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0524Y1 - 자세 교정용 의자 - Google Patents

자세 교정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0524Y1
KR200250524Y1 KR2020010018497U KR20010018497U KR200250524Y1 KR 200250524 Y1 KR200250524 Y1 KR 200250524Y1 KR 2020010018497 U KR2020010018497 U KR 2020010018497U KR 20010018497 U KR20010018497 U KR 20010018497U KR 200250524 Y1 KR200250524 Y1 KR 2002505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coupled
guide
movable body
fixe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84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철수
Original Assignee
정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철수 filed Critical 정철수
Priority to KR20200100184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05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05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0524Y1/ko

Links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등받이가 없는 둔부시트와 무릎시트가 각각 소정각도를 갖고 이격되어 착석시 허리, 골반부 및 다리가 상호 자연스럽게 직각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자세 교정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수평프레임(10), 수평프레임(10)에 수직으로 입설된 고정지지관(20), 고정지지관(20)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관(30)으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의자에 있어서, 이동관(30)의 선단에 소정 각도로 경사져 편심되게 설치되는 둔부시트(40)와, 고정지지관(20)의 소정 위치에서 전방으로 돌출 결합되고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수평이동체(53)를 포함하는 지지부(50)와, 지지부(50)에 경사지게 결합되고 슬라이딩 가능한 경사이동체(63)를 포함하는 안내부(60)와, 경사이동체(63)에 결합되어 경사이동체(63)와 연동하는 무릎시트(70) 및 고정지지관(20)의 적절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족장지지체(80)가 포함되는 구성으로, 착석시 허리, 골반부 및 다리가 상호 자연스럽게 직각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허리에 집중되었던 체중의 대부분을 무릎으로 분산시키는 효과를 가져오게 되어, 장시간 의자에 착석하여도 허리에 무리가 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복부의 눌림 없이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세 교정용 의자{Chair for correcting a posture}
본 고안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등받이가 없는 둔부시트와 무릎시트가 각각 소정각도를 갖고 이격되어 착석시 허리, 골반부 및 다리가 상호 자연스럽게 직각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자세 교정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자에 앉아서 대부분의 시간을 할애하는 학생 및 직장인이 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람이 의자에 앉아서 공부하거나 근무하는 경우, 자연스럽게 허리가 굽어지며 상체가 앞으로 숙여지는 자세를 취하게 된다.
따라서, 의자에 장시간 앉아 있다 보면 체중의 대부분을 지지하는 허리가 매우 불편해지고 심하면 통증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었다.
그리고, 허리가 불편해지면 대부분 상체를 한쪽으로 기울이거나 등받이에 허리를 밀착시켜 젖힌 상태에서 앉게 되어 척추가 휘는 큰 요인이 되었다.
특히, 성장기의 학생들에게는 척추가 심하게 휘는 증세 즉, 척추 측만증이라는 증세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되는데, 척추 측만증은 심한 통증은 물론 성장하는데 많은 저해요인이 될 수 있었다.
또한, 공부를 하거나 근무 시에 상체가 앞으로 쏠리게 앉게 되면 복부가 눌리게 됨으로써 체형도 보기 좋지 않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종래에도 다양한 형태의 자세 교정 의자가 공지된 바 있으나, 이들은 모두 인위적으로 허리를 직립 시키도록 하는 것에 지나지 않아 근본적으로 자세 교정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안출된 것으로, 허리에 집중되었던 체중을 무릎으로 분산시켜 허리에 가해지는 체중의 부담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등받이가 없는 둔부시트와 무릎시트를 각각 소정각도로 이격시켜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시 허리, 골반부 및 다리가 상호 자연스럽게 직각으로 유지되는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세 교정용 의자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자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자세 교정용 의자에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자세 교정용 의자에서 고정지지관과 지지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인 결합단면도,
도 4는 도 1의 자세 교정용 의자의 지지부를 일부 절제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자세 교정용 의자의 안내부를 일부 절제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1의 무릎시트가 젖혀진 상태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0 : 수평프레임 20 : 고정지지관
30 : 이동관 40 : 둔부시트
50 : 지지부 60 : 안내부
70 : 무릎시트 80 : 족장지지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라서, 캐스터가 마련된 수평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에 수직으로 입설된 고정지지관, 높이조절체가 내장되며 상기 고정지지관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관과 상기 높이조절체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관의 선단으로 돌출된 높이조절체 조작레버가 구비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이동관의 선단에 소정 각도로 경사져 편심되게 설치되는 둔부시트와; 상기 고정지지관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미끄럼부재와, 양측면에 장공과 내측에 래크가 형성되며 상기 미끄럼부재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고정지지관에 결합위치가 변경 가능한 수평가이드와, 외측에 돌출 되는 수평이동레버의 조작에 따라 기어결합으로 내설되는 상기 수평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하고 상측에 경사면이 형성된 수평이동체로 이루어진 지지부와; 상기 수평이동체의 경사면에 결합되고 선단에 젖힘돌기가 형성된 경사가이드와, 외측에 돌출 되는 경사이동레버의 조작에 따라 기어결합으로 내설되는 상기 경사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하는 경사이동체로 이루어진 안내부와; 상기 경사이동체의 상측에 결합되는 무릎시트; 및 상기 고정지지관의 적절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족장지지체;를 포함하는 자세 교정용 의자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자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자세 교정용 의자에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자는 수평프레임(10), 수평프레임(10)에 수직으로 입설된 고정지지관(20), 고정지지관(20)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관(30)으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의자에 있어서, 이동관(30)의 선단에 소정 각도로 경사져 편심되게 설치되는 둔부시트(40)와, 고정지지관(20)의 소정 위치에서 전방으로 돌출 결합되고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수평이동체(53)를 포함하는 지지부(50)와, 지지부(50)에 경사지게 결합되고 슬라이딩 가능한 경사이동체(63)를 포함하는 안내부(60)와, 경사이동체(63)에 결합되어 경사이동체(63)와 연동하는 무릎시트(70) 및 고정지지관(20)의 적절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족장지지체(80)가 포함된다.
수평프레임(10)에는 다수의 분기된 분기받침대(14)가 형성되고, 각 분기받침대(14)의 일단에는 이동수단인 캐스터(caster;12)가 구비된다.
수평프레임(10)의 중앙부에는 수직으로 고정지지관(20)이 입설된다.
고정지지관(20)에는 중공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중공부(미도시)에는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이동관(30)이 결합된다.
여기서, 고정지지관(20)에 대하여 이동관(30)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이동관(30)에는 높이조절체(32)가 내장된다.
높이조절체(32)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가스를 사용하여 실린더, 피스톤로드와 스핀들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가스실린더가 사용되며, 본원에서는 가스실린더의 구성과 작동을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는다.
높이조절체(32)의 일단에는 높이조절체 조작레버(34)가 결합되고, 높이조절체 조작레버(34)는 이동관(30)의 선단으로 돌출 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동관(30)의 일단에는 둔부시트 지지대(36)가 결합되고, 둔부시트 지지대(36)에는 둔부시트(40)가 결합된다.
둔부시트(40)는 둔부시트 지지대(36)에 편심되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결합되는데, 둔부시트 지지대(36)의 중심축에 둔부시트(40)의 중심부가 아닌 전방부를 결합시켜 편심되도록 하며, 전방부가 낮고 후방부가 높은 형태로 경사지게 결합된다.
둔부시트(40)는 양측에 팔걸이(42)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팔을 걸쳐 편한 자세로 휴식할 수 있고, 팔걸이(42)에는 쿠션(42a)이 결합되어 편안함을 더해주게 되며, 부가적으로 상체가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 넘어질 수 있는 경우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둔부시트(40)는 사용자의 둔부가 편안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둔부형상의 오목부(40a)가 형성되고, 대퇴(大腿)부가 밀착되는 전방의 일단은 소정의 각도로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가 착석시 불편함이 없도록 한다.
그러나, 둔부시트(40)가 소정의 각도를 갖고 둔부시트 지지대(36)에 결합되므로 사용자에 따라서는 불편함을 느낄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둔부시트(40)를 자신에게 편안한 자세로 조정할 수 있도록 둔부시트(40)의 하측에는 탄성흡수체(44)가 결합된다.
탄성흡수체(44)는 충진된 압축가스의 작용에 의해 스프링력이 발생되고, 충진되는 오일로서 완충작용이 가능한 공지의 쇼크 옵서버(Shock observer)가 사용되며, 본원에서는 쇼크 옵서버의 구성과 작동을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는다.
한편, 고정지지관(20)의 소정 위치에는 지지부(50)와 지지부(50)에 결합되어 무릎시트(70)를 이동시키는 안내부(60)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도 3은 고정지지관과 지지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인 결합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자세 교정용 의자의 지지부를 일부 절제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50)는 고정지지관(20)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미끄럼부재(56)와, 양측면에 장공(51b)과 내측에 래크(51a)가 형성되며 미끄럼부재(56)에 고정 결합되어 고정지지관(20)에 결합위치가 변경 가능한 수평가이드(51)와, 외측에 돌출 되는 수평이동레버(52)의 조작에 따라 기어결합으로 내설되는 상기 수평가이드(51)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하고 상측에 경사면(53d)이 형성된 수평이동체(53)로 이루어진다.
고정지지관(2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체결공(24)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24)과 대응하는 관통공(56a)이 형성된 미끄럼부재(56)가 고정지지관(20)에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미끄럼부재(56)에는 수평가이드(51)가 고정결합되어, 수평가이드(51)는 미끄럼부재(56)와 연동하여 고정지지관(20)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된다.
또한, 수평가이드(51)는 미끄럼부재(56)의 관통공(51c)을 통하여 체결수단(58)으로 고정지지관(20)에 결합된다.
따라서, 고정지지관(20)에 결합되는 수평가이드(51)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체결수단(58)을 해체하여 미끄럼부재(56)를 고정지지관(20)에서 슬라이딩시켜 고정지지관(20)의 다수의 체결공(24)중 선택적인 하나의 체경공(24)과 미끄럼부재(56)의 체결공(56a)을 일치시켜 체결수단(58)으로 고정지지관(20)에 수평가이드(51)를 적정한 위치에 맞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수평가이드(51)는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래크(51a)와 양측면에 장공(51b)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수평가이드(5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수평가이드공(53a)이 형성된 수평이동체(53)가 결합된다.
수평이동체(53)의 일측에는 수평가이드(51)의 장공(51b)과 동축선상의 결합공(53b)이 형성되고, 결합공(53b)과 동축선상으로 수평가이드공(53a)을 연통하는 공동부(53c)가 형성된다.
여기서, 수평이동체(53)에는 수평이동체(53)의 외측으로 돌출 되며 회전가능하고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손잡이(52a)가 부착된 수평이동레버(52)가 결합공(53b)에 결합된다.
결합공(53b)에 결합되는 수평이동레버(52)의 선단은 공동부(53c)내에서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러나, 수평이동레버(52)가 횡방향으로 구속 없이 이동되면 수평이동레버(52)가 수평이동체(53)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수평이동레버(52)의 선단에는 걸림편(52b)이 형성되고, 걸림편(52b)과 대응하는 공동부(53c)의 일측이 걸림턱의 역할을 하여 수평이동레버(52)의 횡방향이동을 구속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수평이동체(53)가 수평가이드(51)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하기 위하여, 수평이동레버(52)가 관통되며 수평가이드(51)의 래크(51a)와 맞물리도록 이동기어(54)가 수평가이드(51)에 내설된다.
또한, 수평가이드(51)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수평이동체(53)가 수평가이드(5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평이동체(53)의 결합공(53b) 근처에는 멈춤돌기(50a)가 형성된다.
멈춤돌기(50a)는 수평이동체(53)에서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수평이동레버(52)가 수평이동체(53)에 밀착되었을 때, 수평이동레버(52)의 손잡이(52a)가 멈춤돌기(50a)와 결합되면서 수평이동레버(52)와 맞물려 결합된 이동기어(54)의 회전을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수평이동체(53)는 수평가이드(51)를 따라 이동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지지부(50)는 상측에 경사면(53d)이 형성되고, 경사면(53d)에는 경사가이드(61)와 경사가이드(61)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사이동체(63)로 이루어진 안내부(60)가 결합된다.
도 5는 안내부를 일부 절제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이동체(53)의 경사면(53d)에 결합되는 경사가이드(61)는 측면에 가이드홈(61b)과 상측에 래크(61a)가 형성된다.
경사가이드(61)의 측면의 가이드홈(61b)에는 가이드홈(61b)에 결합되는 가이드(63b)가 하측에 형성된 경사이동체(63)가 결합된다.
경사이동체(63)는 제 1경사이동체(63')와 제 1경사이동체(63')에 힌지 결합되어 경사가이드(61)에서 연동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며 무릎시트(70)가 결합되는 제 2경사이동체(63'')로 이루어진다.
제 1경사이동체(63')의 일측에는 결합공(63c')이 형성되고, 결합공(63c')과 동축선상으로 제 1경사이동체(63')의 내측에는 걸림턱(63d')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 1경사이동체(63')에는 외측으로 돌출 되며 회전가능하고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손잡이(62a)가 부착된 경사이동레버(62)가 결합공(63c')에 결합된다.
결합공(63c')에 결합되는 경사이동레버(62)의 선단은 걸림턱(63d')내에서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러나, 경사이동레버(62)가 횡방향으로 구속 없이 이동되면 경사이동레버(62)가 제 1경사이동체(63')로부터 이탈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경사이동레버(62)의 선단에는 걸림편(62b)이 형성되어 경사이동레버(62)의 횡방향이동을 구속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 1경사이동체(63')가 경사가이드(61)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하기 위하여, 경사이동레버(62)가 관통되며 경사가이드(61)의 래크(61a)와 맞물리게 이동기어(64)가 제 1경사이동체(63')에 내설된다.
또한, 제 1경사이동체(63')가 경사가이드(61)를 따라 미끄러지지 않고 이동되기 위하여 제 1경사이동체(63')의 결합공(63c') 근처에는 멈춤돌기(63a')가 형성된다.
멈춤돌기(63a')는 제 1경사이동체(63')에서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경사이동레버(62)가 제 1경사이동체(63')에 밀착되었을 때, 경사이동레버(62)의 손잡이(62a)가 멈춤돌기(63a')와 결합되면서 경사이동레버(62)와 맞물려 결합된 이동기어(64)의 회전을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제 1경사이동체(63')는 경사가이드(61)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이동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 1경사이동체(63')는 일단 하측에 연장힌지부(63e')가 형성되고, 연장힌지부(63e')에는 일단에 연장힌지부(63e')와 대응하는 결합힌지부(63e'')가 형성된 제 2경사이동체(63'')가 힌지결합된다.
따라서, 제 2경사이동체(63'')는 제 1경사이동체(63')에 부착된 경사이동레버(62)의 조작에 의하여 경사가이드(61)에서 제 1경사이동체(63')와 연동된다.
여기서, 경사이동체(63)가 경사가이드(61)에서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경사가이드(61)의 선단 상측에는 방지턱(61d)을 형성하여 경사이동체(63)를 경사가이드(61)에서 이동시키는 이동기어(64)를 제동시켜 사용자를 보호하게 된다.
제 2경사이동체(63'')의 상측에는 무릎시트(70)가 결합되는데, 둔부시트(40)와 마찬가지로 무릎시트(70)에도 오목부(70a)가 형성되어 무릎이 편안하게 밀착될수 있게 된다.
한편, 고정지지관(20)에는 다수의 장착공(22)이 형성되고, 장착공(22)에는 사용자의 족장이 지지가능 하도록 족장지지체(80)가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된다.
족장지지체(80)는 장착공(22)에 결합되는 지지봉(82)과 지지봉(82)에 결합되는 족장지지봉(84)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족장지지봉(84)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돌기(84a)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발바닥을 족장지지봉(84)에 밀착시켰을 때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자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우선 둔부를 둔부시트(40)의 오목부(40a)에 밀착시키고, 무릎을 무릎시트(70)의 오목부(70a)에 위치하여, 흡사 무릎을 꿇는 자세로 의자에 착석하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의 키에 따른 다리길이가 모두 다르므로 각 사용자의 키에 따라 무릎시트(70)와 둔부시트(4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 때, 수평이동레버(52)를 회전시켜 지지부(50)의 수평이동체(53)를 수평가이드(51)를 따라 슬라이딩시키면 무릎시트(70)와 둔부시트(40) 사이의 횡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경사이동레버(62)를 회전시켜 안내부(60)의 경사이동체(63)를 경사가이드(61)를 따라 슬라이딩시키면 무릎시트(70)와 둔부시트(40) 사이의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따라서, 지지부(50)와 안내부(60)의 각 이동레버(52, 62)를 조작하면 무릎시트(70)를 사용자의 키에 맞게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높이조작체 조작레버(34)를 조작하면 둔부시트(40)의 자체 높이가 조정되므로, 사용자의 키에 맞게 무릎시트(70)와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무릎시트(70)와 둔부시트(40)가 사용자의 키에 맞게 조절되면, 무릎시트(70)와 둔부시트(40)의 상호 기울어진 각도에 의해서 사용자의 자세는 도 2와 같이, 허리, 골반부 및 다리가 자연스럽게 상호 직각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자세가 자연스럽게 허리가 숙여진 상태로 허리, 골반부 및 다리가 상호 직각을 이루게 되어서, 사용자가 공부하거나 근무하는데 일부러 허리를 굽힐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앉아 있는 자세가 자연스럽게 허리를 곧추 세운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종래의 허리에 집중되었던 체중을 무릎으로 분산시킬 수 있어서, 척추에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교정용 의자에 장시간 앉아 있다 보면 무릎에 부담이 갈 수 있기 때문에 이 때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릎시트(70)를 젖혀 사용자는 무릎시트(70)위에 다리를 펴고 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경사이동체(63)를 경사가이드(61)의 선단으로 이동시켜 제 1경사이동체(63')와 힌지결합된 제 2경사이동체(63'')가 경사가이드(61)의 선단을 통과하면제 1경사이동체(63')와 힌지결합된 제 2경사이동체(63'')가 경사가이드(61)의 선단에서 젖혀지게 되고, 제 2경사이동체(63'')는 경사가이드(61)의 선단 하측에 형성된 젖힘돌기(61c)에 의하여 소정의 각도로 위치하여, 제 2경사이동체(63'')의 상측에 결합된 무릎시트(70)가 젖혀지는 것이다.
무릎시트(70)가 젖혀지면, 사용자는 대퇴(大腿)에서 하퇴(下腿)의 일정부위를 무릎시트(70)에 걸치고 휴식을 취하면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자는, 등받이가 없는 둔부시트와 무릎시트가 사용자의 키에 맞게 조정가능하고, 무릎시트와 둔부시트의 상호 기울어진 각도에 의해서 사용자의 자세는 허리, 골반부 및 다리가 자연스럽게 상호 직각을 이루게 되어서, 결국 사용자의 허리를 인위적으로 세우는 것이 아니고 자연스럽게 곧추 세울 수 있게 함으로써 바람직한 자세로 착석 가능하여 자세 교정효과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종래의 허리에 집중되었던 체중을 무릎으로 분산시켜, 허리가 아파서 몸이 한쪽이나, 또는 앞으로 쏠리지 않게 되고, 또한, 허리를 곧추 세우게 되는 자세로부터 복부의 눌림도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장시간 의자에 착석하여도 허리에 무리가 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복부의 눌림 없이 자세를 교정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캐스터(12)가 마련된 수평프레임(10), 상기 수평프레임(10)에 수직으로 입설된 고정지지관(20), 높이조절체(32)가 내장되며 상기 고정지지관(20)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관(30)과 상기 높이조절체(32)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관(30)의 선단으로 돌출된 높이조절체 조작레버(34)가 구비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이동관(30)의 선단에 소정 각도로 경사져 편심되게 설치되는 둔부시트(40);
    상기 고정지지관(20)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미끄럼부재(56)와, 양측면에 장공(51b)과 내측에 래크(51a)가 형성되며 상기 미끄럼부재(56)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고정지지관(20)에 결합위치가 변경 가능한 수평가이드(51)와, 외측에 돌출 되는 수평이동레버(52)의 조작에 따라 기어결합으로 내설되는 상기 수평가이드(51)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하고 상측에 경사면(53d)이 형성된 수평이동체(53)로 이루어진 지지부(50);
    상기 수평이동체(53)의 경사면(53d)에 결합되고 선단에 젖힘돌기(61c)가 형성된 경사가이드(61)와, 외측에 돌출 되는 경사이동레버(62)의 조작에 따라 기어결합으로 내설되는 상기 경사가이드(61)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하는 경사이동체(63)로 이루어진 안내부(60);
    상기 경사이동체(63)의 상측에 결합되는 무릎시트(70); 및
    상기 고정지지관(20)의 적절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족장지지체(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용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체(53)는,
    상기 수평이동체(53)의 외측으로 돌출 되며 회전가능하고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손잡이(52a)가 부착되어 상기 손잡이(52a)가 상기 수평이동체(53)에 밀착되었을 때 상기 손잡이(52a)가 회전되지 않도록 외측에 멈춤돌기(50a)가 형성되어 상기 수평가이드(51)의 장공(51b)을 관통하여 상기 수평이동체(53)에 결합되는 수평이동레버(52); 및
    상기 수평이동레버(52)에 관통되어 맞물려 회전 및 이동가능하고 상기 수평가이드(51)의 래크(51a)와 결합되는 이동기어(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용 의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이동체(63)는 제 1경사이동체(63')와 상기 제 1경사이동체(63')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경사가이드(61)에서 연동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무릎시트(70)가 결합되는 제 2경사이동체(63'')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경사이동체(63')는,
    상기 제 1경사이동체(63')의 외측으로 돌출 되며 회전가능하고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손잡이(62a)가 부착되어 상기 손잡이(62a)가 상기 제 1경사이동체(63')에 밀착되었을 때 상기 손잡이(62a)가 회전되지 않도록 외측에 멈춤돌기(63a')가 형성되어 상기 제 1경사이동체(63')에 내설되는 경사이동레버(62)와;
    상기 경사이동레버(62)에 관통되어 맞물려 회전 및 이동가능하고 상기 경사가이드(61)의 래크(61a)와 결합되는 이동기어(64);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경사이동체(63'')는,
    상기 제 1경사이동체(63')의 일단하측에 형성된 연장힌지부(63e')와 힌지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연장힌지부(63e')와 대응하는 일단에 결합힌지부(63e'')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용 의자.
KR2020010018497U 2001-06-20 2001-06-20 자세 교정용 의자 KR2002505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497U KR200250524Y1 (ko) 2001-06-20 2001-06-20 자세 교정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497U KR200250524Y1 (ko) 2001-06-20 2001-06-20 자세 교정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0524Y1 true KR200250524Y1 (ko) 2001-10-19

Family

ID=73103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8497U KR200250524Y1 (ko) 2001-06-20 2001-06-20 자세 교정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052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91801A (zh) * 2018-09-25 2018-12-14 安吉诚宇家具有限公司 一种可端正坐姿的办公椅
CN108991792A (zh) * 2018-09-25 2018-12-14 安吉诚宇家具有限公司 一种便于挺直脊背的办公用坐椅结构
CN109171273A (zh) * 2018-09-25 2019-01-11 安吉诚宇家具有限公司 一种多功能防驼背办公椅
CN109171281A (zh) * 2018-09-25 2019-01-11 安吉诚宇家具有限公司 一种用于端正坐姿的坐椅结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91801A (zh) * 2018-09-25 2018-12-14 安吉诚宇家具有限公司 一种可端正坐姿的办公椅
CN108991792A (zh) * 2018-09-25 2018-12-14 安吉诚宇家具有限公司 一种便于挺直脊背的办公用坐椅结构
CN109171273A (zh) * 2018-09-25 2019-01-11 安吉诚宇家具有限公司 一种多功能防驼背办公椅
CN109171281A (zh) * 2018-09-25 2019-01-11 安吉诚宇家具有限公司 一种用于端正坐姿的坐椅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2586B2 (en) Dynamically balanced seat assembly having independently and arcuately movable backrest and method
CA2596533C (en) Adjustable cross-legged support seat
JP3255592B2 (ja) 背もたれおよび座席の調整が連動している、腰掛け用家具部材、および接続補強材
JP3162325B2 (ja) 背もたれおよび座席の調整が連動している、腰掛け用家具部材
JP5116039B2 (ja) 着座式パーソナルレストサポート器具
US7234768B2 (en) Reversible chair
US3602537A (en) Seat system with a backrest
EP0788323B1 (en) Arrangement in an adjustable chair
US9585478B1 (en) Adjustable seating
JPS63186605A (ja) 椅子
JPH0614884B2 (ja) 椅子例えば複合椅子における配置
WO2001071527A3 (en) Ergonomic chair
JPS63503284A (ja) 調節自在な腰掛け装置
JPH0753130B2 (ja) 人間工学的腰掛装置
JPS6111605B2 (ko)
JPS5929244B2 (ja) 調節自在背付椅子
JP2015527146A (ja) 調整可能なバックレスト及びシートを備えた椅子
JP2021519672A (ja) 押し上げ機構と椅子
KR200250524Y1 (ko) 자세 교정용 의자
US5213395A (en) Adjustable seating assembly
JP2007000570A5 (ko)
KR102349577B1 (ko) 의자 시트 각도조절장치
JP5578457B1 (ja) 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
JPH04748Y2 (ko)
CN114845600A (zh) 人体工程学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