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3847Y1 - 저임피던스용전해콘덴서 - Google Patents

저임피던스용전해콘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3847Y1
KR200253847Y1 KR2019970014046U KR19970014046U KR200253847Y1 KR 200253847 Y1 KR200253847 Y1 KR 200253847Y1 KR 2019970014046 U KR2019970014046 U KR 2019970014046U KR 19970014046 U KR19970014046 U KR 19970014046U KR 200253847 Y1 KR200253847 Y1 KR 2002538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s
electrolytic capacitor
positive electrode
insulation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40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0703U (ko
Inventor
우순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700140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847Y1/ko
Publication of KR199900007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07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8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847Y1/ko

Links

Landscapes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해 콘덴서 양 전극 사이의 전류가 집중되는 부위에 격리지를 보강하여 전극간 숏트발생에 따른 불량을 최소화할수 있도록한 저임피던스용 전해 콘덴서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적인 구성은, 표면에 산화 알루미늄(2)이 도포된 양 전극(3)(3') 사이에 격리지(4)를 개재하여 와인딩되는 양 전극(3)(3')의 와인딩 초기부인 권심부(6)상에 전류 집중의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격리적(4)가 2겹으로 절곡 형성되어 양 전극(3)(3')간 절연거리를 크게 형성토록 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에따라서, 양 전극을 사용하는 전해 콘덴서의 전극간 절연성을 확보하면서도, 전류가 집중되는 전극의 권심부위 절연거리를 크게하여 절연내압에 따른 숏트발생에 의한 불량을 방지하고, 임피던스 특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저임피던스용 전해 콘덴서
본 고안은 알루미늄 포일(Foil)을 사용하여 전극간 저항을 최소화한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에 있어서, 전해 콘덴서 양 전극 사이의 전류가 집중되는 부위에 격리지를 보강하여 전극간 숏트발생에 따른 불량을 최소화할수 있도록한 저임피던스용 전해 콘덴서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알루미늄 표면에 유전체 피막인 산화알루미늄(Al2O3)이 도포된 양 전극 사이에 격리지(Separator)를 개재하여 와인딩(Winding)되는 양 전극의 와인딩 초기부인 권심부 전류 집중부위에 상기 격리지를 2겹으로 절곡 형성하여 전극간 절연거리를 크게 형성토록 함으로 인하여, 양 전극을 사용하는 전해 콘덴서의 전극간 절연성을 확보하면서도, 전류가 집중되는 전극의 권심부위 절연거리를 크게하여 절연내압에 따른 숏트발생에 의한 불량을 방지하고, 임피던스 특성을 향상시킬수 있도록한 저임피던스용 전해 콘덴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있는 전해콘덴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알루미늄 포일(1)의 표면에 유전체 피막인 산화 알루미늄(2)이 도포된 양 전극(3)(3') 사이에 격리지(4)가 위치되며, 상기 양 전극(3)(3') 사이에는 전하 이동물인 전해액(5)이 충진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와같은 구성을 갖는 전해 콘덴서는, 양 전극(3)(3') 사이에 격리지(4)를 개재하여, 그 내부에 전하의 이동물질로 전해액(5)을 충진시킴으로 인하여, 전극사이에 전압의 인가시 전해액(5)을 통해 이온이 이동되어 절연막인 격리지(4)를 통해 전하가 축적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같은 전해 콘덴서의 권심부 구조에 있어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양극(13)과 음극(13')으로 구성되는 양 전극 사이에 각각 격리지(14)가 위치된후 일체로 와인딩 되어 콘덴서를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해 콘덴서는 통상적으로 알루미늄 포일의 절단시 절단부위 에서 발생되는 버어(Burr)부위에 전류가 집중토록 되며, 특히 격리지(14)를 개재하여 일체로 와인딩되는 양 전극(13)(13')의 와인딩 초기부(권심부)에 전류가 집중적으로 흐르게 되어 전극간 숏트발생에 따른 제품의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되며, 절연거리 미 확보로 인한 임피던스의 향상에도 한계가 있게 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양 전극을 사용하는 전해 콘덴서의 전극간 절연성을 확보하면서도, 전류가 집중되는 전극의 권심부위 절연거리를 크게하여 절연내압에 따른 숏트발생에 의한 불량을 방지하고, 임피던스 특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저임피던스용 전해 콘덴서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해 콘덴서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저임피던스용 전해 콘덴서의 와인딩 초기부인 권심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 구조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저임피던스용 전해 콘덴서의 와인딩 초기부인 권심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 구조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알루미늄 포일(Al Foil)
2...산화 알루미늄(Al2O3)
3,3'...전극
4...격리지
5...전해액
6...권심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알루미늄 표면에 유전체 피막인 산화알루미늄(Al2O3)이 도포된 양 전극 사이에 격리지를 개재하여 와인딩되는 양 전극의 와인딩 초기부인 권심부 전류 집중부위에 상기 격리지를2겹으로 절곡 형성하여 전극간 절연거리를 크게 형성토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저임피던스용 전해콘덴서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저임피던스용 전해 콘덴서의 와인딩 초기부인 권심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 구조도로써 도 1과 연계하여 설명하면, 알루미늄 포일(1)의 표면에 유전체 피막인 산화 알루미늄(2)이 도포된 양 전극(3)(3') 사이에 격리지(4)가 위치되며, 상기 양 전극(3)(3') 사이에는 저하 이동물인 전해액(5)이 충진토록 된다.
또한, 표면에 산화 알루미늄(2)이 도포된 양 전극(3)(3') 사이에 격리지(4)를 개재하여 와인딩되는 양 전극(3)(3')의 와인딩 초기부인 권심부(6)상에 전류 집중의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격리지(4)가 2겹으로 절곡 형성되어 양 전극(3)(3')간 절연거리를 크게 형성토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구성으로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표면적의 확대를 위하여 엣칭 처리되는 알루미늄 포일(1)의 표면에는 유전체 피막인 산화 알루미늄(2)을 도포되어 전극(3)(3')을 형성시키게 되며, 상기 양 전극(3)(3') 사이에는 전극간의 절연을 위한 격리지(4)가 위치되고, 상기 양 전극(3)(3') 사이에는 전하 이동물인 전해액(5)을 충진하여 양 전극(3)(3')사이에 전압의 인가시, 전해액(5)을 통해 이온이 이동되어 절연막인 격리지(4)를 통해 전하가 축적토록 된다.
이때, 표면에 산화 알루미늄(2)이 도포된 상기 양 전극(3)(3') 사이에 격리지(4)를 개재하여 전극과 일체로 와인딩시, 양 전극(3)(3')의 와인딩 초기부인 권심부(6)상에 격리지(4)를 2겹으로 절곡 형성시켜 양극과 음극으로 되는 전극(3)(3') 사이의 절연거리를 크게 형성시킨다.
상기와같은 경우, 격리지(4)를 개재하며 전해액(5)이 충진되는 양 전극(3)(3') 사이에 전압의 인가시, 전류가 집중되는 권심부(6)의 전류 집중의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격리지(4)가 2겹으로 절곡 형성되어 양 전극(3)(3')간 절연거리가 유효하게 확보하게 되면서, 양 전극(3)(3′)간의 숏트발생이 방지토록 된다.
이때, 상기 전해콘덴서의 용량 사이즈에 따라 양전극(3)(3′) 및 그 사이에 위치되는 격리지(4)는 그 폭과 길이가 가변되는 것이다.
이에따라서, 격리지(4)를 개재하여 양 전극(3)(3')과 일체로 와인딩되는 전해 콘덴서는, 권심부(6)의 양 전극사이에 격리지(4)를 2겹으로 절곡 형성시켜 전극(3)(3')간 절연성을 확보함으로 인하여, 전류집중에 따른 전극의 숏트발생을 미연에 예방하면서 전해 콘덴서의 임피던스 특성을 향상시킬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저임피던스용 전해콘덴서에 의하면, 양 전극을 사용하는 전해 콘덴서의 전극간 절연성을 확보하면서도, 전류가 집중되는 전극의 권심부위 절연거리를 크게하여 절연내압에 따른 숏트발생에 의한 불량을 방지하고,임피던스 특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알루미늄 포일(1)의 표면에 유전체 피막인 산화 알루미늄(2)이 도포된 양극 및 음극으로 이루어진 전극(3)(3') 사이에 격리지(4)가 위치되며, 상기 양 전극(3)(3') 사이에는 저하 이동물인 전해액(5)이 충진토록 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전해 콘덴서에 있어서,
    표면으로 산화 알루미늄(2)이 도포된 양 전극(3)(3') 사이에 격리지(4)를 개재하여 와인딩되는 양 전극(3)(3')의 와인딩 초기부인 권심부(6)상에 전류 집중의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격리지(4)가 2겹으로 절곡 형성되어 양 전극(3)(3')간 절연거리를 유효하게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임피던스용 전해 콘덴서.
KR2019970014046U 1997-06-12 1997-06-12 저임피던스용전해콘덴서 KR2002538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4046U KR200253847Y1 (ko) 1997-06-12 1997-06-12 저임피던스용전해콘덴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4046U KR200253847Y1 (ko) 1997-06-12 1997-06-12 저임피던스용전해콘덴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703U KR19990000703U (ko) 1999-01-15
KR200253847Y1 true KR200253847Y1 (ko) 2003-08-19

Family

ID=49397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4046U KR200253847Y1 (ko) 1997-06-12 1997-06-12 저임피던스용전해콘덴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84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703U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15611A1 (en) Electrolytic capacitor
SG90095A1 (en) Solid electrolytic capaci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3654524A (en) Electrolytic book capacitor
KR200253847Y1 (ko) 저임피던스용전해콘덴서
KR20190057279A (ko) 전극박 및 전해 콘덴서
US3628108A (en) Convolutely wound capacitor
JPH04286108A (ja)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
JPH05234823A (ja) 固体電解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JPH1154380A (ja) 固体電解コンデンサ
EP0332253B1 (en) Electrolytic foil capacitor
KR100341148B1 (ko) 칩형 고체 전해콘덴서의 제조방법
JP2001093782A (ja) 電解コンデンサ
US3832607A (en) Column type stacked plate capacitor
CN219610228U (zh) 一种耐大纹波电流的铝电解电容器
US3753051A (en) Electrolytic capacitor having low value inductance and equivalent series resistance
JP2003309041A (ja) 固体電解コンデンサ
KR920008668Y1 (ko) 알미늄 전해 콘덴서
US6366445B1 (en) Cartridge capaci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S63299307A (ja) 電解コンデンサ
CN116031070A (zh) 一种耐大纹波电流的铝电解电容器
JP5696829B2 (ja) 電解コンデンサ
KR0112796Y1 (ko) 알루미늄 전해콘덴서용 권취소자
JP2010199388A (ja) ネジ端子付きコンデンサ
JP2562159Y2 (ja) 金属化フィルムコンデンサ
CA1198186A (en) Capacitor resis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