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1266Y1 - Hoisting apparatus using counterweight - Google Patents

Hoisting apparatus using counterweigh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1266Y1
KR200251266Y1 KR2020010023133U KR20010023133U KR200251266Y1 KR 200251266 Y1 KR200251266 Y1 KR 200251266Y1 KR 2020010023133 U KR2020010023133 U KR 2020010023133U KR 20010023133 U KR20010023133 U KR 20010023133U KR 200251266 Y1 KR200251266 Y1 KR 2002512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rope
counterweight
rotates
relea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313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만엽
Original Assignee
한만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만엽 filed Critical 한만엽
Priority to KR20200100231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126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12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1266Y1/en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기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동력으로 물체를 끌어올려 이동시키기 위한 기중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구조물에 의해 지상의 소정 높이에 동력장치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드럼과, 상기 드럼의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드럼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에 감기며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상기 드럼이 회전할 때 상기 드럼에서 풀리는 제1 로프와, 상기 드럼의 다른 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드럼이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에 감기며 상기 드럼이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에서 풀리고 타단에는 인양 대상인 상기 물체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소정의 걸이수단이 구비된 제2 로프 및 상기 제1 로프의 타단에 연결된 소정 무게를 가진 카운터웨이트를 포함하여, 최소한의 로프와 동일한 동력장치로 더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릴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device using a counterweight, in the lifting device for lifting and moving objects by power, a drum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by a power unit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structure, and the drum A first rope which is fixed at one side of the first rope and is unwound from the drum when the drum is rotate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when the drum is rotated in a first direction; One end i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drum, the drum is wound on the drum when the drum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the drum is released from the drum when the drum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and separated from the object to be lifted. And a counterweight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pe and a second rop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hook means. , It can lift heavier objects with a minimum of rope and the same power unit.

Description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기중 장치{Hoisting apparatus using counterweight}Lifting apparatus using counterweight

본 고안은 기중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운터웨이트를 사용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기중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fting device using a counterweight that can improve the performance using the counterweight.

일반적으로, 기중 장치는 무거운 물체를 동력으로 끌어올려 상하, 좌우, 전후로 이동시키는 데 사용되는 장치로서, 크레인, 엘리베이터 등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the lifting device is a device used to move a heavy object by power to move up and down, left and right, and back and forth, and is widely used in cranes and elevators.

도 1은 종래의 크레인에서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기 위한 기중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중 장치는, 모터와 같은 동력장치(11)에 의해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는 드럼(13)과, 상기 드럼(13)에 한 개 또는 다수의 고정부재(12)에 의해 고정된 로프(14)와 상하로 이동시킬 물체(15)와 연결되는 걸이부(16)를 포함하고 있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ifting device for lifting a heavy object in a conventional crane. As shown in FIG. 1, a conventional lifting device includes a drum 13 rotating in the direction of arrow A by a power unit 11 such as a motor, and one or more fixing members 12 on the drum 13. It includes a rope 16 fixed by the hook 14 and the hook portion 16 is connected to the object 15 to be moved up and down.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크레인에서 사용되는 기중장치는 모터와 같은동력장치의 힘으로만 물체를 들어올리거나 내려놓아야 하기 때문에 물체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더욱 더 큰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장치를 사용하거나 매우 감속비가 큰 감속기를 이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동시에 무게를 힘으로만 들어올리기 때문에 에너지의 소비가 매우 큰 단점이 있다.However, the lifter used in the conventional crane as described above has to lift or lower the object only by the power of a power unit such as a motor, so that the heavier the weight of the object, the more the power unit is used or generates pow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eduction gear ratio has to use a large speed reducer, and at the same time, the energy consumption is very large because it only lifts the weight by force.

한편, 도 2는 기중 장치의 하나인 종래의 엘리베이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엘리베이터는 동력장치(24)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하는 시브(21)와 엘리베이터 카(23)와 카운터웨이트(22) 및 상기 카운터웨이트(22)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23) 사이에 연결된 복수의 로프(20)를 구비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elevator, one of the lifting device. The conventional elevator shown in FIG. 2 includes a sheave 21, an elevator car 23, a counterweight 22, and the counterweight 22, which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unit 24 and rotate in the direction of an arrow B. A plurality of ropes 20 connected between the elevator cars 23 are provided.

도 2에서 종래의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카(23)의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하여 상기 동력장치(24)의 동력을 제어하여 상기 시브(21)의 회전을 제어한다. 하지만, 종래의 엘리베이터는, 로프를 하나만 사용하는 경우, 로프와 시브(21)와의 마찰력이 작아서 엘리베이터 카(23)와 카운터웨이트(22)의 무게 차이가 커지게 되면 자유롭게 승강 운동을 시키지 못 할뿐 아니라, 엘리베이터 카(23)의 추락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의 무게차이가 많이 날 경우에는 동력장치(24)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시브(21)에 다수의 로프(20)를 사용하여 시브와의 마찰면적을 늘려야만 한다.In FIG. 2, the conventional elevator controls the rotation of the sheave 21 by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power unit 24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elevator car 23. However, in the conventional elevator, when only one rope is used,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rope and the sheave 21 is small so that the weight difference between the elevator car 23 and the counterweight 22 does not allow free lifting. However, since the fall of the elevator car 23 may occur, as shown in FIG. 2, when there is a large weight difference between the two, a plurality of ropes are provided on the sheave 21 rotating by the power of the power unit 24. Use (20) to increase the friction area with the sheave.

따라서, 종래의 중량용 엘리베이터는 다수의 로프를 사용해야 하므로, 로프의 유지보수 등에 번거로운 단점이 있으며, 시브와 로프와의 마찰력이 불확실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를 고속으로 운행하거나 급정거하게 되면 미끄러짐이 발생하는문제점이 있다.Therefore, the conventional weight elevator has to use a plurality of ropes,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e maintenance of the rope, etc.,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sheave and the rope is uncertain, so the problem that the slip occurs when running the elevator at high speed or sudden stop have.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카운터웨이트와 최소한의 로프를 사용하여 매우 작은 동력 장치로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거나, 동일한 동력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더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릴 수 있는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기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using a counterweight and a minimum of rope to lift a heavy object with a very small power unit, or a heavier object when using the same power unit. It is to provide a lifting device using a counterweight that can be raised.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카운터웨이트와 최소한의 로프를 사용하여 매우 작은 동력 장치로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거나, 동일한 동력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더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릴 수 있는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로프식 트롤리 크레인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using a counterweight and a minimum of rope to lift a heavy object with a very small power unit, or a heavier object when using the same power unit. It is to provide a rope-type trolley crane using a liftable counterweight.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카운터웨이트와 최소한의 로프를 사용하여 매우 작은 동력 장치로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거나, 동일한 동력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더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릴 수 있는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기계식 트롤리 크레인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using a counterweight and minimal rope to lift a heavy object with a very small power unit, or a heavier object when using the same power unit. It is to provide a mechanical trolley crane using a counterweight that can lift.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카운터웨이트와 최소한의 로프를 사용하여 매우 작은 동력 장치로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거나, 동일한 동력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더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릴 수 있는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지브 크레인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using a counterweight and a minimum of rope to lift a heavy object with a very small power unit, or a heavier object when using the same power unit. It is to provide a jib crane using a liftable counterweight.

도 1은 종래의 기중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lifting device.

도 2는 종래의 엘리베이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elevator.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기중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ifter using a counterweigh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기중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ifter using a counterweigh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기중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ifter using a counterweigh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기중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ifter using a counterweigh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기중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ifter using a counterweigh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로프식 트롤리 크레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ope-type trolley crane using a counterweight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기계식 트롤리 크레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echanical trolley crane using a counterweight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트롤리와 후크에서의 로프 배치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10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rope arrangement in the trolley and the hook shown in FIG.

도 11은 본 고안의 제8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기계식 트롤리 크레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echanical trolley crane using a counterweight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고안의 제9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지브 크레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jib crane using a counterweight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동력으로 물체를 끌어올려 이동시키기 위한 기중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구조물에 의해 지상의 소정 높이에 동력장치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드럼; 상기 드럼의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드럼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에 감기며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상기 드럼이 회전할 때 상기 드럼에서 풀리는 제1 로프; 상기 드럼의 다른 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드럼이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에 감기며 상기 드럼이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에서 풀리고 타단에는 인양 대상인 상기 물체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소정의 걸이수단이 구비된 제2 로프; 및 상기 제1 로프의 타단에 연결된 소정 무게를 가진 카운터웨이트를 포함하는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기중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 lifting device for lifting and moving objects by power, comprising: a drum rotatably installed by a power unit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structure; A first rope having one end fixed to one side of the drum and wound around the drum when the drum rotates in a first direction and released from the drum when the drum rotates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One end i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drum and is wound on the drum when the drum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and is released from the drum when the drum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object to be lifted and A second rope having a predetermined hook means detachable; And a counterweight having a counterweight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pe.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체는 사람을 태우거나 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카이며 상기 제2 로프의 타단에 구비된 걸이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카와 결합된다.Preferably, the object is an elevator car for carrying a person or carrying a load, and the hook mean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ope is coupled with the elevator car.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럼에 별도의 회전축을 연결하고 상기 회전축에 카운터웨이트용 드럼을 더 연결하여 상기 제1 로프를 상기 카운터웨이트용 드럼의 일측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카운터웨이트용 드럼이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 로프가 상기 카운터웨이트용 드럼에 감기고 상기 카운터웨이트용 드럼이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 로프가 상기 카운터웨이트용 드럼에서 풀리도록 한다.Preferably, the drum for the counterweight in the first direction by connecting a separate rotating shaft to the drum and further connecting a drum for the counterweight to the rotating shaft to fix the first rope to one side of the drum for the counterweight. When rotating, the first rope is wound around the counterweight drum and the first rope is released from the counterweight drum when the counterweight drum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럼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드럼이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에 감기는 카운터웨이트용 제3 로프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로프의 타단은 수평 방향인 제3 방향으로 인출되어 제1 시브를 거쳐 상기 카운터웨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3 로프의 타단은 상기 제3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4 방향으로 인출되어 제2 시브를 거쳐 다른 카운터웨이트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 로프와 상기 제3 로프에 의해 상기 드럼에 수평 방향의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Preferably, the drum is further provided with a third rope for a counterweight,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drum and wound around the drum when the drum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pe is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other end of the third rope is drawn in the fourth direction opposite to the third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other counterweight through the second sieve and connected to the counterweight through the first sieve. A horizontal force is not applied to the drum by the first rope and the third rope.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럼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드럼이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에 감기는 카운터웨이트용 제3 로프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로프의 타단은 수직 상방으로 인출되어 제1 시브에 의해 수평 방향인 제3 방향으로 인출되고 제2 시브를 거쳐 상기 카운터웨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3 로프의 타단은 수직 상방으로 인출되어 제3 시브에 의해 상기 제3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4 방향으로 인출되어 제4 시브를 거쳐 다른 카운터웨이트에 연결된다.Preferably,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third rope for the counterweight is fixed to the drum and wound around the drum when the drum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pe is drawn out vertically A first sheave is drawn out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a third direction and is connected to the counterweight via a second sheave and the other end of the third rope is drawn vertically upwards and is opposite to the third direction by a third sheave. It is drawn in the fourth direction and connected to another counterweight via the fourth sheave.

상기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고안은, 소정 구조물에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트롤리와, 인양 대상 물체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소정의 걸이수단이 구비되며 다수의 시브와 제1 로프 및 제2 로프에 의해 승강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트롤리에 연결된 후크와, 지상의 소정 높이에 동력장치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드럼 및 제2 드럼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로프와 상기 제2 로프는, 각각 일단이 상기 제1 드럼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드럼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드럼과 상기 제2 드럼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 드럼과 상기 제2 드럼에 각각 감기고 상기 제1 드럼과 상기 제2 드럼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 드럼과 상기 제2 드럼에서 각각 풀리는 로프식 트롤리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제1 드럼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1 드럼이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 드럼에 감기며 상기 제1 드럼이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 드럼에서 풀리는 제3 로프; 상기 제2 드럼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2 드럼이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2 드럼에 감기며 상기 제1 드럼이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2 드럼에서 풀리는 제4 로프; 상기 제3 로프의 타단에 연결된 소정 무게를 가진 제1 카운터웨이트; 및 상기 제4 로프의 타단에 연결된 소정 무게를 가진 제2 카운터웨이트를 포함하는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로프식 트롤리 크레인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another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trolley installed to be movable horizontally in a predetermined structure, and a predetermined hook means capable of engaging and detaching the object to be lifted, and having a plurality of sheaves and a first rope and a second rope. A hook connected to the trolley to enable the lifting movement by the first and a first drum and a second drum rotatably installed by a power unit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ground, and each of the first rope and the second rope The first drum is fixed to the second drum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second drum. When the first drum and the second drum rotate in the first direction, the first drum and the second drum are respectively wound around the first drum. And a rope-type trolley crane each released from the first drum and the second drum when the second drum rotates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One end is fixed and the first drum is the third rope as it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is wound on the first drum is the first pulley drum in said first drum as it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column; A fourth end fixed to the second drum and wound around the second drum when the second drum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and released from the second drum when the first drum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rope; A first counterweight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third rope; And it provides a rope-type trolley crane using a counterweight comprising a second counterweight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ourth rop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드럼에서 인출된 상기 제3 로프를 다수의 시브를 구비한 제1 로프연장부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카운터웨이트까지 연장하고 상기 제2 드럼에서 인출된 상기 제4 로프를 다수의 시브를 구비한 제2 로프연장부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카운터웨이트까지 연장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카운터웨이트가 승강운동을 할 때 상기 후크가 상기 제1 및 제2 카운터웨이트의 승강운동보다 더 긴 승강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Preferably, the third rope withdrawn from the first drum extends to the first counterweight using a first rope extension having a plurality of sheaves, and the fourth rope withdrawn from the second drum. By extending to the second counterweight using a second rope extension having a sheave of the hook, when the first and second counterweights are moved up and down, the hook is moved up and down by the first and second counterweights. Allow for longer lifting exercises.

상기 또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고안은, 소정 구조물에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장치와 회전가능한 드럼과 상기 드럼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고정부위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로프를 구비한 트롤리 및 인양 대상 물체와 결합과 분리가 가능한 소정의 걸이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프에 의해 승강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트롤리에 연결된 후크를 구비하며, 상기 적어도하나의 로프는 상기 드럼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에 각각 감기고 상기 드럼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에서 각각 풀리는 기계식 트롤리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드럼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드럼이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에 감기며 상기 드럼이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에서 풀리는 제1 로프; 상기 드럼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드럼이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에 감기며 상기 드럼이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에서 풀리는 제2 로프; 및 상기 제1 로프의 타단에 연결된 소정 무게를 가진 카운터웨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로프의 타단은 수평 방향인 제3 방향으로 인출되어 다수의 시브를 거쳐 상기 카운터웨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로프의 타단은 상기 제3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4 방향으로 인출되어 다수의 시브를 거쳐 상기 카운터웨이트에 연결되는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기계식 트롤리 크레인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olley having at least one rope connected to a drum and a rotatable drum,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a fixed part,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a fixed part. A hook connected to the trolley to allow lifting and lowering by the at least one rope, the hook having a predetermined hook means capable of being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a lifting object, wherein the at least one rope has the drum in a first direction A mechanical trolley crane each wound on the drum when rotating and unwinding from the drum when the drum rotates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the end being fixed to the drum and the drum being the second Wound on the drum when rotating in the direction and the drum when the drum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A first rope released from the rum; A second rope having one end fixed to the drum, wound around the drum when the drum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and released from the drum when the drum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counterweight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pe,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pe being drawn out in a third direc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counterweight through a plurality of sheaves, and the second The other end of the rope provides a mechanical trolley crane using a counterweight drawn out in a fourth direction opposite to the third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counterweight via a plurality of sheaves.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럼에서 인출된 상기 제1 로프를 다수의 시브를 구비한 로프연장부를 사용하여 상기 카운터웨이트까지 연장하고 상기 드럼에서 인출된 상기 제2 로프를 다수의 시브를 구비한 로프연장부를 사용하여 상기 카운터웨이트까지 연장함으로써, 상기 카운터웨이트가 승강운동을 할 때 상기 후크가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승강운동보다 더 긴 승강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Preferably, the first rope drawn out from the drum extends to the counterweight using a rope extension having a plurality of sheaves, and the rope extension including a plurality of sheaves extends the second rope drawn from the drum. By extending to the counterweight, the hook allows the hook to perform a longer lifting motion than the lifting weight of the counterweight when the counterweight is lifting.

상기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단에 걸이수단을 구비한 지브; 및 동력장치와 회전가능한 드럼과 제1 로프를 구비하며 상기 지브가 승강, 좌우 선회 가능하도록 설치된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로프는 상기 드럼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에 감기고 상기 드럼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에서 풀리는 지브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드럼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드럼이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에 감기며 상기 드럼이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에서 풀리는 제2 로프; 상기 몸체에 상기 지브와 대칭되는 방향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로프를 선회가능하게 지지하는 붐대; 및 상기 제2 로프의 타단에 연결된 소정 무게를 가진 카운터웨이트를 포함하는 지브 크레인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another object, the jib having a hook means at one end; And a power unit, a rotatable drum, and a first rope, wherein the jib is provid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to swing left and right, wherein the first rope is wound around the drum when the drum rotates in a first direction and the drum is rotated. A jib crane released from the drum when rotating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wherein one end is fixed to the drum and the drum is wound around the drum when the drum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A second rope released from the drum when rotating in the first direction; A boom installed on the body in a symmetrical direction with the jib and pivotally supporting the second rope; And a counterweight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ope.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럼에서 인출된 상기 제2 로프를 다수의 시브를 구비한 로프연장부를 사용하여 상기 카운터웨이트까지 연장함으로써 상기 카운터웨이트가 승강운동을 할 때 상기 걸이수단이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승강운동보다 더 긴 승강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Preferably, the hook means lifts and lowers the counterweight when the counterweight moves up and down by extending the second rope drawn out from the drum to the counterweight using a rope extension having a plurality of sheaves. Allow for longer lifting exercises.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기중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기중 장치는, 소정의 구조물(미도시)에 의해 지상의 소정 높이에 동력장치(3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드럼(34)과, 상기 드럼(34)의 일측에 고정부재들(38)에 의해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드럼(34)이 시계 방향(E2)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34)에 감기며 반시계 방향(E1)으로 상기 드럼(34)이 회전할 때 상기 드럼(34)에서 풀리는 제1 로프(40)와, 상기 드럼(34)의 다른 측에 고정부재들(39)에 의해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드럼(34)이 반시계 방향(E1)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34)에 감기며 상기 드럼(34)이 시계 방향(E2)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34)에서 풀리고 타단에는 인양 대상인 물체(36)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걸이부(37)가 구비된 제2 로프(41) 및 상기 제1 로프(40)의 타단에 연결된 소정 무게를 가진 카운터웨이트(35)를 구비하고 있다.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ifter using a counterweigh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lifting apparatus using the counterweigh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um rotatably installed by the power unit 33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structure (not shown). 34 and one end of the drum 34 are fixed by the fixing members 38, and the drum 34 is wound around the drum 34 when the drum 34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E2. When the drum 34 is rotated by E1, one end is fixed by the first rope 40 released from the drum 34 and fixing members 39 on the other side of the drum 34. An object wound around the drum 34 when the drum 34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E1 and released from the drum 34 when the drum 34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E2. A predetermined weight connected to the second end of the second rope 41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pe 40 is provided with a hook portion 37 that can be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36) An excitation counterweight 35 is provid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기중 장치에서, 모터 등의 동력장치(33)에 의해 드럼(34)이 회전하여 상기 제1 로프(40)와 상기 제2 로프(41)가 상기 드럼(34)에 감기거나 풀림으로써 상기 물체(36)를 승강 운동시킬 수 있다.In the lifting apparatus using a counterweigh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drum 34 is rotated by a power device 33 such as a motor, so that the first rope 40 and the second rope. As the 41 is wound or unwound on the drum 34, the object 36 can be lifted and lowered.

예를 들어, 상기 드럼(34)이 화살표 E1 방향, 즉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 로프(40)가 상기 드럼(34)에서 풀리는 반면에, 상기 제2 로프(41)는 상기 드럼(34)에 감기기 때문에, 상기 물체(36)가 상방으로 끌어올려지게 된다. 반대로, 상기 드럼(34)이 화살표 E2 방향, 즉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 로프(40)가 상기 드럼(34)에 감기는 반면에, 상기 제2 로프(41)는 상기 드럼(34)에서 풀리기 때문에, 상기 물체(36)가 하방으로 내려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드럼(34)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물체(36)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drum 34 rotates in the direction of arrow E1, that is, counterclockwise, the first rope 40 is released from the drum 34, while the second rope 41 is Due to the winding on the drum 34, the object 36 is pulled upward. On the contrary, when the drum 34 rotates in the direction of arrow E2, that is, clockwise, the first rope 40 is wound around the drum 34, while the second rope 41 is wound on the drum ( As it is released at 34, the object 36 is lowered downward. 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object 36 can be moved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um 34.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카운터웨이트(35)에 연결된 제1 로프(40)와 상기 물체(36)에 연결된 제2 로프(41)를 상기 드럼(34)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감아서, 상기 물체(36)의 하중을 카운터웨이트(35)가 보상하기 때문에, 카운터웨이트를 사용하지 않는 기중 장치에 비해 매우 작은 동력장치를 사용할수 있거나, 동일한 동력장치를 사용하여 더 무거운 물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ope 40 connected to the counterweight 35 and the second rope 41 connected to the object 36 are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drum 34. , The counterweight 35 compensates for the load of the object 36, so that a very small power plant can be used, or a heavier object using the same power plant, as compared to a lifter that does not use the counterweight. Can be moved.

예를 들어, 도 3에서 상기 물체(36)의 무게가 40톤이라고 할 때, 카운터웨이트(35)없이 동력장치(33)의 동력으로만 상기 물체(36)를 들어올리는 경우, 상기 동력장치(33)는 40톤의 하중을 받는 물체를 들어올려야 하지만, 40톤의 카운터웨이트(35)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물체(36)와 상기 카운터웨이트(35)의 무게가 동일하기 때문에, 하중을 거의 받지 않는 물체를 들어올리는 것과 같이 상기 물체(36)를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다.For example, in FIG. 3, when the weight of the object 36 is 40 tons, when the object 36 is lifted only by the power of the power unit 33 without the counterweight 35, the power unit ( 33) must lift an object under a load of 40 tons. However, when using a 40 tons of counterweight 35, the weight of the object 36 and the counterweight 35 is almost equal, so The object 36 can be easily lifted, such as by lifting an object that is not received.

만약 상기 물체(36)의 무게가 60톤이라고 할 때, 카운터웨이트(35)없이 동력장치(33)의 동력으로만 상기 물체(36)를 들어올리는 경우, 상기 동력장치(33)는 60톤의 하중을 받는 물체를 들어올려야 하지만, 40톤의 카운터웨이트(35)를 사용하는 경우, 단지 20톤의 하중을 받는 물체를 들어올리는 것과 동일한 효과가 발생된다. 따라서, 동일한 동력장치를 사용하여 더 무거운 물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If the weight of the object 36 is 60 tons, when lifting the object 36 only by the power of the power unit 33 without the counterweight 35, the power unit 33 is 60 tons Although the object under load must be lifted, using the 40 tons of counterweight 35 produces the same effect as lifting an object under load of only 20 tons. Thus, the same power unit can be used to move heavier objects.

또한, 본 고안에서는 한쪽 로프가 드럼(34)에 감기면, 다른 로프는 드럼(34)에서 풀리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드럼(34)의 길이를 더 길게 할 필요도 없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one rope is wound around the drum 34, the other rope is released from the drum 34, so that the length of the drum 34 does not need to be longer than in the related art.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기중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과 거의 동일하지만, 도 3에서의 물체(36)가 도 4에서는 엘리베이터에서 사람을 태우기 위한 엘리베이터 카(44)이고, 도 3에서의 걸이부(37)가 엘리베이터 카(44)와 결합되어 있는 점만이 상이하다.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ifter using a counterweigh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lmost identical to FIG. 3, but the object 36 in FIG. 3 is an elevator car 44 for burning a person in an elevator in FIG. 4, and the hook 37 in FIG. 3 is an elevator car 44. Only points that are combined with are different.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엘리베이터와 비교하면, 도 1에서는 다수의 로프(20)가 카운터웨이트(22)와 엘리베이터 카(23)에 직접 연결되어 있으나, 도 4에서는 하나의 로프(40)는 카운터웨이트(35)와 드럼(34)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 로프(41)는 엘리베이터 카(44)와 드럼(34)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도 1과 같이 다수의 로프를 사용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엘리베이터 카(44)를 승강 운동시킬 수 있다.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elevator shown in FIG. 2, in FIG. 1, a plurality of ropes 20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counterweight 22 and the elevator car 23. In FIG. 4, one rope 40 is a counter. It is connected to the weight 35 and the drum 34, and the other rope 41 is connected to the elevator car 44 and the drum 34. Therefore, the elevator car 44 can be easily lifted up and down without using a plurality of ropes as shown in FIG. 1.

더욱 중요한 것은 엘리베이터 카(44)의 무게와 카운터웨이트(35)의 무게 차이가 큰 경우에도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 카의 승강은 드럼(34)만 브레이크 등의 장치로 고정하면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매우 안전하다.More importantly, even when the weight difference between the weight of the elevator car 44 and the counterweight 35 is large, the lifting of the elevator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cause slippage when only the drum 34 is fixed by a device such as a brake. Very safe.

도 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기중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기중 장치에서, 카운터웨이트용 드럼(50)을 별도로 더 구비한 것이다. 즉, 드럼(34)에 별도의 회전축(51)을 연결하고 상기 회전축(51)에 카운터웨이트용 드럼(50)을 더 연결하여 제1 로프(40)를 고정부재들(38)을 사용하여 상기 카운터웨이트용 드럼(50)의 일측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카운터웨이트용 드럼(50)이 시계 방향(E2)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 로프(40)가 상기 카운터웨이트용 드럼(50)에 감기고 상기 카운터웨이트용 드럼(50)이 반시계 방향(E1)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 로프(40)가 상기 카운터웨이용 드럼(50)에서 풀리도록 한 것이다.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lifter using a counterweigh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5, in the lifting apparatus using a counterweigh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3, the counterweight drum 50 is further provided. That is, the separate rotary shaft 51 is connected to the drum 34 and the counterweight drum 50 is further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51 to connect the first rope 40 using the fixing members 38. The first rope 40 is wound around the counterweight drum 50 when the counterweight drum 50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E2 by being fixed to one side of the counterweight drum 50. When the weight drum 50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E1, the first rope 40 is released from the counterway drum 50.

도 6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기중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기중 장치는, 소정의 구조물(미도시)에 의해 지상의 소정 높이에 동력장치(미도시)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드럼(52)과, 상기 드럼(52)의 일측에 각 일단이 각 고정부재(63, 64)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드럼(52)이 반시계 방향(E1)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52)에 감기며 시계 방향(E2)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52)에서 풀리는 제1 로프(60) 및 제2 로프(61)와, 상기 드럼(52)의 다른 측에 각 일단이 각 고정부재(62, 65)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드럼(52)이 시계 방향(E2)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52)에 감기며 상기 드럼(52)이 반시계 방향(E1)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52)에서 풀리고 타단은 인양 대상인 물체(53)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걸이부(66, 67)가 각각 구비된 제3 로프(57) 및 제4 로프(56)와, 상기 제1 로프(60)의 타단에 연결된 제1 카운터웨이트(54) 및 상기 제2 로프(61)의 타단에 연결된 제2 카운터웨이트(55)를 구비하고 있다.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ifter using a counterweigh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ting apparatus using the counterweigh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 includes a drum (not shown) rotatably installed by a power unit (not shown)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structure (not shown). 52 and one end of each side of the drum 52 is fixed by the fixing members 63 and 64 and wound around the drum 52 when the drum 52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E1. The first rope 60 and the second rope 61 released from the drum 52 when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E2, and one end of each fixing member 62 on the other side of the drum 52. Fixed by 65 and wound around the drum 52 when the drum 52 is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E2 and the drum 52 when the drum 52 is rotat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E1. And the other end of the third rope 57 and the fourth rope 56 provided with hook portions 66 and 67 that can be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object 53 to be lifted, respectively, and the first end. Profile is provided with a first counterweight 54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55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ope 61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60).

한편, 상기 제1 로프(60)의 타단은 수평 방향(F1)으로 인출되어 제1 시브(58)를 거쳐 상기 제1 카운터웨이트(54)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로프(61)의 타단은 반대 방향(F2)으로 인출되어 제2 시브(59)를 거쳐 상기 제2 카운터웨이트(55)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제1 로프(60)와 제2 로프(61)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인출함으로써, 상기 제1 로프(60)와 상기 제2 로프(61)에 의해 상기 드럼(52)에 수평 방향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기중 장치는, 상기 드럼(52)을 구비한 몸체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드럼(52)을 구비한 몸체의 수평 이동에 지장이 없도록 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pe 60 is drawn ou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1 and connected to the first counterweight 54 via the first sheave 58,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ope 61 is opposite. It is drawn in the direction F2 and connected to the second counterweight 55 via the second sheave 59. By drawing the first rope 60 and the second rope 61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rope 60 and the second rope 6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drum 52 No force is applied. Therefore, the lifting device using the counterweigh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ody having the drum 52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is prevented from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body having the drum 52 There is no such thing.

도 7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기중 장치의 실시예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기중 장치는, 소정의 구조물(미도시)에 의해 지상의 소정 높이에 동력장치(미도시)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드럼(76)과, 상기 드럼(76)의 일측에 각 일단이 각고정부재(69, 70)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드럼(76)이 반시계 방향(E1)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76)에 감기며 시계 방향(E2)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76)에서 풀리는 제1 로프(82) 및 제2 로프(83)와, 상기 드럼(76)의 다른 측에 각 일단이 각 고정부재(68, 71)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드럼(76)이 시계 방향(E2)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76)에 감기며 상기 드럼(76)이 반시계 방향(E1)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76)에서 풀리고 타단은 인양 대상인 물체(79)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걸이부(84, 85)가 각각 구비된 제3 로프(78) 및 제4 로프(77)와, 상기 제1 로프(82)의 타단에 연결된 제1 카운터웨이트(81) 및 상기 제2 로프(83)의 타단에 연결된 제2 카운터웨이트(80)를 구비하고 있다.7 is an embodiment of a lifter using a counterweigh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the lifting apparatus using the counterweight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um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by a power unit (not shown)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structure (not shown). 76 and one end of each side of the drum 76 is fixed by the respective fixing members 69 and 70, and the drum 76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E1. The first rope 82 and the second rope 83 released from the drum 76 when winding and rotating in the clockwise direction E2, and one end of each fixing member 68 on the other side of the drum 76. , 71, which is wound on the drum 76 when the drum 76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E2, and the drum 76 when the drum 76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E1. The third and second ropes 78 and 85 provided with hook portions 84 and 85 that can be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object 79 to be lifted, respectively, and the other end thereof, A first counterweight 81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ope 82 and a second counterweight 80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ope 83 are provided.

한편, 상기 제1 로프(82)의 타단은 수직 상방으로 인출되어 제1 시브(73)에 의해 수평 방향(F1)으로 인출되고 제2 시브(72)를 거쳐 상기 제1 카운터웨이트(81)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로프(83)의 타단은 수직 상방으로 인출되어 제3 시브(74)에 의해 반대 방향(F2)으로 인출되어 제4 시브(75)를 거쳐 제2 카운터웨이트(80)에 연결된다.On the other h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pe 82 is drawn out vertically and is drawn ou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1 by the first sheave 73 and passes through the second sheave 72 to the first counterweight 81.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ope 83 is vertically drawn upward and is drawn out in the opposite direction F2 by the third sheave 74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unterweight 80 via the fourth sheave 75. do.

도 8은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로프식 트롤리 크레인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기존의 중량물 인양장치의 하나인 컨테이너 크레인으로서 사용되는 로프식 트롤리 크레인에 본 고안에 의한 기중 장치를 적용한 것이다. 우선, 도 8에서 본 고안에 의하여 추가된 부분을 제외한 종래의 로프식 트롤리 크레인에 해당하는 부분을 먼저 설명하도록 하겠다.Figure 8 shows a rope-type trolley crane using a counterweight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pplied to th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 rope-type trolley crane used as a container crane that is one of the existing heavy lifting device. Firs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nventional rope-type trolley crane except for the portion ad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8 will be described first.

도 8에 도시된 로프식 트롤리 크레인에 있어서, 종래의 로프식 트롤리 크레인에 해당하는 부분은, 소정 구조물(미도시)에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트롤리(102)와, 인양 대상 물체(미도시)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소정의 걸이수단(미도시)이 구비되며 다수의 시브(116 내지 131)와 제1 로프(92) 및 제2 로프(93)에 의해 승강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트롤리(102)에 연결된 후크(103)와, 지상의 소정 높이에 동력장치(미도시)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드럼(90) 및 제2 드럼(91)이다.In the rope-type trolley crane shown in FIG. 8,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nventional rope-type trolley crane includes a trolley 102 installed to be movable horizontally on a predetermined structure (not shown), and a lifting object (not shown). And a predetermined hook means (not shown) that can be combined with and separated from the trolley 102 to allow the lifting movement by the plurality of sheaves 116 to 131, the first rope 92, and the second rope 93. The first and second drums 90 and 91 are rotatably installed by a power supply (not shown)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ground.

상기 제1 로프(92)는, 일단이 고정부재(94)에 의해 상기 제1 드럼(90)에 고정되고 타단이 고정부재(101)에 의해 상기 제2 드럼(91)에 고정되며, 상기 제2 로프(93)는, 일단이 고정부재(97)에 의해 상기 제1 드럼(90)에 고정되고 타단이 고정부재(98)에 의해 상기 제2 드럼(91)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로프(92)와 상기 제2 로프(93)는, 상기 제1 드럼(90)과 상기 제2 드럼(91)이 시계 방향(G2)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 드럼(90)과 상기 제2 드럼(91)에 각각 감기고 상기 제1 드럼(91)과 상기 제2 드럼(92)이 반시계 방향(G1)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 드럼(90)과 상기 제2 드럼(91)에서 각각 풀린다.The first rope 92 has one end fixed to the first drum 90 by a fixing member 94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second drum 91 by a fixing member 101. The second rope 93 has one end fixed to the first drum 90 by a fixing member 97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second drum 91 by a fixing member 98, and the first rope. 92 and the second rope 93, the first drum 90 and the second drum when the first drum 90 and the second drum 91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G2). Respectively wound on 91 and unwound from the first drum 90 and the second drum 91 when the first drum 91 and the second drum 92 rotate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G1. .

한편, 상기 트롤리(102)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소정의 구조물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들어올린 물체를 다른 위치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trolley 102 is installed to be movable horizontally along a predetermined structure, it may move the lifting object to another posi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로프식 트롤리 크레인은, 동력장치에 의한 드럼들(90, 91)의 회전에 의해 로프들(92, 93)이 드럼들(90, 91)에 감기거나 풀림으로써 후크(103)를 승강 운동시켜 후크(103)에 적재된 물체를 들어올리거나 내려 놓는다.In the conventional rope-type trolley cran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hooks 103 and 93 are wound or unwinded on the drums 90 and 91 by the rotation of the drums 90 and 91 by the power unit. ) By lifting and lowering the object loaded on the hook (103).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로프식 트롤리 크레인에서는 모터와 같은 동력장치의 힘으로만 물체를 들어올리거나 내려놓아야 하기 때문에 물체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더욱더 큰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장치와 감속비가 큰 감속기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rope-type trolley crane as described above, it is necessary to lift or lower the object only by the power of a power unit such as a motor, so that the heavier the weight of the object, the more the power unit that generates the greater power and the speed reducer having a larger reduction ratio should be used. There is a problem.

상기와 같은 종래의 로프식 트롤리 크레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로프식 트롤리 크레인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로프식 트롤리 크레인에 부가하여, 고정부재들(95, 96)에 의해 각각 상기 제1 드럼(90)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1 드럼(90)이 반시계 방향(G1)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 드럼(90)에 감기며 상기 제1 드럼(90)이 시계 방향(G2)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 드럼(90)에서 풀리는 제3 로프(106) 및 제4 로프(107)와, 고정부재들(99, 100)에 의해 각각 상기 제2 드럼(91)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2 드럼(91)이 반시계 방향(G1)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2 드럼(91)에 감기며 상기 제2 드럼(91)이 시계 방향(G2)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2 드럼(91)에서 풀리는 제5 로프(108) 및 제6 로프(109)와, 상기 제3 로프(95)와 제4 로프(96)의 타단에 연결된 제1 카운터웨이트(104) 및 상기 제5 로프(108)와 상기 제6 로프(109)의 타단에 연결된 제2 카운터웨이트(105)를 더 구비하고 있다.The rope-type trolley crane using the counterweight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rope-type trolley crane as described above, is added to the conventional rope-type trolley crane One end is fixed to the first drum 90 by the fixing members 95 and 96, respectively, and the first drum 90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G1. The third rope 106 and the fourth rope 107 unwinding from the first drum 90 when the first drum 90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G2 and the fixing members 99, One end is fixed to the second drum 91 by 100 and the second drum 91 is wound around the second drum 91 when the second drum 91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G1. The fifth rope 108 and the sixth rope 109 released from the second drum 91 and the third rope 95 and the fourth furnace when 91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G2; And a first counterweight 104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ope 96 and a second counterweight 105 connected to the other ends of the fifth rope 108 and the sixth rope 109.

한편, 도 8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로프식 트롤리 크레인은, 상기 제1 드럼(90)에서 인출된 상기 제3 로프(106) 및 제4 로프(107)를 다수의 시브를 구비한 제1 로프연장부(132)를 사용하여 상기 제1카운터웨이트(104)까지 연장하고, 상기 제2 드럼(91)에서 인출된 상기 제5 로프(108) 및 상기 제6 로프(109)를 다수의 시브를 구비한 제2 로프연장부(133)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카운터웨이트(105)까지 연장한다.Meanwhile, the rope type trolley crane using the counterweight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8 includes the third rope 106 and the fourth rope 107 drawn out from the first drum 90. Extends to the first counterweight 104 using the first rope extension 132 having a plurality of sheaves, and the fifth rope 108 and the second rope drawn out from the second drum 91. The six ropes 109 are extended to the second counterweight 105 using a second rope extension 133 having a plurality of sheaves.

상기 제1 로프연장부(132) 및 상기 제2 로프연장부(133)는, 상기 제1 카운터웨이트(104)와 상기 제2 카운터웨이트(105)가 승강운동을 할 때 상기 후크(103)가 상기 제1 카운터웨이트(104)와 상기 제2 카운터웨이트(105)의 승강운동보다 더 긴 승강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rope extension part 132 and the second rope extension part 133 may have a hook 103 when the first counterweight 104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105 move up and down. The lifting motion of the first counterweight 104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105 may be longer than that of the lifting mo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로프식 트롤리 크레인에서, 동력장치(미도시)가 제1 드럼(90) 및 제2 드럼(91)을 시계 방향(G2)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 로프(92) 및 상기 제2 로프(93)가 상기 제1 드럼(90) 및 상기 제2 드럼(91)에 감기면, 상기 제3 로프 내지 상기 제6 로프(106 내지 109)가 상기 제1 드럼(90) 및 상기 제2 드럼(91)에서 풀리면서, 상기 제1 카운터웨이트(104) 및 상기 제2 카운터웨이트(105)가 하강하여 후크(103)가 상승함으로써 후크(103)에 적재된 물체가 상승하게 된다.In the rope-type trolley crane using the counterweight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power unit (not shown) moves the first drum 90 and the second drum 91 in the clockwise direction G2. When the first rope 92 and the second rope 93 is wound around the first drum 90 and the second drum 91 by rotation, the third to sixth ropes 106 to 109. ) Is released from the first drum 90 and the second drum 91, the first counterweight 104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105 are lowered so that the hook 103 is raised and thus the hook ( The object loaded in 103 rises.

반대로, 동력장치(미도시)가 제1 드럼(90) 및 제2 드럼(91)을 반시계 방향(G1)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 로프(92) 및 상기 제2 로프(93)가 상기 제1 드럼(90) 및 상기 제2 드럼(91)에서 풀리면, 상기 제3 로프 내지 상기 제6 로프(106 내지 109)가 상기 제1 드럼(90) 및 상기 제2 드럼(91)에 감기면서, 상기 제1 카운터웨이트(104) 및 상기 제2 카운터웨이트(105)가 상승하여 상기 후크(103)가 하강함으로써 후크(103)에 적재된 물체가 하강하게 된다.On the contrary, a power unit (not shown) rotates the first drum 90 and the second drum 91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G1 so that the first rope 92 and the second rope 93 become the first rope. When the first drum 90 and the second drum 91 are released, the third to sixth ropes 106 to 109 are wound around the first drum 90 and the second drum 91. As the first counterweight 104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105 are raised to lower the hook 103, the object loaded on the hook 103 is lowered.

따라서, 적정 무게의 카운터웨이트를 사용하면 물체가 받는 하중을 카운터웨이트에서 보상해주기 때문에 매우 작은 동력장치를 사용하거나, 동일한 동력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더 무거운 물체를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다.Therefore, by using the counterweight of the appropriate weight, the weight of the object is compensated by the counterweight so that a very small power unit can be used, or a heavier object can be easily lifted when the same power unit is used.

한편, 통상적으로 후크(103)의 하강 및 상승 거리는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갠트리 크레인과 같은 크레인에서는 선박의 바닥에 적재된 컨테이너까지 이송하기 위하여 선박 바닥까지 후크(103)를 하강시켜야 하지만, 상기 제1 카운터웨이트(104) 및 상기 제2 카운터웨이트(105)는 지표면까지 밖에 하강 할 수 없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ing and rising distance of the hook 103 is generally the crane such as a gantry crane for transporting the container has to lower the hook 103 to the bottom of the vessel in order to transport to the container loaded on the bottom of the vessel, the first counter The weight 104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105 can only descend to the ground surface.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로프연장부(132) 및 상기 제2 로프연장부(133)를 사용하여, 제3 로프 내지 제6 로프(106 내지 109)의 길이를 연장시킴으로써, 상기 제1 카운터웨이트(104) 및 상기 제2 카운터웨이트(105)가 동일한 거리를 승강운동하더라도 상기 후크(103)가 상기 제1 카운터웨이트(104) 및 상기 제2 카운터웨이트(105) 보다 더 긴 거리를 승강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by using the first rope extension portion 132 and the second rope extension portion 133, the length of the third rope to sixth rope (106 to 109) to extend, Even if the first counterweight 104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105 move up and down the same distance, the hook 103 has a longer distance than the first counterweight 104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105. Allow you to lift and lower.

도 9는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기계식 트롤리 크레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트롤리와 후크에서의 로프 배치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FIG. 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echanical trolley crane using a counterweight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rope arrangement in the trolley and the hook shown in FIG. 9 in detail.

우선, 도 9에서 본 고안에 의하여 추가된 부분을 제외한 종래의 기계식 트롤리 크레인에 해당하는 부분을 먼저 설명하도록 하겠다.First, a portion corresponding to a conventional mechanical trolley crane except for the portion ad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9 will be described first.

도 9에 도시된 기계식 트롤리 크레인에 있어서, 종래의 기계식 트롤리 크레인에 해당하는 부분은, 소정 구조물(미도시)에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장치(미도시)와 회전가능한 제1 드럼(142) 및 제2 드럼(143)과, 상기 제1드럼(142) 및 상기 제2 드럼(143)에 고정부재들(152 내지 155)에 의해 각각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고정부위에 연결된 제1 로프 내지 제4 로프(144 내지 147)를 구비한 트롤리(140) 및 인양 대상 물체(미도시)와 결합과 분리가 가능한 소정의 걸이부(미도시)와 4개의 시브(162 내지 165)를 구비하여 상기 제1 로프 내지 제4 로프(144 내지 147)에 의해 승강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트롤리(140)에 연결된 후크(141)이다.In the mechanical trolley crane shown in FIG. 9,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nventional mechanical trolley crane is installed to be movable horizontally on a predetermined structure (not shown), and a drive unit (not shown) and a rotatable first drum 142. And a first rope connected to the second drum 143 and the first drum 142 and the second drum 143 by fixing members 152 to 155, respectively,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ixing portion. A trolley 140 having a fourth to fourth ropes 144 to 147 and a predetermined hook portion (not shown) and four sheaves 162 to 165 that can be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a lifting object (not shown). The hook 141 is connected to the trolley 140 to allow the lifting movement by the first to fourth ropes (144 to 147).

상기 트롤리(140)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소정의 구조물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들어올린 물체를 다른 위치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trolley 140 may be installed to be movable horizontally along a predetermined structure, and may move the lifted object to another position.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계식 트롤리 크레인에서는, 상기 제1 로프 내지 제4 로프(144 내지 147)가 상기 제1 드럼(142) 및 상기 제2 드럼(143)이 시계 방향(G2)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 드럼(142) 및 상기 제2 드럼(143)에 각각 감기고 상기 제1 드럼(142) 및 상기 제2 드럼(143)이 반시계 방향(G1)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 드럼(142) 및 상기 제2 드럼(143)에서 각각 풀림으로써, 후크(141)를 승강 운동시켜 후크(141)에 적재된 물체를 들어올리거나 내려 놓는다.In the conventional mechanical trolley cran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to fourth ropes 144 to 147 rotate in the clockwise direction G2 when the first drum 142 and the second drum 143 rotate. The first drum 142 when the first drum 142 and the second drum 143 are respectively wound and the first drum 142 and the second drum 143 rotate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G1. And each of the second drums 143 is released, thereby lifting and lowering the object loaded in the hook 141 by lifting and lowering the hook 141.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계식 트롤리 크레인에서는 모터와 같은 동력장치의 힘으로만 물체를 들어올리거나 내려놓아야 하기 때문에 물체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더욱더 큰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장치와 감속비가 큰 감속기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mechanical trolley crane as described above, it is necessary to lift or lower the object only by the power of a power unit such as a motor, so that the heavier the weight of the object, the more the power unit that generates more power and the speed reducer have to use a larger gear ratio. There is a problem.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계식 트롤리 크레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도 9및 도 10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기계식 트롤리 크레인은, 종래의 기계식 트롤리 크레인에 부가하여, 제5 내지 제8 로프들(148 내지 151)을 더 사용하고, 동시에 복수의 시브들(166 내지 179)과 제1 및 제2 카운터웨이트(160, 161)를 더 구비한다.The mechanical trolley crane using the counterweight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9 and 10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mechanical trolley crane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mechanical trolley crane, Further using the fifth to eighth ropes (148 to 151) and at the same time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sheaves (166 to 179) and the first and second counterweights (160, 161).

한편, 제5 및 제6 로프(148, 149)의 일단은 고정부재들(156, 157)에 의해 제1 드럼(142)에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제1 드럼(142)이 시계 방향(G2)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 및 제2 로프(144, 145)가 상기 제1 드럼(142)에 감기는데 반하여, 상기 제5 및 제6 로프(148, 149)는 상기 제1 드럼(142)에서 풀리고, 상기 제1 드럼(142)이 반시계 방향(G1)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 및 제2 로프(144, 145)가 상기 제1 드럼(142)에서 풀리는데 반하여, 상기 제5 및 제6 로프(148, 149)는 상기 제1 드럼(142)에 감긴다.Meanwhile, one end of the fifth and sixth ropes 148 and 149 is connected to the first drum 142 by fixing members 156 and 157, and the first drum 142 is clockwise (G2). The first and second ropes 144 and 145 are wound around the first drum 142 when rotated to the first and second ropes 148 and 149. When the first drum 142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G1, the first and second ropes 144 and 145 are released from the first drum 142, and the fifth drum And sixth ropes 148 and 149 are wound around the first drum 142.

또한, 제7 및 제8 로프(150, 151)의 일단은 고정부재들(158, 159)에 의해 제2 드럼(143)에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제2 드럼(143)이 시계 방향(G2)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3 및 제4 로프(146, 147)가 상기 제2 드럼(143)에 감기는데 반하여, 상기 제7 및 제8 로프(150, 151)는 상기 제2 드럼(143)에서 풀리고, 상기 제2 드럼(143)이 반시계 방향(G1)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3 및 제4 로프(146, 147)가 상기 제2 드럼(143)에서 풀리는데 반하여, 상기 제7 및 제8 로프(150, 151)는 상기 제2 드럼(143)에 감긴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seventh and eighth ropes 150 and 151 is connected to the second drum 143 by fixing members 158 and 159, and the second drum 143 is clockwise in a direction G2. When the third and fourth ropes 146 and 147 are wound around the second drum 143, the seventh and eighth ropes 150 and 151 are rotated by the second drum 143. When the second drum 143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G1, the third and fourth ropes 146 and 147 are released from the second drum 143. And eighth ropes 150 and 151 are wound around the second drum 143.

또한, 상기 제5 로프(148)와 상기 제6 로프(149)의 타단들은 시브들(166, 167, 168, 169, 170, 171)과 제1 카운터웨이트 시브(172)를 경유하여 제1 카운터웨이트(160)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7 로프(150)와 상기 제8 로프(151)의 타단들은 시브들(173, 174, 175, 176, 177, 178)과 제2 카운터웨이트 시브(179)를 경유하여 제2 카운터웨이트(161)에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the other ends of the fifth rope 148 and the sixth rope 149 are connected to the first counter via the sheaves 166, 167, 168, 169, 170, and 171 and the first counterweight sheave 172. The other ends of the seventh rope 150 and the eighth rope 151 are connected to the weight 160 and the other ends of the sheaves 173, 174, 175, 176, 177, and 178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sheave 179.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unterweight 161 via.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기계식 트롤리 크레인에서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드럼(142)에 감겨있는 제5 및 제6 로프(148, 149)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인출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트롤리(140)가 대개의 경우 트랙(미도시)을 따라 수평이동하기 때문에 제5 및 제6 로프(148, 149)가 같은 방향으로 인출되면 트롤리(140)가 정위치에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In the mechanical trolley crane using the counterweight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fifth and sixth ropes 148 and 149 wound on the first drum 142 are The trolley 140 is pulled out in the opposite direction because the trolley 140 moves horizontally along a track (not shown) in most cases. When the fifth and sixth ropes 148 and 149 are drawn in the same direction, the trolley 140 Cannot be in place.

따라서 제1 드럼(142)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인출된 제5 및 제6 로프(148, 149)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브들(166, 167, 168, 169, 170, 171)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 하나의 로프이다. 또한, 제2 드럼(143)에 감겨있는 제7 및 제8 로프(150, 151)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인출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제5 및 제6 로프(148, 149)와 같은 이유에서 이다. 제2 드럼(143)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인출된 제7 및 제8 로프(150, 15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브들(173, 174, 175, 176, 177, 178)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 하나의 로프이다.Accordingly, the fifth and sixth ropes 148 and 149 drawn out in opposite directions from the first drum 142 are connected through the sheaves 166, 167, 168, 169, 170 and 171 as shown in FIG. 9. It is one rop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seventh and eighth ropes 150 and 151 wound on the second drum 143 are also drawn out in opposite directions, for the same reason as the fifth and sixth ropes 148 and 149. The seventh and eighth ropes 150 and 151 drawn out in opposite directions from the second drum 143 are mutually connected through the sheaves 173, 174, 175, 176, 177 and 178 as shown in FIG. 9. It is one rope connect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5 및 제6 로프(148, 149)가 하나의 로프이고, 상기 제7 및 제8 로프(150, 151)가 하나의 로프인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상기 제5 및 제6 로프(148, 149)와 상기 제7 및 제8 로프(150, 151)는 반드시 하나의 로프일 필요는 없고, 별도의 로프가 상기 카운터웨이트에 연결되어 있어도 무방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fth and sixth ropes 148 and 149 are one rope, and the seventh and eighth ropes 150 and 151 are shown as one rope, but the fifth and sixth ropes The ropes 148 and 149 and the seventh and eighth ropes 150 and 151 are not necessarily one rope, and a separate rope may be connected to the counterweight.

이하 동작 설명은 상술한 크레인의 동작과 유사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description will be omitted because it is similar to 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crane.

도 11은 본 고안의 제8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기계식 트롤리 크레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기계식 트롤리는 도 9에 도시된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기계식 트롤리 크레인과 유사하지만, 제1 로프연장부(180) 및 제2 로프연장부(181)를 사용하여, 제5 로프 내지 제8 로프(148 내지 151)의 길이를 연장시킴으로써, 상기 제1 카운터웨이트(160) 및 상기 제2 카운터웨이트(161)가 동일한 거리를 승강운동하더라도 상기 후크(141)가 상기 제1 카운터웨이트(160) 및 상기 제2 카운터웨이트(161) 보다 더 긴 거리를 승강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점이 다르다.1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echanical trolley crane using a counterweight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chanical trolley shown in FIG. 11 is similar to the mechanical trolley crane using the counterweight shown in FIG. 9, but using the first rope extension 180 and the second rope extension 181, the fifth rope to the fifth. By extending the length of the eight ropes 148 to 151, even if the first counterweight 160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161 are moved up and down by the same distance, the hook 141 is moved to the first counterweight 160. )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161 is different in that it allows the lifting movement over a longer distance.

도 12는 본 고안의 제9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지브 크레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9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지브 크레인은, 일단에 물체(197)를 인양하기 위한 걸이부(190)를 구비한 지브(191) 및 동력장치(미도시)와 회전가능한 드럼(미도시)과 제1 로프(192)를 구비하며 상기 지브(191)가 승강, 좌우 선회 가능하도록 설치된 몸체(193)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로프(192)는 상기 드럼이 제1 방향, 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에 감기고 상기 드럼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 즉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에서 풀린다.1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jib crane using a counterweight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Jib crane using a counterweight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12, a jib 191 and a power unit (not shown) having a hook portion 190 for lifting an object 197 at one end. ) And a rotatable drum (not shown) and a first rope 192, and a body 193 installed to allow the jib 191 to move up and down, and to rotate left and right, wherein the first rope 192 is provided in the drum. The drum is wound around the drum when rotated in the first direction, for example clockwise, and released from the drum when the drum is rotated in the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ie counterclockwise.

또한, 본 고안의 제9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 웨이트를 이용한 지브 크레인은, 상기 드럼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드럼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에 감기며 상기 드럼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에서 풀리는 제2 로프(194)와, 상기 몸체(193)에 상기 지브(191)와 대칭되는 방향에 설치되며 상기 제2로프(194)를 가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붐대(196) 및 상기 제2 로프(194)의 타단에 연결된 소정 무게를 가진 카운터웨이트(195)를 구비하고 있다.In addition, the jib crane using a counterweight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one end is fixed to the drum and the drum is rotat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when the drum is rotated and the drum rotates in a clockwise direction A second rope 194 released from the drum, a boom 196 and the first to be installed in the body 193 in a direction symmetrical with the jib 191 and the movable support for the second rope 194 and the first A counterweight 195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two ropes 194 is provided.

한편, 본 고안의 제9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지브 크레인은, 상기 드럼에서 인출된 상기 제2 로프(194)를 다수의 시브(미도시)를 구비한 로프연장부(미도시)를 사용하여 상기 카운터웨이트(195)까지 연장함으로써 상기 카운터웨이트(195)가 승강운동을 할 때 상기 걸이부(190)가 상기 카운터웨이트(195)의 승강운동보다 더 긴 승강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jib crane using a counterweight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rope 194 drawn from the drum is provided with a rope extension (not shown) having a plurality of sheaves (not shown) By using the extension to the counterweight 195 by the hook portion 190 when the lifting weight is to be able to make the lifting movement longer than the lifting movement of the counterweight 195 desirable.

본 고안의 제9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지브 크레인은, 상기 드럼에 연결된 제1 로프(192)가 드럼에 감기면 상기 제2 로프(194)가 풀리면서 상기 카운트웨이트(195)가 하강함으로써, 상기 물체를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다.In the jib crane using a counterweight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rope 192 connected to the drum is wound around the drum, the second rope 194 is released and the count weight 195 is lowered. By doing this, the object can be easily lifted.

본 고안에 의한 카운터웨이트에 의한 중량물 인양기술은 상기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종류의 크레인과 엘리베이터 등에 적용이 가능하다.Weight lifting technology by the counterwe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can be applied to all kinds of cranes and elevators.

본 고안에 의한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기중 장치는 카운터웨이트와 최소한의 드럼과 로프를 사용하여 보다 작은 동력장치를 사용하거나 동일한 동력장치로 더 무거운 물체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The lifter using the counterwe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move a heavier object using the smaller power unit or the same power unit using the counterweight and the minimum drum and rope.

Claims (11)

동력으로 물체를 끌어올려 이동시키기 위한 기중 장치에 있어서,A lifter for lifting and moving an object by power, 소정의 구조물에 의해 지상의 소정 높이에 동력장치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설치된 드럼;A drum rotatably installed by a power unit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structure; 상기 드럼의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드럼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에 감기며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상기 드럼이 회전할 때 상기 드럼에서 풀리는 제1 로프;A first rope having one end fixed to one side of the drum and wound around the drum when the drum rotates in a first direction and released from the drum when the drum rotates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상기 드럼의 다른 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드럼이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에 감기며 상기 드럼이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에서 풀리고 타단에는 인양 대상인 상기 물체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소정의 걸이수단이 구비된 제2 로프; 및One end i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drum and is wound on the drum when the drum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and is released from the drum when the drum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object to be lifted and A second rope having a predetermined hook means detachable; And 상기 제1 로프의 타단에 연결된 소정 무게를 가진 카운터웨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기중 장치.Lifting device using a counterweigh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unterweight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는 사람을 태우거나 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카이며 상기 제2 로프의 타단에 구비된 걸이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카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 장치.Th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bject is an elevator car for carrying a person or carrying a load, and a hook mean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ope is coupled with the elevator c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에 별도의 회전축을 연결하고 상기 회전축에 카운터웨이트용 드럼을 더 연결하여 상기 제1 로프를 상기 카운터웨이트용 드럼의 일측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카운터웨이트용 드럼이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 로프가 상기 카운터웨이트용 드럼에 감기고 상기 카운터웨이트용 드럼이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 로프가 상기 카운터웨이트용 드럼에서 풀리도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기중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counterweight drum is connected to the drum of the counterweight by connecting a separate rotary shaft to the drum and further connected to the drum for the counterweight by fixing the first rope to one side of the counterweight drum The first rope is wound around the counterweight drum when rotated in a direction, and the first rope is released from the counterweight drum when the counterweight drum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Lifter using weigh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드럼이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에 감기는 카운터웨이트용 제3 로프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로프의 타단은 수평 방향인 제3 방향으로 인출되어 제1 시브를 거쳐 상기 카운터웨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3 로프의 타단은 상기 제3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4 방향으로 인출되어 제2 시브를 거쳐 다른 카운터웨이트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 로프와 상기 제3 로프에 의해 상기 드럼에 수평 방향의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기중 장치.According to claim 1, One end is fixed to the drum and further comprises a third rope for the counterweight wound on the drum when the drum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pe i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ing drawn in a third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counterweight via a first sheave and the other end of the third rope is drawn in a fourth direction opposite to the third direction and connected to another counterweight via a second sheave, Lifting device using a counterweight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izontal force is not applied to the drum by the first rope and the third ro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드럼이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에 감기는 카운터웨이트용 제3 로프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로프의 타단은 수직 상방으로 인출되어 제1 시브에 의해 수평 방향인 제3 방향으로 인출되고 제2 시브를 거쳐 상기 카운터웨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3 로프의 타단은 수직 상방으로 인출되어 제3 시브에 의해 상기 제3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4 방향으로 인출되어 제4 시브를 거쳐 다른 카운터웨이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기중 장치.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hird rope for the counterweight is fixed to the drum and wound around the drum when the drum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pe is vertically upward Withdrawal and withdrawal in a third direc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by the first sheave and connected to the counterweight via a second sheave, and the other end of the third rope is withdrawn vertically upwards and is opposed to the third direction by a third sheave. A lifter using a counterweight, which is drawn in a fourth direction, and is connected to another counterweight via a fourth sheave. 소정 구조물에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트롤리와, 인양 대상 물체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소정의 걸이수단이 구비되며 다수의 시브와 제1 로프 및제2 로프에 의해 승강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트롤리에 연결된 후크와, 지상의 소정 높이에 동력장치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드럼 및 제2 드럼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로프와 상기 제2 로프는, 각각 일단이 상기 제1 드럼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드럼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드럼과 상기 제2 드럼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 드럼과 상기 제2 드럼에 각각 감기고 상기 제1 드럼과 상기 제2 드럼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 드럼과 상기 제2 드럼에서 각각 풀리는 로프식 트롤리 크레인에 있어서,A trolley installed horizontally movable on a predetermined structure, and a predetermined hook means capable of engaging and detaching the object to be lifted, and a hook connected to the trolley to allow the lifting movement by a plurality of sheaves and the first rope and the second rope. And a first drum and a second drum rotatably installed by a power unit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ground, wherein each of the first rope and the second rope is fixed to the first drum and the other end is It is fixed to the second drum and is wound around the first drum and the second drum when the first drum and the second drum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respectively, the first drum and the second drum and the first direction and In the rope-type trolley crane, respectively released from the first drum and the second drum when rotating in the second direction, which is the opposite direction, 상기 제1 드럼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1 드럼이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 드럼에 감기며 상기 제1 드럼이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 드럼에서 풀리는 제3 로프;A third end fixed to the first drum and wound around the first drum when the first drum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and released from the first drum when the first drum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rope; 상기 제2 드럼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2 드럼이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2 드럼에 감기며 상기 제1 드럼이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2 드럼에서 풀리는 제4 로프;A fourth end fixed to the second drum and wound around the second drum when the second drum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and released from the second drum when the first drum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rope; 상기 제3 로프의 타단에 연결된 소정 무게를 가진 제1 카운터웨이트; 및A first counterweight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third rope; And 상기 제4 로프의 타단에 연결된 소정 무게를 가진 제2 카운터웨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로프식 트롤리 크레인.Rope-type trolley crane using a counterweigh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counterweight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ourth rop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드럼에서 인출된 상기 제3 로프를 다수의 시브를 구비한 제1 로프연장부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카운터웨이트까지 연장하고 상기 제2 드럼에서 인출된 상기 제4 로프를 다수의 시브를 구비한 제2 로프연장부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카운터웨이트까지 연장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카운터웨이트가 승강운동을 할 때 상기 후크가 상기 제1 및 제2 카운터웨이트의 승강운동보다 더 긴 승강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로프식 트롤리 크레인.The fourth rope of claim 6, wherein the third rope drawn from the first drum extends to the first counterweight using a first rope extension having a plurality of sheaves, and the fourth rope drawn from the second drum. By extending to the second counterweight by using a second rope extension having a plurality of sheaves, the hook lifts the first and second counterweights when the first and second counterweights Rope trolley crane using a counterweight, characterized in that to allow longer lifting movement than movement. 소정 구조물에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장치와 회전가능한 드럼과 상기 드럼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고정부위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로프를 구비한 트롤리 및 인양 대상 물체와 결합과 분리가 가능한 소정의 걸이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프에 의해 승강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트롤리에 연결된 후크를 구비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프는 상기 드럼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에 각각 감기고 상기 드럼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에서 각각 풀리는 기계식 트롤리 크레인에 있어서,It is installed to be movable horizontally to a predetermined structure, a trolley having at least one rope connected to a driving device, a rotatable drum and the drum, and the other end to be connected to and separated from a lifting object. A hook connected to the trolley to enable lifting by the at least one rope, the hook being wound around the drum when the drum rotates in a first direction, and the drum being In the mechanical trolley crane each released from the drum when rotating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상기 드럼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드럼이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에 감기며 상기 드럼이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에서 풀리는 제1 로프;A first rope having one end fixed to the drum, wound around the drum when the drum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and released from the drum when the drum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상기 드럼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드럼이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에 감기며 상기 드럼이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에서 풀리는 제2 로프; 및A second rope having one end fixed to the drum, wound around the drum when the drum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and released from the drum when the drum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And 상기 제1 로프의 타단에 연결된 소정 무게를 가진 카운터웨이트를 포함하며,It includes a counterweight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pe, 상기 제1 로프의 타단은 수평 방향인 제3 방향으로 인출되어 다수의 시브를거쳐 상기 카운터웨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로프의 타단은 상기 제3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4 방향으로 인출되어 다수의 시브를 거쳐 상기 카운터웨이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기계식 트롤리 크레인.The other end of the first rope is drawn out in a third direc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counterweight via a plurality of sheaves,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ope is drawn out in a fourth direction opposite to the third direction. Mechanical trolley crane using the counterweight,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counterweight through the sieve of.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에서 인출된 상기 제1 로프를 다수의 시브를 구비한 로프연장부를 사용하여 상기 카운터웨이트까지 연장하고 상기 드럼에서 인출된 상기 제2 로프를 다수의 시브를 구비한 로프연장부를 사용하여 상기 카운터웨이트까지 연장함으로써, 상기 카운터웨이트가 승강운동을 할 때 상기 후크가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승강운동보다 더 긴 승강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기계식 트롤리 크레인.9. The rop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first rope drawn out of the drum is extended to the counterweight using a rope extension having a plurality of sheaves, and the second rope drawn out of the drum has a plurality of sheaves. By extending to the counterweight by using an extension, the mechanical weight trolley crane using a counterweight,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counterweight moves up and down the hook can make a longer lifting movement than the lifting weight of the counterweight . 일단에 물체를 인양하기 위한 걸이수단을 구비한 지브; 및 동력장치와 회전가능한 드럼과 제1 로프를 구비하며 상기 지브가 승강, 좌우 선회 가능하도록 설치된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로프는 상기 드럼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에 감기고 상기 드럼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에서 풀리는 지브 크레인에 있어서,A jib having hook means for lifting an object at one end; And a power unit, a rotatable drum, and a first rope, wherein the jib is provid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to swing left and right, wherein the first rope is wound around the drum when the drum rotates in a first direction and the drum is rotated. In the jib crane released from the drum when rotating in the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상기 드럼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드럼이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에 감기며 상기 드럼이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드럼에서 풀리는 제2 로프;A second rope having one end fixed to the drum, wound around the drum when the drum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and released from the drum when the drum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상기 몸체에 상기 지브와 대칭되는 방향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로프를 가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붐대; 및A boom installed on the body in a symmetrical direction to the jib and movably supporting the second rope; And 상기 제2 로프의 타단에 연결된 소정 무게를 가진 카운터웨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지브 크레인.Jib crane using a counterweight comprising a counterweight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op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에서 인출된 상기 제2 로프를 다수의 시브를 구비한 로프연장부를 사용하여 상기 카운터웨이트까지 연장함으로써 상기 카운터웨이트가 승강운동을 할 때 상기 걸이수단이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승강운동보다 더 긴 승강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지브 크레인.The hooking means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when the counterweight moves up and down by extending the second rope drawn from the drum to the counterweight using a rope extension having a plurality of sheaves. Jib crane using a counterweight, characterized in that to allow a longer lifting movement than the lifting movement.
KR2020010023133U 2001-07-30 2001-07-30 Hoisting apparatus using counterweight KR20025126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133U KR200251266Y1 (en) 2001-07-30 2001-07-30 Hoisting apparatus using counterweigh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133U KR200251266Y1 (en) 2001-07-30 2001-07-30 Hoisting apparatus using counterweigh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6034A Division KR20030012146A (en) 2001-07-30 2001-07-30 Hoisting apparatus using counterweigh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1266Y1 true KR200251266Y1 (en) 2001-11-22

Family

ID=73054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3133U KR200251266Y1 (en) 2001-07-30 2001-07-30 Hoisting apparatus using counterweigh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1266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547B1 (en) 2012-11-07 2013-06-04 포코중공업 주식회사 Ship composed of floating gantry crane with counter weight for sending aggregat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547B1 (en) 2012-11-07 2013-06-04 포코중공업 주식회사 Ship composed of floating gantry crane with counter weight for sending aggrega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12146A (en) Hoisting apparatus using counterweight
FI102957B (en) Control system for a lingripscope
CN205151582U (en) Novel rack and pinion luffing single -boom multipurpose stationary crane
US3971478A (en) Overhead crane with lifting beam provided with C-shaped claws
KR101239990B1 (en) Mini crane
CN100436300C (en) Wire rope reeving support system for cargo container handling gantry cranes
CN208037868U (en) A kind of formwork of bridge rail peace is torn open and transfer device
CN101913548A (en) Movable manned elevator and elevator working mechanism thereof
KR20010021248A (en) Crane apparatus
KR200448240Y1 (en) Tower crane of enable use T-type crane and Luffing crane
KR20040007690A (en) Elevating/lowering mechanism and elevating/lowering method of elevat0r
KR200251266Y1 (en) Hoisting apparatus using counterweight
JP2012121719A (en) Quay crane
CN210528295U (en) Multifunctional transportation device
CN211310603U (en) Anti-sway and anti-sway system
WO2017082739A1 (en) Knuckle-boom crane
JPH04266397A (en) Crane with jib
CN112479032A (en) Gantry crane
JP5694095B2 (en) Overhead traveling crane
CN116588822B (en) Hoisting device
JP2012126528A (en) Quay crane
CN219991005U (en) Winding device
CN218058228U (en) Lifting system and tower crane with same
CN220618061U (en) Novel well formula construction elevator
CN220376198U (en) Auxiliary lifting system of tower cr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