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1649Y1 - 포대제조용 합지 및 합지포대 - Google Patents

포대제조용 합지 및 합지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1649Y1
KR200251649Y1 KR2020010022226U KR20010022226U KR200251649Y1 KR 200251649 Y1 KR200251649 Y1 KR 200251649Y1 KR 2020010022226 U KR2020010022226 U KR 2020010022226U KR 20010022226 U KR20010022226 U KR 20010022226U KR 200251649 Y1 KR200251649 Y1 KR 2002516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bag
corrugated
core
aqueous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22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구화
Original Assignee
신덕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덕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덕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222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16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16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1649Y1/ko
Priority to CNB028148363A priority patent/CN1258467C/zh
Priority to PCT/KR2002/001258 priority patent/WO2003010055A1/en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포대제조용 합지 및 합지포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 합지는 2장의 골심지 사이에 보강수단으로 합성수지사 등을 망사형태로 삽입하고 환경친화적인 수성접착제로 접착하여 제조한 중포대 및 경포대용 합지이다. 본 고안 합지로 제조한 포대는 강도나 기타 물성면에서 크라프트지 포대보다 더 양호한 특성을 지니는바, 파대의 발생이 거의 없고, 시멘트 팩킹시 분진의 발생이 감소되며, 골심지 결합제로 사용된 합성수지의 피막형성으로 인한 방수효과가 탁월하여 장기간 보관하여도 내용물이 변질되지 않는다.

Description

포대제조용 합지 및 합지포대{Combined medium paper for kraft paper bag and the bag thereof}
본 고안은 포대제조용 합지 및 합지포대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골심지(medium paper)를 이용하여 시멘트, 제당, 제분, 사료 등을 포장할 수 있는 중·경 포장용지대(포대)를 만드는 합지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한 합지포대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시멘트, 제당, 제분, 사료 등 내용물이 중량물인 경우, 중포장대는 크라프트지와 같은 강도가 큰 종이를 3, 4겹 중첩하여 제조하고 있다.
그런데, 근년에 와서 크라프트지의 원료인 펄프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원가를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크라프트지와 크라프트지 사이에 통기공이 뚫린 합성수지 필름을 넣고 열접착시키거나(실용신안등록 실1985-1644호), 또는 크라프트지에 폴리에틸렌 필름을 라미네이팅시킨 합지(실용신안등록 실1996-7485)가 개발된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통기공이 있는 합성수지 필름과의 샌드위치 합지포대는 오래 보관할 경우 습기의 침투로 인해 내용물이 변질되는 경우가 있고(실용신안등록 실1985-1644호), 또 통기공이 없으면 유연성이 부족한 합지포대는 그 내부 어딘가에 에어포켓이 존재하게 되어, 이를 옮기고 저장하는 과정중에 낙하충격에 의한 파열(실용신안등록 실1996-7485호)이 일어날 수 있어 실제로는 실용화가 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 더 중요한 문제점은 이들은 분리가 어려워서 재활용할 수가 없다는 것이고, 폐기시에도 유독가스가 발생하고 생분해도 어려워서 폐기물 공해를 일으키는 등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 기술로는 특허등록 특1985-457호 및 공개특허 특1999-73142호를 들 수 있는바, 특1985-457호에서는 크라프트지로 된 포대종이 표면에 산화중합 가능한 인쇄잉크계 결합제를 일정하게 경사지도록 간격을 두고 대상(帶狀)으로 인쇄하듯이 발라서 다른 포대종이와 합지하여 포대제조용 복합지를 제조하고 있고, 특1999-73142호에서는 두장의 크라프트지 사이에 P.E사로 된 망사를 수용성 접착제를 사용하여 경사지게 보강시켜서 된 포대의 제조방법을 공개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선 기술 또한 전술한 종래기술의 단점을 개량하였다고는 하나 여전히 장기저장에 따른 내용물의 변질문제와 파대 문제가 뒤따르게 되는데, 특히 시멘트를 포장할 경우는 에어송출방식에 의해 팩킹할 때 에어가 미쳐 빠지지 못하는 고로 에어포켓이 생겨서 중량미달이 되고, 또 포대속에 남아있는 공기가 원인이 되어 변질(시멘트가 굳어진다) 및 파대가 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노출되어 현재의 4플라이 크라프트지 포대를 대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합지를 만들어서 2플라이나 3플라이로 하는 가장 주된 이유는 원가절감이 목적인바, 실제로 합지를 만들 때 드는 비용이 고가의 크라프트 원지를 그대로 써야함으로 많은 원가절감이 되는 것도 아니어서, 그리고 품질상으로도 위와 같은 변질문제, 파대문제, 중량미달문제가 뒤따르는 등 해결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어서 실용화가 안되고 있는 형편이다.
이에 본 고안자들은 중포장용 포대의 제조원가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품질면으로도 현재의 4플라이 크라프트지 포대를 능가할 수 있는 방안을 안출하게 되어 본 고안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투습의 염려가 없어 장기간 보관시에도 내용물의 변질의 우려가 없는 포대제조용 합지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한 중포장용 포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제품을 수송, 하역 보관시에도 파손이나 오염의 우려가 없는 포대제조용 합지 및 포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하나의 목적은 시멘트 같은 분말제품을 팩킹할 때에도 중량미달이나 분말휘산 등의 제조공정상의 문제점이 없이 팩킹이 가능한 포대제조용 합지 및 포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산업폐기물이나 환경공해 등의 문제없이 재활용이 가능한 포대제조용 합지 및 포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본 고안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당업계 최초로 골판지 박스의 중심지(S-원지)로 밖에 쓸 수 없는 골심지를 개량하여 합지로 제조함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였다. 근본적으로 골심지는 섬유가 단섬유로 구성되어 있어서 큰 강도(인열강도, 인장강도, 파열강도, 충격강도 등)를 요하는 중포장용 포대 제조용으로는 사용할 수가 없었다. 이제까지 골심지를 사용하여 포대제조용 합지를 제조하거나 골심지를 사용하여 제조한 중포장용 포대의 예는 찾아 볼 수 없다.
도 1은 종래의 4플라이 크라프트지 포대 구조를 보여주는 절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 합지의 적층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합지의 적층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2플라이 합지포대의 구조를 보여주는 절개정면도.
도 5는 도 4 합지포대의 한쪽면 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3플라이 합지포대의 구조를 보여주는 절개정면도.
도 7은 도 6 합지포대의 한쪽면의 횡단면도.
도 8은 본 고안 4플라이 합지포대의 구조를 보여주는 절개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합지포대 20, 21: 합지
2a, 2e: 골심지 2b, 2d: 접착제
2c: 합성수지사 3a: 크라프트지(일반)
3b: B크라프트지
본 고안은 골심지를 사용하여 합지를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 합지는 1장의 골심지에 보강수단으로 환경친화적인 수성접착제(수성코팅제)를 코팅하고 여기에 다른 1장의 골심지를 접착하여 골심지의 강도를 높인, 및/또는 합성수지사 등을 망사형태로 삽입하고 접착하여 강도를 높인 중포대 및 경포대 제조용 합지 및 그것으로 만든 포대이다.
본 고안에 사용되는 접착제는 유성접착제가 아닌 공지의 수성접착제로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비닐알코올(PVA), 아크릴에멀죤 접착제를 사용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물성 개량제인 공지의 유연제, 폴리졸, 전분 등을 첨가 사용하였다.
본 고안에 사용되는 보강사로는 폴리프로필렌사, 폴리에스테르사가 주로 사용되는데 지프라기실이나 종이실도 사용될 수 있다. 보강사의 종사와 횡사의 간격은 5㎜∼30㎜의 간격으로 제품 사용용도에 따라 적합하도록 조정이 가능하며 포대에 대해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또는 경사지게 망사형태로 접착된 형태의 구성을 갖는다.
본 고안의 골심지 합지는 공지의 합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바, 접착제로는 수성아크릴에멀죤 70wt%, EVA 29wt%, 유연제 1wt%로 된 접착제 조성물을 로울러를 사용하여 상지에 도포하고, 망사는 로울러를 타고 이동하는 하지에 놓여져서 서로 결합된 후, 2개의 압착로울러 사이로 통과하면서 접착되거나, 또는 망사 없이 접착제만 상지에 도포하여 결합된다. 다음 이 결합된 합지는 4∼6개의 가열로울러를 통과하면서 건조되어 최종적으로 권취로울러에 감겨지게 된다. 수성접착제의 경우는 건조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여러개의 건조로울러가 필요하다.
또한 본 고안에 사용되는 포대의 외지로는 일반 크라프트지가 주로 사용되나 내지의 경우는 B크라프트지, OY크라프트지도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합지 및 합지 포대와 관련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4플라이 크라프트 포대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절개 정면도로서, 4장의 크라프트지(3a)를 겹쳐서 제조한 포대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고,
도 2와 도3은 본 고안 골심지 합지의 적층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도 2는 골심지층(2a)과 접착제층(2b), 합성수지사층(2c), 접착제층(2d), 골심지층(2e)이 차례대로 적층된 합지(20)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고, 도 3은 골심지층(2a)과 접착제층(2b), 골심지층(2e)이 차례대로 적층된 합지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 4와 도5는 본 고안의 2플라이 합지포대(10)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일 실시예로서, 외지는 1장의 크라프트지(3a)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의 내지는 본 고안 합지(20)로 구성되어 있다. 내지인 본 고안 합지(20)는 그 중심에 보강제인 PP사(2c)가 존재하고, 그 양면에 접착제(2b, 2d), 표리 양면에 골심지(2a, 2e)가 적층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6과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3플라이 합지포대로서 1장의 크라프트지 외지(3a)와 합지로 된 중간지(20), 1장의 B크라프트지 내지(3b)로 구성되어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한 4플라이 합지포대로서 1장의 크라프트지 외지(3a)와, 합지로 된 중간지(21) 2장, 1장의 B크라프트지 내지(3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 외에도 여러 가지 중·경포장용 포대의 구조가 있을 수 있는바, 예컨대, 크라프트지+골심지+합지(내지) 구조의 3플라이 합지포대, 크라프트지+골심지+합지+B크라프트지 구조의 4플라이 합지포대 등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 합지로는 포대의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타잎의 지대로 만들 수가 있는바, 봉제타잎, 호첨타잎, 핀치백(Pinch bag)타잎, 이지오픈(Easy open)타잎, 페이스티드 밸브백(Pasted valve bag) 타잎 등 공지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봉제타잎 구조의 포대를 제조함에 있어, 또 하나의 중요한 인자는 포대의 상하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재봉부(4) 공정이다. 재봉부(4)는 포대 개구단부에 크립테이프와 휠라코트를 대고 면실로 재봉하여서된 부분을 말한다.
통상 시멘트는 공장에서 7㎏/㎠의 압력으로 공기와 함께 세워진 포대로 들어가 채워지는데, 이때 공기는 재봉부(4)의 바늘땀 구멍을 통해서 새어 나오게된다. 그런데, 바늘땀 구멍이 너무 크거나 매끄러우면 공기와 함께 시멘트 분진이 배출되어 포대표면을 오염시키게되며, 또 저장 중에나 이동 중에 습기가 드나들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조건으로 선 기술인 특1999-73142호에서는 실은 16합사, 27번 바늘을 이용하여 재봉간격 8 - 10㎜의 간격으로 봉제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크라프트지는 바늘땀 구멍이 매끄럽기 때문에 1플라이 또는 2플라이 지대만으로는 시멘트분진의 방출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이 없다. 그래서, 크라프트지 포대는 통상 3∼4플라이 지대가 사용되고 있다. 3∼4플라이 지대를 사용하면 여러 겹으로 되어있어 견고하기도 하지만 바늘땀 구멍이 서로 겹쳐져서 분진의 방출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고안 포대의 특이한 효과는 기존의 크라프트지 포대와는 비교할 수 없는 시멘트 분진발생의 감소효과와 더불어 장기간 보관하여도 시멘트가 경화되어 폐기되는 일이 없어 손실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는데 있다. 즉, 본 고안의 경우는 골심지가 단섬유로 이루어졌고, 어느 정도 두께가 있어서 바늘땀 주위에 필터역할을 할 수 있는 보푸라기가 생기고, 이보푸라기는 공기는 쉽게 통과시키지만 시멘트 가루는 빠져나올 수 없게 하는 필터역할을 한다. 또한, 골심지의 매끄럽지 못한 표면은 공기가 포대 밖으로 배출될 때에 와류현상을 만들므로 시멘트 가루가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도와줘서 분진발생을 줄일 수 있다.
본 고안의 경우, 공기가 시멘트 분진 없이 원활히 빠질 수 있도록 하는 봉제방법은, 바늘은 25번 또는 26번 바늘을 사용하고, 바늘땀수는 38∼43개, 면실은 6∼15 합사로 봉제했을 때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얻는다. 상기 조건을 벗어 날 경우는 분진의 발생이 과다하거나 공기가 포대 내에 존재하게 되어 중량미달 및 파대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특히, 포대 내부에 공기가 남아 있으면, 시멘트가 싸이로에서 나와 포대에 채워질 때의 온도가 70∼80℃는 되므로, 외부와의 온도차가 커서 이로 인한 결로현상이 발생할 수가 있고, 이는 시멘트가 굳어지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경우는 포대를 만들 때에 속지는 본 고안 합지로 하고 겉지로는 반드시 크라프트지를 사용하여 제조함으로써 표면에 분진의 접착을 방지하고 인쇄상태를 양호하게 하였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 포대제조용 합지는 골판지 용도 외에는 거의 쓸모가 없는 골심지(중심지, S원지)를 이용하여 고가의 포대제조용 크라프트지를 대체할 수 있도록 한 지대용 합지로서 원가면은 물론 폐지의 재활용측면에서도 획기적 고안이라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고안 합지로 제조한 포대는 강도나 기타 물성면에서 크라프트지 포대보다 더 양호한 특성을 지니는바, 파대의 발생이 거의 없고, 시멘트 팩킹시 분진의 발생이 감소되며, 방수효과가 탁월하여 장시간 보관하여도 내용물이 변질되지 않는다.

Claims (8)

  1. 2장의 골심지를 수성접착제로 접착하여서 된 골심지층, 수성접착제층, 골심지층이 차례대로 적층된 구조의 포대제조용 합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접착제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알코올, 아크릴에멀죤 접착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2이상의 혼합 접착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제조용 합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에는 물성 개량제로서 유연제, 폴리졸, 전분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성분을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제조용 합지.
  4.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접착제층에는 보강사로 폴리프로필렌사, 폴리에스테르사, 지프라기실 또는 종이실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망사형태로 더 함유하여서 된 골심지층, 수성접착제층, 보강사층, 수성접착제층, 골심지층이 차례대로 적층된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포대제조용 합지.
  5. 중포대용 2∼4 플라이 포대에 있어서, 상기 2∼4 플라이 중 외지와 내지 1∼2 플라이는 크라프트지로 하고 나머지 1∼2 플라이는 골심지 합지로 하되, 상기 골심지 합지는 2장의 골심지를 수성접착제로 접착하여서 된 골심지층, 수성접착제층, 골심지층이 차례대로 적층된 구조의 합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합지 포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골심지 합지는 2장의 골심지 사이에 보강수단으로 합성수지사, 지프라기 또는 종이사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망사형태로 삽입하거나, 또는 삽입하지 않고, 수성접착제로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알코올, 아크릴에멀죤 접착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2 이상의 접착제로 접착하여서 된 합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합지 포대.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처리 방법은 봉제타잎, 호첨타잎, 핀치백 타잎, 이지오픈 타잎, 페이스티드 밸브백 타잎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방법임을 특징으로 하는 합지 포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타잎은, 바늘은 25번 또는 26번 바늘을 사용하고, 바늘땀수는 38∼43개, 면실은 6∼15 합사로 봉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합지 포대.
KR2020010022226U 2001-07-23 2001-07-23 포대제조용 합지 및 합지포대 KR2002516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226U KR200251649Y1 (ko) 2001-07-23 2001-07-23 포대제조용 합지 및 합지포대
CNB028148363A CN1258467C (zh) 2001-07-23 2002-07-03 纸袋
PCT/KR2002/001258 WO2003010055A1 (en) 2001-07-23 2002-07-03 Paper s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226U KR200251649Y1 (ko) 2001-07-23 2001-07-23 포대제조용 합지 및 합지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1649Y1 true KR200251649Y1 (ko) 2001-11-17

Family

ID=73105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2226U KR200251649Y1 (ko) 2001-07-23 2001-07-23 포대제조용 합지 및 합지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164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273B1 (ko) 2008-03-13 2008-11-18 (주)조은포장 방수용 강화 골판지의 제조방법
KR100924374B1 (ko) * 2008-02-01 2009-10-30 (주)조은포장 수성 접착용 골판지의 제조방법
KR101094720B1 (ko) * 2011-05-16 2011-12-16 (주)티앤비 항균내후성이 우수한 열경화성수지 화장시트로 표면층을 형성한 화장판재 및 그 제조방법
CN109383107A (zh) * 2018-12-22 2019-02-26 浙江欣莱科包装科技有限公司 三层高强度瓦楞纸板
CN109383107B (zh) * 2018-12-22 2024-05-14 浙江欣莱科包装科技有限公司 三层高强度瓦楞纸板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374B1 (ko) * 2008-02-01 2009-10-30 (주)조은포장 수성 접착용 골판지의 제조방법
KR100869273B1 (ko) 2008-03-13 2008-11-18 (주)조은포장 방수용 강화 골판지의 제조방법
KR101094720B1 (ko) * 2011-05-16 2011-12-16 (주)티앤비 항균내후성이 우수한 열경화성수지 화장시트로 표면층을 형성한 화장판재 및 그 제조방법
CN109383107A (zh) * 2018-12-22 2019-02-26 浙江欣莱科包装科技有限公司 三层高强度瓦楞纸板
CN109383107B (zh) * 2018-12-22 2024-05-14 浙江欣莱科包装科技有限公司 三层高强度瓦楞纸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6772A (en) Wetlaid biocomponent web reinforcement of airlaid nonwovens
US20070104905A1 (en) Reinforced bags
FI117622B (fi) Polymeeripinnoitteinen kuumasaumattava pakkausmateriaali, sen valmistusmenetelmä sekä sen käyttö suljettuun pakkaukseen
US4606970A (en) Laminated plastic/non-woven film and its method of manufacture
KR100338659B1 (ko) 박리가능한패키징라미네이트및이의제조방법
PL199323B1 (pl) Laminat papierowy lub kartonowy i sposób jego wytwarzania
JP6732728B2 (ja) 再利用可能な材料
SE519173C2 (sv) Pappers-eller kartonglaminat samt sätt att framställa ett sådant laminat
US4132347A (en) Moisture proof bags provided with blow-in port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251649Y1 (ko) 포대제조용 합지 및 합지포대
US2636835A (en) Stay tape
US4297402A (en) Packaging bag
WO2003010055A1 (en) Paper sack
US5403443A (en) Cardboard with high resistance to tear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4014252A (en) Method of manufacturing bags
US20060283996A1 (en) Reinforced absorbent article
NZ545114A (en) Multi-layer tube of improved physical properties
KR200318731Y1 (ko) 다중 골심지 지대
KR101066466B1 (ko) 곡물 포대 및 그 제조방법
FI58959B (fi) Saett att framstaella armerat pappersmaterial
KR102017555B1 (ko) 위생지용 포장재
KR100721971B1 (ko) 재귀반사 시트 및 그로부터 제조된 재귀반사 실
KR200254965Y1 (ko) 중포장용 지대
US20070068641A1 (en) Strap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uch
KR101464346B1 (ko) 월보드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20710

Effective date: 20030903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20710

Effective date: 20030903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0108

Effective date: 2005092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