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1838Y1 - 배급수관 연결부를 구비한 밸브 - Google Patents

배급수관 연결부를 구비한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1838Y1
KR200251838Y1 KR2019990012260U KR19990012260U KR200251838Y1 KR 200251838 Y1 KR200251838 Y1 KR 200251838Y1 KR 2019990012260 U KR2019990012260 U KR 2019990012260U KR 19990012260 U KR19990012260 U KR 19990012260U KR 200251838 Y1 KR200251838 Y1 KR 2002518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red surface
nut
retainer
socket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22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7191U (ko
Inventor
이진홍
Original Assignee
이진홍
서진전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홍, 서진전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진홍
Priority to KR20199900122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1838Y1/ko
Publication of KR199900371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1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18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1838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수도꼭지나 배급수관 분기부에 연결되는 밸브 본체에 수도배급수관을 누수없이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구비한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배급수관 연결부 입구부 내주면에 외측으로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면(12)이 형성되어 관이 삽입되는 원통형 연결소켓(10); 상기 소켓(10)의 테이퍼면(12)에 삽입되는 환형 탄성패킹(13); 상기 소켓(10)의 입구부 외주면에 나사결합되고, 내주면에 테이퍼면(15)이 형성된 너트(14); 외주면이 상기 너트(14)의 테이퍼면과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진 테이퍼면(19)으로 이루어지고, 일부분이 절개된 절개부(17)를 구비한 환형 리테이너(16); 상기 리테이너(16)의 내벽에서 돌출되도록 리테이너(16)에 원주방향으로 장착되는 다수의 볼(18); 상기 패킹(13)과 리테이너(16) 사이에 장착되는 와셔(20);를 구비하고, 상기 소켓의 테이퍼면(12)에 패킹(13)을 장착하고, 상기 너트의 테이퍼면(15)에 리테이너(16)를 장착하고, 둘 사이에 와셔(20)를 배치한 상태에서 너트(14)를 소켓(10)에 초기결합한 뒤, 배급수관(D)을 너트(14)에 삽입하고 너트(14)를 조이면 액체의 누설이 전혀 없는 배급수관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급수관 연결부를 구비한 밸브{Valve having pipe connecting part}
본 고안은 배급수관 연결부를 구비한 밸브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지수전(止水栓)이나 배급수관 분수(分水栓)에 연결되는 밸브 본체에 수도배급수관을 누수없이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구비한 밸브에 관한 것이다.
상수도 배관은 정수장에서 배수지를 연결하는 송수관, 배수지에서 가정집 직전의 골목까지 연결하는 배수관, 및 배수관에서 가정집까지 연결하는 급수관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국내 상수도 누수율은 선진국에 비해 상당히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국내 상수도 누수량중의 약 80~85%는 전술한 배수관과 급수관(이하, 통칭하여 '배급수관'이라 한다)에서 누수되는 형편이다. 특히, 배급수관중에서도 배수관에서 급수관으로 수도물을 분기하는 분수전과 물의 흐름을 차단하는 지수전에 장착되는 밸브에서 누수되는 수도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밸브에 배급수관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조 자체가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고, 단순한 패킹과 볼트결합에 의한 배급수관연결구조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의 주철관, 동관, 합성수지관 등을 배급수관 연결부의 밸브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스패너 등의 공구를 이용한 볼트너트 조임, 패킹설치 등의 많은 인력이 소요되어 작업이 번거로움은 물론, 접속부의 강도가 약해지며 수도물의 누수가 근본적으로 방지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작업자가 공구 없이도 간단히 수작업으로 밸브에 배급수관을 연결할 수 있어 배급수관시공시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접속부의 강도의 저하를 방지함은 물론, 밸브 연결부의 누수도 완벽히 방지되는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부분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의 분해상태의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리테이너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기부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밸브본체 B,C.. 연결부
D.. 배급수관 10.. 소켓
14.. 너트 16.. 리테이너
18.. 볼 20.. 와셔
상기 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밸브는,
수도배급수관 연결부에 장착되는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의 배급수관 연결부 입구부 내주면에 외측으로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면(12)이 형성되어 배급수관이 삽입되는 원통형 연결소켓(10);
상기 소켓(10)의 테이퍼면(12)에 장착되는 환형 탄성패킹(13);
상기 소켓(10)의 입구부 외주면에 나사결합되고, 내주면에 테이퍼면(15)이 형성된 너트(14);
외주면이 상기 너트(14)의 테이퍼면과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진 테이퍼면(19)으로 이루어지고, 일부분이 절개된 절개부(17)를 구비한 환형 리테이너(16);
상기 리테이너(16)의 내벽에서 돌출되도록 리테이너(16)에 원주방향으로 장착되는 다수의 볼(18);
상기 패킹(13)과 리테이너(16) 사이에 장착되는 와셔(20);를 구비하고,
상기 소켓의 테이퍼면(12)에 패킹(13)을 장착하고, 상기 너트의 테이퍼면(15)에 리테이너(16)를 장착하고, 둘 사이에 와셔(20)를 배치한 상태에서 너트(14)를 소켓(10)에 초기결합한 뒤, 배급수관(D)을 너트(14)에 삽입하고 너트(14)를 조이면 액체의 누설이 전혀 없는 배급수관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밸브의 본체(A)는 수도용 지수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고안의 밸브에 있어서, 그 본체(A)는 수도용 새들분수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밸브의 상기 패킹(13)의 외주면은 상기 소켓(10)의 테이퍼면(12)과 대응하는 테이퍼면(17)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밸브를 적용하여 수도용 지수전에 배급수관을 연결한 상태의 부분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본체(A)와 일체로 그 양측에 연결부(B,C)가 있으며, 그중 한쪽 연결부(B)가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은 배급수관 연결구조를 갖는다. 물론, 반대쪽 연결부(C)의 구조는 어떤 구조도 가능하여, 연결부(B)와 동일한 구조이어도 좋고 다른 구조이어도 좋다. 도면에는 연결부(C)가 연결부(B)와 다른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3을 참조하여 연결부(B)의 상세한 구조를 설명한다. 연결부 소켓(10)은 대략 원통형으로서 밸브의 본체(A) 측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소켓(10)의 내부에 배급수관(D)의 단부가 삽입된다. 소켓(10)의 내부 끝에는 안쪽을 향해 돌출한 돌출턱(11)이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턱(11)에 배급수관(D)이 걸려 배급수관의 삽입이 제한된다. 소켓(10)의 입구 단부 내주면에는 바깥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확장되는 테이퍼면(12)이 형성되어 있고, 이 테이퍼면(12)에 고무 등의 탄성제로 구성된 패킹(13)이 장착된다.
소켓(10)의 외면에는 나선부가 형성되고, 이곳에 너트(14)가 나사결합된다. 상기 너트(14)의 내면에는 테이퍼면(15)이 형성되고, 이 테이퍼면(15)에 환형 리테이너(16)가 장착된다. 상기 리테이너(16)는 플라스틱제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링 형태의 일부가 절개되어 절개부(17)를 형성한다. 따라서, 리테이너(16)의 직경이 대소변동 가능하다. 또, 리테이너(16)에는 여러개의 스테인리스 볼(18)이 삽입되어 있다. 각각의 볼(18)의 일부는 리테이너(16)의 내벽에서 약간 돌출되어 있다. 또, 리테이너(16)의 외주면에는 테이퍼면(19)이 형성되고, 이 테이퍼면(19)의 경사각도는 너트의 테이퍼면(15)과 일치한다. 따라서, 너트의 테이퍼면(15)에 리테이너(16)가 장착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압력을 가하면 리테이너(16)가 테이퍼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그 직경이 작아지므로, 각각의 볼(18)이 관(D)의 외면을 압착하게 된다. 상기 패킹(13)과 리테이너(16) 사이에는 금속제 와셔(20)가 장착된다.
이어서, 배급수관(D)의 접속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소켓(10)의 테이퍼면(12)에 패킹(13)을 장착하고, 너트(14)의 테이퍼면(15)에 리테이너(16)를 장착한다. 다음에, 리테이너의 외측에 와셔(20)를 부착한 상태에서, 너트(14)를 소켓(10)에 나사결합한다. 이 단계에서는 나사결합 초기단계로서, 패킹(13)과 리테이너(16)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패킹(13)은 팽창된 상태에 있으며, 그 일부는 테이퍼면(12)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리테이너(16)도 직경이 확장된 상태에 있고, 일부가 테이퍼면(15)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렇게 초기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관(D)을 삽입한다. 패킹(13)과 리테이너(16)에는 압력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관(D)을 삽입하는데 지장이 거의 없다. 이때의 관의 삽입량은 통상 관의 단부가 돌출턱(11)과 맞닿을 때까지 진행한다. 그후, 너트(14)를 돌려 단단히 조인다. 이런 조임에 의해 패킹(13)과리테이너(16)는 양쪽에서 좁혀지고, 패킹(13)이 압축됨과 동시에 그 반발력이 와셔(20)를 통해 리테이너(16)로 전달되고, 리테이너(16)는 테이퍼면(15)의 안쪽으로 압입된다. 따라서, 리테이너(16)의 직경이 축소되어 볼(18)이 관(D)의 표면을 압착한다. 이때 볼에 의한 압착력이 상당히 커져, 배급수관(D) 벽이 얇은 경우에는 관벽에 홈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관(D)이 강력하게 고정되고, 임의로 분리되지 않는다.
일단 접속된 관(D)을 분해할 경우에는, 너트(14)를 돌려 나사결합을 해제한다. 그 결과, 패킹(13)과 리테이너(16)에 작용하던 압축력이 해제되어, 리테이너(16)는 복원력에 의해 테이퍼면(15)을 따라 바깥쪽으로 이동하면서 직경이 넓어진다. 따라서, 볼(18)이 관(D)에서 빠져나와, 관(D)을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본체(A)가 수도용 분수전에 배치되어 있다. 이 분수전은 수도본관에서 갈라져 분기로를 형성하는데 이용된다. 여타 부분의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E는 새들로서, 새들을 이용해 수도본관에 밸브를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분수전을 새들분수전이라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밸브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자유롭게 변형이 가능하게 실시될 수 있다. 특히, 접속부(C)의 구조는 자유롭다. 또, 밸브는 그 종류에 제한이 없으며, 전술한 지수전이나 새들분수전에 설치되는 것은 물론 각종 수도용 밸브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밸브의 연결부는 너트의 체결에 의해 리테이너의 직경이 축소되기 때문에 볼을 관의 외면에 압착하는 방식이므로, 관에 특별한 가공을 전혀 하지 않고도 접속이 가능하다. 특히, 본 고안에 의하면, 배급수관접속에 소요되는 작업이 너트를 조이는 것 외에는 없으므로, 극히 단순하다. 또, 본 고안에 의하면, 테이퍼면의 경사를 이용해 볼에 압착력을 부여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압착력이 강하고, 볼이 관의 외표면에 눌려진다. 따라서 두께가 얇아 홈이 생기기 쉬운 스테인리스 강관에 특히 적합하며, 특히 접속강도가 높아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또, 본 고안에 의하면, 접속후 해체할 경우에도, 공구 없이 손으로 너트를 풀어주기만 하면 되므로, 작업이 극히 간단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밸브를 이용하면 특히 스테인리스 강관의 배급수관시공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Claims (4)

  1. 수도배급수관 연결부에 장착되는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의 배급수관 연결부 입구부 내주면에 외측으로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면(12)이 형성되어 배급수관이 삽입되는 원통형 연결소켓(10);
    상기 소켓(10)의 테이퍼면(12)에 장착되는 환형 탄성패킹(13);
    상기 소켓(10)의 입구부 외주면에 나사결합되고, 내주면에 테이퍼면(15)이 형성된 너트(14);
    외주면이 상기 너트(14)의 테이퍼면과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진 테이퍼면(19)으로 이루어지고, 일부분이 절개된 절개부(17)를 구비한 환형 리테이너(16);
    상기 리테이너(16)의 내벽에서 돌출되도록 리테이너(16)에 원주방향으로 장착되는 다수의 볼(18);
    상기 패킹(13)과 리테이너(16) 사이에 장착되는 와셔(20);를 구비하고,
    상기 소켓의 테이퍼면(12)에 패킹(13)을 장착하고, 상기 너트의 테이퍼면(15)에 리테이너(16)를 장착하고, 둘 사이에 와셔(20)를 배치한 상태에서 너트(14)를 소켓(10)에 초기결합한 뒤, 배급수관(D)을 너트(14)에 삽입하고 너트(14)를 조이면 액체의 누설이 전혀 없는 배급수관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급수관 연결부를 구비한 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의 본체(A)가 수도용 지수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급수관 연결부를 구비한 밸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의 본체(A)가 수도용 새들분수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급수관 연결부를 구비한 밸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13)의 외주면이 상기 소켓(10)의 테이퍼면(12)과 대응하는 테이퍼면(17)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급수관연결부를 구비한 밸브.
KR2019990012260U 1999-06-30 1999-06-30 배급수관 연결부를 구비한 밸브 KR2002518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260U KR200251838Y1 (ko) 1999-06-30 1999-06-30 배급수관 연결부를 구비한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260U KR200251838Y1 (ko) 1999-06-30 1999-06-30 배급수관 연결부를 구비한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191U KR19990037191U (ko) 1999-10-05
KR200251838Y1 true KR200251838Y1 (ko) 2001-11-15

Family

ID=54757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2260U KR200251838Y1 (ko) 1999-06-30 1999-06-30 배급수관 연결부를 구비한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183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191U (ko) 199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5887A (en) Plumbing hookup kit
US7469936B2 (en) Pipe coupling
CA1195713A (en) Pipe coupling
CA2459637C (en) Pipe coupling
CN101520114A (zh) 管道的连接装置
US3357678A (en) Mechanism for mounting a liquid valve
KR200390447Y1 (ko) 대형 배수관 연결용 볼클립 조인트
KR200258641Y1 (ko) 스테인리스 배급수관 연결기구
KR200251838Y1 (ko) 배급수관 연결부를 구비한 밸브
CN201401578Y (zh) 管道的连接装置
US20060163872A1 (en) Pipe coupling
KR100613854B1 (ko) 합성수지 배관재의 연결장치
CN210661824U (zh) 用于软管连接的接头结构
KR20030060561A (ko) 파이프와 플랜지의 연결구조
JP3806216B2 (ja) 流体の分岐方法
EP1386108A1 (en) A pipe fitting comprising a body and a nut
KR100278579B1 (ko) 밸브기능을 갖는 관체 연결구
KR200396344Y1 (ko) 합성수지 배관재의 연결장치
JP2011256945A (ja) 拡管式管継手
KR200283868Y1 (ko) 관이음장치
KR200155606Y1 (ko) 합성수지관 접속구
RU2338841C1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фасонная часть сборного полимерного водопроводного и канализационно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KR100600072B1 (ko) 관체접속구 및, 관체접속구를 구비한 배수밸브
KR970002931Y1 (ko) 배관용 관마개
KR200246840Y1 (ko) 오-링형 배관 이음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