하여 시공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취수탑의 스크린 설치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취수탑의 스크린 설치장치에 의하면,
저수지와 댐에 시공된 초 고층화된 취수탑에 스크린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스크린의 설치시공기간을 단축하고, 이론인한 시공비용을 절감할뿐아니라, 스크린의 설치에 따른 시공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키며, 또한, 초 고층화된 취수탑에 작업대차를 이용함으로써, 스크린 설치부품의 이동이 용이하고, 작업대차의 작업공간확보가 넓으므로, 스크린 설치작업이 용이하여 신뢰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취수탑 측벽면에 설치되어 와이어로우프의 권취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대차와,
    상기 취수탑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취수탑에서 상기 대차를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암과,
    상기 취수탑 하부 주변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대차와 연결된 와이어로우프를 정, 역회전방향으로 권취시킬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전동윈치부와,
    상기 전동원치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동원치부의 동력을 대차에 전달하는 와이어로우프와,
    상기 와이어로우프와 관통결합되어 상기 와이어로우프의 이동을 안내하는 다수개의 안내로울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탑의 스크린 설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는, 상기 대차에 설치되어 취수탑에 설치되는 스크린을 한 개 이상 설치 할 수 있도록 이중으로 이루어진 제 1, 2 작업공간부와,
    상기 제 1 작업공간부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어 안내로울러 하부에 설치된 로우프와 결합고정되는 다수개의 로우프 결합부와,
    상기 제 1, 2 작업공간부의 각각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취수탑의 측벽면에 밀착시킴과 동시에 측벽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 다수개의 이동바퀴와,
    상기 제 1, 2 작업공간부내에 설치되어 각각의 작업공간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된 공간이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탑의 스크린 설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지지암은, 상기 취수탑 상단 임의의 한쪽 위치에 설치되어 와이어로우프를 취수탑 상부로 안내하도록 안내로울러를 구비한 로울러 지지암와,
    상기 취수탑 상단 임의의 다른쪽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로우프의 끝단을 고정시키는 고정지지암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탑의 스크린 설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안내로울러는, 상기 전동윈치부 앞쪽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어 정, 역회전방향으로 권취되는 와이어로우프를 안내하는 제 1 안내로울러와,
    상기 제 1 안내로울러 전면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안내로울러를 통과한 와이어로우프를 상기 취수탑의 상부로 안내하는 제 2 안내로울러와,
    상기 취수탑 상단의 로울러 지지암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안내로울러를 통과한 와이어로우프를 상기 대차로 안내하는 제 3 안내로울러와,
    상기 대차 상부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 3 안내로울러를 통과한 와이어로우프의 길이변위에 따라 대차를 상, 하이동시키는 제 4, 5 안내로울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탑의 스크린 설치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내로울러에는, 상기 제 2 안내로울러 하부에 설치되는 제 1 로울러 연결부와,
    상기 취수탑 하부 주변 임의의 위치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제 1 로울러 연결부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 2 안내로울러를 고정지지하는 고정지지부와,
    상기 제 4, 5 안내로울러의 각각 하부에 설치되어 대차에 연결된 로우프와 연결되도록 한 제 2, 3 로울러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탑의 스크린 설치장치.
KR2020010023821U 2001-08-06 2001-08-06 취수탑의 스크린 설치장치 KR2002546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821U KR200254626Y1 (ko) 2001-08-06 2001-08-06 취수탑의 스크린 설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821U KR200254626Y1 (ko) 2001-08-06 2001-08-06 취수탑의 스크린 설치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7233A Division KR100437992B1 (ko) 2001-08-06 2001-08-06 취수탑의 스크린 설치장치 및 설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4626Y1 true KR200254626Y1 (ko) 2001-12-03

Family

ID=73054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3821U KR200254626Y1 (ko) 2001-08-06 2001-08-06 취수탑의 스크린 설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462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1947A (ko) 2020-02-11 2021-08-19 한국수자원공사 취수탑의 내부 조사장치
KR20210102697A (ko) 2020-02-12 2021-08-20 한국수자원공사 취수탑의 내부 점검용 조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1947A (ko) 2020-02-11 2021-08-19 한국수자원공사 취수탑의 내부 조사장치
KR20210102697A (ko) 2020-02-12 2021-08-20 한국수자원공사 취수탑의 내부 점검용 조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26042B1 (en)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orientation of a load suspended from a bearing wire about said bearing wire and a winch arrangement
KR200254626Y1 (ko) 취수탑의 스크린 설치장치
KR100437992B1 (ko) 취수탑의 스크린 설치장치 및 설치공법
CN103693573B (zh) 一种手动应急操作装置
CN111483924A (zh) 一种桥式起重机
CN216811034U (zh) 一种装配式建筑外墙施工装置
CN214003893U (zh) 一种建筑工地用卷扬机
CN213356618U (zh) 一种施工升降机
CN105804475A (zh) 一种用于高压输电线路的铁塔
CN201351101Y (zh) 双键脚蹬吊篮提升机
JPH0530758B2 (ko)
KR20090007695U (ko) 타워 크레인
CN214995832U (zh) 一种建筑高空悬空施工用可水平、垂直行走的轨道吊船
CN215962274U (zh) 二沉池刮泥桥浮渣处理机械
CN219058329U (zh) 一种起重机用导线架
CN117684519B (zh) 一种防洪工程用闸门卷扬启闭机
CN212334427U (zh) 一种桥式起重机
JP2010089944A (ja) クレーンのジブ煽り防止装置
CN211228400U (zh) 一种多功能门式启闭机
CN219990959U (zh) 一种吊装设备
CN218150747U (zh) 一种钻吊一体正反循环钻机
CN114673086B (zh) 一种拉索钢锚固梁结构及其使用方法
CN213060100U (zh) 一种吊塔的工作吊篮
CN219469512U (zh) 一种门式起重机的卷扬提升机构
CN111411783B (zh) 多节伸缩复合桁架及具有其的电梯井式直臂施工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