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9809Y1 - 손가락 근력 비교 측정기 - Google Patents

손가락 근력 비교 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9809Y1
KR200249809Y1 KR2020010015729U KR20010015729U KR200249809Y1 KR 200249809 Y1 KR200249809 Y1 KR 200249809Y1 KR 2020010015729 U KR2020010015729 U KR 2020010015729U KR 20010015729 U KR20010015729 U KR 20010015729U KR 200249809 Y1 KR200249809 Y1 KR 2002498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rod
digital display
strength
suppor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57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순
Original Assignee
김경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순 filed Critical 김경순
Priority to KR20200100157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8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8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809Y1/ko

Links

Landscapes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레버를 잡아당기면 손가락의 근력이 측정되어 디지털 표시부에 숫자로 표시되는 손가락 근력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스 상부에 놓여진 접시에 물체가 있을 때와 없을 때 조건에 따라서 손가락의 근력이 각각 측정되어 그 근력의 차이를 정확하게 비교할 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오링 테스트방법은 전적으로 사람의 감각에 의존하여 손가락의 근력을 측정하므로 그 결과가 객관적이거나 정확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는 혼자서 테스트를 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접시(11) 위에 물체가 없을 때 1차 측정한 손가락의 근력과 물체가 있을 때 2차 측정한 근력의 값이 디지털 표시부에 각각 숫자로 표시되어 정확하게 비교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결과가 매우 정확하면서도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혼자서도 테스트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자신의 체질에 맞는 물체를 효과적으로 선별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손가락 근력 비교 측정기{a muscular power log for finger}
본 고안은 레버를 잡아당기면 손가락의 근력이 측정되어 디지털 표시부에 숫자로 표시되는 손가락 근력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스 상부에 놓여진 접시에 물체가 있을 때와 없을 때 조건에 따라서 손가락의 근력이 각각 측정되어 그 근력의 차이를 정확하게 비교할 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동서양의 많은 학자들이 인간의 체질을 규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가 있었고, 이러한 연구에 의하면 자신의 체질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음식물, 의복, 장신구와 같은 특정 물체들이 자신의 몸에 유익한지 아니면 해로운지를 정확하게 알 수 있으면 미리 대처하여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 일반적인 정설이다.
이와 같은 이론을 이용한 것 중에서 음식물과 같은 특정물체를 손이나 손가락으로 잡았을 때 개인의 체질과 음식물이 궁합에 맞는지의 여부를 두뇌가 인식하는 정도에 따라 손가락의 근력이 달라지는 것에 착안하여 체질에 맞는 음식물을 판별하는 오링 테스트(o-ring)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오링 테스트는 한 손에 음식물을 잡은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는 엄지와 검지를 둥근 오자형으로 만들어 강한 힘을 주면 다른 사람이 억지로 엄지와 검지 사이가 떨어지도록 하여 측정하는 것으로서 만일 그 음식이 체질에 맞으면 손가락의 근력이 강해져 엄지와 검지가 잘 떨어지지 않고, 음식이 체질에 맞지 않으면 근력이 약해져 쉽게 떨어지는 것을 보고 음식물이 체질에 맞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오링 테스트방법은 전적으로 사람의 감각에 의존하여 손가락의 근력을 측정하므로 그 결과가 객관적이거나 정확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혼자서는 테스트를 할 수 없었다.
또한, 피검사자가 너무 힘이 약하고, 병약하거나 검사자와 피검사자 사이에 근력의 차이가 너무 많이 나면 측정이 어렵고, 반복하여 측정하면 탈진하여 정확도가 저하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특정 물체가 없을 때와 있을 때 각각 측정된 손가락의 근력 값이 디지털 표시부에 숫자로 표시되어 그 근력의 차이를 정확하게 비교할 수 있는 손가락 근력 비교 측정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그 전면이 개방되고, 상부면에는 디지털 표시부(12)와 접시(11)가 각각 구비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전면 입구에 수직으로 장착된 손잡이(20)와; 상기 손잡이(20)의 후방에 장착되고, 그 하단부가 하부판(10b)에 고정되어 그 상부는 상당한 탄력성이 부여되는 지지봉(30)과; 상기 지지봉(30)의 중앙에 결합된 지지관(32)에 형성되며, 손가락을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당김레버(31)와; 상기 지지봉(30)의 상부에 장착되어 탄력적으로 당겨지는 지지봉(30) 상단의 이동거리를 감지하여 디지털표시부(12)에 신호를 인가하는 감지센서(33)와; 탄력적으로 당겨지는 지지봉(30)의 이동거리를 디지털 표시부(12)에 숫자로 표시하되, 접시(11)에 물체가 있을 때와 없을 때 그 이동거리가 각각 구분되어 숫자로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근력 비교 측정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일부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를 예시한 일부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작동봉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케이스 10a : 상부판
10b : 하부판 11 : 접시
12 : 디지털 표시부 13 : PCB
20 : 손잡이 21 : 가이드홈
30 : 지지봉 31, 42 : 당김레버
32 : 지지관 32a : 볼트
33, 45 : 감지센서 40 : 회전봉
40a : 가이드봉 41, 43b : 스프링
43 : 작동봉 43a : 걸림구
44 : 가이드관 44a : 걸림공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전면은 개방되어 손이 투입될 수 있는 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본 고안은 도면에 표현된 것과 같은 케이스(10)의 형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케이스(10)의 상부면에는 액정 디스플레이로 구성된 디지털 표시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이 디지털 표시부(12)의 전방에는 접시(11)가 놓여져 있다.
물론, 상기 디지털 표시부(12)의 하부에는 회로 구성된 PCB(13)가 장착되어 있고, 이 PCB(13)는 후술되는 감지센서(33)와 전선으로 연결되어 손가락의 근력을 측정한 전기신호를 숫자로 표시하되 1차 측정된 근력과 2차 측정된 근력의 값이 각각 양측으로 나누어서 표시되어 매우 간편하게 비교 측정할 수 있도록 회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에 형성된 입구에는 손잡이(20)가 수직으로 장착되어 있고, 이 입구를 통해 손잡이(20)를 잡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20)의 후방에는 상당한 탄력성을 갖는 지지봉(30)이 장착되어 있고, 이 지지봉(30)의 하단부는 하부판(10b)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자유로운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지지봉(30)의 상부는 탄력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봉(30)의 중앙에는 지지관(32)이 삽입되어 있고, 이 지지관(32)은 그 측벽을 관통하는 조임용 볼트(32a)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지지관(32)에는 손가락을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당김레버(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관(32)은 그 측벽을 관통하여 나사 결합된 조임용 볼트(32a)를 풀어주면 지지봉(30)에서 자유롭게 승강되고 다시 볼트(32a)를 조여주면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되는 것이므로 당김레버(31)의 설치위치를 가변시켜 지지봉(30)의 탄성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봉(30)의 상부에는 감지센서(33)가 장착되어 탄력적으로 당겨지는 지지봉(30) 상단의 이동거리를 감지하여 PCB(13)와 디지털 표시부(12)에 신호를 인가하여 측정된 손가락의 근력을 숫자로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케이스(10) 상부에 놓여진 접시(11)에 물체가 없는 상태에서 한쪽 손으로 손잡이(20)를 잡고 손가락으로 당김레버(31)를 힘주어 당기면 상당한 탄력을 갖는 지지봉(30)의 상단이 탄력적으로 휘어짐과 동시에 감지센서(33)가 휘어지는 지지봉(30) 상단의 이동거리를 감지하여 회로 구성된 PCB(13)를 거쳐 디지털 표시부(12)에 인가하므로 그 측정치가 숫자로 표시되어 손가락의 근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손가락의 근력이 숫자로 표시되면 버튼을 조작하여 1차 표시된 숫자를 세팅한 후, 접시(11) 위에 음식물, 의복, 장신구와 같은 특정 물체를 선택하여 올려놓고 다시 손가락으로 당김레버(31)를 잡아당기면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1차 세팅된 숫자 옆에 2차 측정된 근력이 숫자로 표시되므로 1,2차 측정된 수치를 비교하면 근력의 차이를 정확하게 비교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접시(11)에 물체가 없을 때 1차 근력을 측정한 숫자가 물체가 있을 때 2차 측정한 숫자 보다 높으면 그 물체가 체질에 잘 맞지 않음을 알 수 있고, 이와는 반대로 1차 측정된 숫자가 2차보다 낮으면 물체가 체질에 맞음을 알 수 있는 것이므로 각 개인의 체질에 맞는 물체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특정 물체가 측정자의 체질에 얼마나 잘 맞는지를 그 정도의 차이가 정확한 숫자로 나타나는 것이므로 감각에 의존하는 종래의 오링 테스트에 의한 방법보다는 매우 정확하면서도 객관적인 테스트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오링 테스트와 같이 사람의 감각에 의존하여 손가락의 근력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고 손가락의 근력이 디지털 표시부(12)에 숫자로 표시되는 것이므로 그 결과가 매우 정확하면서도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혼자서도 테스트 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20)의 상,하부는 케이스(10)의 전면 상하부판(10a)(10b)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홈(21)들에 삽입되어 양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지지봉(30)의 일측에는 회전봉(40)이 장착되어 그 하부에 구비된 스프링(41)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회전봉(40)의 중앙에 고정된 한쌍의 작동봉(43)들의 외측에는 당김레버(42)가 구비되어 회전봉(40)을 탄력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회전봉(40)의 하부에는 감지센서(45)가 장착되어 회전봉(40)의 회전각을 감지하여 디지털 표시부(12)로 신호를 인가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손잡이(20)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좌측 지지봉(30)에 결합된 당김레버(31)를 잡아당겨 손가락의 근력을 측정할 수 있고, 손잡이(20)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우측 회전봉(40)의 작동봉(43)에 결합된 당김레버(42)를 잡아당겨 손가락을 근력을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손가락의 근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상기, 회전봉(40)은 그 하부에 돌출된 가이드봉(40a)에 코일 스프링(41)이 감겨진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 코일 스프링(41)의 일단은 가이드봉(40a)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하부판(10b)에 뚫려진 결합공에 내측면에 고정되어 가이드봉(40a)의 회전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손잡이(20)를 잡은 상태에서 당김레버(42)를 잡아당기면 회전봉(40)이 탄력적으로 회전되고, 이 회전되는 각은 회전봉(40)의 하부에 장착된 감지센서(45)에 의하여 회전되는 거리가 측정되어 디지털 표시부(12)에 숫자로 표시되므로 손가락의 근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손가락의 근력을 측정할 때 접시(11) 위에 특정 물체가 있을 때와 없을 때 측정하는 것은 전술한 과정과 동일하다.
상기 작동봉(43) 일측의 당김레버(42)에는 가이드관(44)이 삽입되어 슬라이드 결합되고, 가이드관(44)에는 복수개의 걸림공(44a)들이 형성되어 작동봉(43) 내부에서 스프링(43b)으로 지지되는 반구형의 걸림구(43a)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당김레버(42)를 외측으로 잡아당기면 작동봉(43)에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결합된 가이드관(44)이 외측으로 이동되다가 탄력지지되는 반구형의 걸림구(43a)가 가이드관(44)에 뚫려진 걸림공(44a)에 삽입되면 그 위치에서 고정되는 구성이므로 당김레버(42)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지렛대 원리에 의하여 당김레버(42)의 당겨지는 힘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므로 힘이 약한 노약자들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접시(11) 위에 물체가 없을 때 1차 측정한 손가락의 근력과 물체가 있을 때 2차 측정한 근력의 값이 디지털 표시부에 각각 숫자로 표시되어 정확하게 비교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결과가 매우 정확하면서도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혼자서도 테스트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자신의 체질에 맞는 물체를 효과적으로 선별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그 전면이 개방되고, 상부면에는 디지털 표시부(12)와 접시(11)가 각각 구비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전면 입구에 수직으로 장착된 손잡이(20)와; 상기 손잡이(20)의 후방에 장착되고, 그 하단부가 하부판(10b)에 고정되어 그 상부는 상당한 탄력성을 갖는 지지봉(30)과;
    상기 지지봉(30)의 중앙에 결합된 지지관(32)에 형성되며, 손가락을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당김레버(31)와;
    상기 지지봉(30)의 상부에 장착되어 탄력적으로 당겨지는 지지봉(30) 상단의 이동거리를 감지하여 디지털 표시부(12)에 신호를 인가하는 감지센서(33)와;
    탄력적으로 당겨지는 상기 지지봉(30)의 이동거리를 디지털 표시부(12)에 숫자로 표시하되, 접시(11)에 물체가 있을 때와 없을 때 그 이동거리가 각각 구분되어 숫자로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근력 비교 측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0)의 상,하부는 케이스(10)의 전면 상하부판(10a)(10b)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홈(21)들에 삽입되어 양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지지봉(30)의 일측에는 회전봉(40)이 장착되어 그 하부에 구비된 스프링(41)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회전봉(40)의 중앙에 고정된 한쌍의 작동봉(43)들의 외측에는 당김레버(42)가 구비되어 회전봉(40)을 탄력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회전봉(40)의 하부에는 감지센서(45)가 장착되어 회전봉(40)의 회전각을 감지하여 디지털 표시부(12)로 신호를 인가 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근력 비교 측정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봉(43) 일측의 당김레버(42)에는 가이드관(44)이 삽입되어 슬라이드 결합되고, 가이드관(44)에는 복수개의 걸림공(44a)들이 형성되어 작동봉(43) 내부에서 스프링(43b)으로 지지되는 반구형의 걸림구(43a)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근력 비교 측정기.
KR2020010015729U 2001-05-28 2001-05-28 손가락 근력 비교 측정기 KR2002498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729U KR200249809Y1 (ko) 2001-05-28 2001-05-28 손가락 근력 비교 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729U KR200249809Y1 (ko) 2001-05-28 2001-05-28 손가락 근력 비교 측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9809Y1 true KR200249809Y1 (ko) 2001-11-16

Family

ID=73066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729U KR200249809Y1 (ko) 2001-05-28 2001-05-28 손가락 근력 비교 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8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012B1 (ko) * 2001-07-30 2004-04-06 최용기 퓨전 케이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012B1 (ko) * 2001-07-30 2004-04-06 최용기 퓨전 케이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03394B (zh) 桡动脉脉搏波检测装置
US5156161A (en) Skinfold caliper for body fat measurement
KR200249809Y1 (ko) 손가락 근력 비교 측정기
KR101282485B1 (ko)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목 운동 장치
KR200249817Y1 (ko) 손가락 근력 비교 측정기
KR200255568Y1 (ko) 손가락 근력 비교 측정기
KR200243905Y1 (ko) 손가락 근력 비교 측정기
KR200243939Y1 (ko) 손가락 근력 비교 측정기
KR200229301Y1 (ko) 체질판별을 위한 손가락의 근력 측정기
CN109730653B (zh) 一种脑卒中患者手部康复评定系统及方法
KR970004523Y1 (ko) 체질 식별용 손가락 악력 테스터기
KR20030044166A (ko) 손가락 근력 비교 측정기
KR200270271Y1 (ko) 손가락 근력 비교 측정기
CN210433485U (zh) 手部功能评测器
TWI380800B (zh) 肩膀柔軟度旋轉測定器
KR200256277Y1 (ko) 체질진단용수지력측정기
CN212180780U (zh) 一种水质检测仪表
KR200195616Y1 (ko) 팔굽혀펴기 측정장치
KR200239918Y1 (ko) 손가락의 근력 측정을 이용한 체질 감별기
CN212755714U (zh) 一种神经内科临床用检查仪
CN211825611U (zh) 榴莲成熟度检测装置
KR200340458Y1 (ko) 윗몸 일으키기 측정장치
KR200356551Y1 (ko) 휴대용 오링테스트기
JP3088026B2 (ja) 立位体前屈度デジタル測定器
CN209032438U (zh) 神经科用叩诊锤和医疗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