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4165Y1 - 문틀용 하부 피벗힌지 - Google Patents

문틀용 하부 피벗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4165Y1
KR200254165Y1 KR2019980025221U KR19980025221U KR200254165Y1 KR 200254165 Y1 KR200254165 Y1 KR 200254165Y1 KR 2019980025221 U KR2019980025221 U KR 2019980025221U KR 19980025221 U KR19980025221 U KR 19980025221U KR 200254165 Y1 KR200254165 Y1 KR 2002541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vot hinge
door frame
lower pivot
support plat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52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2299U (ko
Inventor
김송기
Original Assignee
김진호, 송경석
(주)토인종합건축사사무소
정종규.김무정
(주)토인환경 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호, 송경석, (주)토인종합건축사사무소, 정종규.김무정, (주)토인환경 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김진호, 송경석
Priority to KR20199800252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4165Y1/ko
Publication of KR200000122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2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41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4165Y1/ko

Links

Landscapes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철문용 피벗힌지 중 문설주 아래부분에 고착되는 한쌍의 문틀용 피벗힌지에 있어 상부 피벗힌지와 결합되는 하부 피벗힌지에 관한 것으로, 측판(3´)과의 연결부위에 피트(15)가 형성된 지지판(3), 상기 지지판(3)의 구멍(14)주위에 차례로 위치되는 베어링(5)과 스냅 링(12), 상부로부터 하부로 단계적으로 직경이 줄어들면서 단부를 형성하며, 그중 상단부가 상기 스냅 링(12)에 걸리도록 걸림턱(11)이 형성된 상기 중심축(4)과 상기 중심축(4)의 상부에 그 주위를 덮을 수 있도록 위치된 캡(13)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피벗힌지의 금형작업이 용이하여 제작비용이 절감되며 또 실제 장착 작업시 시멘트나 먼지 등의 이물질의 부착으로 인하여 작업이 곤란해지거나 베어링이 분실되는 일이 없어 효율적으로 장착할 수 있어 문틀시공시 생산성이 향상되며 불량률이 현저히 감소되는 문틀용 하부 피벗힌지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문틀용 하부 피벗힌지
본 고안은 문틀용 하부 피벗힌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말하면 문 특히 철문을 건물에 고착시키는 피벗힌지 중 문설주 아래부분에 고정되는 한쌍의 문틀용 피벗힌지에 있어서 상부 피벗힌지와 결합되는 하부 피벗힌지에 대한 것이다.
아파트나 연립주택 등 모든 건물의 현관문은 주로 철제로 형성되며 이 철제문은 그 위·아래에 설치되는 쌍으로 이루어지는 피벗힌지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건물의 문틀에 고착된다.
문틀용 피벗힌지는 한국 공업규격(KS) 및 일본 공업표준규격(JIS)에 따르면 베어링이 삽입된 상부와 이와 결합되는 중심축이 있는 하부 피벗힌지가 쌍으로써 이루어지도록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업규격에 따라 베어링을 상부 피벗힌지에 삽입하여 시판할 경우 그 금형시 금형틀이 매우 커야 하므로 금형틀의 제작이 어렵고 또 금형작업도 쉽지 않으며 무엇보다도 제품 단가가 높아 실제 판매에 애로가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문틀용 피벗힌지는 베어링을 상부 피벗힌지에 삽입하지 않고 분리하여 시판하고 있으며, 또한 문은 건물의 완성단계에서 장착되나 문틀용 하부 피벗힌지는 건물의 바닥 및 문틀 즉 문설주의 시공시 먼저 시멘트 속에 삽입되어 장착된다.
그래서, 건물의 문틀용 하부 피벗힌지를 문틀에 고착시킬 때 베아링을 고착된 하부 피벗힌지의 중심축 상에 끼워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위치시키고 있다.
그러나, 하부 피벗힌지가 문틀에 장착된 후 건물 완성단계까지는 보통 6개월 내지 1년 이상이 소요되며 계속되는 시멘트작업등으로 인해 장착된 하부 피벗힌지 상에 먼지는 물론 시멘트 등의 접착성 물질이 베어링을 포함한 하부 피벗힌지에 쌓임으로써 이들 물질제거에 어려움이 많을 뿐만 아니라 베어링이 분실되는 일도 종종 발생하여 후속 작업에 장애를 초래하였다.
본 고안자도 본 분야에 오래 동안 종사해 오면서 이러한 현실적인 문제점을 극복하여 피벗힌지의 단가를 현저하게 낮추면서도 설치 때 발생하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실용적인 해결책을 모색하게 되었다.
그 결과, 피벗힌지의 금형작업이 용이하여 제작비용이 절감되며 또 실제 설치 작업시 시멘트나 먼지 등의 이물질의 부착으로 인하여 작업이 곤란해지거나 베어링이 분실되는 일이 없어 효율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문틀용 하부 피벗힌지를 개발하게 되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문틀용 하부 피벗힌지(pivot hinge)가 완전 조립된 상태에서의 전체적인 사시도,
도2는 상기 도1에 도시된 본 고안의 문틀용 하부 피벗힌지의 조립되기 전의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문틀용 하부 피벗힌지의 이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문틀용 하부 피벗힌지가 상부 피벗힌지와 조립되는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문틀용 하부 피벗힌지 2 : 문틀 삽입부분
3 : 지지판 3´ : 측판
4 : 중심축 5 : 베아링
6, 14, 22: 구멍 12 : 스냅 링(snap ring)
13 : 덮개 15 : 피트(pit)
16 : 오목부 21 : 문틀용 상부 피벗힌지
즉, 본 고안에 따르면 문틀삽입부분(2)과의 상부 경계에 턱부가 형성된 측판과 중심축이 삽입되는 구멍이 있는 지지판이 일체로 대략 ㄴ자형으로 형성되며 문 아래에 설치되는 문틀용 상부 피벗힌지와 결합되는 문틀용 하부 피벗힌지에 있어서,
상기 측판과의 연결부위에 피트가 형성된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구멍주위에 차례로 위치되는 베어링과 스냅 링;
상부로부터 하부로 단계적으로 직경이 줄어들면서 단부를 형성하며, 그중 상단부가 상기 스냅 링에 걸리도록 걸림턱이 형성된 상기 중심축;과
주위를 덮을 수 있으며 상기 중심축의 상부에 위치된 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용 하부 피벗힌지를 제공하며, 또한 본 고안의 문틀용 하부 피벗힌지는 상술한 구성요소가 차례로 순서대로 조립되어 일체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시판되어 장착될 수 있는 것도 또한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서는 상기 스냅 링에 있어 그 일부분의 폭이 좁은 폐환으로 형성되는 것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본 고안은 상기 중심축의 최단부를 아래로 연장하여 압착함으로써 상기 지지판의 밑면에 확고하게 결착된 돌출부를 형성한 것도 또한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문틀용 하부 피벗힌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문틀용 하부 피벗힌지가 시판될 때의 상태를 보여주는 완전히 조립된 전체적인 사시도인 도1과 본 고안의 문틀용 하부 피벗힌지를 구성하는 부품의 구조를 알기 쉽게 분해한 사시도인 도2를 보면, 본 고안에 따른 문틀용 하부 피벗힌지(1)의 주 몸체는 지지판(3) 및 측판(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판(3´)에는 문틀 삽입부분(2)이 연결되어 있다. 또 상기 측판(3´)은 문틀 삽입부분(2)보다 돌출되도록 하여 상부 턱부(17)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턱부(17)와 이어지는 경계면은 상기 문틀삽입부분(2)이 흔들림 없이 문틀에 적당히 삽입되어 확고하게 고착되도록 약간 휘어지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3)의 중앙에는 중심축(4)의 삽입을 위한 구멍(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판(3´)과의 연결부분에 피트(15)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3)을 내구력 및 강성을 보강시키고 있다(도3 참조).
도2 및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러한 구조의 하부 피벗힌지(1)의 주 몸체를 측판(3´)과 함께 일체적으로 구성하는 상기 지지판(3)위에는 베어링(5)이 위치되며, 또 상기 베어링(5)의 구멍(6)에 맞추어 그 위에 위치된 다음 중심축(4)이 삽입되도록 상기 스냅 링(12)의 중심에 구멍이 형성되며, 이 구멍의 일부분의 직경이 확대된 오목부(16)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스냅 링(12)은 전체적으로 두께가 일정하지 않고 이 오목부(16)가 얇은 폐환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강철로 제조되는 상술한 구조의 스냅 링(12)에 의해 베어링(5)의 이탈을 확실하게 방지해 주게 되며 상부 피벗힌지와의 마찰도 줄어들어 하부 피벗힌지의 수명을 연장시키게된다.
또, 문틀용 하부 피벗힌지(1)의 상부 피벗힌지(21)와의 결합시 높이에 간혹 미차가 있어 베어링(5)을 빼야될 경우가 종종 발생되는데 이때 두께가 얇아 절단이 용이한 상기 스냅 링(12)의 오목부(16)를 절단하면 스냅 링(12)이 쉽게 빠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중심축(4)은 단계적으로 형성되어 지지판(3), 베어링(5) 및 스냅 링(12)의 구멍에 삽입되어 결착된다. 즉, 상기 중심축(4)은 상부 피벗힌지(21)의 구멍(22)에 삽입되는 상부(7), 상기 베어링(5)과의 접합부(8), 상기 지지판(3)과의 접합부(9) 및 하부로 연장되는 돌출부(10)로 점차적으로 직경이 줄어들면서 형성되며 상기 스냅 링(12), 베어링(5) 및 지지판(3)의 순으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9)는 상기 지지판(3)의 저면으로부터 하부 문지방 쪽으로 1-1.5㎝가량 돌출되도록 성형되며, 상기 중심축(4)의 삽입 결착 후 이 돌출부(9)는 가압기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지지판(3)의 저면에 접하여 요동 불가능하게 고착되면서 돌출된다. 또한, 이 돌출부(9)는 후속 시멘트공정의 마무리단계에서 문지방의 시멘트 미장시 시멘트 속에 매립되어 고착되므로 피벗힌지가 건물의 문틀과 문지방에 확고하게 고정됨으로써 육중한 문의 하중을 지탱해 주게되어, 문의 하중으로 인하여 측판(3´)과 ㄴ자형을 이루는 지지판(3)이 펴지거나 비틀리지도 않으며 심할 경우 절단되어 문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도 방지해 주므로 문의 회전이 원활하며 고장률도 현저히 줄어 들게 된다.
게다가, 상기 중심축(4)은 상부(7)와 상기 베어링(5)과의 접합부(8)사이의 걸림턱(11)에 의해 스냅 링(12)상에 걸쳐져 아래로 빠지지 않고 제 위치에 고정되어 결착되므로 베어링(5)의 이탈을 막아 준다.
상기 베어링(5)을 완전히 피복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캡(13)은 얇은 강철 또는 플라스틱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중심축(4)위에 캡(13)이 끼워짐으로써 일단 문틀에의 하부 피벗힌지의 장착 후 장기간이 경과되어도 상기 베어링(5)이 이탈될 염려가 없으며 그 위의 이물질의 퇴적 및 부착을 방지하여 후속 문 부착 작업을 수월하게 한다.
이렇게 구성된 본 고안의 문틀용 하부 피벗힌지는 도2 및 도4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피트(15)가 형성된 상기 지지판(3)위에 베어링(5), 스냅 링(12)이 차례로 위치된 다음, 중심축(4)이 그들의 구멍에 삽입된 후 상기 중심축(4)의 하부 돌출부(10)를 압착하면 문틀용 하부 피벗힌지는 완전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중심축(4)위에 캡(13)을 씌워 시판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문틀용 하부 피벗힌지(1)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피벗힌지(21)와의 결합시 캡(13)만을 벗긴 후 상부 피벗힌지(21)의 구멍(22)을 상기 하부 피벗힌지(1)의 중심축(4)에 삽입함으로써 이물질 제거나 베어링의 분실로 인한 작업 중단없이 간단하게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본 고안의 문틀용 하부 피벗힌지에 의하면, 중심축(4)의 걸림턱(11)과 스냅 링(12) 및 캡(13)에 의하여 종래의 경우와는 달리 문 설치시 시멘트나 먼지 등의 이물질의 부착으로 인한 작업 곤란이나 베어링이 분실되는 일이 없으며 문틀용 하부 피벗힌지의 설치작업이 매우 수월하여 문틀시공시 생산성이 향상되며 불량률이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
또, 본 고안의 문틀용 하부 피벗힌지는 실제 사용 시 베어링의 마모도 상당히 줄일 수 있으며 지지판(3)의 피트(15)와 중심축(4)의 돌출부(10)로 인하여 내구성 및 강성의 보강효과가 있어 하부 피벗힌지의 파손 및 고장을 막아 주므로 장기간 원활하게 사용가능하여 경제적이며 무엇보다도 제조 단가가 저렴하여 실제 효율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Claims (3)

  1. 문틀삽입부분(2)과의 상부 경계에 턱부(17)가 형성된 측판(3´)과 중심축(4)이 삽입되는 구멍(14)이 있는 지지판(3)이 일체로 대략 ㄴ자형으로 형성되며 문 아래에 설치되는 문틀용 상부 피벗힌지와 결합되는 문틀용 하부 피벗힌지에 있어서,
    상기 측판(3´)과의 연결부위에 피트(15)가 형성된 지지판(3);
    상기 지지판(3)의 구멍(14)주위에 차례로 위치되는 베어링(5)과 스냅 링(12);
    상부로부터 하부로 단계적으로 직경이 줄어들면서 단부를 형성하며, 그중 상단부가 상기 스냅 링(12)에 걸리도록 걸림턱(11)이 형성된 상기 중심축(4);과
    상기 중심축(4)의 상부에 그 주위를 덮을 수 있도록 위치된 캡(1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용 하부 피벗힌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 링(12)이 그 일부분이 폭이 좁은 폐환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문틀용 하부 피벗힌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3)의 저면에 확고하게 결착되는 상기 중심축(4)의 돌출부(10)가 문지방 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용 하부 피벗힌지.
KR2019980025221U 1998-12-16 1998-12-16 문틀용 하부 피벗힌지 KR2002541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221U KR200254165Y1 (ko) 1998-12-16 1998-12-16 문틀용 하부 피벗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221U KR200254165Y1 (ko) 1998-12-16 1998-12-16 문틀용 하부 피벗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299U KR20000012299U (ko) 2000-07-05
KR200254165Y1 true KR200254165Y1 (ko) 2002-01-17

Family

ID=69507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5221U KR200254165Y1 (ko) 1998-12-16 1998-12-16 문틀용 하부 피벗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416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521B1 (ko) * 2002-10-17 2005-06-07 박창수 도어용 피벗힌지 및 피벗힌지용 베어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7630B1 (ko) * 2019-07-02 2021-04-30 박장봉 방화문용 피봇힌지장치
CN111504380A (zh) * 2020-04-28 2020-08-07 白语墨 一种基于风光互补发电的地理环境信息监测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521B1 (ko) * 2002-10-17 2005-06-07 박창수 도어용 피벗힌지 및 피벗힌지용 베어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299U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84968A1 (en) Hinge for eyeglasses
KR200254165Y1 (ko) 문틀용 하부 피벗힌지
US20060131466A1 (en) Leg assembly for home appliance
EP1674634A1 (en) A window frame adapted for standardized manufacture
KR200491427Y1 (ko) 조립식 문턱받침장치
KR100493521B1 (ko) 도어용 피벗힌지 및 피벗힌지용 베어링
KR200375788Y1 (ko) 걸레받이
KR200300591Y1 (ko) 도어용 힌지장치
JPS6020789Y2 (ja) サツシの水切り装置
JPS6338873Y2 (ko)
CN217682766U (zh) 一种支架部件用吸盘
KR960005796Y1 (ko) 피봇힌지(Pivot hinge)
KR200300592Y1 (ko) 도어용 피벗힌지 및 피벗힌지용 베어링
CN211776527U (zh) 一种结构稳定的门锁
KR200376912Y1 (ko) 경첩
CN210371517U (zh) 一种红木家具的榫头加强结构
JP2001305258A (ja) 機器類のツマミ取付構造
JP2000303648A (ja) 手摺取付具
KR200206263Y1 (ko) 홀딩 도어의 구조
KR200153178Y1 (ko) 도어 힌지
KR200331241Y1 (ko) 조립식 파레트
KR200354385Y1 (ko) 바닥 시공재 마감용 결합부재
JP6304925B2 (ja) 巾止金具
KR200297463Y1 (ko) 보강력이 부여된 욕실 매트
KR200158228Y1 (ko) 개선된 도어 프레임용 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