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9961Y1 - 도어 힌지브래킷의 해체 방지구조 - Google Patents

도어 힌지브래킷의 해체 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9961Y1
KR200249961Y1 KR2020010022007U KR20010022007U KR200249961Y1 KR 200249961 Y1 KR200249961 Y1 KR 200249961Y1 KR 2020010022007 U KR2020010022007 U KR 2020010022007U KR 20010022007 U KR20010022007 U KR 20010022007U KR 200249961 Y1 KR200249961 Y1 KR 2002499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bracket
hinge
bracket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20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텍
Priority to KR20200100220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9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9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961Y1/ko

Links

Landscapes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 힌지브래킷의 해체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도어(10)와 도어틀(20)의 상측에 각기 결합되어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힌지브래킷(30)(40)과 도어 외측에서 이들 힌지브래킷(30)(40)을 상하로 관통하며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회전핀(50)으로 구성되는 도어 힌지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회전핀(50)의 외주면 중간부에 둘레를 따라 록킹홈(52)을 형성하고; 서로 대향된 상기 힌지브래킷(30)(40)들 사이에, 슬라이드 삽입시 상기 회전핀(50)의 록킹홈(52)에 소정폭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도록 일방향으로 개방된 안내홈(110)이 형성되고 일측 연장단이 상기 도어틀측 힌지브래킷(40)에 보올트(200) 고정되어 상기 보올트(200)를 도어의 개방시에만 풀림 및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로크편(100)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 힌지브래킷의 해체 방지구조{A STRUCTURE OF DOOR HINGE-BRACKET FOR DISJOINTED PREVENTION}
본 고안은 도어 힌지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출입용 도어를 도어틀에 대해 회전핀을 매개로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힌지브래킷 구조를 개선하여 도어의 닫힘시에는 도어 힌지브래킷이 해체되지 않도록 하고 도어 열림시에만 도어 힌지브래킷을 해체시킬 수 있도록 한 도어 힌지브래킷의 해체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또는 건물에 적용되는 도어는, 출입을 위한 도어틀을 폐쇄하며 도어의 일측 손잡이 당김시 타측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출입 및 폐쇄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한 도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어의 하측은 회전핀에 의해 도어틀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또한 도어(10)의 상측도 도어(10)의 상측과 도어틀(20)에 결합되는 한 쌍의 힌지브래킷(30)(40) 및 상기 힌지브래킷(30)(40)을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회전핀(50) 그리고 상기 회전핀(50)을 고정시키는 로크볼트(60)로 구성되어 도어(10)가 회전핀(5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힌지브래킷(30)(40) 및 회전핀(50)은 설치시 실외에서 도어(10)의 하측을 먼저 고정시킨 상태에서 도어(10)의 상측 힌지브래킷(30)(40)을 대향되게 밀착시키고 연속해서 회전핀(50)을 결합시킨 다음 로크볼트(60)로 회전핀(60)을 결합시켜 조립하게 된다. 또한, 도어(10)의 힌지브래킷(30)(40) 접촉부에는 회전핀(50)또는 로크볼트(60)의 노출을 방지하고자 커버가 구비되고 이 커버는 보올트로서 고정시킨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회전핀(50) 연결구조는 외부에서 조립함에 따라 해체시 보올트를 풀고 커버를 해체시킨 다음 로크볼트(60)를 풀게되면 회전핀(50)이 이탈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회전핀(50)의 해체시 도어(10) 자중에 의해 도어(10)의 상측이 도어틀(20)로부터 소정폭 유격되게 된다. 이때 도어(10)의 상측과 도어틀(20)의 틈새에 금속파이프 등의 쐐기부를 넣고 지렛대 원리로 금속파이프를 회동시키게 되면 도어(10)가 쉽게 해체된다.
최근 상기한 방법으로 상가 또는 아파트에 도둑 등이 칩입하여 물품을 도난하는 피혜 사례가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와 도어틀을 연결시키는 힌지브래킷 사이에 회전핀을 고정시키는 로그편을 구비하고 이 로크편이 도어의 개방시에만 해체시킬 수 있도록 하여 도어 닫힘시에는 힌지브래킷의 해체가 곤란하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도어 힌지브래킷이 설치된 사용상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힌지브래킷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사용상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도어 20: 도어틀
30,40: 힌지브래킷 32,42: 결합부위
44: 나사홈 36,46: 홀
50: 회전핀 52: 록킹홈
100: 로크편 110: 안내홈
120: 보올트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어와 도어틀의 상측에 각기 결합되어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힌지브래킷과 도어 외측에서 이들 힌지브래킷을 상하로관통하며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회전핀으로 구성되는 도어 힌지브래킷의 해체 방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회전핀의 외주면 중간부에 둘레를 따라 록킹홈을 형성하고; 서로 대향된 상기 힌지브래킷들 사이에, 슬라이드 삽입시 상기 회전핀의 록킹홈에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도록 일방향으로 개방된 안내홈이 형성되고 일측 연장단이 상기 도어틀측 힌지브래킷에 보올트 고정되어 상기 보올트를 도어의 개방시에만 풀림 및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로크편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힌지브래킷의 해체 방지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힌지브래킷의 해체 방지구조를 분해시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분해된 도 3의 부품을 결합시켜 그 단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도어를 개방시킨 후 도어 힌지브래킷을 해체시키는 상태의 평면을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은, 도어(10)와 도어틀(20)의 상측에 각기 결합되어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힌지브래킷(30)(40)과, 도어(10) 외측에서 이들 힌지브래킷(30)(40)을 상하로 관통하며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회전핀(50)과, 상기 힌지브래킷들(30)(40) 사이에 구비되어 도어(10)의 개방시에만 회전핀(50)의 해체 및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는 로크편(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어(10)와 도어틀(20)측 힌지브래킷(30)(40)은 종래와 동일형상으로 서로 대향되며 대향된 일측이 상기 도어(10)와 도어틀(2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그리고 노출된 결합부위(32)(42)에는 회전핀(50)이 삽입되어 상기힌지브래킷(30)(40)이 상기 회전핀(5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상기 도어틀(20) 힌지브래킷(40)에는 상기 도어(10) 힌지브래킷(30)과의 결합부위를 벗어난 위치에 나사홈(44)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핀(50)은, 상기 도어(10)와 도어틀(20)에 결합되는 힌지브래킷(30)(40)의 결합부위(32)(42)를 회전가능하도록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이들 사이의 틈새 부위에는 외주면 둘레를 따라 소정폭의 록킹홈(52)이 형성된다.
상기 로크편(100)은, 서로 대향된 상기 힌지브래킷(30)(40)들 사이에 슬라이드 삽입 가능하도록 판상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일측에는 상기 회전핀(50)의 록킹홈(52)이 삽입되어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개방된 안내홈(1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양단중 일측 연장단은 상기 도어틀 힌지브래킷(40)의 결합부위(42)를 벗어난 위치까지 연장되며 그 연장단에는 보올트홀(120)이 형성되어 보올트(200)로서 상기 나사홈(44)과 결합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도어 힌지브래킷의 해체 방지구조는 조립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어(10)와 도어틀(20)에 보올트로서 힌지브래킷(30)(40)을 각각 결합시키고 상기 힌지브래킷(30)(40)의 결합부위(32)(42)에 형성된 홀(36)(46)에 힌지핀(50)을 삽입시키며 동시에 상기 힌지브래킷들(30)(40) 사이에 로크편(100)을 삽입시켜 상기 로크편(100)의 안내홈(110)이 상기 회전핀(50)의 록킹홈(52)에 걸리도록 한 후 보올트(200)로서 로크편(100)을 도어틀측 힌지브래킷(40)에 결합시키면 그 조립이 완료된다.
이후 도어(10)가 닫힘동작을 수행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로크편(100)을 결합시킨 보올트(200)의 머리부가 힌지브래킷(30)(40)의 대응된 상태에서는 이들 결합부위(32)(42) 내에 위치하게 되고 도어(10)의 개방에 따른 열림상태에서는 보올트(200)의 머리부 위치가 도어 힌지브래킷(30)의 결합부위(32)를 벗어난 위치에 놓이게 되므로 드라이버 등의 공구로 해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힌지브래킷(30)의 홀(36)에는 슬라이드링을 구비시켜 상기 회전핀(50)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함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은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힌지브래킷의 해체 방지구조는 도어와 도어틀을 연결시키는 힌지브래킷 사이에 회전핀을 고정시키는 로그편을 구비하되 이 로크편이 도어의 개방시에만 해체시킬 수 있도록 하고 도어 닫힘시에는 힌지브래킷의 해체가 곤란하도록 하므로써, 도어가 설치된 건물내에 침입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도어와 도어틀의 힌지브래킷을 해체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반듯이 도어를 개방시킨 상태에서만 그 해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도어(10)와 도어틀(20)의 상측에 각기 결합되어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힌지브래킷(30)(40)과 도어 외측에서 이들 힌지브래킷(30)(40)을 상하로 관통하며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회전핀(50)으로 구성되는 도어 힌지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회전핀(50)의 외주면 중간부에 둘레를 따라 록킹홈(52)을 형성하고;
    서로 대향된 상기 힌지브래킷(30)(40)들 사이에, 슬라이드 삽입시 상기 회전핀(50)의 록킹홈(52)에 소정폭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도록 일방향으로 개방된 안내홈(110)이 형성되고 일측 연장단이 상기 도어틀측 힌지브래킷(40)에 보올트(200) 고정되어 상기 보올트(200)를 도어의 개방시에만 풀림 및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로크편(100)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브래킷의 해체 방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힌지브래킷의 홀에 상기 회전핀의 하측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회전가능하도록 슬라이드링이 추가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힌지브래킷의 해체 방지구조.
KR2020010022007U 2001-07-20 2001-07-20 도어 힌지브래킷의 해체 방지구조 KR2002499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007U KR200249961Y1 (ko) 2001-07-20 2001-07-20 도어 힌지브래킷의 해체 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007U KR200249961Y1 (ko) 2001-07-20 2001-07-20 도어 힌지브래킷의 해체 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9961Y1 true KR200249961Y1 (ko) 2001-11-17

Family

ID=73105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2007U KR200249961Y1 (ko) 2001-07-20 2001-07-20 도어 힌지브래킷의 해체 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96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521B1 (ko) * 2002-10-17 2005-06-07 박창수 도어용 피벗힌지 및 피벗힌지용 베어링
KR20190128343A (ko) * 2018-05-08 2019-11-18 주식회사 창문에안전 여닫이식 방충망의 경첩구조
CN114243503A (zh) * 2021-11-30 2022-03-25 安徽中电兴发与鑫龙科技股份有限公司 低压开关柜柜门铰链加强结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521B1 (ko) * 2002-10-17 2005-06-07 박창수 도어용 피벗힌지 및 피벗힌지용 베어링
KR20190128343A (ko) * 2018-05-08 2019-11-18 주식회사 창문에안전 여닫이식 방충망의 경첩구조
KR102081268B1 (ko) * 2018-05-08 2020-02-25 주식회사 창문에안전 여닫이식 방충망의 경첩구조
CN114243503A (zh) * 2021-11-30 2022-03-25 安徽中电兴发与鑫龙科技股份有限公司 低压开关柜柜门铰链加强结构
CN114243503B (zh) * 2021-11-30 2024-04-26 安徽中电兴发与鑫龙科技股份有限公司 低压开关柜柜门铰链加强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9767A (en) Pick-resistant lock actuator
CA2298775A1 (en) Lockable hinge device
US4741564A (en) Double opening gate latch
US4679353A (en) Security door
KR200249961Y1 (ko) 도어 힌지브래킷의 해체 방지구조
CN110566068A (zh) 一种用于围挡活动门的门锁
KR200401544Y1 (ko) 회전형 자물쇠용 걸고리
US3984137A (en) Lock device
KR200359172Y1 (ko) 출입문 강제 오픈 방지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출입문 구조체
KR100603007B1 (ko) 출입문 강제 오픈 방지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출입문 구조체
KR101246563B1 (ko) 도어용 드로와 랫치
USRE29162E (en) Abutment swivel doorstop
KR200233704Y1 (ko) 고정수단을 구비한 도어용 경첩
KR200280677Y1 (ko) 도어용 손잡이
JP3069552B1 (ja) 引き戸用錠及び引き戸の開放施錠機構
US5524943A (en) Security device
KR20130125211A (ko) 유리문용 디지털 도어록의 브라켓과 아웃바디의 결합구조
KR200223180Y1 (ko) 캐비넷용 경첩
KR200384573Y1 (ko) 미닫이 방범창
KR20090046755A (ko) 여닫이형 목재 도어 및 문틀의 잠금구 결합부위 훼손방지장치
KR200367706Y1 (ko) 미닫이창용 잠금 장치
KR960008871Y1 (ko) 박스형 도어록의 렛지 개폐장치
JPH0452374Y2 (ko)
KR200328831Y1 (ko) 피벗 힌지
JP2574327Y2 (ja) 引き違い戸用施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