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1638Y1 - 넥타이 조절구 - Google Patents
넥타이 조절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51638Y1 KR200251638Y1 KR2020010022112U KR20010022112U KR200251638Y1 KR 200251638 Y1 KR200251638 Y1 KR 200251638Y1 KR 2020010022112 U KR2020010022112 U KR 2020010022112U KR 20010022112 U KR20010022112 U KR 20010022112U KR 200251638 Y1 KR200251638 Y1 KR 20025163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ie
- wall
- operating piece
- strap
- leaf spring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넥타이 끈의 길이 조절이 용이한 넥타이 조절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광하협 형상의 조절구의 몸체와 작동편 사이에 판 스프링을 게재하여 판 스프링 탄성력에의해 작동편을 회동시켜 몸체와 작동편사이에 넥타이 조절끈을 가압하여 넥타이 조절끈의 길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작동편과 조절구가 맏닿는 접촉면으로 요철을 형성하여 가압된 넥타이조절끈이 그 위치에서 견고히 고정되게 하여 넥타이 조절끈이 흘러내려 풀리는 것을 방지하여 넥타이 착용 및 탈각이 용이하도록한 넥타이 조절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넥타이 끈의 길이 조절이 용이하도록한 넥타이 조절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광하협 형상의 조절구의 몸체와 작동편이 힌지결합되며 그 사이에 판 스프링을 게재하여 판 스프링 탄성력에의해 작동편이 회동가능케 하므로서 넥타이 끈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넥타이 조절끈의 길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한 넥타이 조절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넥타이는 사용자의 품위와 단정함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품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넥타이를 살펴보면 양단부의 테이퍼진 형상으로 넥타이 착용시 중앙으로는 역삼각형 형상의 매듭구가 형성되도록하여 폭이넓은 넥타이의 일단부가 전방으로 보여지게 되며, 폭이 좁은 타단이 그 후방에 감춰지도록 매듭착용하는 것이 통상적인 일례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넥타이를 매듭지어 착용하는 경우 매번 착용시마다 매듭을 형성해야만 하고, 특히, 출근이나 등교준비시 시간적인 여유가 없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넥타이를 매는일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많은시간이 소요되므로 여간 불편한 일이 아닐수 없었다.
더욱이, 넥타이를 매다보면 매듭부가 마음에 들지 않게 형성되어졌거나, 초보자의 경우에는 넥타이의 길이를 조절하지 못해 후방으로 감춰저야할 폭이 좁은부분이 전방으로 보여지는 타단의 폭이 넓은 부분보다 길게 매듭이 지여지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게 되었고, 이러한 경우에는 잘못매어진 넥타이를 바로잡기 위해서는 원상태로 해체한후 위치를 조정하여 넥타이를 다시 매듭지어야만하는 번거로움이나 이에 따른 시간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번거로움을 피하기 위해 일부 사용자들은 넥타이를 완전히 풀지않고 넥타이가 착용된 목둘레부위의 넥타이 끈만연장시켜 목에서 빼낸후 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간편화를 기할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간편화를 위해 사용하는 경우에는 2~3 일 정도를 반복해서 착용 및 해체를 반복하다 보면 매듭부의 모양이 일그러져 미관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매듭부의 결속력이 떨어져 넥타이가 쉽게 풀어지는 등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따라서, 근래들어 넥타이 착용시 넥타이 매듭이 일정 형태로 유지되면서도 넥타이를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들이 소개되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일례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은 형태이다.
여기서, 부재번호 100은 매듭부재를 110,120은 걸이끈안내홈, 130은 조임부재, 160은 안내막을 각각 가리킨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넥타이 매듭부내에 내장되어 고정설치되는 대략 'Y'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매듭부재(100)는, 넥타이걸이끈(미도시됨)이 안내되도록 제공되는 상·하부 걸이끈안내홈(110,120)과, 상기 상·하부 걸이끈 안내홈(110,120)의중간부위(예컨데, 상기 'Y'자 형상의 분기점)에 상기 상부 걸이끈안내홈(110)을 통해 하부 걸이끈안내홈(120)측으로 연장되는 넥타이걸이끈이 분산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관통홀(162)을 구비하는 안내막(160)과, 상기 하부걸이끈안내홈(120)부에 힌지결합되어 수용되고, 소정 상·하방향으로 유동시 상기 넥타이걸이끈의 유동을 조절하도록 제공되는 조임부재(13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임부재(130)가 하부 걸이끈안내홈(120)부에 힌지결합되는 것은 그 하부에 걸이끈안내홈(120)의 외측면에 형성된 홈(140)에 상기조임부재 양단면에 일체로 형성된 결합부재(150)(예컨데, 핀·걸림턱)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도 2는 도 1에따른 측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 조임부재(130)의 하측일부위는 돌기부(G)가 형성되고, 그 하측 일부위와 대응되는 상기 하부 걸이끈안내홈(120)의 상면에도 돌기부(G')가 형성되어 넥타이걸이끈을 압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와 같이 결합구성된 매듭구의 경우 넥타이를 착용하거나 탈각할 경우에는 넥타이걸이끈의 길이가 적당한 길이까지 조여진 상태에서 매듭부재와 힌지결합되어 상하회동하는 조임부재를 통해 넥타이 끈을 가압하여 그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넥타이가 흘러내리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넥타이 매듭부재의 경우 넥타이 매듭끈을 조여주기 위해서는 조임부재를 상 방향으로 회동시킨후 원하는 위치까지 매듭끈을 잡아당긴후 그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다시 조임부재를 상술한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동시켜 조임부재와 매듭부재 사이에 넥타이걸림끈을 가압시켜 고정시키는것인데, 이는 넥타이를 착용시나 탈각시 일일이 조임부재를 인력에 의해 회동시켜 넥타이걸림끈을 풀거나 조여주어야 하므로 그에 따른 번거로움이 내제되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조임부재가 가압하는 넥타이 끈이 소정의 두께를 지니고 있어 상기와 같이 결합 형성된 조절구가 넥타이 끈을 가압하기 위해 조임부재를 회동시킬시에는 상당한 인력이 소모되는 것이며, 넥타이 끈의 두께가 두꺼워질 경우에는 끈을 가압하는 조임부재의 회동이 부자연 스러워져 넥타이 끈을 제대로 가압하지 못 하게 되어 넥타이가 흘러내릴 수 있는 문제점이 내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광하협 형상의 조절구의 몸체와 작동편 사이에 판 스프링을 게재하여 판 스프링 탄성력에의해 작동편을 회동시켜 몸체와 작동편사이에 넥타이 조절끈을 가압하여 넥타이 조절끈의 길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작동편과 조절구가 맏닿는 접촉면으로 요철을 형성하여 가압된 넥타이조절끈이 그 위치에서 견고히 고정되게 하여 넥타이 조절끈이 흘러내려 풀리는 것을 방지하므로서 넥타이 착용 및 탈각이 용이하도록한 넥타이 조절구를 제공하는데있다.
상기한 바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상광하협의 얇은 판체로서 판체의 양단으로는 힌지 결합공이 천공되며 중앙내측으로 이탈방지편이 돌설된 외벽이 형성되어지되 판체의 상단부에 비해 적어도 돌출형성되고 외벽의 내측면 하단부로는 판스프링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외벽의 중앙상부 내측으로는 외벽과 일정거리 이격된 가이드벽이 형성되며, 상기 판체의 중앙부로 걸림돌기가 돌설된 작동면이 형성되고 하단부로는 끼움돌기가 돌설된 판스프링 설치구를 갖는 조절구 몸체와, 상광하협의 얇은 판체로서 일정각 하향경사되며 상기 외벽에 형성된 힌지결합공에 결합되는 힌지돌기가 중앙 양측면으로 형성되고 내면으로는 판스프링 설치홈 형성되고 상기 하향경사진 판체의 일단면으로는 가압돌기가 돌설된 가압부를 갖는 작동편과, 상기 몸체와 작동편사이에 게재되며 조절구 몸체의 판스프링 설치구에 형성된 끼움돌기가 끼움고정될 수 있도록 하면으로 안치홈이 형성되며 상면은 작동편에 형성된 판스프링 설치홈에 안치고정되어 상기 조절구 몸체와 힌지결합된 작동편이 탄동할 수 있도록 한 판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조절구를 제공하므로서 달성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넥타이 조절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측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 조절구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 조절구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 조절구의 조절구 몸체의 배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 조절구의 측 단면을 나타낸 측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 조절구의 요부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요부 단면도.
도 8은 본고안에 따른 넥타이 조절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사시도.
*도면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설명*
2: 조절구 몸체 3: 작동편 4: 판스프링
21: 외벽 22: 가이드 벽 23,24: 걸이끈 안내홈
25: 판스프링 설치구 26: 작동면 31: 힌지돌기
32: 가압부 33: 판스프링 설치홈 34: 안착편
41: 끼움공 210: 힌지 결합공 211: 이탈 방지편
212: 판스프링 결합홈 250: 끼움돌기 260: 걸림돌기
320: 가압돌기 W: 넥타이 조절끈
이하 본 고안의 넥타이 조절구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 조절구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 조절구의 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 조절구의 조절구 몸체의 배면을 나타낸 배면도 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 조절구의 측 단면을 나타낸 측 단면도 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 조절구의 요부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요부 단면도 이며, 도 8은 본고안에 따른 넥타이 조절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사시도 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 조절구는 넥타이 조절끈(W)을 가이드하는 조절구 몸체(2)와, 상기 몸체(2)와 힌지 결합되어 회동작용을 하므로서 넥타이 조절끈(W)을 고정시켜주는 작동편(3)과, 상기 조절구 몸체(2)와 작동편(3) 사이에 게재되는 판 스프링(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2)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광하협의 얇은 판체로서 판체의 양단으로는 힌지 결합공(210)이 천공되며 중앙내측으로 이탈방지편(211)이 돌설된 외벽(21)이 형성되어지되 판체의 상단부에 비해 적어도 돌출형성되고 외벽(21)의 내측면 하단부로는 판스프링 결합홈(212)이 형성되며, 상기 외벽(21)의 중앙상부 내측으로는 외벽(21)과 일정거리 이격된 가이드벽(22)이 형성끈 안내홈(23)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판체의 중앙부로 걸림돌기(260)가 돌설된 작동면(26)이 형성되고 하단부로는 끼움돌기(250)가 돌설된 판스프링 설치구(25)를 갖는다.
또한, 상기 작동편(3)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은 형태로서 상광하협의 얇은 판체로서 일정각으로 하향경사되며 상기 외벽(21)에 형성된 힌지결합공(210)에 결합되는 힌지돌기(31)가 중앙 양측면으로 돌설되고 내면으로는 판스프링 설치홈(33) 형성되고 상기 경사진 판체의 일단면으로는 요철형상의 가압돌기(320)가 돌설된 가압부(32)를 지닌다.
여기서, 상기 작동편(3) 상단부로 형성된 가압부(32)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5~30°하향경사를 지니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가압부(32) 일단의 가압돌기(320)는가압부(32) 상면과 40~45°정도의 내향 기울기를 지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판스프링(4)은 도 3 및 도 6과 같이 상술한 몸체(2)와 작동편(3)사이에 게재되는 것인데, 여기서 상술한 조절구 몸체(2)의 판스프링 설치구(25)에 형성된 끼움돌기(250)가 끼움고정될 수 있도록 스프링(4) 하면에 끼움공(41)이 천공되어 외벽(21) 하단부 내면으로 형성된 판스프링 결합홈(212)으로 끼움결합되며 상면은 작동편(3)에 형성된 판스프링 설치홈(33)에 안치고정되어 상기 조절구 몸체(2)와 힌지결합된 작동편(3)이 탄동할 수 있도록 설치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지닌 넥타이 조절구 결합시에는 우선, 조절구 몸체(2) 상하부에 형성된 안내홈(23,24)으로 조절끈(W)을 내삽후 도 5에서와 같이 판스프링(4)을 탄설하는 것인데, 이때, 상기 판스프링(4)은 조절구 몸체 하부에 형성된 스프링 설치구(25)에 돌설된 안치돌기(270) 및 외벽에 형성된 판스프링 결합홈(212)에 끼움안치 되게 하여 몸체 하부에 형성된 조절끈 안내홈(24)의 상측 개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외벽(21)에 형성된 이탈방지편(211)과 판스프링(4)에 의해 넥타이 조절끈(W)의 외부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 7에서와 같이 판스프링이(4) 조절끈 안내홈(24)의 상측 개구부를 밀폐시 내삽된 조절끈(W)의 두께 만큼의 이격거리를 지닐 수 있도록 몸체(2)내면으로 부터 스프링 설치구(25)를 일정거리 돌출형성-시켜 설치구(25) 상부로 판스프링(4)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조절끈 안내홈(24)을 관통하는 넥타이 조절끈(W)의 비틀림을 방지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판스프링(4)이 끼움안치된 배면으로 작동편(3)을 힌지결합 하되, 작동편(3) 내면에 형성된 판스프링 설치홈(33)에 판스프링(4)의 상면을 안치고정 되도록 하면 그 결합이 완성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결합 구성된 본 고안의 넥타이 조절구의 작동 및 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넥타이 착용시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조절끈(W)이 조절구 몸체(2)상부에 형성된 걸이끈 안내홈(23)으로 부터 하부에 형성된 조절끈 안내홈(24)을 관통하는 상태에서 조절구 몸체(2)에 힌지결합된 작동편(3) 일단부에 시계 방향으로 스프링 탄성력 이상으로 일정힘을 가하면 작동편(3)이 힌지결합구(31,210)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는데(도 7에 도시됨) 이때 한손으로는 조절구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는 넥타이 조절끈(W)을 잡고 조절구를 상방향으로 이동시켜 조절끈(W)이 착용자의 목에 걸 수 있을 정도의 너비를 같도록 조절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조절구의 작동편(3)에 가하고 있던 인력을 제거하면 판 스프링(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작동편(3)이 반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작동편(3) 가압부(32)의 요철형식의 가압돌기(320)와 조절구 몸체(2) 중앙부에 형성된 작동면(26)의 걸림돌기(260)가 치합되는데, 이때 넥타이 조절끈(W)이 스프링(4)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편(3)과 조절구 몸체(2) 사이에서 작동편(3)에 의해 가압되어 위치 고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32)와 요철형상의 가압돌기(320)는 전술한 바와같은 기울기를 지니도록 하여 작동편(3)이 넥타이 조절끈(W)을 가압한 상태에서 작동편(3)에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로 넥타이 조절구를 하측 방향으로 땡겨주게 되면 조절끈(W)을 가압하는 가압력이 더욱 증가되어 위치 변형일어나지 않게 견고하게 고정시켜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작동면(26)에 형성된 걸림돌기(260) 및 작동편(3)의 가압돌기(320)가 넥타이 조절끈(W)을 가압시 치합된 돌기(260,320)의 마루부분의 날카로운 톱니에 의해 조절끈(W)의 마모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루부분에 적당한 라운드 처리를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20에 형성된 외벽(21)이 판체상단부로 부터 일정거리 돌출되게 형성한 안착편(34)은 사용자의 넥타이 착용시 목둘레를 감착하여 그 착용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 조절구는 넥타이 착용 및 탈각이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며 넥타이 착용시 넥타이 끈을 견고하게 고정시켜주므로서 넥타이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광하협 형상의 조절구의 몸체를 형성하므로서 넥타이 미관이 수려하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 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기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따른 통상의 지식을 갖은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 상광하협의 얇은 판체로서 판체의 양단으로는 힌지 결합공(210)이 천공되며 중앙내측으로 이탈방지편(211)이 돌설된 외벽(21)이 형성되어지되 판체의 상단부에 비해 적어도 돌출형성되고 외벽(21)의 내측면 하단부로는 판스프링 결합홈(212)이 형성되며, 상기 외벽(21)의 중앙상부 내측으로는 외벽(21)과 일정거리 이격된 가이드벽(22)이 형성되며, 상기 판체의 중앙부로 걸림돌기(260)가 돌설된 작동면(26)이 형성되고 하단부로는 끼움돌기(250)가 돌설된 판스프링 설치구(25)를 갖는 조절구 몸체(2)와;상광하협의 얇은 판체로서 일정각 하향경사되며 상기 외벽(21)에 형성된 힌지결합공(210)에 결합되는 힌지돌기(31)가 중앙 양측면으로 형성되고 내면으로는 판스프링 설치홈(33)이 형성되고 상기 하향경사진 판체의 일단면으로는 가압돌기(320)가 돌설된 가압부(32)를 갖는 작동편(3)과,상기 조절구 몸체(2)와 작동편(3)사이에 게재되며 조절구 몸체(2)의 판스프링 설치구(25)에 형성된 끼움돌기(250)가 끼움고정될 수 있는 끼움공(41)이 하면으로 형성되어 몸체에 형성된 판스프링 결합홈(212)에 끼움결합되며 상면은 작동편(3)에 형성된 판스프링 설치홈(33)에 안치고정되어 상기 조절구 몸체(2)와 힌지결합된 작동편(3)이 탄동할 수 있도록 한 판스프링(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조절구.
- 제 1항에 있어서, 작동편(3) 상단부에 형성된 가압부(32)가 수평면을 기준으로 5~30°하향경사됨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조절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22112U KR200251638Y1 (ko) | 2001-07-21 | 2001-07-21 | 넥타이 조절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22112U KR200251638Y1 (ko) | 2001-07-21 | 2001-07-21 | 넥타이 조절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51638Y1 true KR200251638Y1 (ko) | 2001-11-17 |
Family
ID=73105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22112U KR200251638Y1 (ko) | 2001-07-21 | 2001-07-21 | 넥타이 조절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51638Y1 (ko) |
-
2001
- 2001-07-21 KR KR2020010022112U patent/KR20025163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07161B1 (ko) | 마스크의 걸이끈 연결기구 | |
US4607398A (en) | Strap and retainer for a divers mask | |
JP3691327B2 (ja) | フェイスマスク | |
US4151837A (en) | Mouth gag with universal adjustability to the alveolar arch | |
US20050209706A1 (en) | Prosthetic suspension device | |
KR20010071170A (ko) | 방독마스크 헤드피스 및 릴리스 메카니즘 | |
US20150143619A1 (en) | Lens assembly | |
CN100560163C (zh) | 用于将防毒面罩连接到防护帽上的固定装置 | |
EP0520986A1 (en) | Nasion-secured sport glasses | |
KR200251638Y1 (ko) | 넥타이 조절구 | |
GB2610351A (en) | High quality mask | |
CN203563723U (zh) | 可拆分的口罩 | |
US6185799B1 (en) | Folding fastener for a strap | |
US11272763B2 (en) | Magnetic clasp system | |
KR200352866Y1 (ko) | 인조 손톱 | |
ITGE950025A1 (it) | Maschera subaquea con cinghiolo a sganciamento rapido. | |
KR100396183B1 (ko) | 길이 조정이 가능한 마스크 | |
JP2006102339A (ja) | ゴーグルのストラップの長さ調節機構 | |
KR100844203B1 (ko) | 길이 조정이 가능한 마스크 | |
KR200249515Y1 (ko) | 마스크 | |
KR200243662Y1 (ko) | 넥타이 매듭구 | |
US11235968B2 (en) | Horse bridle bit | |
EP3768111A1 (en) | A watch anti-theft device and watch strap combination, and a device for the combination | |
KR100246061B1 (ko) | 낚시대 받침구 | |
KR200331669Y1 (ko) | 공기호흡기 등지게의 멜빵 조임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609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