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9301Y1 - 체질판별을 위한 손가락의 근력 측정기 - Google Patents

체질판별을 위한 손가락의 근력 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9301Y1
KR200229301Y1 KR2020010000731U KR20010000731U KR200229301Y1 KR 200229301 Y1 KR200229301 Y1 KR 200229301Y1 KR 2020010000731 U KR2020010000731 U KR 2020010000731U KR 20010000731 U KR20010000731 U KR 20010000731U KR 200229301 Y1 KR200229301 Y1 KR 2002293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strength
lever
plat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07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순
Original Assignee
김경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순 filed Critical 김경순
Priority to KR20200100007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3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3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301Y1/ko

Links

Landscapes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인의 체질에 따라 몸에 유익하거나 해로운 물체를 판별하여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손가락의 근력을 비교 측정하는 손가락의 근력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오링 테스트방법은 전적으로 사람의 감각에 의존하여 손가락의 근력을 측정하므로 그 결과가 객관적이거나 정확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는 혼자서 테스트를 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접시(60) 위에 물체가 없을 때 1차 측정한 근력과 물체가 있을 때 2차 측정한 근력의 값이 디지털 표시부에 각각 숫자로 표시되어 정확하게 비교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결과가 매우 정확하면서도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혼자서도 테스트 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손가락의 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매우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체질판별을 위한 손가락의 근력 측정기{a muscular power log for finger}
본 고안은 개인의 체질에 따라 몸에 유익하거나 해로운 물체를 판별하여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손가락의 근력을 비교 측정하는 손가락의 근력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몸에서는 고유의 파장을 갖는 기(氣)가 발산되고, 음식물, 의복, 장신구와 같은 다양한 물체들에서도 기(氣)가 발산되어 몸에서 발산된 기의 파장과 특정 물체에서 발산되는 기의 파장이 서로 조화를 이루면 몸에 유익하고 파장들이 서로 맞지 않으면 몸에 해롭다는 것이 일반적인 정설이다.
이와 같은 이론을 이용한 것 중에서 음식물을 손이나 손가락으로 잡았을 때 개인의 체질과 음식물이 궁합에 맞는지의 여부를 두뇌가 인식하는 정도에 따라 손가락의 근력이 달라지는 것에 착안하여 체질에 맞는 음식물을 판별하는 오링 테스트(o-ring)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오링 테스트는 한 손에 음식물을 잡은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는 엄지와 검지를 둥근 오자형으로 만들어 강한 힘을 주면 다른 사람이 억지로 엄지와 검지 사이가 떨어지도록 하여 측정하는 것으로서 만일 그 음식이 체질에 맞으면 손가락의 근력이 강해져 엄지와 검지가 잘 떨어지지 않고, 음식이 체질에 맞지 않으면 근력이 약해져 쉽게 떨어지는 것을 보고 음식물이 체질에 맞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전술한 오링 테스트방법은 전적으로 사람의 감각에 의존하여 손가락의 근력을 측정하므로 그 결과가 객관적이거나 정확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는 혼자서 테스트를 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음식물, 의복, 장신구와 같은 특정 물체가 개인의 체질에 맞는 지의 여부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체질판별을 위한 손가락의 근력 측정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그 전면이 개방된 케이스(10)의 입구에는 손잡이(20)가 장착되어 상부판(11)과 바닥판(12) 사이에 고정되고, 바닥판(12)의 중앙에는 손가락 거치홈(31)들을 갖는 레버(30)가 힌지(32)결합되어 탄성수단(40)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당겨지며, 레버(30)의 상측에는 센서(51)가 장착되어 당겨진 레버(30)의 이동거리를 감지하여 상부판(11)에 구비된 디지털 표시부(50)에 표시하되, 상부판(11)에 놓여진 접시(60)에 특정 물체가 있을 때와 없을 때 그 이동거리가 각각 숫자로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질판별을 위한 손가락의 근력 측정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레버가 당겨지기 전의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레버가 당겨진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케이스
11 : 상부판
12 : 바닥판
13 : 후면판
20 : 손잡이
30 : 레버
31 : 거치홈
32 : 힌지
40 : 탄성수단
41 : 스프링
42 : 볼트
43 : 너트
50 : 표시부
51 : 센서
52 : 버튼
60 : 접시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전면은 개방되어 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입구에는 손잡이(20)가 장착되어 상부판(11)과 바닥판(12) 사이에 고정된다.
상기 바닥판(12)의 중앙에는 그 하단이 힌지(32) 결합된 레버(30)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레버(30)의 몸체에는 복수개의 손가락 거치홈(31)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판(11)의 저면에는 용수철 스프링(41)으로 구성된 탄성수단(40)이 장착되어 있고, 이 탄성수단(40)은 레버(30)의 상측과 연결되어 레버(30)가 손잡이(20)의 반대쪽으로 잡아당겨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시된 바로는 상기 탄성수단(40)이 용수철 스프링(41)으로 되어 있으나, 쇼크업소오버 내지는 탄성고무 등을 사용하여도 무방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 탄성수단(40)의 종류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상부판(11)의 저면에는 센서(51)가 장착되어 레버(30)의 상단이 이동되는 거리를 감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감지된 데이터는 상부판(11)의 상측에 구비된 디지털 표시부(50)에 숫자로 표시된다.
바람직하기로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20)와 레버(30)를 각각 2개로 형성하고, 장력이 서로 다른 스프링(41)들을 각각 장착하여 힘이 강하고 약한 일반 성인과 노약자들이 자기의 근력에 맞는 스프링(41)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사용의 편의성을 높여줄 수 있다.
상기 용수철 스프링(41)의 일단은 케이스(10)의 후면판(13)에 관통 설치된 볼트(42)에 고정되고, 볼트(42)에는 너트(43)가 결합되어 볼트(42)의 위치를 조절하면 용수철 스프링(41)의 장력이 조절되는 구성으로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너트(43)를 회동시키면 스프링(41)의 인장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케이스(10) 상부판(11)에 놓여진 접시(60)에 물체가 없는 상태에서 한쪽 손으로 손잡이(20)를 잡고 레버(30)의 거치홈(31)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힘주어 당기면 손가락의 근력이 스프링(41)의 탄성력을 이길 수 있는 만큼 레버(30)가 당겨지면서 레버(30)의 상단이 일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센서(51)가 레버(30)의 이동거리를 감지하여 디지털 표시부(50)에 숫자로 표시하므로 손가락의 근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손가락의 근력이 숫자로 표시되면 버튼(52)을 조작하여 표시된 숫자를 세팅하고 접시(60) 위에 음식물, 의복, 장신구와 같은 물체를 선택하여 올려놓은 후 다시 손가락으로 레버(30)를 당기면 1차 세팅된 숫자 옆에 2차 측정된 근력이 숫자로 표시되므로 1,2차 측정된 이동거리를 비교하면 근력의 차이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접시(60)에 물체가 있을 때 근력을 측정한 숫자가 물체가 없을 때 측정한 숫자 보다 높으면 그 물체가 체질에 잘 맞음을 알 수 있고, 이와는 반대로 측정된 숫자가 낮으면 물체가 체질에 맞지 않음을 알 수 있는 것이므로 각 개인의 체질에 맞는 물체를 선별하여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접시(60)에 물체가 없을 때 1차 측정된 숫자가 30으로 세팅되어 있고, 접시(60)에 물체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측정된 숫자가 20∼25이면 그 물체가 체질에 맞지 않음을 알 수 있고, 15∼20이면 그 물체가 측정자의 체질과 더욱 맞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접시(60)에 물체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측정된 숫자가 35∼40이면 체질에 잘 맞음을 알 수 있고, 40∼45이면 그 물체가 측정자의 체질과 매우 잘 맞음을 알 수 있는 것으로서 특정 물체와 측정자의 신체가 얼마나 잘 맞는지를 정확한 치수로 알 수 있는 것이므로 감각에 의존하는 종래의 오링 테스트에 의한 방법보다는 매우 정확하면서도 객관적인 테스트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오링 테스트와 같이 사람의 감각에 의존하여 손가락의 근력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고 손가락의 근력이 디지털 표시부(50)에 숫자로 표시되는 것이므로 그 결과가 매우 정확하면서도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혼자서도 테스트 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레버(30)는 그 하단의 힌지(32)를 중심으로 회동되고, 거치홈(31)은 레버(30)의 몸체에서 상,하 연속 형성된 것이므로 지렛대의 원리에 의하여 상측에 위치한 거치홈(31)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잡아당기는 것이 제일 힘이 적게들고 하측으로 갈수록 힘이 많이 소요됨에 따라 사용자의 근력에 맞는 위치의 거치홈(31)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한 개의 탄성수단(40)으로 탄성력을 가변시킬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측정장치는 손가락으로 레버(30)를 당기는 작동을 반복하면 손가락 운동기구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탄성수단(40)을 극복하는 힘을 이용하여 손가락의 근력을 강화시켜 줄 수 있는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디지털 표시부(50)에 레버(30)의 당겨지는 거리와 함께 횟수를 함께 표시토록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레버(30)의 이동거리를 감지하면 손가락의 근력을 측정할 수 있고, 레버(30)를 당긴 횟수를 파악하면 전체적인 운동량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보다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운동을 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병원이나 재활치료센터 등에서 손가락의 재활운동을 위한 기구 등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접시(60) 위에 물체가 없을 때 1차 측정한 근력과 물체가 있을 때 2차 측정한 근력의 값이 디지털 표시부에 각각 숫자로 표시되어 정확하게 비교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결과가 매우 정확하면서도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혼자서도 테스트 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손가락의 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매우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Claims (3)

  1. 그 전면이 개방된 케이스(10)의 입구에는 손잡이(20)가 장착되어 상부판(11)과 바닥판(12) 사이에 고정되고, 바닥판(12)의 중앙에는 손가락 거치홈(31)들을 갖는 레버(30)가 힌지(32) 결합되어 탄성수단(40)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당겨지며, 레버(30)의 상측에는 센서(51)가 장착되어 당겨진 레버(30)의 이동거리를 감지하여 상부판(11)에 구비된 디지털 표시부(50)에 표시하되, 상부판(11)에 놓여진 접시(60)에 특정 물체가 있을 때와 없을 때 그 이동거리가 각각 숫자로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질판별을 위한 손가락의 근력 측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40)은 용수철 스프링(41)으로 이루어지며, 스프링(41)의 일단은 케이스(10)의 후면판(13)에 관통 설치된 볼트(42)에 고정되고, 볼트(42)에는 너트(43)가 결합되어 볼트(42)의 위치를 조절하면 용수철 스프링(41)의 장력이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질판별을 위한 손가락의 근력 측정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0)와 레버(30)를 각각 2개로 형성하고, 장력이 서로 다른 스프링(41)들을 각각 장착하여 힘이 강하고 약한 일반 성인과 노약자들이 자기의 근력에 맞는 스프링(41)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체질판별을 위한 손가락의 근력 측정기.
KR2020010000731U 2001-01-11 2001-01-11 체질판별을 위한 손가락의 근력 측정기 KR2002293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731U KR200229301Y1 (ko) 2001-01-11 2001-01-11 체질판별을 위한 손가락의 근력 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731U KR200229301Y1 (ko) 2001-01-11 2001-01-11 체질판별을 위한 손가락의 근력 측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9301Y1 true KR200229301Y1 (ko) 2001-07-19

Family

ID=73062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731U KR200229301Y1 (ko) 2001-01-11 2001-01-11 체질판별을 위한 손가락의 근력 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30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4383B2 (en) Jump rope with physiological monitor
EP0922431B1 (en) Tactile sense detector and notification unit
Aoki et al. Finger tapping ability in healthy elderly and young adults
US20050004483A1 (en) Bi-point detection type heart-rate monitor and its heart-rate monitoring method
JP2009095651A (ja) アイソメトリックエクササイズ装置
KR20200121005A (ko) 손가락별로 측정되는 악력 측정장치
WO2008128099A1 (en) Portable exercise device
KR200229301Y1 (ko) 체질판별을 위한 손가락의 근력 측정기
US7594891B2 (en) Portable physiological parameter monitor
KR100466666B1 (ko) 체력건강정보의 측정이 가능한 헬스운동장비용 손잡이 구조
WO2022038413A1 (en) Push-up bar system, apparatus and method
US7426155B2 (en) Stretching and exercising apparatus
JPH05212136A (ja) カロリー計付き心拍測定装置
KR200249809Y1 (ko) 손가락 근력 비교 측정기
KR200249817Y1 (ko) 손가락 근력 비교 측정기
KR200243905Y1 (ko) 손가락 근력 비교 측정기
KR200243939Y1 (ko) 손가락 근력 비교 측정기
CN210433485U (zh) 手部功能评测器
JPH1043350A (ja) スイング分析装置
KR970004523Y1 (ko) 체질 식별용 손가락 악력 테스터기
CN107569225B (zh) 血压测试装置
KR200255568Y1 (ko) 손가락 근력 비교 측정기
KR20140006129A (ko) 사방치기 운동기구
TWI380800B (zh) 肩膀柔軟度旋轉測定器
JP3088026B2 (ja) 立位体前屈度デジタル測定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