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3262Y1 - 전열식 구이기 - Google Patents

전열식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3262Y1
KR200253262Y1 KR2020010025297U KR20010025297U KR200253262Y1 KR 200253262 Y1 KR200253262 Y1 KR 200253262Y1 KR 2020010025297 U KR2020010025297 U KR 2020010025297U KR 20010025297 U KR20010025297 U KR 20010025297U KR 200253262 Y1 KR200253262 Y1 KR 2002532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plate
roasting
cover
shock absor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52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문
Original Assignee
박희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희문 filed Critical 박희문
Priority to KR20200100252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2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2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262Y1/ko

Links

Landscapes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열식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초기 설정전압에 따라서 전열판의 온도를 유지제어할 수 있도록 한 전열식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은 온도감지센서와 온도조절기를 통해 가열판의 온도를 인식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온도조절기를 통해 설정된 온도로 가열판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조리 편리를 도모하고는 있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구이기는 아날로그 볼륨 스위치(다이얼)을 이용하는 온도조절기를 채용하고 있는 것으로, 정확한 온도 설정이 어렵다.
본 고안에서는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에 따라서 가열판을 가열하고, 온도감지센서로 부터 감지된 가열판의 온도를 인식하여 히터에 공급되는 전압을 스위칭제어펄스로써, 반도체 스위칭소자를 스위칭시켜 가열판의 온도를 유지제어하여 주도록 하는 디지털(digital) 방식의 신뢰성 있는 온도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본 고안에서는 안전을 고려한 덮개의 완충구조 및 구이대상물의 크기에 따른 구이기의 덮개부의 가압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열식 구이기{Electric heating type roaster}
본 고안은 전열식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초기 설정전압에 따라서 전열판의 온도를 유지제어할 수 있도록 한 전열식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이기는 오징어, 포종류의 건어물 등과 같은 구이대상물을 적정하게 구워내는 기기로서, 근래에 들어서는 통상적인 숯불이나 LPG와 같은 열원을 이용하지 않고, 히터(Heater)로써 가열판을 가열하여 사용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히터를 이용하게 되면, 사용자가 온도를 일정하게 정하여 사용하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선행 등록된 실용신안등록번호 0214885호, 고안의 명칭 구이기를 종래기술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구이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종래 구이기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다.
구이기(2)에 있어서, 상기 구이기(2)에는 그 외형을 이루며, 상단부가 개구된 대략 박스형상의 케이스(10)가 구비되고, 이 케이스(10)의 양측단과 하단에는 각각 상기한 구이기(2)를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손잡이부(12)와, 다수의 롤러(14)가 구비된다.
상기한 케이스(10)의 상단부에는 상부케이스(16)가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바, 상기 상부케이스(16)는 후술되는 구이판(20)이 상부케이스(16)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그 중앙부가 개구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케이스(10)의 상단부에는 구이판(20)이 장착되어 구비되어지되, 이 구이판(20)의 장착부 즉, 후술되는 고정프레임(34)과 케이스(10)의 결합부가 상부케이스(16)에 의해서 가려지게 된다.
한편, 상기한 구이판(20)은 덮개(22)와, 열판(3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덮개(22)는 그 일측 상단부에 손잡이부(24)가 구비되고, 이 손잡이부(24)의 외주면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패킹부재(26)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덮개(22)의 일단부는 열판(30)의 일단부에 회전가능하게 힌지된다.
한편, 상기한 열판(30)은 그 일면에 후술되는 온도감지센서(46)가 삽입되어 내장되도록 된 삽입공(32)이 형성된다.
상기한 열판(30)의 하단 양측에는 대략 'L'자 형상의 고정프레임(34)이 고정되어 구비되고, 이 고정프레임(34)은 케이스(10)의 내측 상단부에 볼팅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한 열판(30)의 하단부에는 이에 열원을 제공하도록 된 열원공급장치가 구비되는 바, 이 열원공급장치에는 고정프레임(34)에 수직하게 고정된 브라켓(40)이 구비된다.
상기한 브라켓(40)에는 전원스위치(42)와, 온도조절기(44)가 구비되어 케이스(10)의 일측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된다.
상기한 전원스위치(42)는 열판(30)에 연결되어 소정의 전압공급원으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이의 전원을 열판(30)으로 공급하여 열판(30)을 가열시키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전원스위치(42)와 이격된 브라켓(40)의 일측에는 열판(30)의 온도를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해 다이얼(Dial)로 이루어진 온도조절기(44)가 구비되는 바, 이 온도조절기(44)는 열판(30)의 온도를 제어함과 더불어 열판(30)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 될 시에는 전원스위치(42)를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한 온도조절기(44)에는 열판(30)의 온도를 감지하여 이에 대응한 감지신호를 온도조절기(44)로 인가시키는 온도감지센서(46)가 구비되는 바, 이 온도감지센서(46)는 열판(30)의 삽입공(32)으로 삽입되어 내장된다.
또한, 상기한 전원스위치(42)가 접점 온(on)되면, 이의 작동여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발광되는 전원램프(48)가 케이스(10)의 전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구이기(2)의 작동시는 먼저, 사용자가 구이기(2)의 케이스(10) 일측면으로 돌출된 전원스위치(42)에 구비되어 있는 통상적인 플러그를 소정의 전압공급원에 연결한 후, 이 전원스위치(42)의 접점을 온 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접점 온된 전원스위치(42)에 의해서 전원이 구이판(20)의 열판(30)으로 공급되어 열판(30)이 가열되게 되고, 케이스(10)의 전면에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된 전원램프(48)는 발광되어 이의 작동여부를 나타내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열판(30)의 가열온도를 요구되는 온도로 설정하게 되는 바, 상기한 전원스위치(42)와 이격되어 브라켓(40)의 일측에 다이얼로 구비된 온도조절기(44)를 회전시켜 가열온도를 요구되는 온도로 정밀하게 조절하여 설정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한 구이판(20)의 열판(30)은 설정된 온도로 가열되고, 이와 같이 가열된 열판(30)에 오징어나 포종류의 건어물등과 같은 구이대상물(100)을 올려 놓고, 이 열판(30)에 회전가능하게 힌지된 덮개(22)의 손잡이부(24)를 잡고, 덮개(22)를 열판(30)측으로 회전시켜 구이대상물(100)을 소정시간동안 압착시켜 굽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가열된 열판(30)이 구이기(2)의 작동시에 설정된 온도이상으로 올라가게 되면, 열판(30)의 삽입공(32)에 삽입, 내장된 온도감지센서(46)가 이를 감지하여 이에 대응한 감지신호를 온도조절기(44)로 인가시키게 되고, 상기한 온도조절기(44)는 그에 따라 전원스위치(42)를 제어하여 전원스위치(42)의 접점을 오프(off)시켜 열판(30)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한 전원램프(48)는 소등되어 전원스위치(42)의 오프됨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구이기(2)는 케이스(10)의 양측면과 하단에 구비된 손잡이부(12)와 롤러(14)에 의해서 구이기(2)를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구이기(2)는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구이판(20)의 열판(30)이 가열되므로써 열원공급장치의 부피가 소형화되고, 그에 따라 구이기(2) 전체의 부피가 소형화되며, 이의 운반시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12)와, 롤러(14)에 의해서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은 온도감지센서와 온도조절기를 통해 가열판의온도를 인식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온도조절기를 통해 설정된 온도로 가열판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조리 편리를 도모하고는 있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구이기는 아날로그 볼륨 스위치(다이얼)을 이용하는 온도조절기를 채용하고 있는 것으로, 정확한 온도 설정이 어렵다.
이와 같은 온도조절기는 그 내부에 각 스위치 단자별로 구성되는 바이메탈 소자에 의한 값에 따라서 그 설정 동작전압이 나타나게 되므로, 정밀한 온도 설정이 어렵다.
즉, 종래의 구이기에 있어서는 온도센싱에 의해 소정의 온도로 가열판이 가열되면, 전원을 차단하여 그 이상의 가열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정밀한 온도제어가 어렵다.
본 고안에서는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에 따라서 가열판을 가열하고, 온도감지센서로 부터 감지된 가열판의 온도를 인식하여 히터에 공급되는 전압을 스위칭제어하여 주도록 하므로써, 사용자의 설정 온도를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digital) 방식의 신뢰성 있는 온도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구이대상물을 압착하여 굽게 됨에 따라 덮개가 일정이상의 중량이 있어야 하므로써, 안전을 고려하여 덮개의 완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이대상물을 압착하게 됨에 있어, 가열판에 대하여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구성하여, 구이대상물의 크기에 따른 구이기의 가압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구이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종래 구이기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전열식 구이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이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있어서, 구이판 조립체의 상세구조를 보이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있어서, 결합된 상태에서의 내부 구조를 보이기 위한 좌측 내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있어서, 제어기판부의 기능 제어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있어서, 덮개부의 열림과 닫힘에 따라 완충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5는 덮개부가 닫혀있을 경우, 도 6은 덮개가 열려있을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9은 본 고안에 있어서, 구이대상물을 얹어놓은 상태에서의 조리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고안에 있어서, 결합완료된 상태의 외관을 보이기 위한 사시도.
본 고안의 구성은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의 상측으로 부터 구이대상물을 가압하여 조리 하기 위하여, 케이스 본체에 힌지를 구성하여 상하 수직이동하는 덮개부로 구성되는 전열식 구이기에 있어서,
내장된 열선에 의해 가열되어 구이대상물에 열을 가하는 구이판과, 구이판을 덮개부 또는 케이스 본체에 결합고정시키기 위한 구이판브라켓트와, 구이판과 구이판브라켓트 사이에 구성되어 구이판에 대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구이판조립체가 상기 케이스 본체와 덮개부에 구이판이 대향되도록 결합고정되며, 상기 케이스 본체내에 실장되며, 구이판 조립체내에 내장되어 구이판의 열을 감지하는 온도센서로 부터 얻어지는 온도값에 따라 펄스폭변조 스위칭 제어신호(PWM)를 출력하여 열선에 공급되는 동작전압을 스위칭 제어하여 구이판에 대하여 설정하여둔 온도에 따라 해당 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판부와, 케이스본체에 결합되고, 그 타측이 덮개부의 내측부에 결합되어 ??개부의 열림과 닫힘에 있어,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완충장치가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완충장치는 케이스 본체에 결합되고, 그 타측이 완충기지지대를 통해 상기 덮개부의 내측부위에 결합고정되어, 덮개부의 닫힘, 열림에 따른 동작상태를 완충시켜주는 완충기와, 케이스 본체에 연결된 완충기를 상기 덮개부의 내측부에 결합고정지지하는 완충기지지대와, 완충기를 케이스 본체에 결합고정시키는 완충기고정브라켓트와, 완충기고정브라켓트로 부터 완충기지지대에 결합고정되어 완충기가 덮개부의 열림닫힘에 따라 상하 운동하게 됨에 있어, 측면으로 부터 완충기를 지지하여 부드럽게 상하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완충기 보조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덮개 내측부의 구이판조립체의 구이판브라켓트와 대향되는 위치에 열차단판을 고정결합시켜 구이판조립체의 구이판으로 부터 열을 차단시켜 덮개부 외측으로 열이 전달됨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서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 전열식 구이기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케이스 본체(100)와, 케이스 본체(100)와 힌지(hinge)부를 통해 연결되어 상하 열림과 닫힘이 가능한 덮개부(200)로 구성된다.
케이스 본체(100)의 상부와, 덮개부(200)의 내측 하부로 열선(305)이 내장된 구이판(301)이 서로 대향될 수 있도록 구이판조립체(300)가 결합고정된다.
상기 케이스 본체(100)에는 구이판(301)의 온도제어 및 구이기의 전반적인 조리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기판부(400)가 실장되고, 제어기판부(400)의 사용자 조작이 가능하도록 케이스 본체(100)에는 제어기판부 도어(101)가 구성되고, 케이스 본체(100)의 상부면 덮개부(200)와 맞닿는 위치에는 덮개부(200)의 열림 및 닫힘을 감지하기 위한 덮개스위치(102)가 구성된다.
제어기판부(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구이판(301)의 유지하고자 하는 가열 온도를 설정해두기 위한 사용자 조정키이부(401)와, 사용자가 구이판(301)의 가열 유지 온도를 설정함에 있어, 그 선택되는 온도를 표시하여주는 설정온도표시부(402)와, 사용자가 조정한 유지 가열온도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403)와, 구이판(301)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구이판(301)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406)로 부터 전달되는 온도검출값을 입력받고, 사용자가 설정한 유지가열온도와 비교하여 열선을 가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펄스(PWM; Pulse Width Modulation)를 출력하고, 덮개스위치(102)의 설정상태에 따라서 현재 조리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제어부(404)와, 중앙제어부(404)로 부터 출력되는 스위칭 제어펄스에 따라서 스위칭동작하여 공급되는 AC 전압을 공급하여 구이판(301)에 내장된 열선(305)에 전류를 흘려 구이판(301)을 가열시키는 스위칭부(4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제어부(404)로 부터 구이기 온 동작시 덮개스위치(102)의 설정상태에 따라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 신호를 통해 알려주기위한 경보부(408)가 구성되며,
상기 경보부(408)는 음성(멜로디)으로 통보하여 주는 멜로디출력부(408a)와, 시각적인 효과로서 나타내주는 발광다이오드(LED)(408b)로 구성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408b)는 덮개부(200)의 외부 상면 소정위치에 구성하여 점멸되면서 사용자에게 상태를 알려주게 된다.
또한, 상기 덮개부(200)에는 구이기의 온/오프(on/off) 동작여부를 사용자가 설정하기 위한 동작스위치에 관련한 제어패널이 구성되며, 상기 제어패널에는 사용자의 전원스위치 선택에 따른 전원의 온/오프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부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이판조립체(300)는 열선(305)이 내장되는 구이판(301)과, 구이판(301)을 케이스 본체(100) 또는 덮개부(200)에 결합고정시키는 구이판브라켓트(302)와, 구이판브라켓트(302)에 구이판(301)을 고정시킴과 아울러, 완충 스프링(304)을 취부하기 위하여 구이판(301)의 구이판브라켓트(302)와 대향되는 위치에 구성되는 고정보스(303)와, 구이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구이판(301)이 눌려짐에 따라 구이판(301)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완충 스프링(30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케이스 본체(100)로 부터 상기 덮개부(200)에는 덮개부(200)의 열림 및 닫힘동작에 대한 완충장치가 구성되는 바,
상기 완충장치는 덮개부(200)의 열림과 닫힘동작에 대하여 상하 이동하여 그 동작 힘에 대한 완충작용을 하는 완충기(501)를 케이스 본체(100)에 결합고정하기 위한 완충기 고정브라켓트(502)와, 완충기 고정브라켓트(502)에 의해 케이스 본체(100)에 결합고정되고, 그 타측은 완충기지지대(503)에 의해 덮개부(200)의 내측부에 결합고정되는 완충기(501)와, 완충기 고정브라켓트(502)로 부터 완충기지지대(503)에 결합고정되어 완충기(501)를 측면으로 부터 지지하여 완충기(501)의 부드러운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완충기보조지지대(5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이판조립체(300)의 구이판브라켓트(302)과 덮개부(200)의 사이로 덮개부(200)의 내측부에 설치되어 열의 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열차단판(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미 설명되는 부호 103은 본체 손잡이, 201은 덮개손잡이, 407은 중앙제어부의 동작전원공급(DC)을 위한 정류부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자동온도조절기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초기 설정하여 둔 사용자의 조작 온도에 따라서 중앙제어부(micom)에서 별도의 전원 전압공급을 위한 스위칭 펄스를 제어하도록 하는 디지털 온도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덮개부(200)와 케이스 본체(100)로 이루어지며, 덮개부(200)는 케이스 본체(100)와의 힌지 구조를 통해 상하로 열림과 닫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먼저, 가열되는 구이판(301)의 온도유지제어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초기 출하시 가열되는 구이판(301)의 온도를 설정하여 두게 되거나, 이를 사용자가 재설정하여 사용하게 되는 바,
사용자는 케이스 본체(100)에 구성되어 있는 제어기판부 도어(101)를 열어 제어기판부(400)의 사용자 조정키이부(401)를 통해 상기 구이판(301)이 유지될 온도를 재설정할 수 있다.
제어기판부 도어(101)를 열게 되면, 제어기판부(400)가 나타나게 되고, 제어기판부(400)의 설정온도 표시부(402)에는 기 설정되어 있는 유지온도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사용자 조정키이부(401)를 선택하여 온도를 설정하게 되는 데, 이때 조정되는 설정되는 온도는 설정온도 표시부(402)를 통해 표시되고, 이를 사용자가 보면서 온도를 설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설정되는 온도는 메모리부(403)에 저장된다.
상기에서와 같은 과정을 통해 설정된 온도에 따라 중앙제어부(404)에서는 구이판조립체(300)에 설치된 온도감지센서(406)로 부터 구이판(301)의 온도를 인식하고, 이들을 비교하여 구이판(301)의 온도를 유지시키게 되는 바,
사용자가 덮개부(200)의 상면에 소정위치에 구성되는 제어패널의 동작스위치에서 온 스위치(조리시작)를 선택하게 되면, 제어기판부(400)의 중앙제어부(404)에서는 구이판(301)에 내장된 열선(305)을 가열시키기 위한 AC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스위칭부(405)는 스위칭 동작하여 전원공급수단으로 부터 공급되는 AC 전압을 열선(305)에 공급하게 된다.
이때, 스위칭부(405)는 반도체 스위칭 소자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중앙제어부(404)에서 출력되는 스위칭제어신호는 제어펄스 형태로 출력되는 바,
초기상태에서는 구이판(301)이 아직 가열되지 않은 상태로 소정의 설정된 온도까지 도달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스위칭부(405)의 온 스위칭 타임 폭이 오프 스위칭 타임 폭 보다 더 넓은 스위칭 제어펄스가 출력되나, 메모리부(403)에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온 스위칭 타임 폭 보다 그 폭이 좁은 스위칭 제어펄스가 출력된다.
따라서, 열선(305)으로 공급되는 AC 전압은 스위칭부(405)에 의해 공급제어가 이루어지게 되므로써, 해당하는 설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중앙제어부(404)에서는 케이스 본체(100)의 상면에 형성된덮개스위치(102)의 상태에 따라서 경보부(408)를 통해 구이기의 동작상태를 알려주게 되는 바,
케이스 본체(100)의 상면에 형성된 덮개스위치(102)는 덮개부(200)와 접하는 위치에 구성되는 것으로, 덮개부(200)가 닫히게 되면 이에 접하여, 열림 닫힘에 따라서 그의 상태를 알려주게 된다.
중앙제어부(404)에서는 이와 같은 덮개스위치(102)의 신호를 입력받아 덮개부(200)의 열림/닫힘을 인식하게 되고, 상기한 바와 같이 구이판(301)이 가열동작제어하는 상태에서 덮개부(200)가 닫히게 됨을 인식하게 되면, 경보부(408)를 통해 사용자에게 조리가 진행되고 있음을 알려주게 된다.
상기 경보부(408)는 시각적인 효과를 이용하여 경보하여 주는 발광다이오드(408b)와, 청각적인 효과를 이용하여 경보하여 주는 멜로디출력부(408a)로 구성될 수 있는 데,
상기 발광다이오드(408b)는 덮개부(200)의 상면에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들로써, 구성되어 점멸되면서 사용자에게 조리진행상태를 알려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멜로디출력부(408b)는 케이스 본체(100)에 실장되는 제어기판부(400)에 구성되며, 스피커를 통해 멜로디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조리진행상태를 알려주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정류부(407)는 중앙제어부(404)의 일반적인 마이컴 동작전원 '5V'을 제공하기 위한 AC 전원 전압에 대한 정류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제어동작을 통해 구이기의 가열조리가 이루어지게 되며, 이와 같은 가열조리를 위해 구이대상물을 구이판(301)에 올려 놓게 됨에 있어서, 그 구조에 따른 구이판(301)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이판(301)에 구이대상물을 올려놓게 되고, 덮개부(200)를 하측으로 내려 케이스 본체(100)의 상면에 접합시켜 닫게 되면, 덮개부(200)측과 케이스 본체(100)측의 구이판(301)이 구이대상물의 상하 양측으로 부터 구이대상물을 압착하면서 가열된 열을 이용하여 구이대상물을 굽게 된다.
이때, 구이대상물의 크기에 따라서 덮개부(200)가 케이스 본체(100)의 상면에 완전히 닫히지 않게 되므로써, 구이판(301)의 열손실이 발생할 수 있게 되는 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구이판(301)의 내측으로는 완충스프링(304)이 구성된다.
덮개부(200)가 닫히면서, 덮개부(200)를 가압하는 사용자의 힘에 의해 구이판(301)이 구이대상물과 접하여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구이판(301)이 각각의 힘의 반대방향으로 구이대상물에 의해 구이판브라켓트(302)내로 밀려들어가게 된다.
이때, 구이판브라켓트(302)와 구이판(301) 사이로는 탄성수단인 완충스프링(304)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구이판(301)의 밀려들어오는 힘의 방향과 반대방향 즉, 구이대상물측으로 탄성 반발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 힘은 구이판(301)에 작용하여 구이판(301)은 계속하여 구이대상물을 도 9에서와 같이 압축하게 된다.
따라서, 구이대상물의 상하 크기에 제한없이 구이대상물에 대하여 열효율의 저하없이도 조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측 덮개부(200)의 내측부 즉, 구이판브라켓트(302)와 덮개부(200) 사이에는 열차단판(600)이 구성되어 있어, 구이판(301)의 뜨거운 열을 차단시켜 주게 되므로써, 덮개부(200)의 외측부에 상기한 바와 같은 열이 전달됨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덮개부(200)의 상면에 손을 데이거나 할 염려가 없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리를 진행하게 됨에 있어서, 덮개부(200)의 상하 이동에 대한 완충장치를 제공하게 되는 바, 덮개부(200)가 급격히 닫힘에 따라서 사용자가 손을 다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완충장치는 완충기(501)로 구성되는 데, 완충기(501)는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쇽업 소버(shockabsorber)로 이루어지는 바, 유체 또는 기체를 이용하여 실린더내에서 가해지는 힘에 따라 이동되는 로드를 이용하는 다양한 쇽업 소버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완충기(501)는 케이스 본체(100)에 고정되고, 이의 타측이 완충기지지대(503)를 통해 덮개부(200)의 내측부까지 연결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완충기(501)가 직접 덮개부(200)까지 연결되지 않는 것은 구이판(301)의 위치를 거쳐가게 되므로써, 완충기(501)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완충기(501)는 완충기(501)의 부드러운 완충작용을 위하여 완충기 보조지지대(504)를 구성하게 되는 바, 이의 구조를 위해 완충기(501)는 완충기고정브라켓트(502)를 통해 케이스 본체(100)의 내부면에 고정되고, 완충기 고정브라켓트(502)로 부터 완충기 보조지지대(504)가 완충기(501)의 상측 완충기지지대(503)에 연결된다.
따라서, 도 7에서와 같이, 덮개부(200)가 닫혀있을 경우에는 완충기 보조지지대(504)는 완충기(501)의 상부위치로 부터 바닥면과 평행하게 완충기 고정브라켓트(502)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도 6에서와 같이, 덮개부(200)가 열림에 따라서, 완충기(501)는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완충기(501)의 상측부 완충기지지대(503)에 연결되어 있는 완충기보조지지대(504)가 완충기 고정브라켓트(502)에 결합위치를 축으로 하여 도 8에서와 같이, 이동하게 된다.
이후, 다시 덮개부(200)를 도 7의 위치로 닫을 경우, 완충기(501)에 의해 지지되면서, 덮개부(200)의 내려오는 속도가 조절되면서, 덮개부(200)는 닫히게 된다.
즉, 덮개부(200)의 내려오는 속도 및 충격을 완화시켜 주도록 하도록 함에 있어서, 완충기(501)에 의해 1차적인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고, 완충기보조지지대(504)에 의해 2차적인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열되는 구이판의 온도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설정된 온도와 비교하여, 열선을 가열제어하도록 함에 있어, 종래에서는 기 설정온도와의 비교를 통해 사용자가 다이얼을 통해 설정한 온도에 도달할 때 전원을 오프하는 아날로그 방식의 온도제어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정밀한 온도제어가 어려우나, 본 고안에서는 스위칭 펄스를 출력하여 온/오프를 반복시키는 디지털신호 제어로서, 열선에 전압을 공급하는 반도체 스위칭소자의 스위칭 제어를 실행하도록 하여, 구이판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정밀한 온도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덮개부의 닫히는 속도 및 그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완충장치를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덮개부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은 완충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완충기의 측면으로 부터 이를 지지하는 보조지지수단을 구성하게 되므로써, 2차적인 완충효과를 더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구이판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수단을 구성하게 되므로써, 구이대상물의 크기(높이)에 따라서, 구이대상물이 적재되는 공간이 조절되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써, 덮개가 완전히 닫히지 않게 됨에 따라 열효율의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효과적인 조리효과(구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열차단판을 덮개부내에 구성하게 되므로써, 덮개부 외부로의 열전달을 차단시켜주도록 하므로써, 사용자의 열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덮개부의 닫힘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전원 온 상태를 표시하는 이외에도 가열상태에서 덮개가 닫혀 실제 조리가 이루어지는 상태를 사용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 효과를 이용하여 알려주도록 하므로써,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의 상측으로 부터 구이대상물 가압하여 조리 하기 위하여, 케이스 본체에 힌지를 구성하여 상하 수직이동하는 덮개부로 구성되는 전열식 구이기에 있어서,
    내장된 열선에 의해 가열되어 구이대상물에 열을 가하는 구이판과, 구이판을 덮개부 또는 케이스 본체에 결합고정시키기 위한 구이판브라켓트와, 구이판과 구이판브라켓트 사이에 구성되어 구이판에 대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케이스 본체와 덮개부에 구이판이 대향되도록 결합고정되는 구이판조립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내에 실장되며, 구이판 조립체내에 내장되어 구이판의 열을 감지하는 온도센서로 부터 얻어지는 온도값에 따라 펄스폭변조 스위칭 제어펄스 신호(PWM)를 출력하여 열선에 공급되는 동작전압을 스위칭 제어하여 구이판에 대하여 설정하여둔 온도에 따라 해당 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판부와,
    케이스본체에 결합되고, 그 타측이 덮개부의 내측부에 결합되어 덮개부의 열림과 닫힘에 있어,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완충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에는 제어기판부의 사용자 조작이 가능하도록 제어기판부 도어가 구성되고, 덮개부와 맞닿는 상부면에는 덮개부의 열림 및 닫힘을 감지하여 제어기판부에 알리는 덮개스위치가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식 구이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판부는 사용자가 구이판의 유지하고자 하는 가열 온도를 설정해두기 위한 사용자 조정키이부와, 사용자가 구이판의 가열 유지 온도를 설정함에 있어, 그 선택되는 온도를 표시하여주는 설정온도표시부와, 사용자가 조정한 유지 가열온도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와, 구이판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구이판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로 부터 전달되는 온도검출값을 입력받고, 사용자가 설정한 유지가열온도와 비교하여 열선을 가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펄스(PWM)를 출력하고, 덮개스위치의 설정상태에 따라서 현재 조리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제어부와, 중앙제어부로 부터 출력되는 스위칭 제어펄스에 따라서 스위칭동작하여 공급되는 AC 전압을 공급하여 구이판에 내장된 열선에 전류를 흘려 구이판을 가열시키는 스위칭부와, 상기 중앙제어부로 부터 구이기 온 동작시 덮개스위치의 설정상태에 따라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 신호를 통해 알려주기위한 경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식 구이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부는 스피커를 통해 음성(멜로디)으로 통보하여 주는 멜로디출력부와, 시각적인 효과로서 나타내주는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되며,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덮개부의 외부 상면 소정위치에 구성하여 점멸되면서 사용자에게 상태를 알려주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식 구이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내측부의 구이판조립체의 구이판브라켓트와 대향되는 위치에 고정결합시켜 구이판조립체의 구이판으로 부터 열을 차단시켜 덮개부 외측으로 열이 전달됨을 방지하도록 하는 열차단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식 구이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장치는 케이스 본체에 결합되고, 그 타측이 완충기지지대를 통해 상기 덮개부의 내측부위에 결합고정되어, 덮개부의 닫힘, 열림에 따른 동작상태를 완충시켜주는 완충기와, 케이스 본체에 연결된 완충기를 상기 덮개부의 내측부에 결합고정지지하는 완충기지지대와, 완충기를 케이스 본체에 결합고정시키는 완충기고정브라켓트와, 완충기고정브라켓트로 부터 완충기지지대에 결합고정되어 완충기가 덮개부의 열림닫힘에 따라 상하 운동하게 됨에 있어, 측면으로 부터 완충기를 지지하여 부드럽게 상하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완충기 보조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식 구이기.
KR2020010025297U 2001-08-21 2001-08-21 전열식 구이기 KR2002532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297U KR200253262Y1 (ko) 2001-08-21 2001-08-21 전열식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297U KR200253262Y1 (ko) 2001-08-21 2001-08-21 전열식 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3262Y1 true KR200253262Y1 (ko) 2001-11-22

Family

ID=73068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5297U KR200253262Y1 (ko) 2001-08-21 2001-08-21 전열식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26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325B1 (ko) * 2008-10-23 2011-06-17 안정오 휴대용 기능성 조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325B1 (ko) * 2008-10-23 2011-06-17 안정오 휴대용 기능성 조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63517A (en) Electric barbeque cooker
US6173643B1 (en) Multifunctional electric pressure cooker
US5504295A (en) Electric cooking apparatus
KR101553198B1 (ko) 슬라이드 로스터
CN108814331B (zh) 一种多功能烤箱
US5743173A (en) Bake stuff cooker
ES2218007T3 (es) Plancha.
CN209090958U (zh) 一种多功能烤箱
KR200253262Y1 (ko) 전열식 구이기
KR200467254Y1 (ko) 전기구이장치
KR200474339Y1 (ko) 어묵 가열기
CN207520041U (zh) 多功能烹烤组件
CN215777480U (zh) 烹饪器具
CN215777479U (zh) 烹饪器具
GB2185876A (en) Electric cooker
CN214048448U (zh) 烹饪器具
CN215605102U (zh) 一种多功能智能型双炉一体空气炸锅
JPH09224845A (ja) 焼物調理器
KR100983354B1 (ko) 휴대용 가스렌지
JPS6037059Y2 (ja) 電気調理器
JPH0748182Y2 (ja) 電磁炊飯器
JPS5854017Y2 (ja) 調理器
KR20050081529A (ko) 가스 오븐레인지
JPH037366B2 (ko)
JP6563740B2 (ja) ガスコン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