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4255Y1 - 인공치아 고정체 - Google Patents

인공치아 고정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4255Y1
KR200254255Y1 KR2020010017926U KR20010017926U KR200254255Y1 KR 200254255 Y1 KR200254255 Y1 KR 200254255Y1 KR 2020010017926 U KR2020010017926 U KR 2020010017926U KR 20010017926 U KR20010017926 U KR 20010017926U KR 200254255 Y1 KR200254255 Y1 KR 2002542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portion
alveolar bone
fixture
smooth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79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홍
Original Assignee
김수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홍 filed Critical 김수홍
Priority to KR20200100179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42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42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4255Y1/ko

Links

Landscapes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공치아 고정체에 관한 것으로, 구강내의 손상 또는 손실된 천연치아를 대체하는 인공치아를 취부하기 위하여 치조골(1)내에 일정기간 매입되어 치조골의 골조직과 융합고정되는 고정체에 형성된 완전나사부(24)와 평활나사부(21)의 나사산을 동일한 외경으로 구성하므로써, 고정체를 치조골에 삽입할 경우에 치조골(1)에 형성되는 삽입공(2)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의 내경이 평활나사부 (21)와 완전나사부(24)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치조골(1)에 고정체 (10)를 삽입하더라도 고정체(10)에 형성되어 있는 평활나사부(21)의 부분이 중도에서 멈춤없이 원할하게 삽입되어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인공치아 고정체{Fixture for dental implant}
본 고안은 인공치아 고정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강내의 손상 또는 손실된 천연치아를 대체하는 인공치아를 취부하기 위하여 치조골내에 일정기간 매입되어 치조골의 골조직과 융합고정되는 고정체에 형성된 완전나사부와 평활나사부의 나사산을 동일한 외경으로 구성하여 고정체를 치조골에 삽입할 경우에 치조골에 형성되는 삽입공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의 내경이 평활나사부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치조골에 고정체를 삽입하더라도 고정체에 형성되어 있는 평활나사부의 부분이 중도에서 멈춤없이 원할하게 삽입되어 견고하게 체결되는 인공치아 고정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질환이나 충격에 의해 손상 또는 손실된 천연치아를 대체하는 인공치아를 구강내의 치조골에 매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종래의 인공치아 고정체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인공치아 고정체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몸통부(20)의 상부와 중앙부에는 표면이 매끄러운 평활나사부(21)와 표면이 거칠은 거친나사부 (22)가 각각 형성되고, 몸통부(20)의 하부에는 불완전나사부(25)와 완전나사부(24)로 이루어지는 절삭날부(23)가 도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평활나사부(21)의 외경보다 간격 “d”만큼 적게 형성되는 절삭날부(23)의 네 측면에는 각각 칩포켓부 (26)가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20)의 상단에는 치조골(1)의 최외층에 위치하게 되는 경계부(12)의 상단에 육각머리부(11)가 형성되어 있는 상면중앙에는 내주면에 암나사부(13a)가 가공된 나사공(13)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의 인공치아 고정체(10)의 작용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인공치아 고정체(10)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육각머리부(11)는 고정체(10)를 구강내의 치조골(1)에 형성된 삽입공(2)에 매입시키기 위하여 내부육각렌치를 끼워 회전시키게 되면, 도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고정체(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평활나사부(21)의 외경보다 간격 “d”만큼 적게 형성되는 절삭날부 (23)의 불완전나사부(25)와 완전나사부(24)가 차례로 삽입공(2)의 내부로 회전되면서 점진적으로 매입되어 삽입공(2)의 내주면에 암나사부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매입되는 절삭날부(23)에 의해 삽입공(2)의 내주면의 형성된 암나사부에 고정체(10)에 형성되어 있는 거친나사부(22)와 평활나사부(21)가 차례로 매입되게 되며, 치조골 내부로 매입되는 고정체(10)의 몸통부(20)와 육각머리부 (11)를 연결하는 경계부(12)는 치조골(1)의 최외층에 걸려 고정체(10)가 더 이상 들어가지 않게 되는 동시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치조골(1)에 매입되어 고정되어 있는 고정체(10)는 일정기간이 경과하는 동안 고정체(10)의 몸통부(20)에 형성되어 있는 거친나사부(22)와 절삭날부(23)와 표면조도가 10 ~ 30㎛의 거친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칩포켓부(26)의 표면에 치조골(1)의 골조직과 서로 융합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며, 상기 평활나사부(21)의 표면은 표면조도가 0.2 ~ 0.5㎛의 매끄러운 표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평활나사부 (21)가 치조골(1)의 상부와 결합되어 구강내에 약간 노출되더라도 세균이 쉽게 부착되지 않는 상태로 되어 고정체(10)는 치조골(1)에 매입되어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완전나사부(24)에 위치한 나사산의 외경이 거친나사부(22)의 나사산의 외경과는 동일하지만 평활나사부(21)의 나사산의 외경보다 간격“d”만큼 적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평활나사부(21)보다 적게 형성되어 있는 절삭날부(23)에 의해 치조골(1)의 삽입공(2)에 형성되는 암나사부는 거친나사부(22)의 외경과 동일하여 거친나사부(22) 까지는 치조골(1)에 용이하게 매입되어 체결되어 지지만, 평활나사부(21) 부분은 치조골(1)에 매입되어 체결되는 경우에는 20 ~ 60㎛정도의 외경의 차이 “d”로 인하여 평활나사부(21)가 치조골 (1)의 딱딱한 부분에 걸리게 되어 더 이상 매입되지 않게 되므로, 고정체(10)를 완전히 매입시키기 위해서 무리하게 힘을 가하다가 치조골(1)에 손상을 입히는 사고가 발생하거나 매입된 고정체(10)를 다시 제거하고 난 후 재시술을 하여야 하는 문제점과 절삭날부(23)의 표면조도가 10 ~ 30㎛의 거친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세균이 쉽게 부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구강내의 손상 또는 손실된 천연치아를 대체하는 인공치아를 취부하기 위하여 치조골내에 일정기간 매입되어 치조골의 골조직과 융합고정되는 고정체에 형성된 절삭날부의 완전나사부와 평활나사부의 나사산을 동일한 외경으로 구성하므로써, 고정체를 치조골에 완전히 매입시키기 위해서 치조골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서 고정체의 평활나사부까지 치조골에 매입될 때 중도에서 멈춤없이 원할하게 매입될 수 있도록 하며, 절삭날부의 표면에 세균이 쉽게 부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과제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인공치아 고정체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인공치아 고정체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4는 도 3의 B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치조골 2 : 삽입공 3 : 잇몸
10 : 고정체 11 : 육각머리부 12 : 경계부
13 : 나사공 20 : 몸통부 21 : 평활나사부
22 : 거친나사부 23 : 절삭날부 24 : 완전나사부
25 : 불완전나사부 26 : 칩포켓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을 도 3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인공치아 고정체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B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인공치아 고정체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몸통부(20)의 상부와 중앙부에는 평활나사부(21)와 거친나사부(22)가 각각 형성되며, 몸통부(20)의 하부에는 불완전나사부(25)와 완전나사부(24)로 이루어지는 절삭날부(23)가 형성되고 몸통부(20)의 하부의 네 측면에는 각각 칩포켓부(26)가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20)의 상단에는 치조골(1)의 최외층에 위치하게 되는 경계부 (12)가 형성되며, 상기 경계부(12)의 상단에는 육각머리부(11)가 형성되고 육각머리부(11)의 상면중앙에는 내주면에 암나사부(13a)가 형성된 나사공(13)이 형성되는 고정체(10)로 구성되며 이는 종래의 인공치아 고정체의 구성과 동일하다.
그리고,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으로서 상기 고정체(10)에는 몸통부(2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절삭날부(23)의 완전나사부(24)의 나사산은 평활나사부(21)의 나사산과 동일한 외경으로 이루어지며, 완전나사부(24)와 불완전나사부(25)로 이루어지는 절삭날부(23)의 표면조도는 0.2 ~ 0.5㎛ 로 구성되어 있다.상기 절삭날부(23)의 표면조도를 0.2 ~ 0.5㎛ 로 한정하는 이유는, 몸통부(20)를 포함하는 고정체(10)의 표면을 최대한 매끄럽게 하기 위해서 제조시 가공물을 회전하는 통속에 미세한 석영입자 또는 모래입자 등과 함께 넣어 서로 마찰시켜 가공물의 표면에 붙어있는 가공물의 잔재를 제거하는 동시에 표면조도를 향상시키게 되는 바렐연마를 실시하게 되는데, 이 바렐연마의 특성상 석영입자 또는 모래입자등과 가공물과의 마찰충격에 의해서 표면조도가 0㎛ 로 가공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바렐연마로 최대한 매끄럽게 형성가능한 표면조도의 범위가 0.2 ~ 0.5㎛ 로 되며, 상기와 같이 고정체(10)의 몸통부(20)의 표면조도가 0.2 ~ 0.5㎛ 로 된 상태에서 치조골(1)의 골조직과 몸통부(20)와의 융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미세한 요철면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실시하게 되는 샌드 블라스팅 작업시, 몸통부(20)를 포함하는 고정체(10)의 표면조도가 0.2 ~ 0.5㎛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절삭날부 (23)의 외경을 평활나사부(21)의 외경을 평활나사부(21)의 외경과 동일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절삭날부(23)에 형성된 나사산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절삭날부(23)에 보호캡을 씌운 상태에서 샌드 블라스팅 작업을 실시하게 되며, 샌드 블라스팅 작업을 완료한 후 보호캡을 제거하면 절삭날부(23)의 표면조도가 0.2 ~ 0.5㎛ 로 그대로 유지되게 되며, 절삭날부(23)의 표면조도를 0.2 ~ 0.5㎛로 하여 표면을 최대한 매끄럽게 형성하므로써 세균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동시에 치조골 (1)에 천공 형성된 삽입공(2)에 고정체(10)를 삽입할 때 절삭날부(23)와 치조골(1)과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삽입공(2)의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용이하게 절삭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한정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에 의한 인공치아 고정체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치조골(1)에 인공치아 고정체(10)를 심고자 할 경우에 치조골(1)에 소정의 깊이로 삽입공(2)을 천공한 뒤에 천공된 삽입공(2)에 매입시키기 위하여 고정체 (10)의 절삭날부(23)를 구강내의 치조골(1)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공(2)에 바로 세운 후에 인공치아 고정체(10)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육각머리부(11)의 내부에 육각렌치를 끼워 회전시키게 되면, 외경이 제일 적은 절삭날부(23)의 불완전나사부 (25)와, 평활나사부(21)와 외경이 동일한 완전나사부(24)가 순차적으로 삽입공(2)의 내부로 회전하면서 삽입공(2)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면서 점진적으로 삽입공(2)의 내주면에 매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치조골(1)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공(2)에 매입되는 절삭날부(23)에 의해 삽입공(2)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에는 고정체(10)에 형성되어 있는 거친나사부(22)와 평활나사부(21)가 차례로 매입되게 되며, 치조골 내부로 매입되는 고정체(10)의 몸통부(20)와 육각머리부(11)를 연결하는 경계부(12)는 치조골(1)의 최외층에 걸려 고정체(10)가 더 이상 들어가지 않게 되는 동시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절삭날부(23)의 불완전나사부(25)에서 평활나사부(21)까지 삽입공(2)의 내부로 순차적으로 매입되는 과정에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절삭날부(23)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완전나사부(24)의 나사산의 외경이 거친나사부(22)의 나사산의 외경보다 간격 “d”만큼 크지만, 평활나사부(21)에 형성된 나사산의 외경과 동일하게 되는 동시에 표면조도가 0.2 ~ 0.5㎛의 완전나사부(24)와 불완전나사부(25)의 나사산이 날카롭게 유지되어 있으므로, 절삭날부(23)의 불완전나사부(25)와 완전나사부(24)가 차례로 삽입공(2)의 내부로 회전되면서 매입되므로써 불완전나사부(25)에 의해 삽입공(2)의 직경보다 좁게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절삭되기 시작하여 완전나사부(24)로 이어지면서 점진적으로 내주면에 암나사부를 원할하게 형성하는 동시에 치조골(1)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공(2)의 내주면에 암나사부 내경을 평활나사부(21)의 직경과 동일하게 확대해 나가면서 매입되므로, 상기 거친나사부(22)는 용이하게 매입되어 체결될 뿐만 아니라 평활나사부(21)의 진입시에도 중도에서 멈추게 되는 일없이 경계부(12)가 치조골(1)의 최외층에 걸려 더 이상 매입되지 않게 될 때까지 완전히 체결되어 치조골(1)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치조골(1)에 매입되어 고정되어 있는 고정체(10)는 일정기간이 경과하는 동안 고정체(10)의 몸통부(20)에 형성되어 있는 거친나사부(22)와, 절삭날부(23)와, 표면조도가 10 ~ 30㎛의 거친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칩포켓부(26)의 표면에 치조골(1)의 골조직과 서로 융합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며, 상기 평활나사부 (21)와 절삭날부(23)의 표면은 표면조도가 0.2 ~ 0.5㎛의 매끄러운 표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평활나사부(21)가 치조골(1)의 상부와 결합되어 구강내에 약간 노출되더라도 세균이 쉽게 부착되지 않는 상태로 되어 고정체(10)는 치조골(1)에 매입되어 견고하게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인공치아 고정체는 구강내의 손상 또는 손실된 천연치아를 대체하는 인공치아를 취부하기 위하여 치조골내에 일정기간 매입되어 치조골의 골조직과 융합고정되는 고정체에 형성된 절삭날부의 완전나사부와 평활나사부의 나사산을 동일한 외경으로 구성하므로써, 고정체를 치조골에 완전히 매입시키기 위해서 치조골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서 고정체의 평활나사부까지 치조골에 매입될 때 중도에서 멈춤없이 원할하게 매입되며, 평활나사부와 절삭날부의 표면은 표면조도가 0.2 ~ 0.5㎛의 매끄러운 표면으로 형성하므로서 평활나사부가 치조골의 상부와 결합되어 구강내에 약간 노출되더라도 세균이 쉽게 부착되지 않는 상태로 되어 고정체는 치조골에 매입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몸통부(20)의 상부와 중앙부에는 평활나사부(21)와 거친나사부(22)가 각각 형성되며, 몸통부(20)의 하부에는 불완전나사부(25)와 완전나사부(24)로 이루어지는 절삭날부(23)가 형성되고 몸통부(20)의 하부의 네 측면에는 각각 칩포켓부(26)가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20)의 상단에는 치조골(1)의 최외층에 위치하게 되는 경계부(12)가 형성되며, 상기 경계부(12)의 상단에는 육각머리부(11)가 형성되고 육각머리부(11)의 상면중앙에는 내주면에 암나사부(13a)가 형성된 나사공(13)이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2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절삭날부(23)의 완전나사부(24)의 나사산은 평활나사부(21)의 나사산과 동일한 외경으로 이루어지며, 완전나사부(24)와 불완전나사부(25)로 이루어지는 절삭날부(23)의 표면조도가 0.2 ~ 0.5㎛ 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고정체.
KR2020010017926U 2001-06-15 2001-06-15 인공치아 고정체 KR2002542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926U KR200254255Y1 (ko) 2001-06-15 2001-06-15 인공치아 고정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926U KR200254255Y1 (ko) 2001-06-15 2001-06-15 인공치아 고정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3931A Division KR100394071B1 (ko) 2001-06-15 2001-06-15 인공치아 고정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4255Y1 true KR200254255Y1 (ko) 2001-11-26

Family

ID=73103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7926U KR200254255Y1 (ko) 2001-06-15 2001-06-15 인공치아 고정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425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667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cutting flutes on a coated or roughened dental implant
US8651863B2 (en) Band of connective tissue grooves for use with a dental implant or a separate abutment for a dental implant
KR100537218B1 (ko) 나사/시멘트 유지형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US829695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fixture of a dental implant
KR20090120421A (ko)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KR101160121B1 (ko) 치과용 임플란트
US20090233256A1 (en) Band of Connective Tissue Grooves for Use with a Dental Implant or a Separate Abutment for a Dental Implant
JPH11514939A (ja) ねじ切りのための方法と切削差込み工具
US20170172706A1 (en) Dental post designed for improved crown bonding and reduced root damage
US20070111164A1 (en) Dental implant
JP2008245994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フィクスチャー
US827213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fixture of dental implant
US20060263748A1 (en) Band of Connective Tissue Grooves for Use with a Dental Implant or a Separate Abutment for a Dental Implant
KR200254255Y1 (ko) 인공치아 고정체
JP2005503887A5 (ko)
KR100394071B1 (ko) 인공치아 고정체 및 그 제조방법
US20060141419A1 (en) Method for treating a screw-cement retained prosthesis and adjustment for a screw-cement retained prosthesis
KR101134343B1 (ko) 포스트 스크루 및 그를 제거하기 위한 포스트 스크루용 리무버 드라이버
KR101040850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고정체 제조 방법
KR101308945B1 (ko) 치과용 픽스쳐
KR101878228B1 (ko) 워터글라스 코팅 픽스츄어의 제조방법
KR200454057Y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고정체
KR200362463Y1 (ko) 픽스츄어
KR20190079059A (ko) 치과용 인공치아 구조물
KR20190079055A (ko) 치과용 인공치아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