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0281Y1 - 소형 전기전자 제품용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소형 전기전자 제품용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0281Y1
KR200250281Y1 KR2020010020918U KR20010020918U KR200250281Y1 KR 200250281 Y1 KR200250281 Y1 KR 200250281Y1 KR 2020010020918 U KR2020010020918 U KR 2020010020918U KR 20010020918 U KR20010020918 U KR 20010020918U KR 200250281 Y1 KR200250281 Y1 KR 2002502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unit
generator
bevel gear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09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재
Original Assignee
이근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재 filed Critical 이근재
Priority to KR20200100209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02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02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0281Y1/ko

Links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전지를 이용하는 소형 전기전자 제품에 사용할 수 있는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으로는 두께가 얇은 케이스형의 본체(2)에 충전장치(1)를 구성하되, 그 내부에 구동부(10)와 동력전달부(20), 발전기부(30), 및 충전부(40)로 구성하며, 구동부(10)는 구동축(11)에 회전손잡이(12)와 태엽스프링(13) 및 구동기어(14)를 구성하고 구동부(10)의 옆에 동력전달부(20)를 구성하되, 1차가속기어(21) 및 2차가속기어(22), 변환기어(23), 전달베벨기어(26)로 구성하며, 구동부(10)와 동력전달부(20)의 상부에는 발전기(31)를 설치하고 그 선단에는 베벨기어(32)를 축설하여 상기 전달베벨기어(26)의 타단 베벨기어(28')와 연결을 하였다.
그리고 발전기부(31)와 구동부(10)의 옆에는 충전회로(41)와 충전가능한 건전지(43) 수납공간(42)을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태엽스프링을 감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건전지를 충전할 수 있게 되므로 건전지의 소모에 따른 비용과 자원의 낭비 및 환경오염 등을 예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형 전기전자 제품용 충전장치{A filling device for a miniature electric-electronic appliance}
본 고안은 건전지를 이용하는 소형 전기전자 제품에 사용할 수 있는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소형 전기전자 제품에 일체형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별도의 충전기로 구성하여 별도의 충전용 전원이 필요없이 태엽을 감는 것만으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건전지를 이용하는 소형 전기전자 제품으로는 어린이용 장난감을 비롯하여 카세트테이프 레코더, 면도기, 후레쉬, 시계 등 가정이나 직장 등에서 이루 헤아릴 수 없이 많은 현실이다.
이러한 소형 전기전자 제품은 동력으로 건전지를 사용하므로 사용시간에 한계가 있어서 건전지를 교환하거나 충전용 건전지를 사용하여 재충전 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충전이 불가능한 건전지를 사용할 때는 한 번 사용 후 버려야하므로 재구입에 따른 비용과 자원의 낭비 및 환경오염이라는 문제로 이어지고, 충전이 가능한 건전지를 사용하면 충전시 별도의 충전기가 필요함은 물론이고 가정용 전원 등의 충번을 위한 전원이 꼭 필요하므로 전원을 사용할 수 없는 야외 등에서는 충전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간단하게 태엽스프링을 이용하여 충전을 할 수 있는 장치를 안출함으로써 소형 전기전자 제품에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사용하거나 별도의 충전기로 구성하여 필요시 충전을 할 수 있게 하는 등 자원과 비용 등을 매우 절감하면서 전기전자제품을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부를 개방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충전장치 2: 본체
10: 구동부 11: 구동축
13: 태엽스프링 14: 구동기어
20: 동력전달부 21: 1차가속기어
21': 대경기어 21': 소경기어
22: 2차가속기어 22': 대경기어
22': 소경기어 23: 변환기어
24: 평기어 25: 베벨기어
26: 전달베벨기어 27: 연결축
28: 28': 베벨기어 30: 발전기부
31: 발전기 32: 베벨기어
40: 충전부 41: 충전회로
42: 수납공간 43: 건전지
본 고안은 본체에 태엽을 구성하여 태엽을 감아줌으로서 동력을 저장토록 하고 태엽이 풀리는 힘을 회전력으로 변환시키고 가속기어를 거쳐 회전력을 증대시킨 후 이러한 힘을 이용하여 발전기를 작용시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을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구성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충전장치(1)는 두께가 얇은 케이스형의 본체(2)에 구성되는데, 그 내부에 구동부(10)와 동력전달부(20), 발전기부(30), 및 충전부(40)로 구성된다.
먼저 구동부(10)의 구성을 살펴보면, 본체(2)의 일측에 구동축(11)을 구성한 후 구동축(11)의 끝단에 본체(2)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회전손잡이(12)를 구성하며, 구동축(11)의 회전손잡이(12) 안쪽에는 태엽스프링(13)을 설치하되 태엽스프링(13)의 안쪽 끝단은 구동축(11)에 고정시키고 바깥쪽 끝단은 본체(2)에 고정시킨다.
구동축(11)의 일측에는 구동기어(14)를 구성하였다.
구동부(10)의 옆에는 구동부(10)에서 발생한 동력을 각종 기어들을 이용하여 발전기부(30)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20)를 구성하는데, 동력전달부(20)의 기어를 연결하는 구성의 실시예로는 대경기어(21')(21')와 소경기어(22')(22')로 각각 구성되는 1차가속기어(21) 및 2차가속기어(22), 평기어(24)와 베벨기어(25)가 동축에 구성되는 변환기어(23), 연결축(27)의 양단에 각 베벨기어(28)(28')가 구성되는 전달베벨기어(26)로 구성된다.
그 연결상태를 보면, 1차가속기어(21)의 소경기어(21')가 구동부(10)의 구동기어(14)와 맞물리게 하고 그 대경기어(21')는 2차가속기어(22)의 소경기어(22')와 맞물리게 하며, 다시 그 대경기어(22')는 변환기어(23)의 평기어(24)와 맞물리게 하고 변환기어(23)의 베벨기어(25)는 전달베벨기어(26)의 일측 베벨기어(28)와 맞물리게 연결된다.
상기의 구동부(10)와 동력전달부(20)의 상부에 발전기부(30)가 구성되는데, 발전기부(30)에는 발전기(31)를 구성하되, 발전기(31)로서는 최대한 직경이 작고 길이가 긴 형태로 구성하고 선단에는 베벨기어(32)를 축설하여 상기 전달베벨기어(26)의 타단 베벨기어(28')와 연결을 함으로써 구동부(10)의 동력이 1차가속기어(21) 및 2차가속기어(22)를 거치면서 회전력(속도)이 증가되고 다시 변환기어(23), 전달베벨기어(26)를 거쳐 발전기(31)를 구동시키는 동력으로 전달시키는 것이다.
상기 발전기부(31)와 구동부(10)의 옆에 충전부(40)가 구성되는데, 충전부(40)는 발전기(31)에서 발생한 전기를 충전에 사용하기 위한 충전회로(41)와 충전가능한 건전지(43)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42)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은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이 독립된 별도의 충전장치로 구성하여 전기전자제품에 사용되는 건전지를 충전하여 다시 사용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고, 또는 전기전자제품과 일체로 구성하여 수납공간(42)의 내부에 있는 건전지(43)를 그대로 전기전자제품의 전원으로 사용토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보면, 전기전자제품과 일체로 본 고안의 충전장치(1)가 구성된 경우에는 전기전자제품을 사용하는 도중 건전지(43)가 소모되어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면 곧바로 본 고안의 구성중 회전손잡이(12)를 작동시켜 충전을 하고, 전기전자제품과 별도로 본 고안의 충전장치(1)가 구성된 경우에는 소모된 건전지(43)를 본 고안 장치의 수납공간(42)에 삽입한 후 회전손잡이(12)를 작용시킨다.
회전손잡이(12)를 회전시키게 되면 태엽스프링(13)이 감기면서 회전력이 저장이 되고 회전을 완료한 후 회전손잡이(12)를 놓게 되면 감겨져 있던 태엽스프링(13)이 풀리면서 회전력이 발생하여 구동축(11)을 강한 힘으로 회전시키는 것이다.
구동축(11)의 회전에 따라 구동기어(14)가 회전을 하게되고 그 회전력이 1차가속기어(21) 및 2차가속기어(22)를 거치면서 회전력의 증대(가속)가 이루어지며, 그러한 회전력이 다시 변환기어(23) 및 전달베벨기어(26)를 통하여 발전기(31)를 작용시키게 된다.
발전기(31)에서 생성된 전력은 충전회로(41)를 통하여 건전지(43)를 충전시키게 되므로 전기전자제품을 다시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충전된 건전지(43)를 다른 전기전자제품에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태엽스프링을 감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회전력을 저장시키고, 이러한 회전력을 발전기를 작용시키는 동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건전지를 충전할 수 있게 되므로 건전지의 소모에 따른 비용과 자원의 낭비 및 환경오염 등을 예방할 수 있으며, 아울러 기어를 이용한 동력의 전달과 직경이 작고 길이가 긴 발전기를 구성함으로써 충전장치의 구성, 즉 두께를 최대한 얇은 형태로 구성할 수 있어서 기존의 전기전자제품과 일체로 형성하거나 별도로 구성하여 휴대 및 보관하기가 매우 용이한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두께가 얇은 케이스형의 본체(2)에 충전장치(1)를 구성하되, 그 내부에 구동부(10)와 동력전달부(20), 발전기부(30), 및 충전부(40)로 구성하며,
    구동부(10)는 본체(2)의 일측에 구동축(11)을 구성한 후 구동축(11)의 끝단에 본체(2)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회전손잡이(12)를 구성하고 구동축(11)의 회전손잡이(12) 안쪽에는 태엽스프링(13)과 구동기어(14)를 구성하며,
    구동부(10)의 옆에 동력전달부(20)를 구성하되, 대경기어(21')(21')와 소경기어(22')(22')로 각각 구성되는 1차가속기어(21) 및 2차가속기어(22), 평기어(24)와 베벨기어(25)가 동축에 구성되는 변환기어(23), 연결축(27)의 양단에 각 베벨기어(28)(28')가 구성되는 전달베벨기어(26)로 구성하여,
    1차가속기어(21)의 소경기어(21')가 구동부(10)의 구동기어(14)와 맞물리게 하고 그 대경기어(21')는 2차가속기어(22)의 소경기어(22')와 맞물리게 하며, 다시 그 대경기어(22')는 변환기어(23)의 평기어(24)와 맞물리게 하고 변환기어(23)의 베벨기어(25)는 전달베벨기어(26)의 일측 베벨기어(28)와 맞물리게 연결하며,
    구동부(10)와 동력전달부(20)의 상부에 발전기부(30)를 구성하되, 발전기(31)로서는 최대한 직경이 작고 길이가 긴 형태로 구성하고 선단에는 베벨기어(32)를 축설하여 상기 전달베벨기어(26)의 타단 베벨기어(28')와 연결을 하며,
    발전기부(31)와 구동부(10)의 옆에 충전부(40)를 구성하되, 발전기(31)에서 발생한 전기를 충전에 사용하기 위한 충전회로(41)와 충전가능한 건전지(43)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42)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기전자 제품용 충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전기전자제품에 사용되는 건전지를 충전하여 다시 사용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도록 별도의 독립된 충전장치(1)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기전자 제품용 충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전기전자제품과 일체로 구성하여 수납공간(42)의 내부에 있는 건전지(43)를 그대로 전기전자제품의 전원으로 사용토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전기전자 제품용 충전장치.
KR2020010020918U 2001-07-11 2001-07-11 소형 전기전자 제품용 충전장치 KR2002502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918U KR200250281Y1 (ko) 2001-07-11 2001-07-11 소형 전기전자 제품용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918U KR200250281Y1 (ko) 2001-07-11 2001-07-11 소형 전기전자 제품용 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0281Y1 true KR200250281Y1 (ko) 2001-11-17

Family

ID=73081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918U KR200250281Y1 (ko) 2001-07-11 2001-07-11 소형 전기전자 제품용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028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207B1 (ko) * 2002-10-09 2004-07-05 정태헌 이동차량을 이용한 발전장치
KR102244680B1 (ko) * 2020-10-19 2021-04-27 조영래 선박용 디지털 경사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207B1 (ko) * 2002-10-09 2004-07-05 정태헌 이동차량을 이용한 발전장치
KR102244680B1 (ko) * 2020-10-19 2021-04-27 조영래 선박용 디지털 경사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5441E1 (en) Hand crank generator
US20070194575A1 (en) Portable wind-driven electricity generation device
US6316906B1 (en) Kinetic battery system
KR200250281Y1 (ko) 소형 전기전자 제품용 충전장치
JP2020029893A (ja) 蓄転器
KR101779257B1 (ko) 자가발전형 구동륜
EP1980014A1 (en) Portable electric generator
JP2001136707A (ja) 携帯用手動発電機
JP4718207B2 (ja) 携帯電子機器用充電装置
KR100823988B1 (ko) 수동식 충전기
CN201307875Y (zh) 手摇式充电手机
KR101577379B1 (ko) 건전지가 필요없이 자가발전으로 충전되는 친환경 무선조종완구
GB2345596A (en) Pram or pushchair with generator
US20080088130A1 (en) Wind power generation device
CN202364055U (zh) 带有离合器的手摇发电机
KR200230387Y1 (ko) 휴대형 자기발전기
CN217735668U (zh) 发电装置和电子设备
JP2008113973A (ja) 無線操縦走行玩具用の送信機と受信機並びに無線操縦走行玩具
KR102018033B1 (ko) 풀림 방식 자가 발전장치
KR200423988Y1 (ko) 수동식 충전기
CN105958605A (zh) 一种手动发电充电宝
CN102013718A (zh) 手机的握力器式充电器
CN2521816Y (zh) 一种手摇式微型发电机
CN102447348B (zh) 带有离合器的手摇发电机
CN205846788U (zh) 一种手动发电充电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