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3890Y1 - 굴삭기용 조경,석축장비 - Google Patents

굴삭기용 조경,석축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3890Y1
KR200253890Y1 KR2020010021262U KR20010021262U KR200253890Y1 KR 200253890 Y1 KR200253890 Y1 KR 200253890Y1 KR 2020010021262 U KR2020010021262 U KR 2020010021262U KR 20010021262 U KR20010021262 U KR 20010021262U KR 200253890 Y1 KR200253890 Y1 KR 2002538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tongs
excavator
ston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12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영
Original Assignee
이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영 filed Critical 이재영
Priority to KR20200100212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8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8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890Y1/ko

Links

Landscapes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굴삭기용 조경,석축장비에 관한 것으로, 굴삭기의 아암(12) 단부에 힌지결합되는 공지의 버켓(14)과; 상기 아암(12)과 버켓(14)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버켓(14)을 회동시키는 제1실린더(16)와; 상기 버켓(14)의 전방 상단에 힌지결합되는 결합부(18)와, 상기 결합부(18) 하측으로 연장형성되어 버켓(14)과 함께 돌을 파지하는 파지부(19)와, 상기 결합부(18)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부(20)로 이루어진 집게(17)와; 상기 버켓(14)의 후방 상단과 집게(17)의 연장부(20) 상단에 결합되어 집게(17)를 회동시키는 유압실린더(23)가 더 구비되어 구성되는 굴삭기용 조경,석축장비를 구비하였다.
그러므로, 집게(17)가 버켓(14)의 전방 상단에 힌지결합되고, 버켓(14)의 후방 상단과 집게(17)의 연장부(20) 상단 사이에 유압실린더(23)가 연결설치되어, 집게(17)와 유압실린더(23)가 모두 버켓(14) 상에 설치되므로 돌을 파지한 상태에서 버켓(14)의 상하 회동이 매우 자유롭기 때문에 작업 능률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굴삭기용 조경,석축장비 {stone carrying equipment for excavator}
본 고안은 굴삭기용 조경,석축장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켓과 집게의 회동이 자유롭게 한 굴삭기용 조경,석축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경작업 및 석축공사를 하는 경우, 돌 등의 석재를 일정한 형상으로 배열하거나 적층하게 되며, 이러한 조경작업 및 석층공사는 2-3명의 작업자가 굴삭기에 와이어를 연결하여 석재를 적층 및 배열하게 된다. 즉 작업자가 쌓고자 하느 돌을 선택하고, 와이어로 묶을 수 있도록 돌을 적절히 위치시킨다.
그리고 와이어로 돌을 묶은 후, 와이어를 굴삭기의 견인 고리에 걸고, 굴삭기를 이동시켜서 돌을 원하는 위치에 쌓게 되며, 마지막으로 와이어를 돌로부터 해체하므로 작업을 마무리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작업방법은 돌을 이동하는 장소가 멀이 떨어져 있는 경우, 이동시간이 오래 걸리며, 이동 과정에서 와이어가 해체될시 돌이 낙하하여 안전사고를 일으킬 위험이 있으며, 이러한 위험은 낮은 장소에서 높은 장소로 이동하는 경우 더욱 커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1과 같은 굴삭기용 조경,석축장비를 개발하였는바, 이는 굴삭기의 아암(2)의 단부에 힌지가능하게 장착되며, 버켓(4)과 마주보는 집게(7)와; 아암(2)의 후면에 일체로 장착되며, 일단은 유압라인(9)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은 집게(7)에 유압적으로 연결되어 집게(7)를 시계 및 반시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6)와; 유압실린더(6)를 작동시키므로 집게(7)를 조정하는 콘트롤박스(8)로 구성되며; 이와 같이 굴삭기에 집게(7)를 추가로 더 장착하므로써 버켓(4)과 집게(7)를 이용하여 돌을 용이하게 다룰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굴삭기용 조경,석축장비는, 버켓(4)과 집게(7)가아암(2)의 단부에 힌지결합되어 있고 집게(7)에는 유압실린더(6)가 연결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버켓(4)의 회동범위에 제약이 있게 된다.
즉, 필요에 따라서는 버켓(4)과 집게(7) 사이에 돌을 물린 후 제1실린더(5)의 로드(5a)를 당겨서 버켓(4)을 상측으로 들어 올릴 경우가 발생되는데, 유압실린더(6)의 로드(6a)의 인출 길이의 제한, 및 집게(7)와 아암(2), 유압실린더(6) 사이의 상호 연결관계에 의한 집게(7)의 회동각도의 제한 때문에 버켓(4)과 집게(7)에 돌이 물린 상태에서 집게(7)의 상측 방향으로의 회동이 극히 제한되므로 작업상 제약이 뒤따랐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버켓과 집게에 돌이 물린 상태에서 버켓의 상하 회동이 자유롭도록 한 굴삭기용 조경,석축장비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굴삭기용 조경,석축장비는, 굴삭기의 아암의 하단부에 힌지결합되는 버켓과, 상기 버켓에 대향설치되어 버켓과 함께 돌을 파지하는 집게가 구비되는 굴삭기용 조경,석축장비에 있어서, 굴삭기의 아암 단부에 힌지결합되는 공지의 버켓과; 상기 아암과 버켓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버켓을 회동시키는 제1실린더와; 상기 버켓의 전방 상단에 힌지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 하측으로 연장형성되어 버켓과 함께 돌을 파지하는 파지부와, 상기 결합부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부로 이루어진 집게와; 상기 버켓의 후방 상단과 집게의 연장부 상단에 결합되어 집게를 회동시키는 유압실린더가 더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집게가 버켓의 전방 상단에 힌지결합되고, 버켓의 후방 상단과 집게의 연장부 상단 사이에 유압실린더가 연결설치되어, 집게와 유압실린더가 모두 버켓 상에 설치되므로 돌을 파지한 상태에서 버켓의 상하 회동이 매우 자유롭기 때문에 작업 능률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굴삭기용 조경,석축장비를 보이는 개략적 측면도
도2는 본 고안 굴삭기용 조경,석축장비를 보이는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고안 굴삭기용 조경,석축장비를 보이는 측면도
도4 및 도5는 사용상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아암 14 ; 버켓
15 ; 리브 17 ; 집게
18 ; 결합부 19 ; 파지부
20 ; 연장부 21 ; 힌지
22 ; 결합핀 23 ; 유압실린더
25 ; 콘트롤박스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2는 본 고안 굴삭기용 조경,석축장비를 보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2은 그 결합 측면도로써, 이는 붐대(11)이 전방 단부에 아암(12)의 상단이 힌지결합되고, 붐대(11)와 아암(12) 사이에는 아암(12)을 회동시키도록 제2실린더(13)가 연결설치되어 있으며, 아암(12) 단부에는 버켓(14)이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버켓(14)은 상단 중앙에 리브(15)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리브(15) 일측에는 아암(12)의 하단이 힌지결합되고, 리브(15) 타측과 아암(12) 사이에는 제1실린더(16)가 연결설치되어 있어 제1실린더(16)의 작동시 버켓(14)이 아암(12)의 단부를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버켓(14)의 전방 상단 양측에는 힌지(21)가 각각 고정결합되어 있고, 이 힌지(21)에 본 고안의 특징인 집게(17)가 힌지결합되는바, 집게(17)는, 버켓(14)의 전방 상단에 힌지결합되는 결합부(18)와, 결합부(18) 하측으로 연장형성되어 버켓(14)과 함께 돌을 파지하는 파지부(19)와, 결합부(18)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부(2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집게(17)의 결합부(18)를 힌지(21) 사이에 대향시킨 후 이들을 결합핀(22)으로 결합시키므로 버켓(14)에 집게(17)를 힌지결합시키게 된다.
그리고 버켓(14)의 후방 상단과 집게(17)의 연장부(20) 상단에는 힌지(21)를 중심으로 집게(17)를 회동시키도록 유압실린더(23)가 설치되어 있으며, 유압실린더(23)와 콘트롤박스(25) 사이에는 유압라인(24)이 연결되어 있어 콘트롤박스(25)를 적절히 조작하여 유압실린더(23)에 유압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 굴삭기용 조경,석축장비는, 콘트롤박스(25)를 조작하여 유압실린더(23)를 작동시키면 유압실린더(23)에 의해 집게(17)의 연장부(20)가 당겨지면서 도4와 같이 버켓(14)과 집게(17)가 벌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버켓(14)과 집게(17)를 벌린 후 그 사이에 돌이 위치되도록 하고, 다시 유압실린더(23)를 작동시켜 이들을 닫으므로 버켓(14)과 집게 사이에 돌을 파지시킨다.
이와 같이 돌이 파지되면 돌이 세팅될 위치에 따라 버켓(14) 및 집게(17)를 이송시키게 되는바, 본 고안 굴삭기용 조경,석축장비는 특히 돌이 파지된 상태에서 버켓(14) 및 집게(17)의 상하 방향의 회동이 매우 자유롭기 때문에 돌의 파지 작업이나 세팅 작업을 더욱 정교하게 할 수 있다.
즉, 버켓(14)은 아암(12) 단부에 힌지결합되어 있고, 버켓(14)의 전방 상단에 집게(17)가 결합되어 있으며, 버켓(14) 후방 상단과 집게(17)의 연장부(20) 상단에 유압실린더(23)가 연결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버켓(14)의 상하 회동시 유압실린더(23)와 집게(17)가 버켓(14)의 상하 회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유압실린더(23)와 집게(17)가 모두 버켓(14) 상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버켓(14)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에 관계없이 아암(12) 단부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상하 회동되며, 따라서 돌이 파지된 상태에서 버켓(14)은 제1실린더(16)의 운동 범위 내에서 충분히 상하 회동될 수 있다.
그러므로, 집게(7)가 아암(2)에 힌지결합되고 유압실린더(6)가 아암(2)과 집게 사이에 연결설치되기 때문에 돌을 파지한 상태에서 버켓(4)이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되지 못하였던 종래와는 달리, 돌을 파지한 상태에서 버켓(14)이 제1실린더(16)의 작동범위 내에서 충분히 상하 회동되므로 돌의 파지 및 운반을 더욱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굴삭기용 조경,석축장비에 의하면, 집게(17)가 버켓(14)의 전방 상단에 힌지결합되고, 버켓(14)의 후방 상단과 집게(17)의 연장부(20) 상단 사이에 유압실린더(23)가 연결설치되어, 집게(17)와 유압실린더(23)가 모두 버켓(14) 상에 설치되므로 돌을 파지한 상태에서 버켓(14)의 상하 회동이 매우 자유롭기 때문에 작업 능률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굴삭기의 아암의 하단부에 힌지결합되는 버켓과, 상기 버켓에 대향설치되어 버켓과 함께 돌을 파지하는 집게가 구비되는 굴삭기용 조경,석축장비에 있어서,
    굴삭기의 아암(12) 단부에 힌지결합되는 공지의 버켓(14)과;
    상기 아암(12)과 버켓(14)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버켓(14)을 회동시키는 제1실린더(16)와;
    상기 버켓(14)의 전방 상단에 힌지결합되는 결합부(18)와, 상기 결합부(18) 하측으로 연장형성되어 버켓(14)과 함께 돌을 파지하는 파지부(19)와, 상기 결합부(18)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부(20)로 이루어진 집게(17)와;
    상기 버켓(14)의 후방 상단과 집게(17)의 연장부(20) 상단에 결합되어 집게(17)를 회동시키는 유압실린더(23)가 더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조경,석축장비.
KR2020010021262U 2001-07-13 2001-07-13 굴삭기용 조경,석축장비 KR2002538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262U KR200253890Y1 (ko) 2001-07-13 2001-07-13 굴삭기용 조경,석축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262U KR200253890Y1 (ko) 2001-07-13 2001-07-13 굴삭기용 조경,석축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3890Y1 true KR200253890Y1 (ko) 2001-11-23

Family

ID=73067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1262U KR200253890Y1 (ko) 2001-07-13 2001-07-13 굴삭기용 조경,석축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89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0994A (ko) * 2002-11-04 2002-12-05 (주)거성건설 환경생태 인조석
KR102279967B1 (ko) * 2021-03-17 2021-07-20 윤종수 록킹부재를 구비한 유압실린더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0994A (ko) * 2002-11-04 2002-12-05 (주)거성건설 환경생태 인조석
KR102279967B1 (ko) * 2021-03-17 2021-07-20 윤종수 록킹부재를 구비한 유압실린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4309A (en) Gripping device for boom-mounted work tool
US4932832A (en) Backhoe gripping attachment
KR200253890Y1 (ko) 굴삭기용 조경,석축장비
US6820907B1 (en) Multi-unit concrete block tongs
KR100528564B1 (ko) 굴삭기용 작업집게
KR200305004Y1 (ko) 굴삭기용 조경,석축장비
KR20090002633U (ko) 굴삭기용 경계석 집게장치
KR200360442Y1 (ko) 굴삭기용 조경,석축장비
KR200171753Y1 (ko) 굴삭기용 조경, 석축장비
JP2522501Y2 (ja) クランプ等の開閉リンク機構
KR100990884B1 (ko) 굴삭기용 집게장치
KR20210023328A (ko) 굴삭기용 집게 구조
KR200355983Y1 (ko) 굴삭기용 유압 집게장치
KR200227816Y1 (ko) 로그그래플의 집게 벌림장치
WO1993001366A1 (en) Mechanism for connecting an attachment to a construction machine
KR200369383Y1 (ko) 굴삭기용 작업집게
US10414633B1 (en) Grappling assembly for use with utility equipment
KR200245906Y1 (ko) 굴삭기
CN2653001Y (zh) 挖掘吊装两用机
US20160194852A1 (en) Multiuse grasping attachment for excavators
RU2143518C1 (ru) Погрузочное оборудование
JPH0324552Y2 (ko)
JP2916067B2 (ja) 建設機械の開閉リンク機構
KR200255353Y1 (ko) 굴삭기용그래플
JP2562043Y2 (ja) 建設作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