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3452Y1 - 매실씨 베개 - Google Patents

매실씨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3452Y1
KR200253452Y1 KR2020010022314U KR20010022314U KR200253452Y1 KR 200253452 Y1 KR200253452 Y1 KR 200253452Y1 KR 2020010022314 U KR2020010022314 U KR 2020010022314U KR 20010022314 U KR20010022314 U KR 20010022314U KR 200253452 Y1 KR200253452 Y1 KR 2002534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plum
shell
seed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23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쌍리
Original Assignee
홍쌍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쌍리 filed Critical 홍쌍리
Priority to KR20200100223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4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4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452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매실씨를 이용한 건강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매실씨들을 베갯속으로 사용함으로써 매실씨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성분이 인체에 유익하게 작용하도록 하여 건강 증진과 편안한 수면에 도움이 되는 매실씨 베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매실씨 베개(10)는 베갯속으로서 매화나무의 열매인 매실에서 빼낸 복수개의 매실씨(11)와, 상기 복수개의 매실씨(11)를 봉합형 개구부를 통해 수용하는 베개 내피(12), 및 상기 베개 내피(12)를 감싸는 베개 외피(13; 13')를 포함하고, 상기 베개 내피(12)와 상기 베개 외피(13; 13')가 광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매실씨 베개{PILLOW WITH A JAPANESE APRICOT}
본 고안은 매실씨를 이용한 건강 베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매실씨들을 베갯속으로 사용함으로써 매실씨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성분이 인체에 유익하게 작용하도록 하여 건강 증진과 편안한 수면에 도움이 되는 매실씨 베개에 관한 것이다.
한국의 역사속에서 베개를 쓴 것은 백제 무령왕비의 널 속에서 목침이 나온 것으로 미루어 매우 오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목침은 통나무를 사다리꼴로 매끈하게 다듬고, 긴 변의 중심 부분을 파내어 베기 편하게 하였고 전면에는 주색(朱色)을 칠한 위에 금박을 오려 붙여 귀갑문(龜甲紋)을 새기고, 그 속에 연화문 등 여러 가지 무늬를 새겼다.
고려시대의 유물로는 청자상감 운학모란문침(雲鶴牡丹文枕)이 있는데, 속은 비어 있고 양쪽 마구리에는 둥근 구멍이 뚫렸다. 또한 《고려도경(高麗圖經)》에는 수침(繡枕)의 형태에 대해서 흰 모시로 자루를 만들어 그 속을 향초로 채우고 양쪽 마구리는 실로 꽃을 수놓았는데, 무늬가 매우 정교하고 붉은 깁으로 장식한 것이 연꽃잎과 같다고 설명하고 있다.
조선시대의 베개로는 기록으로 보아 오늘날의 것과 별 차이가 없는데, 재질에 따라 수침, 퇴침, 목침, 도침, 곡침, 면침 등이 있다. 이 밖에 베갯모의 무늬에 따라서 구봉침(九鳳枕), 학침, 호침, 목단침, 연화침, 수복침 등이 있다. 이것은 여성들의 이상과 바람을 형상화하여 수놓은 것이며, 글자는 부(富), 귀(貴), 수(壽), 복(福), 희(囍), 강(康), 녕(寧) 등을 글자를 많이 쓰고, 卍자 무늬나 亞자 무늬도 많이 쓴다. 배갯모는 남자의 것은 주로 네모지고 여자의 것은 둥글다.
상술한 베개와 다른 베개들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구봉침은 일반 가정에서 쓰는 베개로서 신혼 때 부부가 쓴다. 베갯모에는 한 쌍의 봉과 7마리의 새끼봉을 수놓았는데, 부부가 금실 좋게 유자생녀하여 번창하라는 뜻이다. 퇴침은 나무를 상자 모양으로 짜고 서랍을 짜 넣은 목침의 하나인데, 비녀나 빗 등의 화장용구를 넣어둔다. 목침은 여름철에 주로 서민층에서 애용했고, 상류사회에서 쓰던 것은 세공이 뛰어난 예술작품이 많았다. 도침은 자기로 만든 것으로 머리를 식히기 위해 서재에서 잠깐 쉴 때에 썼는데, 베갯모에 조각이나 그림을 넣어 장식하였다.
또한, 면침은 긴 사각형의 작은 포단(부들로 엮은 방석)을 몇 장씩 겹쳐서 만든 것이다. 곡침은 둥글고 긴 주머니 속에 쌀겨를 넣은 것으로 수놓은 베갯모로 아름답게 장식하였다. 골침은 6∼8개의 골을 내고 골마다 수를 놓고 속에는 겨를 넣어 베갯잇을 씌운다. 돌베개는 자석(瓷石)을 제일로 치는데, 늙도록 눈을 밝게 해준다고 한다. 국화베개는 국화꽃잎 말린 것을 베개 속에 넣은 것으로서 머리와 눈이 맑아진다고 한다. 결명자베개는 눈이 밝아진다고 한다. 녹두베개는 머리가 시원해지고 풍(風)이 없어지고 눈이 밝아진다고 하며, 특히 어린아이에게 좋다고 한다. 죽부인(竹夫人)은 대[竹] 가지를 엮어 베개 비슷하게 만들어 여름에 홑이불 속에 넣고 자면 더위를 식혀준다고 한다.
또한, 오늘날의 베개는 헝겊으로 만든 둥근베개와 긴 네모형 베개가 가장 많고, 혼수에는 2인용의 긴 베개와 1인용의 베개를 홀수로 준비하며, 여름에는 대[竹]베개, 고무베개 등을 간혹 쓰는데, 베갯속은 왕겨, 메밀껍질, 깃털, 스펀지, 좁쌀(아기의 베개) 등을 쓴다. 특히 어린이용으로는 장난감을 겸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동물 모양으로 만들며 침대사용에 따르는 특수한 베개도 있다.
또한 보통 팥, 녹두 등의 곡식이나 쌀겨, 메밀껍질 등을 속에 넣어 만드는데, 나무(목침), 대(죽침), 도기(도침) 등으로 만든 것도 있다.
이와 같이, 베개는 생애의 대략 3분의 1을 베개와 함께 수면으로 보내는 인간의 생활에 매우 중요하게 사용되어 왔고 현대사회의 복잡성과 다양성으로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 현대인에게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게다가, 최근에는 스트레스로 인한 수면장애 환자가 많아지고 아울러 척추·목·허리 디스크가 잘못된 수면 자세에서 기인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베개에 대한 관심도 급속히 높아져가고 있다.
본 고안자는 이러한 베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사람에게 보다 적합하고 유용한 베개의 연구에 몰두하여 매실씨와 광목을 이용한 베개를 안출하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매실은 해독작용이 뛰어나고 소화불량과 위장장애를 다스리며 체질개선, 피로회복, 만성변비, 피부미용, 간장보호, 해열, 소염 등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는 약재로 평가되고 있다. 광목은 그 특성으로 흡습성(吸濕性)과 보온성이 풍부하고 튼튼하며, 비교적 값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목적은 매우 실용적이면서도 한국적인 상품의 가치를 지니고, 매실씨와 광목의 유용한 효능을 얻을 수 있는 매실씨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작고 나지막하며 목뒤에 넣으면 어디 한곳 비는 데 없이 딱 맞고 베갯속으로 매실씨가 적당히 채워져 있으며 베갯잇으로 광목을 사용한 매실씨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매실씨 베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베개 내피와 그 속에 담긴 매실씨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베개 외피의 대략 절반을 접은 상태와 이 베개 외피의 대응하는 안쪽 및 바깥쪽 측면에 각각 부착된 접착포들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도 1의 매실씨 베개를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매실씨 베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베개 외피를 보여주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20 ... 베개 11 ... 베갯속(매실씨)
12 ... 베개 내피 12a ... 우측단부
12b ... 좌측단부 12c ... 지퍼(zipper)
13, 13' ... 베개 외피 13a, 13b ... 접착포
13'a, 13'b ... 끈 13c, 13'c ... 장식부
13'd, 13'e ... 개구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매실씨 베개는 베갯속으로서 매화나무의 열매인 매실에서 빼낸 복수개의 매실씨와, 상기 복수개의 매실씨를 봉합형 개구부를 통해 수용하는 베갯잇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베갯잇은 봉합형 개구부를 가진 베개 내피와 상기 베개 내피를 감싸는 베개 외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개 내피 또는 상기 베개 외피가 광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베개 내피의 상기 봉합형 개구부는 지퍼(zipper)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베개 외피는 상기 베개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베개 외피 양단부의 안쪽과 바깥쪽에 부착된 한 쌍의 벨크로(velcro) 또는 부착포(附着布)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베개 외피는 상기 베개의 길이방향에서 그 일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한쪽 개구부를 묶어 조이는 끈 또는 그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양쪽 개구부를 묶어 조이는 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매실씨 베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베개 내피와 그 속에 담긴 매실씨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베갯잇의 대략 절반을 접은 상태와 이 베갯잇의 대응하는 안쪽 및 바깥쪽 측면에 각각 부착된 접착포들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매실씨 베개를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매실씨 베개(10)는 매실씨(11)를 담은 베개 내피(12)와 이 베개 내피(12)를 감싸는 베개 외피(13)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매실씨(11)는 우측단부(12a)와 좌측단부(12b)가 주름형상으로 접혀져 박음질된 베개 내피(12) 속에 넣어진다. 또한 베개 내피(12)는 매실씨(11)를 넣고 빼기에 편리하도록 지퍼(zipper; 12c)로 된 봉합형 개구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매실씨는 매화나무의 열매인 매실에서 전용기계를 이용하여 씨를 뺀 후에 물을 이용하여 씨 주변의 과육을 제거한 다음 다시 끓는 물에삶아 햇볕에 바싹 말리는 일련의 과정에 의해 처리되어 준비된다. 그리고 베개 내피(12)는 광목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베개 외피(13)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개 외피(13)는 광목을 적어도 두 겹으로 하여 직사각형 형상으로 박음질한 것이다. 또한, 베개 외피(13)는 베개 내피(12)를 둘러쌓을 때에 서로 대응하는 길이 방향의 양단부의 안쪽과 바깥쪽에 부착된 한쌍의 접착포(13a, 13b)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서는 상술한 접착포(13a, 13b)로서 벨크로(velcro) 접착포를 이용하였다.
또한, 베개 외피(13)에는 장식부(13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장식부(13c)는 베개 외피(13)의 가장 바깥쪽 광목을 주름지게 겹쳐서 직사각형 형상의 베개 외피(13)가 완전히 형성되기 전에 미리 박음질된다. 이러한 장식부(13c)는 베개(10)의 외형에 변화를 주어 사용자가 베개 외피(13)의 위쪽과 아래쪽을 임의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며 베개(10)의 외관을 아름답게 한다(도 1의 13c 참조).
도 4에는 상술한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매실씨 베개(10)의 구성이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실씨 베개(10)에는 약 일천이백개의 매실씨(11)가 베개 내피(12) 속에 넣어져 있다. 베개 내피(12)는 매실씨(11)를 편리하게 넣고 뺄 수 있도록 지퍼(12c)가 달린 봉합형 개구부를 갖는다. 또한 매실씨(11)를 담고 있는 베개 내피(12)의 외주부를 베개 외피(13)가 감싸고 있다. 베개 외피(13)에는 베개 내피(12)를 편리하게 감쌓았다가 떼어 분리하도록 벨크로 등의 한 쌍의 접착포(13a, 13b)가 베개(10)의 길이 방향으로 그 양단부의 대응하는 안쪽과 바깥쪽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는 매실씨(11)가 베개 내피(12) 속에 꽉 차게 넣어져 있는 것과 같이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 베개 내피(12) 속에는 베갯속으로 매실씨가 적당히 채워져 있어 목침만큼 딱딱하지 않으면서도 머리에 의해 약간 눌려져 지압효과를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더욱이 바람직하게는 베개 내피(12)와 베개 외피(13) 모두가 광목으로 제조되며, 이러한 경우 광목으로 인해 머리나 몸에 붙지도 않고 땀 흡수도 잘되며 매실씨로 인해 시원한 느낌을 얻을 수 있다. 게다가 베갯속으로 쓰인 매실씨도 땀을 잘 흡수하며 적당한 개수의 매실씨를 베갯속으로 넣음으로써 목침만큼 딱딱하지 않으면서도 지압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술한 베개의 크기는 성인 여성용으로 약 8x30cm, 성인 남성용으로 약 8x35cm이다. 이러한 크기는 사용자의 머리가 아닌 뒷목을 받치기에 적당한 크기와 디자인에 의해 선택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매실씨 베개는 사용하고자 하는 사람의 특징에 따라 베개의 크기 또는 베개 외피의 크기가 적당하게 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매실씨 베개(1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매실씨 베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도 6은 도 5의 베갯잇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매실씨 베개(20)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 실시예의 매실씨 베개(10)와 유사하게 매실씨(11)를 담은 베개 내피(12)와 베개 내피(12)를 감싸는 베개 외피(1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베개 외피(13')를 제외하고 제 1 실시예의 매실씨 베개(10)의 구성과 유사하다. 따라서 베개 외피(13')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매실씨 베개(20)는 베개 외피(13')와 베개 외피(13')의 한쪽 개구부(13'd)를 통해 삽입되어 있는 베개 내피(12)를 포함한다. 물론 도면에 도시지는 않았지만 베개 내피(12)에는 매실씨가 넣어지고 본 실시예에서의 매실씨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베개 내피 속에 들어있는 매실씨의 개수보다 조금 많이 넣어진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13'a는 한쪽 개구부(13'd)를 조여 묶기 위한 끈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13'c는 베개(20)의 좌측단부를 꾸미는 장식부이다. 또한, 다른쪽 개구부(13'e)를 조여 묶기 위한 끈(13'b)과 우측단부를 꾸미는 장식부(13'c)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매실씨 베개(20)의 베개 외피(13')는 내부에 관통홀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한쪽 말단부에 끈(13'a)에 의해 조여져 묶이는 개구부(13'd)와 그 다른쪽 말단부에 끈(13'b)에 의해 조여져 묶이는 개구부(13'e)를 포함한다. 또한, 양단부에 베개(20)의 외부를 장식하는 장식부(13'c)를 포함한다. 도면에서, 베개 외피(13')는 광목으로 만들어지고 대략 반으로 접혀져 납작한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베개 외피(13')의 크기는 대략 성인 여성용8x41cm, 성인 남성용 8x46cm이다. 이러한 크기는 사용자의 머리가 아닌 뒷목을 받치기에 적당한 크기와 디자인에 의해 선택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본 실시예에 따른 매실씨 베개는 사용하고자 하는 사람의 특징에 따라 베개의 크기 또는 베개 외피의 크기가 적당하게 조정될 수 있다.
상술한 제 2 실시예에서 본 고안에 따른 매실씨 베개(20)의 베개 외피(13')가 양쪽에 개구부(13'd, 13'e)를 갖는다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그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베개 외피(13')가 한쪽에 개구부를 갖고 그 개구부를 묶어 조이는 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 2 실시예에서 본 고안에 따른 매실씨 베개(20)가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베개 내피(12)를 포함한다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그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주름형상의 양측단부를 포함하지 않는 자루 형상의 베개 내피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같이, 상술한 제 2 실시예에서는 매실씨(11)를 담을 수 있는 다양한 형태와 재질의 베개 내피가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매실씨 베개(10; 20)가 베개 내피와 베개 외피를 각각 포함한다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그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베개 내피와 베개 외피가 일체로 형성된 베갯잇 속에 베갯속으로서의 매실씨가 직접 삽입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베갯속을 매실을 이용하고 베갯잇으로 광목을 이용함으로써 매우 실용적이면서도 한국적인 상품의 가치를 지니고 매실씨와 광목의 유용한 효능을 얻을 수 있는 매실씨 베개를 제공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베갯속으로 매실씨가 적당히 채워져 있어 베개의 크기가 작고 나지막하며 목뒤에 넣으면 어디 한곳 비는 데 없이 딱 맞고, 베갯잇으로 광목을 사용함으로써 몸에 붙지도 않고 땀 흡수도 잘되며 특히 매실씨로 인해 시원한 느낌을 얻을 수 있으며 베갯속으로 쓰인 매실이 땀을 잘 흡수하며 목침만큼 딱딱하지 않으면서도 지압효과가 뛰어난 매실씨 베개를 제공한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베갯속으로서 매화나무의 열매인 매실에서 빼낸 복수개의 매실씨(11); 및
    상기 복수개의 매실씨(11)를 봉합형 개구부를 통해 수용하는 베갯잇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실씨 베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갯잇은 봉합형 개구부를 가진 베개 내피(12) 및 상기 베개 내피(12)를 감싸는 베개 외피(13; 13')로 구성되고,
    상기 베개 내피(12) 또는 상기 베개 외피(13, 13')가 광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실씨 베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 내피(12)의 상기 봉합형 개구부는 지퍼(zipper; 12c)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실씨 베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 외피(13)는 상기 베개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베개 외피(13) 양단부의 안쪽과 바깥쪽에 부착된 한 쌍의 벨크로(velcro) 또는 부착포(13a, 13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실씨 베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 외피(13')은 상기 베개의 길이방향에서 그 일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한쪽 개구부(13'd)를 묶어 조이는 끈(13'a) 또는 그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양쪽 개구부(13'd, 13'e)를 묶어 조이는 끈(13'a, 13'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실씨 베개.
KR2020010022314U 2001-07-24 2001-07-24 매실씨 베개 KR2002534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314U KR200253452Y1 (ko) 2001-07-24 2001-07-24 매실씨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314U KR200253452Y1 (ko) 2001-07-24 2001-07-24 매실씨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3452Y1 true KR200253452Y1 (ko) 2001-11-17

Family

ID=73082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2314U KR200253452Y1 (ko) 2001-07-24 2001-07-24 매실씨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4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332B1 (ko) 2007-03-22 2008-04-17 주식회사 위즈룩스 건조된 과일씨가 충전된 냉온 겸용 찜질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332B1 (ko) 2007-03-22 2008-04-17 주식회사 위즈룩스 건조된 과일씨가 충전된 냉온 겸용 찜질팩
WO2008115024A1 (en) * 2007-03-22 2008-09-25 Wizlux Co., Ltd. Fomenting pack filled with dried seed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3369A (en) Transformable pillow
US4889512A (en) Doll and pillow carrying case
US20090100568A1 (en) Weighted article
CA1275567C (en) Transformable pillow
US20150113734A1 (en) Combination blanket and cushion incorporated into a decorative pillow and method for deploying
KR100887718B1 (ko) 다층구조로 분획 격실을 갖는 기능성 베개 및 그 제조방법
US20210169247A1 (en) Pocket sheet, also convertible into a simplified duvet cover
US20130001262A1 (en) Blanket Backpack
US20140259408A1 (en) Interchangeable bedding system and methods of using a bedding system
KR200253452Y1 (ko) 매실씨 베개
US6425795B1 (en) Baby doll gift set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2806315A (en) Sachet
US20030188384A1 (en) Method od making a three-demensional flower pillow/cushion
CN216853865U (zh) 具有腿部开口的身体加压睡衣
Harrington Vestiges of Material Culture among the Canadian Delawares
US2119330A (en) Cap
KR200334973Y1 (ko) 건강침구
KR20020060116A (ko) 숙면베개
KR101002176B1 (ko) 쑥이 충진된 베개
JP3164856U (ja) 蓬を真綿に包んだ膝掛け布団
JPH08215012A (ja)
JPH0711663Y2 (ja) 布団カバー
CN209518665U (zh) 乳胶减压多用枕芯及枕头
KR20060014092A (ko) 기능성 베개
JP3214848U (ja) ハーブ温熱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