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2485B1 -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목 운동 장치 - Google Patents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목 운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2485B1
KR101282485B1 KR1020120040458A KR20120040458A KR101282485B1 KR 101282485 B1 KR101282485 B1 KR 101282485B1 KR 1020120040458 A KR1020120040458 A KR 1020120040458A KR 20120040458 A KR20120040458 A KR 20120040458A KR 101282485 B1 KR101282485 B1 KR 101282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ce
neck
head
monito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0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재섭
장준혁
강민혁
김지원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40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24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 A63B21/005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using motors

Abstract

본 발명은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목 운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에 설치되는 고정 몸체; 상기 고정 몸체에 대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몸체; 상기 이동 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머리부; 상기 머리부에 설치되는 모니터; 상기 모니터의 좌우에 설치되며, 인가되는 힘을 측정할 수 있는 한 쌍의 힘 센서; 상기 한 쌍의 힘 센서에 고정되며, 사람의 머리로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형성된 힘 인가부; 및 상기 머리부에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힘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힘을 상기 모니터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목 운동 장치{Cervical exercising apparatus having monitoring function}
본 발명은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목 운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하는 사람의 키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목 근육의 좌우 균형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목 근육을 균형 있게 강화할 수 있는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목 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목 통증 환자의 경우 근육 강화가 필수적이다. 사람들이 통증을 느끼는 목 근육은 바깥쪽 근육(global muscle)과 심부 근육(local muscle)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목 근육이 약한 사람의 경우 심부 근육이 강화되지 않으면 바깥쪽에 위치한 근육들이 더 많이 작용하기 때문에 목 주위 근육들의 불균형으로 인해 목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근육 불균형이 있는 경우, 한쪽 근육은 단축되고, 다른 한쪽은 약화가 되는데 불균형이 있는 상태에서 운동을 할 경우 이러한 상태가 해결되지 않고 지속된다.
목 근육이 약한 경우 강화를 위한 운동이 필요하지만, 현재 목 운동을 위한 운동 장비가 많지는 않다. 목 운동을 할 수 있는 장비로 대표적인 것이 슬링(sling) 장비이다.
그러나, 슬링 장비의 경우 목 운동을 할 수는 있으나, 운동을 할 때 어느 정도의 압력 혹은 힘으로 운동을 하는지에 대한 객관적인 수치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슬링 장비를 사용하여 목 운동을 할 때 사용자의 목 근육에 불균형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되는 목 근육의 힘을 알 수 없으므로 단축된 근육만 많이 사용하고 약한 근육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근육 강화의 효과를 얻는 것이 쉽지 않다.
또한, 슬링 장비는 사용자의 목 근육에 불균형이 있는지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다. 특히, 슬링 장비는 줄을 천장에 설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설치시 천장 공사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사용자가 목 운동을 하는 경우 목 근육의 불균형 여부를 알 수 있으며, 목 운동시 목 근육이 균형을 이루는지를 보면서 운동을 할 수 있어 목 근육을 균형있게 강화할 수 있고, 목 운동시 가하는 힘을 수치로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목 운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닥에 설치할 수 있으며, 다양한 자세에서 목 운동을 할 수 있고, 사용자의 키에 맞추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목 운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에 설치되는 고정 몸체; 상기 고정 몸체에 대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몸체; 상기 이동 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머리부; 상기 머리부에 설치되는 모니터; 상기 모니터의 좌우에 설치되며, 인가되는 힘을 측정할 수 있는 한 쌍의 힘 센서; 상기 한 쌍의 힘 센서에 고정되며, 사람의 머리로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형성된 힘 인가부; 및 상기 머리부에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힘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힘을 상기 모니터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목 운동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때, 사람이 머리로 상기 힘 인가부에 힘을 가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한 쌍의 힘 센서에 걸리는 힘을 비교하여 목 근육이 균형 상태인지 아니면 불균형 상태인지를 상기 모니터에 출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에 복수 개의 눈금을 갖는 레벨 표시창과 상기 레벨 표시창 안에서 이동 가능한 커서를 출력하고, 상기 한 쌍의 힘 센서에 인가된 힘에 따라, 상기 커서를 상기 레벨 표시창 안에서 이동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머리부는 상기 이동 몸체에 대해 90도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머리부가 상기 바닥과 평행한 상태가 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에 출력되는 화면을 180도 반전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목 운동 장치는, 상기 이동 몸체와 상기 고정 몸체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 몸체를 상기 고정 몸체에 대해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목 운동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는 목 운동 전에 자신의 목 근육이 불균형 상태인지 균형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적절한 목 강화 운동을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목 운동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는 목 운동을 하는 중에 목의 좌우 근육을 균형 있게 운동하고 있는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운동시 가하는 힘을 수치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목 근육 강화 운동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목 운동 장치에 의하면, 선 자세, 앉은 자세, 누운 자세에서 목 근육 운동을 할 수 있으므로 목 근육 강화 운동에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목 운동 장치는, 사용자의 키에 맞추어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목 운동 장치는, 바닥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천장에 설치하는 종래의 슬링 장비에 비해 설치가 간편하고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목 운동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의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목 운동 장치로 선 자세에서 목 운동을 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상기 도 1의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목 운동 장치로 앉은 자세에서 목 운동을 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상기 도 1의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목 운동 장치로 누운 자세에서 목 운동을 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상기 도 1의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목 운동 장치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a)는 목 근육이 균형 상태일 때를 나타내고, (b)는 목 근육이 불균형 상태일 때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목 운동 장치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목 운동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목 운동 장치(1)는 고정 몸체(10), 이동 몸체(20), 머리부(30), 모니터(40), 한 쌍의 힘 센서(31), 힘 인가부(50), 제어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몸체(10)는 본 발명에 의한 목 운동 장치(1)를 바닥(3, 도 2 참조)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목 운동 장치(1)가 설치되는 병원의 물리치료실이나, 체육관 등과 같은 설치 장소의 바닥(3)에 설치된다. 고정 몸체(10)는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복수 개의 다리(11,12)를 포함할 수 있다. 목 운동 장치(1)의 전면에 설치된 2개의 다리(11)는 사용자가 다리(11) 사이에 누울 수 있도록 일정 각도 벌어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목 운동 장치(1)의 전면은 모니터(40)가 설치되어 있는 면으로서 사용자가 마주하는 쪽을 말한다. 고정 몸체(10)는 중공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직육면체 형상은 고정 몸체(10) 형상의 일 예일 뿐이며, 고정 몸체(10)는 이동 몸체(20)의 상하 운동을 지지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 몸체(10)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 몸체(20)는 고정 몸체(10)의 내부에 수용되어 고정 몸체(10)에 대해 상하(화살표 A 방향)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이동 몸체(20)는 고정 몸체(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동 몸체(20)는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직선 이동 안내부재에 의해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동 몸체(20)는 자동으로 고정 몸체(10)에 대해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고정 몸체(10)의 내부에 이동 몸체(20)의 아래에 이동 몸체(20)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 유닛(60)이 설치된다. 승강 유닛(60)은 모터와 모터의 회전을 이동 몸체의 상하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 운동 장치(1)의 전면에 높이 조절 스위치(34)를 설치한다. 사용자는 높이 조절 스위치(34)를 작동시켜 목 운동 장치(1)의 높이를 자기의 키에 맞출 수 있다.
이동 몸체(20)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는 승강 유닛(60)은 랙 앤 피니언(rack and pinion), 볼 스크류(ball screw) 등과 같은 일반적인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바꿀 수 있는 운동 변환 장치를 승강 유닛(60)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예로서, 이동 몸체(20)는 수동으로 고정 몸체(10)에 대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고정 몸체(10)에 대해 이동 몸체(20)를 고정하고 있는 볼트와 같은 고정 부재(미도시)를 풀고 이동 몸체(20)의 높이를 조절한 후, 다시 고정 부재를 체결하여 이동 몸체(20)가 고정 몸체(10)에 대해 고정되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머리부(30)는 사용자가 누운 자세로 목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동 몸체(20)에 대해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21)로 설치된다. 따라서, 머리부(30)는 목 운동 장치(1)의 전면으로 이동 몸체(20)에 대해 대략 90도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H)가 고정 몸체(10)의 전면의 2개의 다리(11) 사이에 누웠을 때, 머리부(30)에 설치된 모니터(40)의 화면을 볼 수 있도록 머리부(30)를 이동 몸체(20)에 대해 시계 방향(도 1 기준)으로 대략 90도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또한, 머리부(30)와 이동 몸체(20) 사이에는 스토퍼(미도시)가 설치된다. 스토퍼는 머리부(30)에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머리부(30)가 바닥(3)에 대해 수직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머리부(30)를 이동 몸체(20)에 대해 90도 회전하기 위해서는 스토퍼를 제거한 후, 90도 회전시킨 후 다시 스토퍼로 머리부(30)를 이동 몸체(20)에 고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머리부(30)를 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모터가 브레이크 기능을 갖는 경우에는 별도의 스토퍼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머리부(30)의 전면에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모니터(40)와 한 쌍의 힘 센서(31)가 설치된다. 모니터(40)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장치이면 어떠한 장치라도 사용할 수 있으나, LCD, LED와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한 쌍의 힘 센서(31)는 모니터(40)의 좌우에 설치된다. 힘 센서(31)는 인가되는 힘을 측정하며, 측정 결과를 제어부로 송신한다. 사용자(H)의 눈 높이가 모니터(40)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 쌍의 힘 센서(31)는 모니터(40)의 좌우에 모니터(40)의 대략 중앙 부분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힘 센서(31)는 인가되는 힘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트레인 게이지나 압력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에는 압력 센서(31)를 사용하여 인가되는 힘을 측정한다. 따라서, 운동시, 당기는 힘을 압력 단위인 mmHg로 나타낼 수 있다.
힘 센서(31)의 선단에는 힘 인가부(50)를 결합할 수 있는 고리(32)가 달려 있다(도 1의 S부 확대도 참조). 힘 인가부(50)는 한 쌍의 힘 센서(31)의 고리(32)에 결합되며, 사람이 머리로 힘을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힘 인가부(50)는 사람이 머리를 접촉시켜 힘을 인가하는 머리 수용부(51)와 머리 수용부(51)의 양측에 연결된 2개의 연결 줄(52)을 포함한다. 2개의 연결 줄(52)의 선단에는 힘 센서(31)의 고리(32)에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는 후크(53)가 설치된다.
따라서, 2개의 연결 줄(52)의 후크(53)를 한 쌍의 힘 센서(31)의 고리(32)에 결합하면, 사용자(H)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 수용부(51)에 머리를 대고 힘을 가할 수 있다. 또한, 힘 인가부(50)의 2개의 연결 줄(52)이 한 쌍의 힘 센서(31)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힘 인가부(50)에 힘을 가하면, 한 쌍의 힘 센서(31)가 인가되는 힘을 측정할 수 있다. 한 쌍의 힘 센서(31) 중 한 개는 목 근육 중 좌측 근육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측정하고, 나머지 한 개의 힘 센서(31)는 목의 우측 근육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측정한다.
상기 제어부(70)는 머리부(30)의 내부에 설치되며, 한 쌍의 힘 센서(31)로부터 신호를 받아 그 결과를 모니터(40)의 화면에 출력한다. 즉, 제어부(70)는 한 쌍의 힘 센서(31)에 의해 측정되는 힘의 세기를 모니터(40)에 출력하여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제어부(70)는 한 쌍의 힘 센서(31)의 각각에 걸리는 힘의 세기를 숫자로 모니터(40)에 표시하고, 한 쌍의 힘 센서(31) 각각에 걸리는 힘을 비교하여 어느 쪽에 큰 힘이 걸리는지를 모니터(40)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사람이 머리로 힘 인가부(50)에 힘을 가하는 경우에, 제어부(70)는 한 쌍의 힘 센서(31)에 걸리는 힘을 비교하여, 양쪽의 힘 센서(31)에 동일한 힘이 걸리면 목 근육이 균형 상태라고 출력하고, 양쪽의 힘 센서에 동일한 힘이 걸리지 않는 경우에는 불균형 상태라고 모니터(4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70)에 의해 모니터(40)에 출력되는 화면(41)에는 한 쌍의 힘 센서(31)에 걸리는 힘이 숫자로 나타나는 2개의 숫자 창(42,43)이 마련된다. 또한, 사용자(H)가 운동을 하면서, 목의 상태 또는 운동 상태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어부(70)는 모니터(40)의 화면(41)에 목의 좌우 근육에 걸리는 힘을 도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70)가 모니터(40)에 출력하는 화면(41)의 일 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모니터 화면(41)에는 목의 좌측 근육과 우측 근육에 의해 인가되는 힘이 숫자로 표시되는 숫자 창인 좌측 압력 창(42)과 우측 압력 창(43)이 표시된다. 또한, 좌측 및 우측 압력 창(42,43)의 아래에는 긴 막대 형상의 레벨 표시창(44)이 표시된다. 레벨 표시창(44)은 한 쌍의 힘 센서(31)에 걸리는 힘을 비교하여 어느 쪽에 많은 힘이 걸리는지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레벨 표시창(44)은 긴 막대 형상의 창으로 형성되며, 막대 형상의 창 안에는 이동 가능한 커서(45)가 마련된다. 레벨 표시창(44) 내의 커서(46)는 목의 좌측 근육과 우측 근육에 의해 인가되는 힘에 차이가 없으면 중앙부(45)에 위치하고, 만일 힘의 차이가 있으면 큰 힘이 작용하는 쪽으로 이동한다. 즉, 제어부(70)는 한 쌍의 힘 센서(31)가 감지한 힘의 세기에 따라 커서(46)를 레벨 표시창(44) 내에서 이동시킨다. 이때, 사용자(H)가 좌우로 작용하는 힘의 차이를 쉽게 알 수 있도록 막대 형상의 창(44) 아래에는 눈금을 나타내는 숫자가 표시되어 있다.
숫자는 중앙부에 '0'을 표시하고, 좌우로 복수 개의 일련 번호가 표시되어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에는 중앙부(45) 눈금 '0'의 좌우로 각각 '1'부터 '5'까지 5개의 눈금을 형성하였다. 눈금 '0'은 좌우 목 근육이 인가하는 힘의 차가 10mmHg 이내인 경우를 나타내며, 1 내지 5의 눈금은 각각 1mmHg의 압력을 나타낸다. 따라서, 커서(46)가 눈금 1에 있을 때에는 11mmHg의 압력이 걸리는 것을 나타내고, 커서(46)가 5에 있는 경우에는 15mmHg의 압력이 걸리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사용자(H)가 목을 똑바로 당겼는데 레벨 표시창(44)의 커서(46)가 중앙(45)에 위치하지 않고, 좌측이나 우측으로 이동하면, 목의 좌우 근육이 불균형인 것을 나타낸다. 이때, 커서(46)가 위치한 눈금을 읽으면, 목의 좌우 근육의 불균형 정도를 압력 차이로 알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는 머리부(30)의 회전을 감지하여, 모니터(40)에 출력되는 화면(41)을 반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H)가 머리부(30)를 이동 몸체(20)에 대해 90도 회전시켜 머리부(30)가 바닥(3)과 평행한 상태가 되면, 제어부(70)는 이를 감지하여 모니터(40)에 출력되는 화면(41)을 180도 반전시킨다. 이와 같이 모니터(40)의 화면(41)을 반전시키는 것은 사용자(H)가 도 4와 같이 누운 자세로 목 운동을 하는 경우, 화면(41)을 반전시키지 않으면 모니터(40)의 화면(41)에 출력되는 글자가 거꾸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목 운동 장치(1)의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H)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목 운동 장치(1)를 이용하면 다양한 자세, 예를 들면, 선 자세, 앉은 자세, 누운 자세에서 목 운동을 할 수 있다.
먼저, 선 자세에서 목 운동을 하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 운동 장치(1)의 전면에 서서 힘 인가부(50)의 머리 수용부(51)에 머리 뒤쪽을 접촉시킨다. 이때, 사용자(H)는 자신의 키에 맞도록 목 운동 장치(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H)는 높이 조절 스위치(34)를 조작하여 모니터(40)가 자기의 눈 높이에 오도록 조절한다. 그 후, 사용자(H)는 목에 힘을 주어 힘 인가부(50)를 목 운동 장치(1)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당긴다. 그러면, 사용자(H)가 가하는 힘이 모니터(40)에 표시된다. 사용자(H)의 목의 좌우 근육이 균형 상태일 경우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40)에 출력되는 화면(41)의 좌측 및 우측 압력 창(42,43)에 표시되는 숫자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또한, 레벨 표시창(44)의 커서(46)는 중앙부(45) 눈금 '0'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H)의 목의 좌우 근육이 불균형한 경우에는, 모니터(40)의 화면(41)의 좌측 및 우측 압력 창(42,43)에 나타나는 숫자가 서로 다르며, 레벨 표시창(44)의 커서(46)는 한쪽으로 치우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H)의 목의 우측 근육이 좌측 근육보다 강한 경우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압력 창(43)에 나타나는 숫자가 좌측 압력 창(42)에 나타나는 숫자보다 크며, 레벨 표시창(44)의 커서(46)는 우측으로 이동한 상태가 된다.
이런 경우, 사용자(H)는 좌측 목 근육에 힘을 더 가하여, 레벨 표시창(44)에 표시되는 커서(46)가 중앙부(45)의 눈금 '0'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좌측 근육을 강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목 운동 장치(1)를 사용하면, 사용자(H)는 목 운동을 하면서, 자신의 목 근육 상태를 바로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약한 쪽의 목 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만일, 사용자(H)가 앉은 상태에서 목 운동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H)는 목 운동 장치(1)의 앞에 의자(5)를 놓고 앉는다. 그리고, 높이 조절 스위치(34)를 사용하여, 모니터(40)가 자기의 눈 높이에 오도록 조절한다. 높이 조절 스위치(34)가 작동되면 승강 유닛(60)이 동작하여 이동 몸체(20)를 하강시키므로 모니터(40)를 사용자(H)의 눈 높이에 맞출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H)는 힘 인가부(50)에 머리를 걸고, 상술한 선 자세와 동일하게 목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때, 모니터(40)의 화면(41)에 출력되는 것은 상술한 선 자세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사용자(H)가 누운 상태에서 목 운동을 할 경우에는, 사용자(H)는 높이 조절 스위치(34)를 조작하여 이동 몸체(20)를 최대로 하강시킨 후, 머리부(30)를 회전시켜 바닥(3)에 평행한 상태로 만든다. 이때, 머리부(30)는 모니터(40)가 바닥(3)을 마주하도록 회전된다.
그 후, 사용자(H)는 바닥(3)에 누운 자세로 힘 인가부(50)에 머리를 걸면, 상술한 선 자세와 동일하게 목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때, 모니터(40)의 화면(41)에 출력되는 것은 상술한 선 자세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누운 자세의 경우, 제어부(70)는 머리부(30)가 90도 회전한 것을 감지하여 모니터(40)에 출력되는 화면(41)을 180도 반전시키므로, 사용자(H)는 누운 상태에서도 선 자세와 동일하게 화면(41)에 출력되는 힘에 관한 정보를 편하게 읽을 수 있다.
다시, 본 발명에 의한 목 운동 장치(1)로 선 자세나 앉은 자세로 목 운동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4의 화살표 C 방향으로 머리부(30)를 회전시켜 머리부(30)를 바닥(3)에 수직으로 한다. 그 후, 높이 조절 스위치(34)를 사용하여 사용자(H)의 키에 맞도록 목 운동 장치(1)의 높이를 조절하면, 사용자(H)는 필요에 따라 편하게 목 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목 운동 장치
3; 바닥 5; 의자
10; 고정 몸체 11; 다리
20; 이동 몸체 30; 머리부
31; 힘 센서 34; 높이 조절 스위치
40; 모니터 41; 화면
44; 레벨 표시창 46; 커서
50; 힘 인가부 51; 머리 수용부
52; 연결 줄 53; 후크
60; 승강 유닛 70; 제어부

Claims (5)

  1. 바닥에 설치되는 고정 몸체;
    상기 고정 몸체에 대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몸체;
    상기 이동 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머리부;
    상기 머리부에 설치되는 모니터;
    상기 모니터의 좌우에 설치되며, 인가되는 힘을 측정할 수 있는 한 쌍의 힘 센서;
    상기 한 쌍의 힘 센서에 고정되며, 사람의 머리로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형성된 힘 인가부; 및
    상기 머리부에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힘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힘을 상기 모니터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목 운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사람이 머리로 상기 힘 인가부에 힘을 가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한 쌍의 힘 센서에 걸리는 힘을 비교하여 목 근육이 균형 상태인지 아니면 불균형 상태인지를 상기 모니터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목 운동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에 복수 개의 눈금을 갖는 레벨 표시창과 상기 레벨 표시창 안에서 이동 가능한 커서를 출력하고,
    상기 한 쌍의 힘 센서에 인가된 힘에 따라, 상기 커서를 상기 레벨 표시창 안에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목 운동 장치.
  4. 제 1 항에서,
    상기 머리부는 상기 이동 몸체에 대해 90도 회전 가능하며,
    상기 머리부가 상기 바닥과 평행한 상태가 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에 출력되는 화면을 180도 반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목 운동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몸체와 상기 고정 몸체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 몸체를 상기 고정 몸체에 대해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목 운동 장치.
KR1020120040458A 2012-04-18 2012-04-18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목 운동 장치 KR101282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458A KR101282485B1 (ko) 2012-04-18 2012-04-18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목 운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458A KR101282485B1 (ko) 2012-04-18 2012-04-18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목 운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2485B1 true KR101282485B1 (ko) 2013-07-04

Family

ID=48996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0458A KR101282485B1 (ko) 2012-04-18 2012-04-18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목 운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248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278B1 (ko) * 2013-10-31 2015-03-3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정용 목 근육 운동기구
WO2017164682A1 (ko) * 2016-03-25 2017-09-28 박정근 경추 근력 운동 기구
WO2018081891A1 (en) * 2016-11-07 2018-05-11 Neck Tronics Inc. Devices and methods for exercise or analysis of the neck region
CN109011474A (zh) * 2018-09-20 2018-12-18 国武时代国际文化传媒(北京)有限公司 多功能散打用下盘锻炼装置
KR102143445B1 (ko) * 2019-02-18 2020-08-11 (주)투파이브 목 근력운동장치 및 목 근력운동장치를 이용한 목 운동정보 제공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761Y1 (ko) 2003-06-02 2003-08-19 정철웅 경추교정의자
US20080119331A1 (en) 2006-11-17 2008-05-22 Dirk Zylstra Neck exercise machine
KR100947020B1 (ko) 2007-11-13 2010-03-1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경추 견인장치
US20110230314A1 (en) 2009-02-09 2011-09-22 Jonathan Hoffman Core stabilizing running exercise system and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761Y1 (ko) 2003-06-02 2003-08-19 정철웅 경추교정의자
US20080119331A1 (en) 2006-11-17 2008-05-22 Dirk Zylstra Neck exercise machine
KR100947020B1 (ko) 2007-11-13 2010-03-1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경추 견인장치
US20110230314A1 (en) 2009-02-09 2011-09-22 Jonathan Hoffman Core stabilizing running exercise system and apparatus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278B1 (ko) * 2013-10-31 2015-03-3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정용 목 근육 운동기구
WO2017164682A1 (ko) * 2016-03-25 2017-09-28 박정근 경추 근력 운동 기구
WO2018081891A1 (en) * 2016-11-07 2018-05-11 Neck Tronics Inc. Devices and methods for exercise or analysis of the neck region
US11896870B2 (en) 2016-11-07 2024-02-13 Neck Tronics Inc. Devices and methods for exercise or analysis of the neck region
CN109011474A (zh) * 2018-09-20 2018-12-18 国武时代国际文化传媒(北京)有限公司 多功能散打用下盘锻炼装置
CN109011474B (zh) * 2018-09-20 2023-07-18 国武时代国际文化传媒(北京)有限公司 多功能散打用下盘锻炼装置
KR102143445B1 (ko) * 2019-02-18 2020-08-11 (주)투파이브 목 근력운동장치 및 목 근력운동장치를 이용한 목 운동정보 제공시스템
WO2020171464A1 (ko) * 2019-02-18 2020-08-27 (주)투파이브 목 근력운동장치 및 목 근력운동장치를 이용한 목 운동정보 제공시스템
CN112004582A (zh) * 2019-02-18 2020-11-27 唐菲尔株式会社 颈部肌肉力量运动装置及利用颈部肌肉力量运动装置的颈部运动信息提供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2485B1 (ko)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목 운동 장치
US8704855B1 (en) Force measurement system having a displaceable force measurement assembly
US10952660B2 (en) Berg balance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US20110257566A1 (en) Instrumented therapy table and system
WO2012020882A1 (ko) 디지털 물리 치료기 및 이를 이용한 물리 치료 방법
KR20100055578A (ko) 동적체 평형 검사 및 운동장치
KR100913600B1 (ko) 근력 측정기
KR101986179B1 (ko) 야외용 근력 측정기
JP2015171511A (ja) 歩行訓練装置
KR20120081702A (ko) 균형 감각 측정장치
US8758277B2 (en) Neuromuscular testing device and method to use
Čakrt et al. Subjective visual and haptic vertical in young and elderly
KR102274814B1 (ko) 이동형 환자 체중측정장치
KR20160006389A (ko) 자세 및 움직임 교정 운동 시스템
KR20160026373A (ko) 스쿼트 운동기구
CN209916024U (zh) 一种健身数据测试仪
KR102021349B1 (ko) 재활치료용 기립보조기
CN114423393B (zh) 用于神经肌肉功能训练的步态训练器
KR101024084B1 (ko) 2인이 함께하는 균형 감각 재활 훈련기기
KR20190059518A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스마트 기기 연동형 전신 운동기구 시스템
JP3304079B2 (ja) 体力の左右均衡度測定装置
JP2010088703A (ja) ハンディ型トレーニング機器
Kim et al. Ambulatory balance monitoring using a wireless attachable three-axis accelerometer
KR20160129451A (ko) 능동형 운동치료장치
US201400582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a Body For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