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3104Y1 - 분리 수거용 이중 쓰레받기 - Google Patents

분리 수거용 이중 쓰레받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3104Y1
KR200253104Y1 KR2020010020982U KR20010020982U KR200253104Y1 KR 200253104 Y1 KR200253104 Y1 KR 200253104Y1 KR 2020010020982 U KR2020010020982 U KR 2020010020982U KR 20010020982 U KR20010020982 U KR 20010020982U KR 200253104 Y1 KR200253104 Y1 KR 2002531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garbage
handle
waste storage
dustp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09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솔잎
Original Assignee
한솔잎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솔잎 filed Critical 한솔잎
Priority to KR20200100209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1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1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104Y1/ko

Link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쓰레받기의 쓰레기 수납 공간을 이층 구조로 구획하여 쓰레기의 크기 또는 종류에 따라 분리 수거하기 위한 분리 수거용 이중 쓰레받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쓰레받기(1)는 쓰레기 수납함(11)과, 쓰레기 수납함(11)의 내부 쓰레기 수납 공간을 상하 2개 층으로 구획하도록 쓰레기 수납함(11)의 입구에서부터 후미 폐쇄 단부까지 수평으로 연장 및 체결되는 격판(12)과, 격판(12)의 선단에 일례로 경첩(13) 등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 뚜껑(14)과, 쓰레기 수납함(11)의 외면 양측에 수직 방향으로 체결된 'ㄷ'자형의 지지 레일(15a)과, 이 지지 레일(15a)과 활주 가능하게 체결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손잡이(15)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쓰레기를 모아 담을 때부터 큰 쓰레기와 먼지, 모래, 흙 등의 작은 쓰레기를 서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쓰레받기 손잡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쓰레받기에 쓰레기를 담을 때마다 허리를 굽혀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된다.

Description

분리 수거용 이중 쓰레받기{Partitioned Dustpan for Separatively Collecting Refuse}
본 고안은 쓰레받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쓰레받기의 쓰레기 수납 공간을 이층 구조로 구획하여 쓰레기의 크기 또는 종류에 따라 분리 수거할 수있는 분리 수거용 이중 쓰레받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쓰레받기는 단일의 쓰레기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이러한 쓰레받기에 의하면 큰 쓰레기는 물론이고 먼지, 모래 등의 작은 쓰레기를 구분 없이 하나의 쓰레기 수납 공간에 함께 쓸어 담게 된다.
최근에는 쓰레기의 분리 수거가 의무화 및 생활화되고 있는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쓰레받기에 의하면, 청소할 때에 여러 종류의 쓰레기를 구분 없이 쓰레받기에 모두 쓸어 담은 후에 버릴 때에는 분리 수거를 위해 손으로 일일이 분리하면서 버려야 한다. 청소하고서 모아 담은 쓰레기 중에서 먼지, 모래, 흙 등은 화단이나 집 주변의 흙더미에 버리는 것이 쓰레기의 양이나 무게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며 부가적으로 화단 등의 복토에도 도움이 된다. 그러나 쓰레받기에 모든 쓰레기를 쓸어 담고 난 후에 분리하려면 전술한 바와 같이 손으로 일일이 다시 분리해야 하므로 손이 더러워지고, 그에 따라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와 같이 분리하는 것을 기피하여 쓰레기를 분리하지 않은 채로 한꺼번에 쓰레기 봉지나 쓰레기통에 버리게 된다.
또한, 종래의 단일 수납 공간 구조로 되어 있는 쓰레받기를 사용할 때는 먼지, 모래, 흙 등도 다른 쓰레기와 함께 쓸어 담게 되므로 쓰레기를 쓸어 담을 때마다 먼지가 날려 비위생적이며 버릴 때에도 먼지가 많이 날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쓰레받기에는 일반적으로 일정한 높이로 고정된 고정형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손잡이 높이가 고정된 쓰레받기는, 손잡이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쓰레기를 담을 때마다 허리를 굽혀야 하는 불편이 따르고, 반면에 손잡이 높이가 다소 높게 형성된 경우에는 사용하는 사람의 키에 따라서는 들고 다니기가 다소 불편한 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쓰레받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쓰레기를 모아 담을 때부터 큰 쓰레기와 먼지, 모래, 흙 등의 작은 쓰레기를 서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하고, 쓰레받기 손잡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쓰레받기에 쓰레기를 담을 때마다 허리를 굽혀야 하는 불편함과 청소 중에 들고 다니는 데 있어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 수거용 이중 쓰레받기를 도시하는 것으로, 손잡이를 일정 높이까지 들어올린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의 선 II-II에 따라서 도시한 단면도.
도3은 도1의 선 III-III을 따라서 도시한 것으로, 손잡이의 체결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쓰레받기 11: 쓰레기 수납함
12: 격판 13: 경첩
14: 뚜껑 15: 손잡이
15a: 지지 레일 15b: 안내 레일
본 고안의 일 실시 태양에 따르면, 쓰레기 수납함과 상기 쓰레기 수납함의 좌우 양측에 부착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쓰레받기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수납함은 입구에서부터 후미 폐쇄 단부까지 수평으로 연장 및 체결되는 격판에 의해 상하 2개 층의 쓰레기 수납 공간으로 구획되고, 쓰레기 수납함의 입구측에서의 상기 격판의 선단에는 아래층의 쓰레기 수납 공간의 입구를 개폐시키는 뚜껑이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받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태양에 따르면, 쓰레기 수납함과 상기 쓰레기 수납함의 좌우 양측에 부착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쓰레받기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수납함은 입구에서부터 후미 폐쇄 단부까지 수평으로 연장 및 체결되는 격판에 의해 상하 2개 층의 쓰레기 수납 공간으로 구획되고; 쓰레기 수납함의 입구측에서의 상기 격판의 선단에는 아래층의 쓰레기 수납 공간의 입구를 개폐시키는 뚜껑이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쓰레기 수납함의 외면과 대면하는 상기 손잡이의 내면에는 높이 방향에서 하단으로부터 일정 높이까지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 내에는 'ㄷ'자형의 안내 레일이 상하로 길게 삽입되어 체결되고, 이에 대응하는 쓰레기 수납함의 외면에는 상기 손잡이의 요홈의 내주면과 상기 'ㄷ'자형 안내 레일의 외주면 사이에 삽입되어서 손잡이의 상하 이동을 지지하는 'ㄷ'자형 지지 레일이 수직 방향으로 체결됨으로써 손잡이의 높이가 상하로 조절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받기가 제공된다.
상기 격판과 격판의 선단에 체결된 뚜껑을 모두 투명한 아크릴 판으로 구성하게 되면 아래층의 쓰레기 수납 공간에 수납되어 있는 쓰레기가 입구 쪽으로 쏠리는지 여부와 쓰레기의 양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1을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쓰레받기(1)는 쓰레기 수납함(11)과, 쓰레기 수납함(11)의 내부 쓰레기 수납 공간을 상하 2개 층으로 구획하도록 쓰레기 수납함(11)의 입구에서부터 후미 폐쇄 단부까지 수평으로 연장 및 체결되는 격판(12)과, 격판(12)의 선단에 일례로 경첩(13) 등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 뚜껑(14)과, 쓰레기 수납함(11)의 외면 양측에 수직 방향으로 체결된 'ㄷ'자형의 지지 레일(15a)과, 이 지지 레일(15a)과 활주 가능하게 체결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손잡이(15)로 구성되어 있다.
도2를 참고하면, 상기 격판(12)은 쓰레기 수납함(11)의 높이의 대략 1/3 이하의 위치에서 쓰레기 수납함의 입구에서부터 후미 폐쇄 단부까지 수평으로 연장되게 체결된다. 격판(12)을 체결시키는 높이는, 격판(12)에 의해 형성된 쓰레기 수납함(11)의 아래층 공간에 먼지, 모래, 흙 등을 원활하게 쓸어 담을 수 있고 위층 공간에는 큰 쓰레기를 원활하게 쓸어 담을 수 있기만 하면 쓰레기 수납함(11)의 크기에 따라 어떤 높이에 체결시켜도 상관없다.
쓰레기 수납함(11)의 좌우 측면 판의 입구측 테두리는 비스듬하게 형성되며, 바닥 판의 입구측 선단에는 바깥쪽에서부터 안쪽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올라가는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바닥판의 선단측에 형성된 경사면은 쓰레기 수납함(11)의 아래층 공간으로 먼지, 모래, 흙 등을 쓸어 담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격판(12)의 선단에 체결되는 뚜껑(14)의 바닥면은 쓰레기 수납함(11)의 좌우 측면 판의 경사진 테두리 면과 바닥 판의 경사면과 가지런히 맞닿도록 하고 또한 뚜껑(14)의 선단부에는 끝이 뾰족하도록 모따기된 경사면이 마련된다. 이에 따라, 뚜껑(14)이 닫혔을 때에 뚜껑(14)의 상면은 쓰레기 수납함(11)의 위층 공간의 안쪽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올라가는 경사면을 형성하게 되고, 그 결과 큰 쓰레기를 쓰레기 수납함(11)의 위층 공간으로 쉽게 쓸어 담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 경첩(13)을 가지고 뚜껑(14)을 격판(12)의 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시켰는데, 이와 같이 회동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만 있다면 상기 경첩(13) 이외의 다른 체결 기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뚜껑(14)의 좌우 너비는 쓰레기 수납함(11)의 좌우 너비보다 약간 더 돌출되는 크기로 형성되는데(도1 참조), 이는 청소 중에 뚜껑(14)을 필요에 따라 쉽게 여닫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1 및 도3을 참고하여 손잡이 체결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면, 쓰레기 수납함(11)의 양측 외면에는 손잡이(15)의 상하 이동을 지지하는 'ㄷ'자형 지지 레일(15a)이 수직 방향으로 체결된다. 쓰레기 수납함(11)의 상기 외면과 대면하는 손잡이(15)의 내면에는 높이 방향에서 하단으로부터 일정 높이까지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 내에는 'ㄷ'자형의 안내 레일(15b)이 상하로 길게 삽입되어 체결된다. 쓰레기 수납함(11)의 양측 외면에 체결된 상기 'ㄷ'자형 지지 레일(15a)의 양측 돌출부 각각은 상기 손잡이의 요홈의 내주면과 상기 'ㄷ'자형 안내 레일의 양측 돌출부의 외주면 사이에 활주 가능하게 삽입되고, 이에 따라 손잡이(15)를 당기거나 누르면 그 높이를 상하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ㄷ'자형 지지 레일(15a)의 상단부에 손잡이(15)의 내면 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를 형성시키고 이와 함께 'ㄷ'자형 안내 레일(15b) 하단에는 쓰레기 수납함(11)의 외면 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를 형성시켜서, 손잡이가 최고 높이까지 인출되었을 때에 상기 두 개의 돌기가 서로 걸리도록 함으로써, 손잡이가 위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ㄷ'자형 지지 레일(15a)의 양측 돌출부의 외면과 'ㄷ'자형 안내 레일(15b)의 양측 돌출부의 내면에 요철부를 수직 방향으로 번갈아 형성하게 되면 상기 두 레일(15a, 15b)의 요철부가 서로 맞물리면서 서로 쉽게 미끄러지지 않게 되어 손잡이(15)를 소정의 높이에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쓰레받기(1)의 사용 예를 보면, 사용자는 우선 자기의 키에맞게 손잡이(15)를 잡아당겨서 쓰레받기(1)를 들고 다니면서 청소를 하게 된다. 큰 쓰레기를 쓸어 담을 경우에는 뚜껑(15)을 내리고서 뚜껑(15)의 경사면을 거쳐서 격판(12)에 의해 구획된 쓰레기 수납함(11)의 위층 공간으로 쓰레기를 쓸어 담는다. 이어서 일례로, 먼지, 모래, 흙 등과 같은 작은 쓰레기를 쓸어 담을 필요가 있게 되면, 뚜껑(15)을 들어올려서 위로 젖힌 상태에서 쓰레기 수납함(11)의 아래층 공간으로 작은 쓰레기를 쓸어 담는다. 이렇게 해서 상하 2개 층 공간에 구분되어 수납된 각각의 쓰레기는 그 각각의 폐기 장소에 분리하여 버릴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쓰레받기의 쓰레기 수납함이 격판에 의해 2개 층으로 구획되어 있으므로, 그 각각의 층에 다른 종류의 쓰레기를 쓸어 담을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쓰레기를 모아 담을 때부터 큰 쓰레기와 먼지, 모래, 흙 등의 작은 쓰레기를 서로 분리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쓰레기의 분리 수거를 위생적으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먼지, 모래, 흙 등은 다른 쓰레기와 구분하여 쓸어 담을 수 있으므로 쓰레기를 쓸어 담을 때마다 먼지가 날리는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쓰레받기 손잡이의 높이를 사용자의 키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쓰레받기에 쓰레기를 담을 때마다 허리를 굽혀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되며 청소 중에 들고 다니는 데 있어서의 불편함도 해소된다.

Claims (3)

  1. 쓰레기 수납함(11)과, 쓰레기 수납함(11)의 좌우 양측에 부착되는 손잡이(15)를 구비하는 쓰레받기(1)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수납함(11)은 입구에서부터 후미 폐쇄 단부까지 수평으로 연장 및 체결되는 격판(12)에 의해 상하 2개 층의 쓰레기 수납 공간으로 구획되고, 쓰레기 수납함(11)의 입구측에서의 상기 격판(12)의 선단에는 아래층의 쓰레기 수납 공간의 입구를 개폐시키는 뚜껑(14)이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받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12)과 뚜껑(14)이 투명한 판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받기.
  3. 쓰레기 수납함(11)과, 쓰레기 수납함(11)의 좌우 양측에 부착되는 손잡이(15)를 구비하는 쓰레받기(1)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수납함(11)은 입구에서부터 후미 폐쇄 단부까지 수평으로 연장 및 체결되는 격판(12)에 의해 상하 2개 층의 쓰레기 수납 공간으로 구획되고; 쓰레기 수납함(11)의 입구측에서의 상기 격판(12)의 선단에는 아래층의 쓰레기 수납 공간의 입구를 개폐시키는 뚜껑(14)이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쓰레기 수납함(11)의 외면과 대면하는 상기 손잡이(15)의 내면에는 높이 방향에서 하단으로부터 일정 높이까지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 내에는 'ㄷ'자형의 안내 레일(15b)이 상하로 길게 삽입되어 체결되고, 이에 대응하는 쓰레기 수납함(11)의 외면에는 상기 손잡이(15)의 요홈의 내주면과 상기 'ㄷ'자형 안내 레일(15b)의 외주면 사이에 삽입되어서 손잡이(15)의 상하 이동을 지지하는 'ㄷ'자형 지지 레일(15a)이 수직 방향으로 체결됨으로써 손잡이(15)의 높이가 상하로 조절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쓰레받기.
KR2020010020982U 2001-07-11 2001-07-11 분리 수거용 이중 쓰레받기 KR2002531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982U KR200253104Y1 (ko) 2001-07-11 2001-07-11 분리 수거용 이중 쓰레받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982U KR200253104Y1 (ko) 2001-07-11 2001-07-11 분리 수거용 이중 쓰레받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3104Y1 true KR200253104Y1 (ko) 2001-11-17

Family

ID=73104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982U KR200253104Y1 (ko) 2001-07-11 2001-07-11 분리 수거용 이중 쓰레받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1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811Y1 (ko) 2009-09-08 2011-09-27 임건빈 석쇠 운반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811Y1 (ko) 2009-09-08 2011-09-27 임건빈 석쇠 운반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8024B2 (en) Trash container with a vacuum
US5390812A (en) Wastebasket liner removal device
KR101841240B1 (ko) 쓰레기 분리수거함
US11208775B2 (en) Portable animal waste collection and storage apparatus
KR200253104Y1 (ko) 분리 수거용 이중 쓰레받기
GB2095978A (en) Refuse bins
CN210853865U (zh) 一种景观式环保垃圾桶
KR101255988B1 (ko) 쓰레기 배출기능이 부설된 자동 개폐형 쓰레받이
KR102088225B1 (ko) 쓰레받기 일체형 쓰레기통의 쓰레받기 승강장치
KR200460655Y1 (ko) 재활용 분리수거함
TW201736225A (zh) 儲藏容器,特別是一種儲藏箱體
KR101930712B1 (ko) 쓰레받기 일체형 쓰레기통
US6240594B1 (en) Brushing implement combining broom, dustpan and refuse can
KR200443879Y1 (ko) 쓰레기 수거용기의 뚜껑 구조체
KR200368808Y1 (ko) 저장공간이 구비된 쓰레받기
JPH052732Y2 (ko)
KR200250230Y1 (ko) 건축물 현관바닥 시공물
KR20200142414A (ko) 분리수거 쓰레받기
CN214826152U (zh) 一种便于分类的新型垃圾桶
CN205312329U (zh) 一种厨房垃圾收纳盒
KR102371955B1 (ko) 내용물 배출 수단이 구비된 쓰레받기
JPS62269801A (ja) ゴミ袋用箱
KR970004709Y1 (ko) 일체형 분리 수거용 쓰레기통
RU131366U1 (ru) Урна для мусора
KR200365696Y1 (ko) 일체형 청소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