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1337Y1 - 고리달린 못 - Google Patents

고리달린 못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1337Y1
KR200251337Y1 KR2020010016830U KR20010016830U KR200251337Y1 KR 200251337 Y1 KR200251337 Y1 KR 200251337Y1 KR 2020010016830 U KR2020010016830 U KR 2020010016830U KR 20010016830 U KR20010016830 U KR 20010016830U KR 200251337 Y1 KR200251337 Y1 KR 2002513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il
ring
nails
coupled
hoo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68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남기
Original Assignee
안남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남기 filed Critical 안남기
Priority to KR20200100168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13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13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1337Y1/ko

Links

Landscapes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존의 일자형(一字形)의 일반 못, 콘크리트 못, 기타 특수 못에 여러 가지 모양의 고리를, 즉, 둥근모양, 네모모양, 세모모양, 기타 다양한 모양의 고리를 여러 방향으로 그리고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하여 형성되는 고리달린 못을 제공한다. 기존의 못은 사용자가 못에 여러 가지 물건을 걸었을 때 불안정하여 쉽게 떨어지는 경향이 있었다. 본 고안의 고리 달린 못은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못을 벽이나 천장 등에 박은 후 걸고자 하는 물건이 안전하게 잘 걸리게 하여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고안된 것이다. 본 고안의 고리달린 못은 특히 기존 못의 중심기능을 변형하지 않도록 고안되어서 일자형의 못보다 물건을 거는데 있어서 훨씬 더 쓰임의 용도가 다양하고 이용상 여러 측면에서 다양한 이점과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고리달린 못{RING NAIL}
본 고안은 고리달린 못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여러 가지 일자형 못에 다양한 모양의 고리를 쓰임에 알맞게 못머리 약간의 아래부위에 다양한 방향에 고리를 부착하여 걸거나 이용할 수 있는 조건을 향상시켜 주는 것으로 기존의 일자형 못에 비하여 훨씬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으로서, 못을 박는데 있어서 못의 중심을 흐트리지 않게 본래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고리만을 추가 부착하여 고안된 기술로서 종래의 못에서 볼수 없는 기능을 첨가한 기술이다.
종래의 일자형 못은 벽면이나 기둥등에 박아 물건을 걸어 두었을 때 못머리 턱이 미미하여 물건이 쉽게 떨어질 염려가 있어 항상 약간만 건드려도 불안전한 경향이 있었으며 오로지 한가지 방향으로 만 걸어야 하고 많이 걸수 없으며 이용이 획일적 이어서 천장에 박았을 경우 물건을 걸수가 없었다.
본 고안은 상술하는 바와 같이 기존의 일자형의 못의 기능외에 고리 달린 못의 또 다른 용도의 장점을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도면[1]에서 [도9] 까지 보여 주듯이 다양한 모양의 고리를 형성시켜 물건을 걸거나 기타 용도에 사용하고자 함이며 본 고리달린 못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기존의 일자형 못의 중심을 그대로 유지하여 고리를 부착하여서 못을 박을 때 고리 때문에 구부러지는 일이 없도록 하여야 하며 고리의 기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인 못 머리(40) 아래 부위에 일방향에 둥근고리(15)가 달린 못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2 은 본 고안인 못 머리(40) 아래 부위에 양방향에 둥근고리15)가 달린 못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3 은 본 고안인 못 머리(40) 아래 부위에 일방향에 네모모양의 고리(80)가 달린 못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4 은 본 고안인 못 머리(40) 아래 부위에 양방향에 네모모양의 고리(80)가 달린 못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5 은 본 고안인 못 머리(40) 아래 부위에 일방향에 세모모양의 고리(70)가 달린 못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6 은 본 고안인 못 머리(40) 아래 부위에 양방향에 세모고리(70)가 달린 못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7 은 본 고안인 못 머리(40) 정방향에서 볼때 아래 부위에 일방향으로 세모모양의 고리(50)가 달린 못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 은 본 고안인 못 머리(40) 정방향에서 볼때 아래 부위에 둥근모양의 고리(20)가 못의 중심을 두고 원형과 지지대(10)로 형성된 고리 달린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 은 본 고안인 못 머리(40) 정방향에서 볼때 아래 부위에 일방향으로 둥근모양의 고리(30)가 달린 못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일자형 못 15 : 둥근모양 고리
80 : 네모모양 고리 70 : 세모모양 고리
50 : 세모모양 고리 10 : 원모형 지지대
20 : 둥근모양 고리 30 : 둥근모양 고리
40 : 못 머리
본 고안은 통상의 못에 다양한 형태의 고리가 부착되어 있는 고리달린 못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고리달린 못은 못 머리부, 뾰족한 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못 머리부에 연결된 못 몸체, 및 상기 못 머리부 아래의 상기 못 몸체의 어느부분(들)에 결합된 하나 또는 두 개의 고리(들)을 포함한다.본 고안의 고리달린 못에서, 고리는 둥근 모양의 고리, 세모 모양의 고리, 네모모양의 고리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고리가 못 몸체에 결합되는 한 방식은 고리의 외주면의 한 부분(둥근 모양의 고리인 경우)또는 고리의 외주면 중 한 변(세모 모양 또는 네모 모양의 고리인 경우)이 상기 못 몸체에 결합되는 방식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리달린 못은 2개의 상기 고리들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고리들은 상기 못 몸체에 대하여 양방향으로 서로 대칭이 되도록 상기 못 몸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개의 고리가 대칭되게 결합됨으로써 못의 중심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어 못을 박을 때 고리 때문에 구부러지는 일이 없게 된다.또한, 고리가 못 몸체에 결합되는 다른 방식은 고리의 내주면의 한 부분이 상기 못 몸체에 결합되는 방식이다.또한, 고리가 못 몸체에 결합되는 또 다른 방식은 고리는 둥근 모양의 고리이고, 상기 고리달린 못은 상기 못 몸체가 상기 둥근 모양의 고리를 관통하는 상태에서 3개의 지지대의 각 말단들이 상기 둥근 모양의 고리와 상기 못 몸체 각각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둥근 모양의 고리와 상기 못 몸체가 서로 결합되는 방식이다.이러한 방식은 못의 중심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못을 박을 때 고리 때문에 못이 구부러지는 일이 없게 한다.이하, 본 고안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본 고안에서 기술적으로 가장 중요한 부분은 각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존의 못(11)을 형성하고 못의 머리 부분(40)의 약간의 아래 부위에 여러 모양의 고리가 형성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고리달린 못은 못 머리(40) 아래 못 몸체(11)의 부위에 둥근 모양의 고리(15)가 일방향으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즉, 못 머리부(40) 아래에 있는 못 몸체(11)의 어느 부위에 둥근 모양의 고리(15)의 외주면의 한 부분이 결합되어 고리달린 못이 형성된다. 도 2의 고리달린 못은 도 1과 같은 방식이지만 양방향으로 2개의 둥근모양의 고리(15)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이 때, 2개의 고리는 양방향으로 대칭되도록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못의 중심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못을 박을 때, 고리로 인하여 못이 구부러지는 일이 없게 된다.도 3의 고리달린 못은 못 머리(40) 아래 못 몸체(11)의 어느 부위에 네모모양의 고리(80)가 일방향으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즉, 못 머리부(40) 아래에 있는 못 몸체(11)의 어느 부위에 네모 모양의 고리(80)의 외주면의 한 변이 결합되어 고리달린 못이 형성된다. 도 4의 고리달린 못은 도 3과 같은 방식이지만 양방향으로 네모모양 고리(80)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이 때, 2개의 고리는 양방향으로 대칭되도록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5의 고리달린 못은 도 3과 같은 방식으로 못 머리(40) 아래 못 몸체(11)의 어느 부위에 일방향으로 세모모양 고리(70)가 결합되어 형성되고, 도 6의 고리달린 못은 도 4와 같은 방식으로 양방향으로 세모모양의 고리(70)가 결합되어 형성된다.도 7의 고리달린 못은 못 머리(40) 아래 부위에 세모모양의 고리(50)가 못 머리(40) 정면에서 바라볼 때 한 쪽으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즉, 못 머리(40) 아래 못 몸체(11)의 어느 부위에 세모 모양의 고리(50)의 내주면의 어느 한 부위, 바람직하게는, 모서리 부위가 결합되어 형성된다.도 8의 고리달린 못은 못 몸체(11)가 둥근 모양의 고리(20)를 관통하는 상태에서 둥근 모양의 고리(20)를 유지케 하는 3개의 지지대(10)의 각 말단들이 각각 둥근 모양의 고리(20) 및 못 몸체(11)에 결합됨으로써 둥근 모양의 고리(20)와 못 몸체(11)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에 의하여 고리달린 못은 못의 중심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도 9의 고리달린 못은 못 머리(40) 아래 못 몸체(11)의 어느 부위에 둥근 모양의 고리(30)의 내주면의 한 부분이 결합되어 형성된다.기존의 일자형의 못에 각종 고리를 부착되게 함으로서 부착된 부위가 약해지게 하면 안 되므로 기존의 못 두께를 변형되지 않게 하여야 한다.한편, 상기한 각 실시예등에 본 고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보다 다양한 모양의 고리와 다양한 방향, 위치에 고리의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장식 못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기존의 여러 가지 일자형 못에 다양한 형태의 고리를 다양한 방향으로 형성하여 기존의 못의 기능을 추가하여 용도를 확대 사용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효과로는 기존의 일자형 못에 물건을 걸을 때 못의 머리부위의 턱에 의존하므로 물건이 걸쳐 있는 상태가 불안전할 때가 흔하다,
본 고안된 못은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 보다 더 많이 걸거나 쓰임새가 용이하여 사용에 매우 효과적일 것이다. 못을 박을 때도 고리를 한손으로 잡고 좀더 안전하게 못 질을 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연속적으로 못을 박고 끈을 연결할 때도 매우 용이하여 이용성이 높을 것이다.
본 고안된 다양한 형태의 고리달린 못은 일반못, 콘크리트못, 기타 특수못은 물론 장신구못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만들 수 있어 사용가의 쓰임에 선택의 폭이 광범위하며 경제적으로도 이익이 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못의 적용에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못 머리부,
    뾰족한 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못 머리부에 연결된 못 몸체, 및
    상기 못 머리부 아래의 상기 못 몸체의 어느 부분(들)에 결합된 하나 또는 두 개의 고리(들)를 포함하는 고리달린 못.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는 둥근 모양의 고리, 세모 모양의 고리, 네모모양의 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달린 못.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는 그것의 외주면의 한 부분(둥근 모양의 고리인 경우) 또는 그것의 외주면 중 한 변(세모 모양 또는 네모 모양의 고리인 경우)이 상기 못 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달린 못.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달린 못은 2개의 상기 고리들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고리들은 상기 못 몸체에 대하여 양방향으로 서로 대칭이 되도록 상기 못 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달린 못.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는 그것의 내주면의 한 부분이 상기 못 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달린 못.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는 둥근 모양의 고리이고, 상기 고리달린 못은 상기 못 몸체가 상기 둥근 모양의 고리를 관통하는 상태에서 3개의 지지대의 각 말단들이 상기 둥근 모양의 고리와 상기 못 몸체 각각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둥근 모양의 고리와 상기 못 몸체가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달린 못.
KR2020010016830U 2001-06-05 2001-06-05 고리달린 못 KR2002513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830U KR200251337Y1 (ko) 2001-06-05 2001-06-05 고리달린 못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830U KR200251337Y1 (ko) 2001-06-05 2001-06-05 고리달린 못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1337Y1 true KR200251337Y1 (ko) 2001-11-16

Family

ID=73102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6830U KR200251337Y1 (ko) 2001-06-05 2001-06-05 고리달린 못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133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4340B2 (en) Hanger
US20160088964A1 (en) Hanger
US7934296B2 (en) Binding band and binding band set
US6299039B1 (en) Article hanger
US4364496A (en) Coat hanger
EP3357370A1 (en) Strap connection member
US20190309898A1 (en) Hanging device for siding members
KR200251337Y1 (ko) 고리달린 못
US6715720B2 (en) Clip fixture having preferential collapse feature
JP5030854B2 (ja) 安全帯のベルトハンガー
US20070000957A1 (en) Holder for information marker
JP6257118B1 (ja) 身飾品部品及び身飾品
KR200398951Y1 (ko) 신축성 옷걸이
JP4506485B2 (ja) 竪樋用控金具
US2511451A (en) Support for drums
WO2023042376A1 (ja) 紐止め具
JP3151413B2 (ja) 紐保持具
JP2597542Y2 (ja) 結束用ゴムバンド
JP2000333796A (ja) フックハンガーストッパー
JPH03113106A (ja) 継手
JP3006891U (ja) 植木鉢吊具
JP3062285U (ja) ボトル容器用吊り下げ具
JPS643428Y2 (ko)
JPS607399Y2 (ja) アンカ−ボルト
JPH031654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